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6145B1 -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145B1
KR101466145B1 KR1020130043048A KR20130043048A KR101466145B1 KR 101466145 B1 KR101466145 B1 KR 101466145B1 KR 1020130043048 A KR1020130043048 A KR 1020130043048A KR 20130043048 A KR20130043048 A KR 20130043048A KR 101466145 B1 KR101466145 B1 KR 10146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eel sheet
film
present
adhe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195A (ko
Inventor
이만우
김호정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14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14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2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4Velocity, e.g. feed spee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2차원 평면 이미지를 가지는 PET 필름 등이 적층된 강판에 3차원 입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여 외관 성능이 향상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속판체 및 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층; 전처리층; 접착제층; 및 라미네이트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트층은 상기 접착제층 상에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부착 또는 증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재층 표면 또는 상기 라미네이트층 표면에 3차원 입체무늬를 포함하는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EMBOSS LAMINATE STEEL SHEET COATED WITH PET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2차원 평면 이미지를 가지는 PET 필름 등이 적층된 강판에 3차원 입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엠보스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외관 성능이 향상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PET필름, PVC필름 등을 부착한 라미네이트 강판은 필름과 특정 평면 판체에 대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고 열 또는 빛(UV)으로 처리하여 고열 상태에서 필름을 판체에 합지시키는 방법으로 생산된다.
종래 PET필름을 결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경우, 평면 판체에 필름을 합지시킨 것으로서, 2차원 평면 이미지를 구현한 것에 불과하고, 홀로그램 패턴과 같은 보다 사실적인 3차원 입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엠보스 패턴을 포함하는 판체의 경우, 3차원 입체 이미지의 구현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이는 판체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표면 외관을 구조적으로 개선한 것에 불과하고 표면에 헤어라인 패턴, 금속 패턴과 같은 특정 소재의 질감을 부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3차원 입체 이미지를 포함하는 판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판체 표면에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고 그 표면에 필름을 부착하거나, 판체 표면에 필름을 부착한 후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필름과 엠보스 요철의 부착력 저하에 의한 필름의 들뜸현상 또는 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금속판체 및 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층; 전처리층; 접착제층; 및 라미네이트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트층은 상기 접착제층 상에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부착 또는 증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재층 표면 또는 상기 라미네이트층 표면에 3차원 입체무늬를 포함하는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층 상에 하도 도막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ET 필름은 헤어라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50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2~15중량%, 경화촉진제 1~10중량%, 및 용제 25~70중량%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타입, 아크릴 타입, 비닐변성 아크릴 타입, 실리콘 타입, 및 이들 중 2 이상을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상기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는 양각부 또는 음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각부의 깊이가 20㎛~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금속판체 및 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소재층 상에 전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층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층 상에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부착 또는 증착하여 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층 표면 또는 상기 라미네이트층 표면에 3차원 입체무늬를 포함하는 엠보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층 표면에 하도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ET 필름은 헤어라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50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2~15중량%, 경화촉진제 1~10중량%, 및 용제 25~7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타입, 아크릴 타입, 비닐변성 아크릴 타입, 실리콘 타입, 및 이들 중 2 이상을 혼한합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상기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 상에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부착 또는 증착하여 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1이상의 압착 롤을 이용하여 연속 압착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은, 경도 40~65(JISㆍA)의 우레탄 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압착공정은, 20~50mpm(m/분)의 공정속도 및 1~7kgf/m2의 압하력으로 상기 압착 롤을 가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는 양각부 또는 음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각부의 깊이가 20㎛~50㎛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층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 1 제조방법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 2제조방법을 도시화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속판체 및 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층(110); 전처리층(120); 접착제층(130); 및 라미네이트층(140)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트층은 상기 접착제층 상에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부착 또는 증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재층 표면 또는 상기 라미네이트층 표면에 3차원 입체무늬를 포함하는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을 제공한다.
