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39119B1 -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119B1
KR100939119B1 KR1020090027457A KR20090027457A KR100939119B1 KR 100939119 B1 KR100939119 B1 KR 100939119B1 KR 1020090027457 A KR1020090027457 A KR 1020090027457A KR 20090027457 A KR20090027457 A KR 20090027457A KR 100939119 B1 KR100939119 B1 KR 10093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ase
coil
printed circuit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씨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씨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씨넥스
Priority to KR102009002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1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개시한다. 렌즈부를 구비한다. 코일부는 렌즈부의 둘레를 감싸고 렌즈부에 고정된다. 자석부는 코일부에 자기장이 작용하게 배치되고, 코일부의 배선 단자들 중 하나와 접속되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렌즈부의 미세 초점 조절을 위해 홀더는 베이스와 나사 결합되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된다. 스프링 부재는 렌즈부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고, 코일부의 배선 단자들 중 다른 하나와 접속되며, 홀더 쪽으로 복수의 다리들이 돌출된다. 제1 연결 단자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 중 하나와 접속되며, 베이스가 홀더와 조립된 상태에서 자석부와 접촉되게 형성된다. 제2 연결 단자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 중 다른 하나와 접속되며, 베이스가 홀더와 조립된 상태에서 배선 단자들이 인출된 부위의 위치 변동에 관계없이 스프링 부재의 다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코일부를 인쇄회로기판에 보다 편리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이미지 센서를 채용하여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서 화상을 구현한다.
피사체에 초점이 자동으로 맞춰지는 기능, 이른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에 대한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자동초점 조절장치를 구비한다.
종래의 자동초점 조절장치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기어와 같은 변환기구를 이용해서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하지만, 전술한 구성의 자동초점 조절장치는 기어를 이용함에 따라 초점을 미세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고, 모터와 기어가 차지하는 공간 등으로 인하여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VCM(Voice Coil Motor) 방식의 자동초점 조절장치가 제안되었다. VCM 방식의 자동초점 조절장치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을 전류를 공급받는 코일과 대향되게 배치하여, 자기장과 전류에 수직으로 발생하는 로렌츠 힘에 의해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VCM 방식의 자동초점 조절장치에 있어서, 코일에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코일을 인쇄회로기판에 접속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코일의 배선 단자들을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에 직접적으로 납땜하기도 한다.
그런데, 전술한 경우, 코일의 배선 단자들은 인출된 부위가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과 접속되기 위해서는 충분히 길어야 한다. 예를 들어, 코일이 렌즈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렌즈부를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회전시켜 미세 초점 조절하는 경우, 렌즈부의 회전 위치에 따라 코일에서 배선 단자들이 인출되는 부위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러면, 코일의 배선 단자와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 간의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코일의 배선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와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배선 단자를 충분히 길게 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코일의 배선 단자들이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과 접속된 후, 배선 단자들의 길이가 불필요하게 남는 경우 코일의 배선을 깔끔하게 처리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부를 인쇄회로기판에 보다 편리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렌즈부에 고정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자기장이 작용하게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의 배선 단자들 중 하나와 접속되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부; 상기 렌즈부의 미세 초점 조절을 위해 상기 베이스와 나사 결합되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는 홀더; 상기 렌즈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코일부의 배선 단자들 중 다른 하나와 접속되며, 상기 홀더 쪽으로 복수의 다리들이 돌출된 스프링 부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 중 하나와 접속되며, 상기 베이스가 상기 홀더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자석부와 접촉되게 형성된 제1 연결 단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 중 다른 하나와 접속되며, 상기 베이스가 상기 홀더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배선 단자들이 인출된 부위의 위치 변동에 관계없이 상기 스프링 부재의 다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게 형성된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렌즈부에 고정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자기장이 작용하 게 배치되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부; 상기 