KR20100121218A -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1218A KR20100121218A KR1020090040276A KR20090040276A KR20100121218A KR 20100121218 A KR20100121218 A KR 20100121218A KR 1020090040276 A KR1020090040276 A KR 1020090040276A KR 20090040276 A KR20090040276 A KR 20090040276A KR 20100121218 A KR20100121218 A KR 201001212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hangul
- pop
- vowel
- display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하고 삭제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터치 스크린 상에 한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및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표시하는 단계; 키패드의 한글 자음 버튼에서 터치 신호가 감지될 때, 터치 신호에 상응하는 한글 자음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신호가 감지된 한글 자음 버튼 주변에 한글 모음 팝업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한글 모음 팝업창에서 드래그 신호가 감지될 때, 터치 신호에 상응하는 한글 자음과 드래그 신호에 상응하는 한글 모음을 결합한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easily enter and delete characters using touch and drag on a touch screen of a personal termina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on a touch screen of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keypad including a Hangul consonant button on a touch screen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 Displaying a Hangul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 signal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touch signal is detected by the Hangul consonant button of the keypad, and displaying a Hangul vowel pop-up window around the Hangul consonant button where the touch signal is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a character in which a Hangul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 signal and a Hangul vowel corresponding to the drag signal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drag signal is detected in the Hangul vowel pop-up window.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on a touch screen of a terminal.
근래에 PDA, 휴대 전화와 같은 많은 개인용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고, 이들은 많은 기능을 포함하면서도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개인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필요로 한다. 입력부는 사용자가 입력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다수의 키(버튼)를 필요로 하고, 표시부는 멀티미디어를 표시하기 위해 가능한 한도에서 큰 화면을 필요로 한다. In recent years, many personal terminals such as PDAs and mobile phones are being used, and they are becoming smaller while including many functions. The personal terminal requir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by the us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user. The input unit requires a number of keys (buttons) that are sized for the user to correctly input, and the display unit requires a large screen to the extent possible to display the multimedia.
소형화된 개인용 단말기에 입력부와 표시부를 동시에 갖추기 위해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LCD와 같은 표시 장치와 그 위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터치용 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키패드 또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한다. A touch screen type screen may be used to simultaneously provide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in a miniaturized personal terminal. The touch screen is composed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and a touch panel installed thereon. A user inputs a command by touching a keypad or an icon displayed on a touch screen using a finger or a pen for touch.
이러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터치 스크린 화면의 크기에 의하여 많은 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패드를 표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각각의 키는 크기가 작아져서 사용자가 보기에도 불편하고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용 펜으로 정확하게 각각의 키를 터치하기도 어렵다. Even when using such a touch screen, it is not preferable to display a keypad having a large number of key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Each key is smaller in size, which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view,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urately touch each key with a finger or a touch pen.
그러므로 개인용 단말기는 일반적으로는 적은 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패드를 제공한다. 키패드의 각각의 키에는 복수의 문자가 할당된다. 예를 들면, 3*4 배열 방식의 키패드에서 각각의 키에서 한글 자음, 모음 또는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최대 3~4회 키를 터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문자 입력 속도를 저하시킨다.A personal terminal therefore generally provides a keypad with a small number of keys. Each key of the keypad is assigned a plurality of characters. 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Korean consonants, vowels, or alphabets in each key on a 3 * 4 keypad, the keys must be touched up to three to four times. This approach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and slows down the text input.
따라서, 개인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키패드에서 문자 입력이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facilitating text input on a keypad provided on a touch screen of a personal terminal.
