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647B1 -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 Google Patents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4647B1 KR101464647B1 KR1020140046858A KR20140046858A KR101464647B1 KR 101464647 B1 KR101464647 B1 KR 101464647B1 KR 1020140046858 A KR1020140046858 A KR 1020140046858A KR 20140046858 A KR20140046858 A KR 20140046858A KR 101464647 B1 KR101464647 B1 KR 1014646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ggregate
- fine
- accommodating
- opening
- raw mater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인 폐콘크리트를 원료로 하여 굵은골재, 잔골재 및 미분말을 선별 생산하는 장치로서, 폐콘리트를 1차적으로 충돌 마모처리한 골재원료가 투입되는 원료투입부; 투입된 골재원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면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개폐부; 상기 수용부의 하면 타측에 형성된 필터스크린; 상기 수용부의 하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상기 개폐부의 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가 개방됨에 따라 낙하하는 굵은골재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필터스크린의 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스크린을 통해 낙하하는 잔골재를 수용하는 제2챔버;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된 격실; 상기 격실에서 외측으로 연통된 공기배출로; 상기 공기배출로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배기팬; 및 상기 격실 내부에 구비되며 연통구에 의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기팬의 구동에 의해 흡입되는 미분말을 수용하는 백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이다.
[도 3]은 폐콘리트를 1차적으로 충돌 마모처리하기 위한 골재분리기 설치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설치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의 개폐부, 필터스크린 및 블레이드 구성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골재분리기 회전날개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골재분리기 회전날개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보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골재분리기 회전날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골재분리기의 비산날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골재분리기에서 분리통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골재분리기의 회전날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다.
1050 : 원료투입부 1100 : 댐퍼
1150 : 수용부 1200 : 개폐부
1300 : 제1챔버 1350 : 필터스크린
1400 : 제2챔버 1500 : 격실
1530 : 연통구 1550 : 백필터
1600 : 배기팬 1650 : 공기배출로
1700 : 고정대 1750 : 회전축
1800 : 블레이드 1850 : 베이스프레임
1900 : 스크류컨베이어
Claims (5)
- 건설폐기물인 폐콘크리트를 원료로 하여 굵은골재, 잔골재 및 미분말을 선별 생산하는 장치로서,
폐콘리트를 1차적으로 충돌 마모처리한 골재원료가 투입되는 원료투입부;
투입된 골재원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하면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개폐부;
상기 수용부의 하면 타측에 형성된 필터스크린;
상기 수용부의 하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상기 개폐부의 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가 개방됨에 따라 낙하하는 굵은골재를 수용하는 제1챔버;
상기 필터스크린의 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스크린을 통해 낙하하는 잔골재를 수용하는 제2챔버;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형성된 격실;
상기 격실에서 외측으로 연통된 공기배출로;
상기 공기배출로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인가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배기팬;
상기 격실 내부에 구비되며 연통구에 의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기팬의 구동에 의해 흡입되는 미분말을 수용하는 백필터;
상기 원료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골재원료의 진행방향을 하방향으로 유도하도록 구비된 댐퍼;
상기 제1챔버와 제2챔버의 하단에 각각 연결된 스크류컨베이어; 및
상기 수용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개폐부, 블레이드 및 배기팬의 구동과 상기 골재원료의 투입을 함께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골재원료 투입 후 상기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와 배기팬이 선 구동되고 상기 개폐부가 후 개방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6858A KR101464647B1 (ko) | 2014-04-18 | 2014-04-18 |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6858A KR101464647B1 (ko) | 2014-04-18 | 2014-04-18 |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4647B1 true KR101464647B1 (ko) | 2014-11-24 |
Family