렌즈부의 미세 초점 조절을 위해 상기 베이스와 나사 결합되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는 홀더; 및 상기 코일부의 코일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 홈 내에 감겨 있다가 풀릴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가 상기 홀더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 양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위치 변동에 관계없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에 각각 접속될 수 있는 배선 단자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가 홀더에 나사 결합되어 미세 초점 조절된 상태에서 코일부의 배선 단자들의 인출 부위가 어디에 위치하던지 코일부를 인쇄회로기판에 편리하게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부의 배선 단자들이 자석부와 스프링 부재에 각각 접속되고 베이스와 홀더가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자석부와 스프링 부재가 제1,2 연결 단자에 통전되는 경우, 나사 결합과 동시에 코일부를 인쇄회로기판에 편리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아울러, 코일부의 배선 단자들이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최대한 짧은 길이로 자석부와 스프링 부재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으므로, 코일부의 배선 처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부의 배선 단자들이 베이스의 측면에 감겨 있다가 풀릴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 배선 단자들을 접속에 필요한 만큼만 풀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선 단자들의 인출 부위가 어디에 위치하던지 코일부를 인쇄회로기판에 편리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선 단자들을 접속에 필요한 만큼 만 풀고 나머지는 베이스에 감아둘 수 있으므로, 배선 처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코일부의 배선 단자들을 외측 요크와 스프링 부재에 납땜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납땜 과정에서 주변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부(110)와, 코일부(120)와, 자석부(130)와, 홀더(141)와, 스프링 부재(151), 및 제1,2 연결 단자(161,1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렌즈부(110)는 피사체의 광학적 상을 맺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미도시)와, 렌즈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배럴(111)을 구비할 수 있다. 배럴(111)은 렌즈로 빛을 받아들일 수 있게 상면에 노출 공이 형성되며, 렌즈를 통과한 빛이 이미지 센서(148) 쪽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면이 개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코일부(120)는 렌즈부(110)의 둘레를 감싸고 렌즈부(110)에 고정된다. 코일부(120)는 자석부(130)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 내에서 전류를 공급받게 되면 로렌츠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함으로써 렌즈부(110)가 광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렌즈의 위치가 이미지 센서(148)에 대해 가변되어 초점이 자동 으로 맞춰지도록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코일부(120)는 코일(121)과 코일 링(122)을 구비할 수 있다. 코일(121)은 배럴(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링 형상으로 권취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121)은 양단에 인쇄회로기판(146)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배선 단자들(121a,121b)이 구비될 수 있다. 코일 링(122)은 코일(121)과 배럴(111)에 고정되어, 코일(121)이 배럴(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자석부(130)는 코일부(120)에 자기장이 작용하게 배치된다. 자석부(130)는 코일부(120)의 배선 단자들(121a,121b) 중 하나(121a)와 접속된다. 이는 자석부(130)를 통해 코일부(120)와 제1 연결 단자(16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자석부(130)와 코일부(120)의 배선 단자(121a)는 납땜되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자석부(130)는 베이스(136)에 의해 지지된다. 베이스(136)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홀더(141)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자석부(130)와 베이스(136)는 결합용 링(137)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홀더(141)는 베이스(136)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베이스(136)가 자석부(130)와 렌즈부(110)와 코일부(120)와 함께 렌즈 조립체를 구성하는 경우, 베이스(136)를 홀더(141)에 대해 회전시켜가며 렌즈부(110)의 초점을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처럼 베이스(136)가 렌즈부(110)와 함께 렌즈 조립체를 구성하고, 렌즈 부(110)의 미세 초점 조절 과정에서 베이스(136)에 힘이 가해질 뿐 렌즈부(110)에는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겠지만, 렌즈부(110)가 렌즈 조립체에서 후술할 스프링 부재들(151,152)에 의해 탄성 지지된 경우, 렌즈부(110)의 미세 초점 조절 후 초점 조절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미세 초점 조절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미세 초점 조절 과정에서 스프링 부재들(151,152)에도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스프링 부재들(151,152)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홀더(141)는 인쇄회로기판(146) 상에 고정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46) 상에는 이미지 센서(148)가 탑재되므로, 홀더(141)는 이미지 센서(148)의 상면이 노출되게 중앙이 개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홀더(141)는 가장자리가 인쇄회로기판(146)의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46)은 코일부(120)에 전류가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인쇄회로기판(146)은 초점 조절을 위한 제어 전류를 공급받아서 코일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48)는 렌즈부(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148)는 렌즈에 의해 맺힌 광학적 상을 받아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게 한다. 