한편, 개인용 단말기에서 입력 동안 다수의 문자를 삭제할 경우, 일반적인 개인용 단말기에서는 다수의 문자들 각각을 지워야 하고, 삭제할 문자들을 동시에 삭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개인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서 다수의 문자들을 동시에 삭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delet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during input in the personal terminal, it is necessary to delete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s in a general personal terminal, it is not easy to delete the characters to be deleted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simultaneously delet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from a touch screen of a personal termina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인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하고 삭제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that can easily enter and delete characters by using touch and drag on the touch screen of a personal termina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터치 스크린 상에 한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및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표시하는 단계; 키패드의 한글 자음 버튼에서 터치 신호가 감지될 때, 터치 신호에 상응하는 한글 자음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신호가 감지된 한글 자음 버튼 주변에 한글 모음 팝업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한글 모음 팝업창에서 드래그 신호가 감지될 때, 터치 신호에 상응하는 한글 자음과 드래그 신호에 상응하는 한글 모음을 결합한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on a touch screen of a terminal, the keypad including a Hangul consonant butt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 step; Displaying a Hangul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 signal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touch signal is detected by the Hangul consonant button of the keypad, and displaying a Hangul vowel pop-up window around the Hangul consonant button where the touch signal is detected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a character in which a Hangul consonant corresponding to the touch signal and a Hangul vowel corresponding to the drag signal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drag signal is detected in the Hangul vowel pop-up window.
이때, 한글 모음 팝업창은, 한글 기본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을 표시하는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에서 드래그된 한글 기본모음으로부터 파생되는 한글 복합모음(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을 표시하는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Hangul vowel pop-up window, the Hangul basic vowel pop-up window to display the Hangul basic vowel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ㅣ); The Korean composite vowel popup window that displays Korean composite vowels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that is derived from the Korean default vowel dragged from the Korean main vowel popup window desirable.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은, 한글 기본 모음 팝업창에서 'ㅏ'가 선택되는 경우, 'ㅐ'를 표시하고, 한글 기본 모음 팝업창에서 'ㅑ'가 선택되는 경우, 'ㅒ'를 표시 하고, 한글 기본 모음 팝업창에서 'ㅓ'가 선택되는 경우, 'ㅔ'를 표시하고, 한글 기본 모음 팝업창에서 'ㅕ'가 선택되는 경우, 'ㅖ'를 표시하고, 한글 기본 모음 팝업창에서 'ㅗ'가 선택되는 경우, 'ㅘ', 'ㅙ', 'ㅚ'를 표시하고, 한글 기본 모음 팝업창에서 'ㅜ'가 선택되는 경우, 'ㅝ', 'ㅞ', 'ㅟ'를 표시하고, 그리고 한글 기본 모음 팝업창에서 'ㅡ'가 선택되는 경우, 'ㅢ'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gul compound collection popup window displays 'ㅐ' when 'ㅏ' is selected in the Hangul default vowel popup window, and displays 'ㅒ' when 'ㅑ' is selected in the Hangul default vowel popup window. If 'ㅓ' is selected in, 'ㅔ' is displayed. If 'ㅕ' is selected in the Hangul basic vowel popup window, 'ㅖ' is displayed. If 'ㅗ' is selected in the Hangul main vowel popup window, ' 'ㅘ', 'ㅙ', 'ㅚ', and when 'TT' is selected in the Korean default vowel popup window, 'ㅝ', 'ㅞ', 'ㅟ' is displayed, and 'ㅡ' in the Korean default vowel popup window. When 'is selected, it is preferable to display' ㅢ '.
터치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해제되는 경우, 한글 모음 팝업창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ouch signal or the drag signal is releas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moving the Hangul vowel popup window.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터치 스크린 상에 복수의 문자가 할당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및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표시하는 단계; 키패드의 버튼에서 터치 신호가 감지될 때,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신호가 감지된 버튼 주변에 터치 신호가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팝업창에서 드래그 신호가 감지될 때, 드래그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on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buttons to which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ssigned on a touch scree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s; Displaying a pop-up window includ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a button on which a touch signal is detected, around a button on which a touch signal is detected, when a touch signal is detected on a button of a keypad; And display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drag signal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drag signal is detected in the pop-up window.
팝업창에서 드래그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때, 터치 신호가 감지된 버튼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 중 사전에 설정된 대표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rag signal is not detected in the pop-up window,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a representative character set in advance among a plurality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button on which the touch signal is detected.