소재층(110)으로는 예를 들어, 금속판체 자체, 또는 그 위에 아연-알루미늄-실리카 합금용융도금, 전기 및 용융 아연도금과 같이 공지의 도금층이 형성된 것 또는 구리, 알루미늄, 동, 및 스테인리스 원판 등의 공지의 금속/비금속 소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재층(110)과 접착제층(130)의 층간 밀착성 및 기본적인 내식성 확보를 위해 인산피막, 크로메이트, 논(non)-크로메이트 등과 같이 공지된 화성피막 처리된 전처리층(1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크로메이트 피막”은 크로메이트 처리에 의해 아연 등의 금속 상에 형성되는 크롬산 크롬을 주성분으로 하는 얇은 막을 의미한다. 피막이 화성하기 위한 주된 반응은, 액 중의 산에 의해 아연이 용해되어 중크롬산 이온 등을 환원하기 때문에 아연 계면에서는 수소이온 농도가 저하된다. 이에 따라 침전물이 아연표면에 침착하여 복잡한 성분의 피막이 형성된다.
한편, 양호한 도막 밀착성을 위해 환경 친화적인 논(non)-크로메이트 피막 처리가 바람직하나, 기존 크로메이트 피막 처리와 비교할 때 내식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공지의 크로메이트 또는 3가 크롬을 조성으로 하는 크로메이트 피막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막층간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전처리층(120) 상에 하도 도료를 코팅하여 형성되어 있는 하도 도막층(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도 도막층(도면 미도시)은 전처리층(120) 표면과 접착제층(130) 간의 층간 결합력, 도막 경도, 내약품성, 내식성 등에 영향을 주는 구조로서 이 같은 상호 연계 물성을 감안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아크릴계 또는 이들을 변성한 계의 도료 등 가전용 및 건재용 등의 용도 및 적용 소지에 따라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PCM(Pre-Coated Metal)용 도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공성이나 접착력 등 물성을 구현하는데 있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도 도막층은 내식성, 층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연신율을 부여하여 전처리층(120)과 접착제층(130)의 계면에서 충분한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가공시 발생될 수 있는 소재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도 도막층을 형성하기 위한 안료로는 내식성을 고려하여 통상의 크롬 및 납계 방청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세계적인 환경규제물질의 사용 제제 흐름에 부응하여 납이나 크롬이 배제된 무독성 방청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방청안료”는 방청 녹을 방지하기 위한 도막 중에서 안료가 전색제 중의 유지와 반응하여 금속 비누를 형성하거나, 수분에 의해 분해하여 미알칼리성이 되거나, 금속 표면과 반응하여 부동태를 만들거나, 또는 통기저항을 크게 하는 등 방식효과를 발휘하는 안료를 총칭한다.
기존의 방청안료는 납 및 크롬이 함유된 레드 리드(Red Leed), 징크 포타슘 크로메이트(Zinc Potassium Chromate), 징크 테트라옥시 크로메이트(Zinc Tetraoxy Chromate), 스트론튬 크로메이트(Strontium Chromate)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독성 방청안료로는 대표적인 Borate계인 바륨 메타보레이트(Barium Metaborate), Molybdate계인 징크 몰리브데이트(Zinc Molybdate), 칼슘 징크 몰리브데이트(Calcium Zinc Molybdate), Phosphate계인 징크 포스페이트(Zinc Phosphate), 알루미늄 트리포스페이트(Aluminum Triphosphate), Silicate계인 칼슘 보로실리케이트(Calcium Borosilicate), 포스포 실리케이트(Phosphosilicate), 칼슘 이온-교환 실리케이트(Calcium Ionexchanged Silicate), 마그네슘 이온-교환 실리케이트(Magnecium Ion-exchanged Silicate)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도 도막층의 건조 도막 두께는 2㎛ ~ 10㎛ 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6㎛ 가 선호되는데, 건조 도막의 두께가 2㎛ 미만이면 방청성 및 층간 결합력이 저하되고, 10㎛를 초과하면 표면 외관이 불량해지거나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접착제층(130)은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전처리층(120)과 후술할 라미네이트층(140)의 층간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50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2~15중량%, 경화촉진제 1~10중량%, 및 용제 25~7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비닐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계, 우레탄계, 고무계 또는 이들을 변성한 계의 열가소성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중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및 고무계를 혼용하는 것이 접착력 향상에 유리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0~30,000이고 OH가는 0~100, 산가는 0~20, 유리전이온도는 -10~120℃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하고자 하는 필름의 종류 또는 접착공정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평균 분자량이 2,000 미만이면 필름과의 접착력 저하 및 가공성이 극심하게 떨어지고, 30,000을 초과하면 접착제 고형분이 낮아져 도막 두께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엠보스 부위의 팝핑(popping) 발생으로 필름과의 접착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10℃ 미만이면 접착성능 보다는 점착성능이 나타나 전반적인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120℃ 를 초과하면 접착은 가능하나 접착층의 도막이 강인해져 충격에 의해 접착부위가 쉽게 떨어질 수 있다. OH가가 100을 초과하고, 산가가 20을 초과하면 접착은 가능하나 비등수 시험후 접착력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이를 변성한 