이미지 센서(148)로는 CCD 이미지 센서 혹은 CMOS 이미지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151)는 렌즈부(110)와 베이스(136) 사이에 개재되어, 렌즈부(110)를 베이스(136)에 대해 탄성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스프링 부재(151)는 렌즈부(110)에 힘이 가해져 렌즈부(110)가 광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 탄성 변형했다가, 렌즈부(11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렌즈부(110)가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한다. 스프링 부재(151)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렌즈부(110)의 상측에 다른 하나의 스프링 부재(152)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측 스프링 부재(152)는 자석부(130)의 상단에 고정되는 헤드(156)와 렌즈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렌즈부(110)를 헤드(156)에 대해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렌즈부(110)의 하측에 위치한 스프링 부재(151)는 코일부(120)의 배선 단자들(121a,121b) 중 다른 하나(121b)와 접속된다. 이는 스프링 부재(151)를 통해 코일부(120)와 제2 연결 단자(16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스프링 부재(151)와 코일부(120)의 배선 단자(121b)는 납땜되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151)는 홀더(141) 쪽으로 복수의 다리(151a)들이 돌출된다. 다리(151a)들은 제2 연결 단자(162)와의 접속을 위한 것이다. 다리(151a)들은 베이스(136)의 외측에 함몰 형성된 홈을 거쳐 홀더(141) 쪽으로 굽어져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다리(151a)는 두 갈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리(151a)는 렌즈부(110)의 미세 초점 조절을 위해 베이스(136)가 홀더(141)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연결 단자(162)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161)는 인쇄회로기판(146)의 접속 단자(147)들 중 하나와 접속되며, 베이스(136)가 홀더(141)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자석부(130)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46)의 접속 단자(147)들 중 하나가 제1 연결단자(161)와 자석부(130)를 거쳐 코일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162)는 인쇄회로기판(146)의 접속 단자(147)들 중 다른 하나와 접속되며, 베이스(136)가 홀더(141)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 부재(151)의 다리(151a)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46)의 접속 단자(147)들 중 다른 하나가 제2 연결단자(162)와 스프링 부재(151)를 거쳐 코일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베이스(136)가 홀더(141)에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자석부(130)와 스프링 부재(151)가 제1,2 연결 단자(161,162)에 통전되므로, 코일부(120)를 인쇄회로기판(146)에 편리하게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136)가 홀더(141)에 나사 결합되어 미세 초점 조절된 상태에서 배선 단자들(121a,121b)의 인출 부위가 어디에 위치하던지 코일부(120)를 인쇄회로기판(146)에 편리하게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일부(120)의 배선 단자들(121a,121b)은 어디에 위치하더라도 최대한 짧은 길이로 자석부(130)와 스프링 부재(151)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으므로, 코일부(120)의 배선 처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141)는 홀더 본체(142)와 홀더 지지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더 본체(142)는 베이스(136)와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나사부를 갖 는다. 홀더 지지부(143)는 자석부(130) 또는 자석부(130)를 포함한 렌즈 조립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렌즈 조립체를 구성하는 렌즈부나 코일부 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홀더 지지부(143)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홀더 본체(142)로부터 자석부(130)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각각 돌출된다. 홀더 지지부(143)들은 등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홀더 지지부(143)는 4개로 구비되고 홀더 본체(142)에 90도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홀더 지지부(143)는 내측면이 자석부(130)의 외측면과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 지지부(143)는 자석부(130)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홀더(141)가 홀더 지지부(143)들을 4개로 구비되고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경우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151)의 다리(151a)들을 제2 연결 단자(162)에 납땜 등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다리(151a)들은 2개로 구비되고, 12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2 연결 단자(162)는 스프링 부재(151)의 다리(151a)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게 240도 범위에서 원형으로 굽어져 홀더(141)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 단자(162)는 스프링 부재(151)와의 접촉 부위가 240도 범위에서 원형으로 굽어진 띠 형태로 이루어지고, 홀더(141)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부재(151)의 다리(151a)들 중 하나가 홀더 지지부(143)에 가려져 제2 연결 단자(162)에 납땜되기 곤란하더라도, 나머지 하나가 홀더 지지부(143)들 사이에 위치해서 제2 연결 단자(162)에 편리하게 납땜될 수 있다.