터치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해제되는 경우, 팝업창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ouch signal or the drag signal is releas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moving the pop-up window.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키패드는 백스페이스 키를 더 포함하고, 키패드의 백스페이스 키로부터 시작하는 드래그 신호가 감지될 때, 표시부 상의 커서의 위치로부터 백스페이스 키로부터 시작하는 드래그 신호의 길이에 상응하는 문자들이 삭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further includes a backspace key, and when a drag signal starting from the backspace key of the keypad is detected, the drag signal starting from the backspace key from the position of the cursor on the display unit is detected.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provides a touch screen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leting.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적은 수의 키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상의 키패드에서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문자(한글, 영문, 숫자, 특수문자)를 입력하고 삭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user can easily input and delete desired characters (Korean, English, numbers, special characters) using touch and drag on a keypad on a touch screen with a small number of key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이하에서, '터치'는 터치 스크린 상에 손가락 또는 터치용 기구(펜 등)을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고, '드래그'는 터치 스크린 상에 손가락 또는 터치용 기구를 접촉시키면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touch' means contacting a finger or a touch device (pen, etc.) on the touch screen, and 'drag' means moving while touching a finger or touch device on the touch scre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개인용 단말기의 일예로서 휴대용 전화기를 도시한다. 1 illustrates a portable telephone as an example of a personal terminal to which a touch screen text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화기(1)는 기본적인 전화 기능 외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기록 및 송수신 기능을 갖는다. 휴대용 전화기(1)는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자 및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가 명령을 지시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도 1의 경우, 휴대용 전화기(1)는 디스플레이와 입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 는 터치 스크린(100)을 구비한다. 터치 스크린(100)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위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터치용 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키패드 또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한다. 터치 스크린(100)을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공간과 입력 장치를 위한 공간을 모두 구비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더 큰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역과 입력을 위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case of FIG. 1, the
또한, 휴대용 전화기(1)는 제어부, 무선 송수신부, 마이크, 스피커, 외부 입출력 단자 등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들에 대한 기술은 생략된다.In addition, the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100)의 초기 화면을 도시한다. 2 illustrates an initial scree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부(110)와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20)로 구분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도 2에서, 키패드(120)는 한글 자음에 할당된 자음 버튼 12개와 스페이스 버튼, 백스페이스 버튼, 한글/영어 변환 버튼, 숫자/특수문자 변환 버튼, 완성 버튼 등을 포함하고, 키패드(120)의 버튼에는 한글 모음이 할당되지 않는다. 각각의 자음 버튼에는 한글 자음이 하나 또는 두개가 할당된다. 마우스의 더블 클릭과 유사하게 자음 버튼(ㄱ, ㄷ, ㅂ, ㅅ, ㅈ)을 연속으로 터치하여 쌍자음(ㄲ, ㄸ, ㅃ, ㅆ, ㅉ)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ㅋㅌ' 또는 'ㅎㅍ' 버튼을 1회 터치하면 'ㅋ' 또는 'ㅎ'이 입력되고 2회 터치하면 'ㅌ' 또는 'ㅍ'이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일예로서, 한글 자음 버튼을 포함하는 다양한 배열의 키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In FIG. 2, the
사용자는 입력할 한글의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 버튼을 터치한다. 도 3은 일예로서 사용자가 입력펜(P)을 이용하여 'ㅁ' 버튼을 터치한 경우를 도시한다.The user touches the consonan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of the Hangul to be input.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ㅁ' button using the input pen P. Referring to FIG.
