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5081B1 - 멤즈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멤즈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081B1
KR101465081B1 KR1020080047053A KR20080047053A KR101465081B1 KR 101465081 B1 KR101465081 B1 KR 101465081B1 KR 1020080047053 A KR1020080047053 A KR 1020080047053A KR 20080047053 A KR20080047053 A KR 20080047053A KR 101465081 B1 KR101465081 B1 KR 101465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mems actuator
camera module
flexible circui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983A (ko
Inventor
전영선
Original Assignee
디지털옵틱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지털옵틱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디지털옵틱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8004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08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0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7/00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B7/02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containing distinct electrical or optical devices of particular relevance for their function, e.g.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6Polymers
    • H01L2924/0665Epoxy resi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하우징;
상기 카메라하우징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MEMS 액츄에이터가 구비되고, 일측에 패드단자가 형성된 렌즈부;
상기 카메라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는 PCB부;
상기 패드단자와 상기 PCB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성회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성회로부를 통해 렌즈부의 패드단자와 PCB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렌즈부의 움직임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특히 강도가 약하고 크기가 작은 패드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이 용이한 특유의 효과가 있다.
카메라 모듈, MEMS 액츄에이터, 렌즈부, PCB, 카메라하우징, 연성회로부

Description

멤즈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Having MEMS Actuator}
본 발명은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
도1은 종래 VCM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10)은 일반적으로 전면에 렌즈(11a)가 구비되는 렌즈부(11)와, 상기 렌즈부(11)가 체결되는 VCM액츄에이터(12)와, IR필터(13)와, 이미지센서(14) 및, PCB(15)로 구성되어 피사체의 광이미지를 상기 렌즈부(11)가 수광받아 IR필터(13)로 전달하고, 상기 IR필터(13)는 수광된 광이미지에서 적외선을 차단한 후 이미지센서(14)로 조사하게 되며, 상기 이미지센서(14)는 조사된 광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PCB(15)를 통해 출력되는 메카 니즘을 갖는다.
한편, 상기 렌즈부(11)는 이미지센서(14)와의 거리 조절을 통한 초기 포커싱을 셋팅할 수 있도록 상기 VCM액츄에이터(12)에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체결 조립되는 구조를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렌즈부(11)가 상기 VCM액츄에이터(12) 상에서 어느 한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렌즈 초기 초점이 조정된다.
이때, 상기 VCM액츄에이터(12)와 상기 PCB(15)간에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상기 VCM액츄에이터(12)의 하부에는 단자부(12a)가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데, 상기 단자부(12a)는 상기 VCM액츄에이터(12)가 상기 PCB(15)와 조립되었을 때 PCB(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참고로, VCM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은 코일을 감아서 제작되기 때문에 금속형 단자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은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20)이 개발되었는바, 도2는 종래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참고로,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tstem)기술이란, 마이크론 단위의 기계적 구조물과 전자회로가 집적화되어 결합된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극히 미세한 실리콘 웨이퍼 구조물을 정밀하게 가공하고, 전자회로를 결합시킴으로써 렌즈의 초점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MEMS 액츄에이터(21a)가 적용되면 실리콘 웨이퍼를 절단하여 사용하는 관계로 렌즈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를 이룰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렌즈부(21)는 종래와 같이 카메라하우징(22)에 나사체결되어 직접 회전되는 방식으로 이미지센서와의 거리조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별개의 구성을 통해 비회전방식으로 상하 수직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하우징(22)의 하부에는 PCB(23)가 배치되는데, 여기서, 상기 렌즈부(21)에 있는 MEMS 액츄에이터(21a)와 상기 PCB(23)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렌즈부(2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단자(21b)가 구비된다.
그러나,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에서의 패드단자(21b)는 앞에서 설명한 도1의 단자부와 달리 점접촉 형식의 패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자부와 PCB를 연결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에서 렌즈부의 단자와 PCB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하우징;
상기 카메라하우징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MEMS 액츄에이터가 구비되고, 일측에 패드단자가 형성된 렌즈부;
상기 카메라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는 PCB부;
상기 패드단자와 상기 PCB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성회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부는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인쇄회로기판(PC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부는 전도성테잎을 통해 상기 패드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부는 실리콘이나 에폭시에 의해 상기 카메라하우징, 렌즈부, PCB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성회로부를 통해 렌즈부의 패드단자와 PCB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렌즈부의 움직임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특히 강도가 약하고 크기가 작은 패드단자와의 전기적 접속이 용이한 특유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카메라하우징(110), 렌즈부(120), PCB부(130), 연성회로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은 홀더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상기 렌즈부(120)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상기 PCB부(130)가 설치되어, 상기 렌즈부(120)의 신호가 상기 PCB부(130)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상기 렌즈부(120)에는 피사체의 광이미지를 수광받기 위한 렌즈(121)가 구비되고, 그 광이미지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PCB부(130)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상기 렌즈부(120)는 렌즈초점의 조정을 위해서 상기 카메라하우징(110) 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1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MEMS 액츄에이터(122)가 구비되는데, 상기 MEMS 액츄에이터(122)의 특성상 신호 전달을 위한 단자가 패드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렌즈부(120)의 일측에는 상기 MEMS 액츄에이터(122)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패드단자(도2 참조)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PCB부(130)는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상기 PCB부(130)가 광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달받기 위해서는 상기 패드단자와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패드단자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크 기가 작고 강도가 약해 통상적인 와이어를 통한 전기연결을 수행하면 상기 패드단자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연성회로부(140)를 통해 상기 패드단자와 상기 PCB부(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성회로부(140)는 상기 렌즈부(120)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PCB부(130)로 전달할 수 있으면서 그 자체적 성질이 잘 구부러지고 휘어지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렌즈부(120)의 이동이나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연하고 부드러운 성질을 갖는 연성회로부(140)를 상기 패드단자와 연결하면 그 두 물질의 성질이 비슷해 종래의 와이어 전기연결과 같이 금속을 연결할 때에 비해 상기 패드단자의 손상이 거의 없다.
여기서, 상기 연성회로부(140)는 상기 패드단자에 접속될 때 전도성 양면테잎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단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도가 약하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연성회로부(140)와 패드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운 바, 이에 따라 전기전도가 이루어지는 전도성테잎을 통해 상기 연성회로부(140)와 패드단자를 접속시키면 손쉽게 두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렌즈부(120)가 움직이게 되면 상기 패드단자에 결합된 상기 연성회로부(140)의 결합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연성회로부(140)가 상기 패드단자 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상기 연성회로부(140)가 상기 패드단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연성회로부(140)는 주위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연성회로부(140)는 실리콘이나 에폭시에 의해 상기 카메라하우징(110)이나 상기 렌즈부(120)나 상기 PCB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은 종래 VCM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카메라하우징 120 : 렌즈부
122 : MEMS 액츄에이터 130 : PCB부
140 : 연성회로부