상기 제1,2 연결 단자(161,16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46)의 접속 단자(147)들에 접속되는 부위가 홀더 지지부(143)들 사이에서 홀더 본체(142)에 각각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2 연결 단자(161,162)와 인쇄회로기판(146)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제1,2 연결 단자(161,162)가 홀더 본체(14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홀더 본체(142)에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제1,2 연결 단자(161,162)에 고정 돌기가 끼워지는 고정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130)는 영구자석(131)과, 외측 요크(132), 및 내측 요크(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구자석(131)은 렌즈부(110)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영구자석(131)은 상단과 하단이 서로 다른 극을 갖도록 배치된다.
외측 요크(132)와 내측 요크(133)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코일(121)이 자기장 안에 놓일 수 있게 한다. 즉, 외측 요크(132)와 내측 요크(133)는 자력선의 흐름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코일(121)이 통과하도록 자력선의 흐름을 유도한다.
외측 요크(132)는 영구자석(131)의 상단에 고정되어 영구자석(131)의 상단과 동일한 극을 갖게 된다. 외측 요크(132)는 영구자석(131)의 상단에 가능한 넓은 면적에 걸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측 요크(132)는 영구자석(131)과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영구자석(131)의 자력을 보다 많이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외측 요크(132)는 영구자석(131)의 외측을 감싸면서 코일부(120)의 외측과 대향되게 굽어져 형성되며, 하단이 베이스(136)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외측 요크(132)는 카메라 모듈(100)의 외각을 감싸서 이물질 침투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외각을 감싸기 위해 통상 구비되는 하우징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의 전체 크기를 줄여 소형화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내측 요크(133)는 영구자석(131)의 하단에 고정되어 영구자석(131)의 하단과 동일한 극을 갖게 된다. 내측 요크(133)는 영구자석(131)의 하단에 가능한 넓은 면적에 걸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측 요크(133)는 영구자석(131)과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영구자석(131)의 자력을 보다 많이 전달받을 수 있다.
다만, 내측 요크(133)에서 영구자석(131)에 고정되는 부위가 외측 요크(132)와 너무 가깝게 되면 자력선의 손실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는 범주에서 외측 요크(132)와의 간격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측 요크(133)는 코일부(120)의 내측과 대향되게 굽어져 형성되어, 코일부(120)를 사이에 두고 외측 요크(132)와 대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코일부의 배선 단자가 베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은 전술한 실시예의 제1,2 연결 단자(161,162)가 생략된 구조를 갖는다. 그 대신, 코일부(120)가 인쇄회로기판(146)에 접속될 수 있도록, 코일부(120)의 배선 단자들(221a,221b)이 코일(12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베이스(236)의 수용 홈(236a) 내에 감겨 있다가 풀릴 수 있는 길이로 각각 형성된다.