수지를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5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5중량 % 미만이면 접착제의 고형분이 낮고 점도가 낮아 작업성이 저하되고 도막 살오름성이 낮아 최종적인 접착제층의 물성이 악화될 수 있고, 50중량% 를 초과하면 고형분이 높고 점도가 높아 도료화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필름과의 초기 접착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고무계 수지를 일부 혼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고무계 수지로는 천연고무(NR), 클로로프렌 고무(CR), 부타디엔 고무(NBR, SBR, HNBR 등),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M, EPDM), 부틸고무(IIR), 할로부틸 고무(CIIR, BIIR), 실리콘 고무, 플루오르화 탄소 고무(FKM, FPM)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타디엔 고무계 중 HNBR(수소치환 니트릴고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접착력 향상 효과가 크다.
상기 HNBR 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ACN) 함량이 25~45%, 수소 치환량이 0~2%, 무니(Mooney)점도가 30~100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낮고(25%), 수소 치환량이 높고(2%), 무니점도가 낮은(30) 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접착력 및 제반 물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소치환 니트릴고무(HNBR) 수지 또는 이를 변성한 수지를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지거나 접착제 고형분이 감소하여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가교제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가능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는, 예컨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MDI:Hexamethyle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 isophorone Diisocyanate),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anate), 2,4,6-트리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Triisocyanatetoluene)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15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내용제성 및 경도가 저하될 수 있고,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도막의 유연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주수지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가교수지인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와의 가교를 촉진시켜 도막의 치밀도를 개선하는데 사용되는 경화촉진제로는 아민(Amine)계, 금속염계, 나프텐산계 등을 사용하며, 아민계 촉매로는 트리에틸아민(Triethyl amine), N,N-디에틸시클로헥실아민(N,N-diethylcyclohexylamine), 2,6-디에틸모포린(2,6-diethylmorphorine), 트리에틸디아민(Triethyl diamine), 디메틸아미노에틸아디페이트(Dimethylamino ethyladipate), 디에틸에탄올아민(Diethylethanolamine), N,N-디메틸벤질아민(N,N-dimethyl benzyl amine)등이 있고 금속염계 촉매로는 포타슘 올리에이트(Potassium oleate), 테트라-2-에틸-헥실 티타네이트(Tetra-2-ethyl-hexyl titanate), SnCl4, FeCl3, Dibutyl tin dilaurate(DBTDL) 등이 있으며 나프텐산계 촉매로는 아연-나프테네이트(Zn-naphthenate), 납-나프테네이트(Pb-naphthenate), 코발트-나프테네이트(Co-naphthenate), 칼슘-나프테네이트(Ca-naphthenate)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화촉진제를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작업 조건에 따라 도막 경화가 불충분하게 일어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접착제층이 경화되어 도장 작업시 도막에 팝핑(popping)이 발생하거나, 도막을 수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제는, 도료에 사용하는 용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엠보스 부위의 후도막에 의한 팝핑(popping)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용해력이 우수한 케톤계 용제와 끓는점이 190℃ 이상으로 건조속도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발휘하는 지건성 용제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제를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7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25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도장시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함량이 70중량%를 초과하면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낮아져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타입, 아크릴 타입, 비닐변성 아크릴 타입, 실리콘 타입, 및 이들 중 2 이상을 혼한합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상기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력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중요한 특성으로 작용하며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의 첨가제 종류 또는 함량을 조절하는 것이 접착제 조성물과 필름과의 접착력을 저해하지 않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며, 사용 가능한 첨가제 종류는 폴리에스테르 타입, 아크릴 타입, 비닐변성 아크릴 타입, 실리콘 타입 등이 있으나, 폴리에스테르 타입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접착력을 저해하지 않는 주요 인자로서 작용한다.