Claims (4)

  1. 카메라하우징;
    상기 카메라하우징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MEMS 액츄에이터가 구비되고, 일측에 패드단자가 형성된 렌즈부;
    상기 카메라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는 PCB부;
    상기 패드단자와 상기 PCB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성회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부는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부는 전도성테잎을 통해 상기 패드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부는 실리콘이나 에폭시에 의해 상기 카메라하우징, 렌즈부, PCB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EMS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
KR1020080047053A 2008-05-21 2008-05-21 멤즈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 Active KR101465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053A KR101465081B1 (ko) 2008-05-21 2008-05-21 멤즈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053A KR101465081B1 (ko) 2008-05-21 2008-05-21 멤즈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983A KR20090120983A (ko) 2009-11-25
KR101465081B1 true KR101465081B1 (ko) 2014-11-25

Family

ID=4160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053A Active KR101465081B1 (ko) 2008-05-21 2008-05-21 멤즈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888B1 (ko) * 2009-11-27 2016-06-20 디지털옵틱스 코포레이션 Mems액츄에이터와 인쇄회로기판간의 전기적 연결부 집합체 및 연결부 집합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KR101235240B1 (ko) * 2010-03-17 2013-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Mems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1145907A2 (en) * 2010-05-20 2011-11-24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having mems actuator, connecting method for shutter coil of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KR101280986B1 (ko) * 2012-05-10 2013-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713879B1 (ko) * 2012-08-10 2017-03-09 난창 오-필름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연성 인쇄 회로 연장부를 구비한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5475A (ja) * 1997-04-03 1998-10-23 Hewlett Packard Co <Hp> 固体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ジタル撮像機器
KR20060040003A (ko) * 2004-11-04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JP2008048387A (ja) * 2006-07-20 2008-02-28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5475A (ja) * 1997-04-03 1998-10-23 Hewlett Packard Co <Hp> 固体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ジタル撮像機器
KR20060040003A (ko) * 2004-11-04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JP2008048387A (ja) * 2006-07-20 2008-02-28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983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0047B2 (en) Image module
US7893992B2 (en) Device comprising a camera module with automatic focusing and corresponding assembly method
CN102073194B (zh) 具有自动聚焦功能的相机模块
CN114788421B (zh) 用于图像传感器的基板
KR101465081B1 (ko) 멤즈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모듈
US20090244356A1 (en) Camera module
JP2009044342A (ja) 車載カメラ装置
KR20130057257A (ko) 카메라 모듈
JPWO2006088051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00020704A (ko) 카메라 모듈
JP2002118776A (ja) 撮像装置
KR100856572B1 (ko) 카메라 모듈
KR101078858B1 (ko)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JP2005210628A (ja) 撮像装置用半導体搭載用基板と撮像装置
KR101515826B1 (ko) 멤즈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KR101468522B1 (ko) 멤즈 액츄에이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
KR101316266B1 (ko) 보이스코일 모터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JP200817272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台座マウント、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CN210745301U (zh) 一种镜头组件、红外模组及成像设备
KR100939119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CN211744558U (zh) 一种摄像头模组
KR101280986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510625B1 (ko) 고체 촬상 소자의 제조 방법
WO2006085717A1 (en) Auto-focusing camera module
KR101659563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5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6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