도 3을 참조하면, 키패드(120)의 'ㅁ' 버튼에서 터치 신호가 감지될 때, 표시부(110)에는 'ㅁ'이 표시된다. 그리고, 'ㅁ' 버튼을 중심으로 주변에는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130)이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3, when a touch signal is detected from the 'ㅁ' button of the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130)은 한글 기본모음 10자(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를 표시한다. 도 3의 경우, 'ㅏ' 및 'ㅑ'는 'ㅁ' 버튼의 우측에, 'ㅓ' 및 'ㅕ'는 'ㅁ' 버튼의 좌측에, 'ㅗ' 및 'ㅛ'는 'ㅁ' 버튼의 상측에, 'ㅜ' 및 'ㅠ'는 'ㅁ' 버튼의 하측에, 'ㅡ'는 'ㅁ' 버튼의 좌하측에, 그리고 'ㅣ'는 'ㅁ' 버튼의 우하측에 표시된다.The Hangul basic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펜(P)을 터치 스크린(100)으로부터 떼어내어 'ㅁ' 버튼의 터치를 해제하면, 표시부(110)에는 'ㅁ'이 최종으로 입력되고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130)은 제거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detaches the touch pen P from the
또는, 사용자가 터치펜(P)을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130)의 모음 중 하나로 드래그할 수 있다. 도 4는 일예로서 사용자가 입력펜(P)을 이용하여 'ㅁ' 버튼을 터치한 후 'ㅗ'로 드래그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4에서, 'D'는 사용자가 드래그한 경로를 표시한다.Alternatively, the user may drag the touch pen P to one of the collections of the Korean basic
도 4를 참조하면,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130)의 'ㅗ'로 드래그 신호가 감지 될 때, 표시부(110)에는 'ㅁ'을 초성으로 하고 'ㅗ'를 중성으로 하는 '모'가 표시된다. 그리고,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130)의 'ㅗ' 모음을 중심으로 주변에는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140)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4, when a drag signal is detected by the 'ㅗ' of the Korean main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140)은 한글 기본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에서 파생되는 한글 복합모음(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을 표시한다. 한글 기본모음과 한글 복합모음의 관계는 한글 모음의 제자 원리에 따른다. 각각의 한글 기본모음과 이들로부터 파생되는 한글 복합모음은 다음의 표 1과 같이 정리된다. Hangul compound collection pop-up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모음 'ㅗ'로부터 파생되는 복합모음은 'ㅘ', 'ㅙ', 'ㅚ'로서 이들이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140)에 표시된다. Referring back to FIG. 4, the compound collections derived from the vowel 'ㅗ' are displayed as 'ㅘ', 'ㅙ' and 'ㅚ' in the Korean compound
사용자가 입력펜(P)을 터치 스크린(100)으로부터 떼어내어 드래그를 해제하면, 표시부(110)에는 '모'가 최종으로 입력되고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130) 및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140)은 제거된다. 이후로, 사용자는 자음을 더 입력하여 종성 또는 다음 문자의 초성을 입력한다.When the user releases the input pen P from the
또는, 사용자가 입력펜(P)을 계속 드래그하여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140)에 표시된 복합모음(ㅘ, ㅙ, ㅚ)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ㅘ'로 드래그한 뒤 드래그를 해제하면, 표시부(110)에는 '뫄'가 최종으로 입력되고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130) 및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140)은 제거된다. 이후로, 사용자는 자음을 더 입력하여 종성 또는 다음 문자의 초성을 입력한다.Alternatively, the user may continue to drag the input pen P to select one of the compound collections (ㅘ, ㅙ, ㅚ) displayed on the Hangul compound collection pop-up
다른 실시예에서,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130)은 한글 기본모음(ㅏ, ㅓ, ㅗ, ㅜ, ㅡ, ㅣ)을 표시하고,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140)은 각각의 한글 기본모음에서 파생된 한글 복합모음(ㅐ, ㅑ, ㅒ, ㅔ, ㅕ, ㅖ, ㅘ, ㅙ, ㅚ, ㅛ, ㅝ, ㅞ, ㅟ, ㅠ, ㅢ)을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한글 기본모음과 이들로부터 파생되는 한글 복합모음은 다음의 표 2와 같이 정리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angul basic vowel pop-up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키패드(120)의 자음을 터치하면, 터치 신호가 감지된 자음 버튼을 중심으로 한글 기본모음(ㅏ, ㅓ, ㅗ, ㅜ, ㅡ, ㅣ)을 포함하는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130)이 표시되고, 한글 기본모음(ㅏ, ㅓ, ㅗ, ㅜ, ㅡ, ㅣ) 중 하나가 드래그를 통해 선택되면, 선택된 기본모음으로부터 파생되는 한글 복합모음을 포함하는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140)이 표시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모음을 드래그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touches the consonant of the
상술한 실시예는 예로서 기술된 것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 및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과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의 2단계로 모음을 선택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3단계 이상의 팝업창으로 모음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n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Korean basic collection popup window and the Korean composite collection popup window in various ways. 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vowel is selected in two stages of the Korean basic vowel pop-up window and the Korean composite vowel pop-up window,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the vowel with three or more levels of pop-up windows.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자음을 터치하고 드래그를 통해 모음을 선택하여 용이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user can easily input Korean by touching a consonant and selecting a vowel by dragging.