아크릴 타입, 비닐변성 아크릴 타입, 실리콘 타입의 첨가제를 사용하면 첨가제 표면 부상에 따른 필름과의 접착력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사용을 배제하거나 함량을 최소화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층 도막의 평활성 및 도장시 기포 발생 억제에 의한 원활한 도장 작업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제는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첨가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도장시 기포가 발생하여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고,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첨가제 표면 부상에 의해 접착제층 도막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제층(330)의 건조도막 두께는 5㎛~15㎛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12㎛인 것이 선호되는데, 건조도막 두께가 8㎛ 미만이면 충분한 층간 결합력을 유도하기 어렵고, 12㎛를 초과하면 엠보스 패턴이 뚜렷하게 구현되기 어렵기 때문에 표면 외관이 불량해지거나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라미네이트층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층(140)은 접착제층(130)표면에 필름을 압착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이용 가능한 필름으로는, 예컨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VCM필름, 인쇄필름, 또는 PVC필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층(140)에는, 표면에 내스크래치(Scratch Resistant) 처리를 한 PET필름을 이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2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PET필름(210)의 이면에 그 자체의 광택이 우수해 고조도의 반사율을 갖는 은(Ag-반사율 95%) 또는 알루미늄(Al-반사율 88%)을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이들의 금속입자들을 진공 상태에서 직접 증착시켜 형성되어 있는 금속증착층(230), 및 상기 금속증착층(230) 하면(이면)에 고온(1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성질을 발휘하는 열활성접착층(hot melt)(240)을 포함하는, 일체화 PET 필름(200)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증착층(230)에 있어서, 상부의 PET필름(210) 및 하부의 열활성접착층(240)과의 층간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금속증착층의(230)의 상부 및 하부에 프라이머층(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헤어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층의 단면도이다.
상기PET필름(210)에 포함되어 있는 헤어라인 패턴(250)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과 유사한 외관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표면에 보다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재층(110) 표면 또는 상기 라미네이트층(140) 표면에 3차원 입체무늬를 구현하는 엠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엠보스 패턴이 각인된 상부 롤 및 강판을 받쳐주는 하부 롤을 포함하는 엠보스 롤을 이용하여 상기 소재층(110) 또는 상기 라미네이트층(140)에 압하력을 가함으로써 엠보스 패턴의 압흔이 상기 소재층(110) 또는 상기 라미네이트층(140) 표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엠보스 롤의 상기 상부 롤과 상기 하부 롤의 구성에 있어서, 하부 롤이 금속인 경우, 공정상 매우 불안정하여 상하 좌우 편차에 의한 도막 파괴가 발생할 수 있고, 좌우 깊이가 균일한 엠보스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하부 롤로 고무 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의 탄성에 의하여 가압(압하)시 좌우의 압력편차를 완화할 수 있으므로 좌우 편중되는 엠보스의 깊이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압하력이 과도한 경우 도막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는 양각부(150) 또는 음각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음각부(160)의 깊이가 20㎛~5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5㎛일 수 있다.
표 1은 상기 소재층(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엠보스의 상기 음각부의 깊이가 강판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엠보깊이/
주요물성
실험방법 20㎛ 미만 20㎛~35㎛ 35㎛~50㎛ 50㎛ 초과 비고
외관 육안 패턴여림 패턴선명 패턴선명 패턴선명
질감 수(手)접촉 약함 보통~양호 양호 우수
가공성 6mm CCET 양호~우수 양호 보통 필름일부
미부착
전면부착율 육안 및
SEM 분석
100% 100% 90% 60%
(오목부
미부착)
부착열탕성 가공성 시험 후
100'C×30'C
침적
양호 양호 일부박리 50%박리 필름층
박리
항온항습성 60'C×95%RH×168hrs 양호 양호 미세들뜸 30%이상
들뜸
수포형
들뜸
약품성 내산
내알칼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필름특성
내식성 5%NaCl×240hrs 양호 양호 보통 보통
상기 음각부(160)의 깊이가 20㎛ 미만이면 시야각에 따라 강판 표면 무늬의 질감 및 입체감이 저하될 수 있고, 50㎛을 초과하면 음각부(160)에서 팝핑(popping)이 발생하거나 음각부에까지 상기 라미네이트층(140)이 부착되기 어렵다. 특히, 상기 음각부(160)의 깊이가 20㎛ 미만이면 3차원 입체무늬를 완전하게 구현하기 어렵고, 35㎛를 초과하면 음각부(160)에서의 작업성 또는 가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속판체 및 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소재층 상에 전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층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층 상에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부착 또는 증착하여 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층 표면에 3차원 입체무늬를 포함하는 엠보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이하, 제1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1제조방법을 도시화한 것이다.
