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5025B1 -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025B1
KR101685025B1 KR1020160123698A KR20160123698A KR101685025B1 KR 101685025 B1 KR101685025 B1 KR 101685025B1 KR 1020160123698 A KR1020160123698 A KR 1020160123698A KR 20160123698 A KR20160123698 A KR 20160123698A KR 101685025 B1 KR101685025 B1 KR 101685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waste
aggregate
separated
tromm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목
김성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Priority to KR1020160123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0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8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중간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폐토사 및 폐토석 등의 순환골재와 각종 이물질을 분리선별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생산라인의 콤팩트화 및 설비 면적을 최소화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함은 물론 유지보수의 편리성과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평면분류의 기류가 나오는 슬롯형 송풍구의 크기를 비롯하여 취출 풍량과 기류 방향 및 취출된 바람의 도달 거리를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종류와 함유량 등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건설폐기물 속에 혼재되어 있는 순환골재와 각종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선별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SORTING EQUIPMENT OF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중간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폐토사 및 폐토석 등의 순환골재와 각종 이물질을 분리선별하여 처리하기 위한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라인의 콤팩트화 및 설비 면적을 최소화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함은 물론 유지보수의 편리성과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평면분류의 기류가 나오는 슬롯형 송풍구의 크기를 비롯하여 취출 풍량과 기류 방향 및 취출된 바람의 도달 거리를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종류와 그 함유량 등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건설폐기물 속에 혼재되어 있는 순환골재와 각종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선별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도시 재개발과 고속도로·교량 공사, 아파트 등 건축물의 신축과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토사, 폐벽돌, 폐콘크리트, 폐아스콘, 폐목재, 폐합성수지, 철근 등의 건설폐기물은 재활용 가능성이 크지만 공사 현장에서 혼합 배출되기 때문에 재활용률이 낮을 뿐만 아니라 매립지의 수명 단축을 초래한다.
근래에는 건설폐기물에서 토사, 골재, 고철과 같은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과 소각용 쓰레기 및 매립용 쓰레기로 분리선별함으로써 소각 및 매립쓰레기의 양을 대폭 줄이고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크러셔를 통해 파쇄되어 나오는 골재를 입자크기별로 분리선별하고 물을 진동선별장치(진동스크린)에 살수하면서 모래 입자 크기로 파쇄된 골재와 물이 분리선별장치에 유입되도록 하고, 여기서 이물질을 제거 및 분리함으로써 재활용 품질기준에 적합한 순환골재를 얻는 이른바 습식 분급설비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는 수조의 하부에 미분이 엄청나게 쌓이기 때문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이전에 일정 크기 이하의 골재는 선별하여 수조 내에 미분이 들어가 슬러지화 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하며, 특히 물을 재처리해야 하는 시설이 필요하여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스크린을 통과한 골재에 송풍기를 활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고 있으나, 너무 강한 바람은 골재가 함께 날려가고 약한 바람은 이물질 분리효율이 없어 의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바람의 확산으로 인한 비산 먼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4147호, 제10-0674817호, 제10-0870621호, 제10-1061166호 등에 건설폐기물에서 재활용 자원과 쓰레기를 분리 선별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4147호에는 송풍기의 풍속을 이용한 벤츄리관 형상의 쓰레기선별기를 설치하여 먼지 등의 비산을 방지하고, 제1선별기에서 분리되지 못한 토사와 재활용 자재 및 매립쓰레기를 분리 선별하며, 거칠게 배출되는 토사를 선별 입도가 작은 토사선별기를 통과시켜 쓰레기의 선별 작업량을 유지하면서 양질의 토사를 선별할 수 있고, 금속제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금속재로 