수용 홈(236a)은 베이스(236)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236a)은 배선 단자들(221a,221b)을 함께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배선 단자들(221a,221b)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2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 홈(236a)들은 배선 단자들(221a,221b)이 끼워져 감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선 단자들(221a,221b)은 코일부(120)로부터 베이스(236)를 관통해서 인출되어 수용 홈(236a)에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배선 단자들(221a,221b)은 베이스(236)의 수용 홈(236a) 내에 감겨 있다가 풀릴 수 있는 길이로 각각 형성되므로, 배선 단자들(221a,221b)의 인출 부위가 어디에 위치하던지 코일부(120)를 인쇄회로기판(146)에 편리하게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베이스(136)가 홀더(141)에 나사 결합되어 미세 초점 조절된 상태에서 배선 단자들(221a,221b)의 인출 부위가 어디에 위치하던지, 배선 단자들(221a,221b)을 인쇄회로기판(146)의 접속 단자(147)들에 접속될 수 있을 만큼 풀어서 접속 단자들에 접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배선 단자들(221a,221b)을 인쇄회로기판(146)과의 접속에 필요한 만큼만 풀고 나머지는 베이스(236)의 수용 홈(236a)에 감아두게 되므로, 배선 처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배선 처리 후 배선 단자들(221a,221b)이 수용 홈(236a)에 감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선 단자들(221a,221b)을 베이스(236)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켜 둘 수 있다.
또한, 코일부(120)의 배선 단자들(221a,221b)이 코일(12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146)의 접속 단자(147)들과 직접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므로, 코일부(120)의 배선 단자들(221a,221b)을 외측 요크(132)와 스프링 부재(151)에 납땜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납땜 과정에서 플럭스 등의 발생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제1,2 연결 단자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코일부의 배선 단자가 베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렌즈부 120..코일부
121..코일 122..코일 링
121a,121b,221a,221b..배선 단자 130..자석부
131..영구자석 132..외측 요크
133..내측 요크 136,236..베이스
141..홀더 142..홀더 본체
143..홀더 지지부 146..인쇄회로기판
147..접속 단자 148..이미지 센서
151..스프링 부재 151a..다리
161..제1 연결 단자 162..제2 연결 단자
236a..수용 홈

Claims (8)

  1.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렌즈부에 고정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자기장이 작용하게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의 배선 단자들 중 하나와 접속되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부;
    상기 렌즈부의 미세 초점 조절을 위해 상기 베이스가 나사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는 홀더;
    상기 렌즈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코일부의 배선 단자들 중 다른 하나와 접속되며, 상기 홀더 쪽으로 복수의 다리들이 돌출된 스프링 부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 중 하나와 접속되며, 상기 베이스가 상기 홀더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자석부와 접촉되게 형성된 제1 연결 단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 중 다른 하나와 접속되는 한편, 상기 스프링 부재의 다리들에 대응되게 원형으로 굽어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가 상기 홀더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배선 단자들의 인출된 부위의 위치 변동에 관계없이 상기 스프링 부재의 다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는 제2 연결 단자;
    를 포함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베이스와 나사 결합되는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로부터 상기 자석부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각각 돌출되고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홀더 지지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의 다리들은 2개로 구비되고 12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며;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다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게 240도 범위에서 원형으로 굽어져 상기 홀더 본체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연결 단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에 접속되는 부위가 상기 홀더 지지부들 사이에서 상기 홀더 본체에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상기 렌즈부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의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영구자석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코일부의 외측과 대향되게 굽어져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외측 요크, 및
    상기 영구자석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부의 내측과 대향되게 굽어져 형성되는 내측 요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6.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둘레를 감싸고 상기 렌즈부에 고정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에 자기장이 작용하게 배치되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자석부;
    상기 렌즈부의 미세 초점 조절을 위해 상기 베이스가 나사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는 홀더; 및
    상기 코일부의 코일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 홈 내에 감겨 있다가, 상기 베이스가 상기 홀더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 양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위치 변동에 관계없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속 단자들에 각각 접속되는 길이로 풀릴 수 있도록 형성된 배선 단자들;