상기 금속판체 및 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된 소재층(310)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소지강판으로는 예를 들어, 금속판체 자체, 또는 그 위에 아연-알루미늄-실리카 합금용융도금, 전기 및 용융 아연도금과 같이 공지의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고, 구리, 알루미늄, 동, 및 스테인리스 원판 등의 공지의 금속/비금속 소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재층(310) 표면에 3차원 입체무늬를 포함하는 엠보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소재층(310)을 엠보스 롤의 상부 롤 및 하부 롤 사이를 통과할 때 압하력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롤 및 하부 롤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소재층(310)은 상기 라미네이트층(340)에 비해 표면이 경질(hard)이기 때문에, 양각의 엠보스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상부 롤은, 후술할 압착 롤(370)과 달리 스틸(steel) 롤인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하부 롤이 금속인 경우, 공정상 매우 불안정하여 상하 좌우 편차에 의한 도막 파괴가 발생할 수 있고, 좌우 깊이가 균일한 엠보스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하부 롤로 고무 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의 탄성에 의하여 가압(압하)시 좌우의 압력편차를 완화할 수 있으므로 좌우 편중되는 엠보스의 깊이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압하력이 과도한 경우 도막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엠보스는 양각부(350) 또는 음각부(360)를 포함하고, 상기 음각부(360)의 깊이가 20㎛~5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5㎛일 수 있다.
상기 음각부(360)의 깊이가 20㎛ 미만이면 시야각에 따라 강판 표면 무늬의 질감 및 입체감이 저하될 수 있고, 50㎛을 초과하면 음각부(360)에서 팝핑(popping)이 발생하거나 음각부(360)에까지 상기 라미네이트층(340)이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음각부(360)의 깊이가 20㎛ 미만이면 완전한 3차원 입체무늬를 구현하기 어렵고, 35㎛를 초과하면 음각부(360)에서의 작업성 또는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처리층(32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논크롬산염 또는 크롬산염을 처리하고 50 ℃ ~ 100 ℃ 에서 건조시켜 전처리층을 형성할 수 있는데, 양호한 도막 밀착성을 위해 환경 친화적인 논(non)-크로메이트 피막 처리가 바람직하나, 기존 크로메이트 피막 처리와 비교할 때 내식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공지의 크로메이트 또는 3가 크롬을 조성으로 하는 크로메이트 피막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제층(330)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처리층(320) 상에 필름과의 열 융착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고 오븐에서 건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코팅 방식은 롤코팅(Roll-Coating) 방식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PCM(Pre-Coated Metal) 강판에 사용되는 커튼플로워(Curtain Flower) 방식도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층(330)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의 조성에 관하여는 전술한 것과 같다.
한편, 상기 접착제층(330)의 건조도막 두께는 5㎛~15㎛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12㎛인 것이 선호되는데, 건조도막 두께가 8㎛ 미만이면 충분한 층간 결합력을 유도하기 어렵고, 12㎛를 초과하면 엠보스 패턴이 뚜렷하게 구현되기 어렵기 때문에 표면 외관이 불량해지거나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접착제층(330) 상에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부착하여 라미네이트층(340)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제층(330)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 엠보스 패턴을 포함하고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판체 및 PET 필름을 접촉시킨 후 이들을 상호 압착시키기 위한 1 이상의 압착 롤의 상부 롤 및 하부 롤 사이를 통과시키는 연속 압착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층(340)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PET 필름의 단면 층상 구조에 관하여는 전술한 것과 같다.