ID=5229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6858A Active KR101464647B1 (ko) | 2014-04-18 | 2014-04-18 |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4647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85386A (zh) * | 2015-04-22 | 2015-07-22 | 山西山原鼓风机有限责任公司 | 铁路路基洒落煤粉清除专用分离器 |
KR101578548B1 (ko) | 2015-04-27 | 2015-12-17 | 용원기계공업(주) | 건식 미분 분리 장치 |
CN105435975A (zh) * | 2016-01-26 | 2016-03-30 | 浙江德清美史乐颜料科技有限公司 | 一种颜料上料筛分设备 |
CN105498932A (zh) * | 2016-02-03 | 2016-04-20 | 江苏新业重工股份有限公司 | 一种矿渣卧辊磨系统 |
KR101676664B1 (ko) | 2015-07-27 | 2016-11-16 | 대형환경 주식회사 | 공기 흐름과 중력을 이용한 미분 분급장치 |
CN117065904A (zh) * | 2023-10-17 | 2023-11-17 | 山东三兴食品有限公司 | 一种高活性脱水洋葱粉末生产装置 |
CN117206158A (zh) * | 2023-10-23 | 2023-12-12 | 河北永上建材有限公司 | 一种再生混凝土的加工设备及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66459A (ja) * | 2000-08-25 | 2002-03-05 | Tajiri:Kk | 混合廃棄物選別用サイクロン |
KR20080011547A (ko) * | 2006-07-31 | 2008-02-05 | 블루그린링크(주) |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리장치 |
KR100872152B1 (ko) * | 2008-02-01 | 2008-12-08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골재 제조장치 |
KR101292596B1 (ko) * | 2012-12-28 | 2013-08-05 | 김도근 |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
-
2014
- 2014-04-18 KR KR1020140046858A patent/KR10146464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66459A (ja) * | 2000-08-25 | 2002-03-05 | Tajiri:Kk | 混合廃棄物選別用サイクロン |
KR20080011547A (ko) * | 2006-07-31 | 2008-02-05 | 블루그린링크(주) |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리장치 |
KR100872152B1 (ko) * | 2008-02-01 | 2008-12-08 | 성안이엔티주식회사 | 골재 제조장치 |
KR101292596B1 (ko) * | 2012-12-28 | 2013-08-05 | 김도근 |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85386A (zh) * | 2015-04-22 | 2015-07-22 | 山西山原鼓风机有限责任公司 | 铁路路基洒落煤粉清除专用分离器 |
KR101578548B1 (ko) | 2015-04-27 | 2015-12-17 | 용원기계공업(주) | 건식 미분 분리 장치 |
KR101676664B1 (ko) | 2015-07-27 | 2016-11-16 | 대형환경 주식회사 | 공기 흐름과 중력을 이용한 미분 분급장치 |
CN105435975A (zh) * | 2016-01-26 | 2016-03-30 | 浙江德清美史乐颜料科技有限公司 | 一种颜料上料筛分设备 |
CN105498932A (zh) * | 2016-02-03 | 2016-04-20 | 江苏新业重工股份有限公司 | 一种矿渣卧辊磨系统 |
CN117065904A (zh) * | 2023-10-17 | 2023-11-17 | 山东三兴食品有限公司 | 一种高活性脱水洋葱粉末生产装置 |
CN117206158A (zh) * | 2023-10-23 | 2023-12-12 | 河北永上建材有限公司 | 一种再生混凝土的加工设备及方法 |
CN117206158B (zh) * | 2023-10-23 | 2024-02-09 | 河北永上建材有限公司 | 一种再生混凝土的加工设备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64647B1 (ko) |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 |
KR102178279B1 (ko) | 골재 선별장치 | |
KR100872152B1 (ko) | 골재 제조장치 | |
KR102035450B1 (ko) | 마쇄장치를 이용한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 |
KR101061166B1 (ko) |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 |
KR101685025B1 (ko) |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 |
KR100544233B1 (ko) | 공기순환형 이물질, 미분 제거수단을 포함한 양질의순환골재 생산 방법 및 그 장치 | |
CN110899301B (zh) | 一种建筑垃圾分类回收方法 | |
KR101346354B1 (ko) |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 |
KR100557250B1 (ko)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기 | |
KR102006454B1 (ko) | 건식모래선별장치 | |
CN106269152A (zh) | 可回收粉尘的熔融石英砂生产线 | |
KR100937980B1 (ko) | 순환골재의 송풍 선별장치 | |
JP2006088087A (ja) | 製砂装置 | |
KR100904303B1 (ko) |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 |
KR20210132250A (ko) |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 |
KR102004464B1 (ko) | 상승송풍과 충격유도 회전체가 장착된 vsi를 이용한 순환골재의 이물질 및 페이스트 분리 장치 | |
KR100519502B1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골재 제조용 오토스크러빙밀 장치 | |
CN108246459B (zh) | 一种建筑废料破碎装置 | |
KR20050056762A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모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030051484A (ko) |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건식 모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 |
KR20200090409A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골재의 제조 장치 | |
KR100559483B1 (ko) |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 |
KR101055254B1 (ko) | 생활폐기물의 고형 연료화 장치 | |
KR100430837B1 (ko) |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