<제 2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100)의 초기 화면을 도시한다. 5 shows an initial screen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부(110)와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20')로 구분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도 5에서, 키패드(120')는 숫자, 영어 알파벳, 특수문자가 할당된 문자 버튼과 스페이스 버튼, 백스페이스 버튼, 한글/영어 변환 버튼, 숫자/특수문자 변환 버튼, 완성 버튼 등을 포함한다. 문자 버튼 각각에는 복수의 숫자, 알파벳, 특수문자 등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버튼 '1'에는 숫자 '1'과 알파벳 'A', 'B' 및 'C'가 할당되고, 버튼 '*'에는 특수문자 '*', '.' 및 ','가 할당된다.In FIG. 5, the
사용자는 입력할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 버튼을 터치한다. 도 6은 일예로서 사용자가 입력펜(P)을 이용하여 '5' 버튼을 터치한 경우를 도시한다.The user touches a character button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to be input.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5' button using the input pen P. Referring to FIG.
도 6을 참조하면, 키패드(120')의 '5' 버튼에서 터치 신호가 감지될 때, 표시부(110)에는 '5' 버튼의 대표문자인 '5'가 표시된다. 그리고, '5' 버튼을 중심으로 주변에는 팝업창(150)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a touch signal is detected from the '5' button of the keypad 120 ', the
팝업창(150)은 터치 신호가 감지된 문자 버튼('5')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5', 'M', 'N', 'O')를 표시한다. 도 6의 경우, '5'는 '5' 버튼의 상측에, 'M'은 '5' 버튼의 좌측에, 'N'은 '5' 버튼의 우측에, 그리고 'O'는 '5' 버튼의 하측에 표시된다.The pop-up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펜(P)을 터치 스크린(100)으로부터 떼어내어 '5' 버튼의 터치를 해제하면, 표시부(110)에는 '5'가 최종으로 입력되고 팝업창(150)은 제거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detaches the touch pen P from the
또는, 사용자가 터치펜(P)을 팝업창(150)의 문자 중 하나로 드래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펜(P)을 우측으로 드래그하여 팝업창(150)의 'N' 위치로 이동시키면 표시부(110)에는 '5'가 아닌 'N'이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가 드래그를 해제하면, 표시부(110)에는 'N'이 최종으로 입력되고 팝업창(150)은 제거된다.Alternatively, the user may drag the touch pen P to one of the characters of the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복수의 문자가 할당된 문자 버튼을 선택한 후 드래그를 통해 복수의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user can easily input a character by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characters through dragging after selecting the character button to which the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ssigned.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100)의 화면을 도시한다. 7 illustrates a screen of the
도 7에서, 표시창(110)에는 다수의 문자가 입력되어 있고, 커서는 복수의 문자 말단에 위치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된 다수의 문자 중 복수를 삭제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입력펜(P)을 이용하여 키패드(120) 상의 백스페이스 키를 터치한다.In FIG. 7,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input to the
사용자가 입력펜(P)을 이용하여 백스페이스 키를 터치한 후 해제하면, 종래기술에서의 백스페이스 키와 같이 1개 단위의 문자가 삭제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backspace key using the input pen P and releases it, characters of one unit are deleted as in the prior art.
사용자가 입력펜(P)을 이용하여 백스페이스 키를 터치한 후 드래그를 할 때, 입력펜(P)이 드래그한 경로(D)의 길이가 측정된다. 이때, 표시창(110)에는 커서의 위치로부터 드래그한 경로(D)의 길이에 상응하는 양의 문자(도 7에서 '역겨워 가실')가 블럭으로 지정된다. 사용자가 드래그를 해제하면, 블럭으로 지정된 문자들이 동시에 삭제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backspace key using the input pen P and then drags, the length of the path D dragged by the input pen P is measured. In this case, the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백스페이스 키를 선택한 후 드래그를 통해 복수의 문자를 한번에 삭제할 수 있다.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user can delete a plurality of characters at once by selecting the backspace key and dragging.