또한, 상기 라미네이트층(340)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PET 필름은 헤어라인 패턴(25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헤어라인 패턴(250)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과 유사한 외관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표면에 보다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라미네이트층(340)은, 상기 접착제층(330) 표면에 PET 조성물을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함으로써 PET 필름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층 표면에 하도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도 도막층(도면 미도시)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처리층(320) 상에 하도 도료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도료의 코팅 방식은 롤코팅(Roll-Coating) 방식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PCM(Pre-Coated Metal) 강판에 사용되는 커튼플로워(Curtain Flower) 방식도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도 도막층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도료의 조성 및 건조도막 두께에 관하여는 전술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착 롤(370)은, 경도 40~65(JISㆍA)의 우레탄 롤일 수 있다.
표 2는 상기 라미네이트층(340)을 압착하는데 이용되는 압착 롤(370)의 재질 및 표면 경도가 강판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롤종류/
주요물성
실험방법
스틸 롤
우레탄 롤
40(JIS·A)
미만
40~65
(JIS·A)
65(JIS·A)
초과
외관 육안 ×
질감 수(手)접촉
가공성 6mm CCET
전면부착율 육안 및
SEM 분석
× ×
부착열탕성 가공성 시험 후
100'C×30'C
침적
×
항온항습성 60'C×95%RH×168hrs ×
약품성 내산
내알칼리성
내식성 5%NaCl×240hrs ×
(상대적 평가기준: ◎ 우수, ○ 양호, △ 보통, × 불량 / 소재깊이: 35㎛)
스틸 롤(Steel Roll)을 이용하는 경우, 우레탄 롤을 이용하는 경우 대비 외관, 내식성을 비롯한 전체적인 물성이 크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착 롤의 경도가 40 미만이면 전면부착율, 부착열탕성, 내식성이 저하될 수 있고, 65를 초과하는 경우 또한 전면부착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압착 롤의 경도는 40~65(JISㆍA)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압착공정은, 20~50mpm(m/분)의 공정속도 및 1~7kgf/m2의 압하력으로 상기 압착 롤을 가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ET 필름을 엠보스가 형성되어 있는 판체에 합지시키는 경우, 누르는 힘이 클수록 접착력은 높아지나,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판체 자체의 휨이나 반곡, 또는 표면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속도가 20mpm 미만이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50mpm을 초과하면 엠보스 표면과 필름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필름의 들뜸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압하력이 1kgf/m2 미만이면 엠보스 표면과 필름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7kgf/m2을 초과하면 판체의 휨이나 반곡, 또는 표면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물성은 동일한 압하력에서 공정속도가 느릴수록 양호하고, 동일한 공정속도에서 압하력이 높을수록 양호한 경향을 보이므로,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적정한 공정속도와 압하력을 상기 범위 내에서 임의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속판체 및 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소재층 상에 전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층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층 상에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부착 또는 증착하여 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트층 표면에 3차원 입체무늬를 포함하는 엠보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이하, 제2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2제조방법을 도시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제조방법은 상기 제1제조방법과는 달리, 상기 소재층(410) 표면에 엠보스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소재층(410), 전처리층(420), 접착제층(430) 및 라미네이트층(440)을 순차적으로 평면 코팅 또는 압착시킨 후, 최종적으로 엠보스 롤(470)을 이용하여 판체의 표면에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외의 사항에 관하여는 상기 제1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라미네이트층(440) 표면에 3차원 입체무늬를 포함하는 엠보스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소재층(410), 전처리층(420), 접착제층(430), 및 라미네이트층(440)을 포함하는 판체가 엠보스 롤(470)의 상부 롤 및 하부 롤 사이를 통과할 때 압하력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롤 및 하부 롤의 구성에 관하여는 전술한 것과 같으나, 상기 제2제조방법은 압력에 민감한 연질(soft)인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층 표면에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압하력이 과도한 경우 도막이 파괴되어 최종 제품의 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PET 필름의 구성, 엠보스 패턴의 깊이 및 소재층의 종류 등에 따라 제1제조방법 대비 압하력을 낮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엠보스는 양각부(450) 또는 음각부(460)를 포함하고, 상기 음각부(460)의 깊이가 20㎛~5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5㎛일 수 있다.