    을 포함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베이스와 나사 결합되는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로부터 상기 자석부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각각 돌출된 복수의 홀더 지지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상기 렌즈부 둘레를 감싸는 링 형상의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영구자석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코일부의 외측과 대향되게 굽어져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외측 요크, 및
    상기 영구자석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코일부의 내측과 대향되게 굽어져 형성되는 내측 요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20090027457A 2009-03-31 2009-03-31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Active KR100939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457A KR100939119B1 (ko) 2009-03-31 2009-03-31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457A KR100939119B1 (ko) 2009-03-31 2009-03-31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119B1 true KR100939119B1 (ko) 2010-01-28

Family

ID=4181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457A Active KR100939119B1 (ko) 2009-03-31 2009-03-31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1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269B1 (ko) 2010-10-21 2012-08-16 주식회사 엠씨넥스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1360260B1 (ko) * 2012-11-12 2014-02-12 (주)옵티스 렌즈 구동장치
WO2015102382A1 (ko) * 2014-01-02 2015-07-09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1999841A (zh) * 2020-08-17 2020-11-27 绍兴天润光学技术有限公司 一种光学多透镜距离可调节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533B1 (ko) 2004-11-02 2005-09-14 주식회사 씨티전자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KR100620790B1 (ko) 2005-10-19 2006-09-06 주식회사 디오스텍 카메라 자동 초점 조절장치
KR100770680B1 (ko) 2005-12-20 2007-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용 카메라모듈 패키지 및 이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KR100782793B1 (ko) 2006-08-24 2007-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Vcm 방식 렌즈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533B1 (ko) 2004-11-02 2005-09-14 주식회사 씨티전자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KR100620790B1 (ko) 2005-10-19 2006-09-06 주식회사 디오스텍 카메라 자동 초점 조절장치
KR100770680B1 (ko) 2005-12-20 2007-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용 카메라모듈 패키지 및 이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KR100782793B1 (ko) 2006-08-24 2007-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Vcm 방식 렌즈 이송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269B1 (ko) 2010-10-21 2012-08-16 주식회사 엠씨넥스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1360260B1 (ko) * 2012-11-12 2014-02-12 (주)옵티스 렌즈 구동장치
WO2015102382A1 (ko) * 2014-01-02 2015-07-09 엘지이노텍(주)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114229B2 (en) 2014-01-02 2018-10-3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CN110488449A (zh) * 2014-01-02 2019-11-22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摄像头模块
US11204510B2 (en) 2014-01-02 2021-12-21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CN110488449B (zh) * 2014-01-02 2021-12-24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摄像头模块
US12235470B2 (en) 2014-01-02 2025-02-25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CN111999841A (zh) * 2020-08-17 2020-11-27 绍兴天润光学技术有限公司 一种光学多透镜距离可调节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4630B2 (ja) 自動焦点機能を有するカメラモジュール
US8982221B2 (en) Photography device with a shake-correction structure
US7590341B2 (en) Camera module
US20160223830A1 (e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unit of a camera module
CN107664895B (zh) 镜头驱动装置
CN111522183A (zh) 镜头驱动装置
US12181728B2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JP5048422B2 (ja) カメラ用自動焦点調節構造
US12206966B2 (en) Sensor driving device having substrate with electromagnetic driving unit and protrusion part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JP5284525B2 (ja) 自動焦点機能を有する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30047350A (ko) 카메라 모듈
JP2008191423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撮像装置
EP1901103B1 (en) Camera module
JP2009216878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CN113759634A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组及光学设备
KR100939119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JP2010128226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2016206639A (ja) 配線溝構造を備えるレンズユニット駆動装置
KR20100010318A (ko)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US20240364988A1 (en) Sens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KR101316266B1 (ko) 보이스코일 모터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N108072962B (zh) 透镜驱动装置
JP6549020B2 (ja) レンズ駆動装置
WO2007043508A1 (ja) 撮像装置
JP2007104288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