비록 본 발명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being attached It is obvious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of a device to which a touch screen text input method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의 초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creen of a touch screen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제 1 실시예에서 한글 자음 버튼 및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 Hangul consonant button and a Hangul basic vowel popup window in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 1 실시예에서 한글 자음 버튼,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 및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Korean consonant button, a Korean basic vowel pop-up window, and a Korean composite vowel pop-up window in the first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의 초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creen of a touch screen to whic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은 제 2 실시예에서 버튼 및 팝업창을 나타내는 도면, 및6 shows a button and a popup window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Drawing>
100: 터치스크린100: touch screen
110: 표시부110: display unit
120, 120': 키패드120, 120 ': keypad
130: 한글 기본모음 팝업창130: Korean main collection popup window
140: 한글 복합모음 팝업창140: Hangul compound collection popup window
150: 팝업창150: popup window
D: 드래그 라인D: drag line
P: 입력펜P: input pen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0276A KR20100121218A (en) | 2009-05-08 | 2009-05-08 |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0276A KR20100121218A (en) | 2009-05-08 | 2009-05-08 |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1218A true KR20100121218A (en) | 2010-11-17 |
Family
ID=4340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0276A KR20100121218A (en) | 2009-05-08 | 2009-05-08 |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21218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1661B1 (en) * | 2012-05-10 | 2014-03-10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for hangul inputting on cyber keyboard |
KR101433519B1 (en) * | 2012-08-21 | 2014-09-23 | 김승연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Hangul Of Terminal |
KR101646688B1 (en) | 2015-02-27 | 2016-08-0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Inputting system and method of keyboard for small smar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
US9658770B2 (en) | 2013-06-26 | 2017-05-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ting of character |
KR20220081062A (en) * | 2020-12-08 | 2022-06-15 | 이대원 | Character input device implemented in software |
-
2009
- 2009-05-08 KR KR1020090040276A patent/KR20100121218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1661B1 (en) * | 2012-05-10 | 2014-03-10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for hangul inputting on cyber keyboard |
KR101433519B1 (en) * | 2012-08-21 | 2014-09-23 | 김승연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Hangul Of Terminal |
US9658770B2 (en) | 2013-06-26 | 2017-05-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ting of character |
KR101646688B1 (en) | 2015-02-27 | 2016-08-0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Inputting system and method of keyboard for small smar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
KR20220081062A (en) * | 2020-12-08 | 2022-06-15 | 이대원 | Character input device implemented in softwa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5662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terminal | |
KR100478020B1 (en) | On-screen key input device | |
US6356258B1 (en) | Keypad | |
JP4316687B2 (en) | Screen touch input device | |
KR20150049700A (en) | Method and apparautus for controlling input in portable device | |
KR20140073245A (en) | Method for inputting back surfa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 |
US20120162086A1 (en) |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 |
CN101251781A (en) | Virtual keyboard performing input and function operations through mobile phones transverse screen status display | |
Billah et al. | Accessible gesture typing for non-visual text entry on smartphones | |
KR101085702B1 (en) | Korean input method of touch screen, recording medium | |
KR20100121218A (en) |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 |
US20130021260A1 (en) |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 on touch screen | |
CN102279652A (en) |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 |
KR100951802B1 (en) | Touch screen Hangul input device to display a guide popup | |
KR20100086975A (en) | Hangul input method using touch screen | |
KR20100045617A (en) | Korean alphabet input method utilizing a multi-touch sensing touch screen | |
KR101074457B1 (en) |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inputting the hangul alphabet | |
KR20050043541A (en) | Fingertip touchscreen with five perceiving area and character inputting method using it | |
KR10115229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acter input window using touchscreen | |
KR100656779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ad and input method thereof | |
KR101454896B1 (en) |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 |
KR101255801B1 (en) |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 |
KR20080076200A (en) | Data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 |
KR101086590B1 (en) | Hangul input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erefor | |
KR101652881B1 (en) |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text using a Picker in touch environ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31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0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