상기 음각부(460)의 깊이가 20㎛ 미만이면 시야각에 따라 강판 표면 무늬의 질감 및 입체감이 저하될 수 있고, 50㎛을 초과하면 도막 구조가 파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음각부(460)의 깊이가 20㎛ 미만이면 3차원 입체무늬를 완전하게 구현하기 어렵고, 35㎛를 초과하면 음각부(460)에서의 작업성 또는 가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310, 410: 소재층
120, 320, 420: 전처리층
130, 330, 430: 접착제층
140, 340, 440: 라미네이트층
150, 350, 450: 양각부
160, 360, 460: 음각부
370: 압착 롤
470: 엠보스 롤
210: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220: 프라이머층
230: 금속증착층
240: 열활성접착층
250: 헤어라인 패턴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금속판체 및 도금강판 중에서 선택되는 소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소재층 상에 전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층 상에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제층 상에 경도 40~65(JISㆍA)의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압착 롤을 이용하여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부착하는 연속 압착공정을 통해 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층 표면 또는 상기 라미네이트층 표면에 3차원 입체무늬를 포함하는 엠보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층 표면에 하도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ET 필름은 헤어라인 패턴을 포함하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50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2~15중량%, 경화촉진제 1~10중량%, 및 용제 25~70중량%를 포함하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타입, 아크릴 타입, 비닐변성 아크릴 타입, 실리콘 타입, 및 이들 중 2 이상을 혼한합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상기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 더 포함하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압착공정은, 20~50mpm(m/분)의 공정속도 및 1~7kgf/m2의 압하력으로 상기 압착 롤을 가압하여 이루어지는,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스는 양각부 또는 음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각부의 깊이가 20㎛~50㎛인,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30043048A 2013-04-18 2013-04-18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6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48A KR101466145B1 (ko) 2013-04-18 2013-04-18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48A KR101466145B1 (ko) 2013-04-18 2013-04-18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195A KR20140125195A (ko) 2014-10-28
KR101466145B1 true KR101466145B1 (ko) 2014-11-27

Family

ID=5199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0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6145B1 (ko) 2013-04-18 2013-04-18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663B1 (ko) * 2014-11-21 2016-06-22 동국제강주식회사 입체 패턴을 가지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방법
KR101992541B1 (ko) 2017-11-27 2019-06-24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Zn-Mg-Al계 고내식 도금강판을 연마가공한 소재를 이용한 필름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340A (ko) * 1997-06-11 1999-01-15 이철우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27549A (ko) * 2006-09-25 2008-03-28 강남화성 (주) 라미네이트 강판용 접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강판의 라미네이트 방법
JP2011073146A (ja) * 2009-09-29 2011-04-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340A (ko) * 1997-06-11 1999-01-15 이철우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27549A (ko) * 2006-09-25 2008-03-28 강남화성 (주) 라미네이트 강판용 접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강판의 라미네이트 방법
JP2011073146A (ja) * 2009-09-29 2011-04-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床材用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195A (ko)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3661B2 (ja) プリント性が加えられた片面エンボスカラー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9630B1 (ko) 흑색 금속판
WO2004005579A1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るプレコート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66145B1 (ko)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3027354A1 (fr) Feuille metallique preenrobee possedant une excellente aptitude au formage a la presse et procede de production
WO2006080447A1 (ja) プレコート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15162A (ko)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JP3347657B2 (ja) 屋外用途向けプレコート金属板
JPH11504876A (ja) 複数の層で被覆されたフィルムおよび自動車製造の際の該フィルムの使用法
JP2007260541A (ja) プレコート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73275A (ko) 내지문성 코팅층이 형성된 전자 제품
JP2000117889A (ja) フッ素樹脂被覆金属板
JP4324093B2 (ja) 加工性と耐汚染性に優れたプレコート金属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757564B2 (ja) プレコート金属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塗装金属成形物
JP3847611B2 (ja) 耐跡残り性,加工性に優れたクリア塗装ステンレス鋼板
KR102167639B1 (ko) 불연성 도장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470640B (zh) 预涂层金属板
KR20160077716A (ko) 자기 세정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9018591A (ja) 化粧鋼板の製造方法
JP5905733B2 (ja) 塗装ステンレス鋼板とアクリロニトリル−ブタジエン−スチレン樹脂組成物の成形体とが接合された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69556B2 (ja) 加飾シート、加飾シート付転写部材および加飾物品
JP3069030B2 (ja) 印刷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ラミネート鋼板
JP4280658B2 (ja) 塗膜密着性に優れたクリア塗装ステンレス鋼板
JP3966520B2 (ja) プレコート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366634A (ja) 塩化ビニル化粧金属板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