이루어진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4817호에는 선별시스템에서 토사가 분리 배출된 혼합폐기물인 토석과 잡쓰레기를 이송 낙하시키면서 송풍을 가하여 혼합쓰레기를 비중이 큰 폐콘크리트, 잡석 등과 비중이 작은 소각용 및 재활용 쓰레기로 분리 선별함으로써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0621호에는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폐토석 또는 혼합쓰레기를 1차 선별기에서 분리 선별하고, 이를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경량성 이물질인 비닐, 목재, 스티로폼, 섬유류, 가죽, 검불류 등의 혼재물은 1차 및 2차에 걸쳐 송풍에 의한 비중분리로 분리하고 진동체를 통과시켜 양질의 토사나 골재를 분리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을 통해 생산되는 순환골재는 규격별 입자가 골고루 분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토사 미분과 비닐 및 장판조각, 목재조각, 나무뿌리, 천조각, 플라스틱조각, 스티로폼, 담배꽁초 등 각종 잡쓰레기와 이물질(유기 이물질, 유기 불순물)이 부스러기 형태로 일부 혼재되어 있으므로 이를 재활용할 경우 강도가 떨어지고 흡수율이 높아 골재로서 품질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드럼 또는 스크린 등의 선별기로 선별하여도 골재와 유사한 크기의 이물질(미분·비닐·목재·가죽·플라스틱·섬유 등)은 드럼 또는 스크린의 망체를 그대로 통과하여 골재에 혼재되기 때문에 완전한 분리 및 선별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 10-1427849호에는 이송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을 넓게 펴지도록 하면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진동스크린과, 이 진동스크린의 상부에서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건설폐기물 속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고압에어분사기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진동스크린을 타고 이동하는 건설폐기물을 향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특성상 경량성 이물질과 일부 재활용이 가능한 골재 자원이 함께 날리어서 모여지기 때문에 선별의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여기서 상술한 기술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1422793 B1(2014.07.17) KR 10-1427849 B1(2014.08.01) KR 10-1479187 B1(2014.12.29) KR 10-2014-0105041 A(2014.09.01) KR 10-1438133 B1(2014.08.29) KR 10-2003-0078844 A(200.10.08) KR 10-0458183 B1(2004.11.12) KR 10-0470486 B1(2005.01.27)
건설폐기물 분야에 있어서 이물질 분리 선별 기술, 한국건설순화자원학회지 제10권 제3호(2015.9)pp.15-21, 이준호 외 2명.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처리장치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생산라인의 콤팩트화 및 설비 면적을 최소화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함은 물론 유지보수의 편리성과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건설폐기물 속에 혼재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과 순환골재를 더욱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분리선별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생산라인의 콤팩트화 및 설비 면적을 최소화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건설폐기물에 혼재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경사진 축의 둘레로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체질하여 크고 작은 입자로 분리하는 트로멜(trommel); 상기 트로멜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트로멜에 공급하기 위한 폐기물과 파쇄의 필요가 없는 일정 크기 이하의 토분을 분리선별하는 그리즐리(grizzly); 상기 그리즐리에서 분리선별된 토분을 야적장으로 운반하는 토분 컨베이어; 상기 토분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토분 중에 혼재된 금속을 자력으로 끌어당겨 분리하는 제1마그네틱 선별기; 상기 트로멜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폐기물을 1차로 조쇄 및 파쇄하는 조크러셔(jaw crusher); 상기 조크러셔의 입구에 설치되어 폐기물을 상기 조크러셔에 균일하게 연속공급하는 피더(feeder); 상기 트로멜에서 분리된 큰 입자의 폐기물을 상기 피더로 운반하는 폐기물 컨베이어; 상기 폐기물 컨베이어 상에서 양측이 제1블로어와 덕트를 통해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피더로 운반되는 폐기물 중에 혼재된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분리하는 제1라인 디퓨저; 상기 제1라인 디퓨저와 인접 설치되어 상기 피더로 운반되는 폐기물 중에 혼재된 금속을 자력으로 끌어당겨 분리하는 제2마그네틱 선별기; 상기 제1마그네틱 선별기를 거친 폐기물을 체로 걸러서 석분과 일정 크기 이하의 골재를 분리선별하는 진동스크린; 상기 조크러셔에서 조쇄 및 파쇄된 쇄설물을 상기 진동스크린으로 운반하는 쇄설물 컨베이어; 상기 쇄설물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스크린으로 운반되는 쇄설물 중에 혼재된 금속을 자력으로 끌어당겨 분리하는 제3마그네틱 선별기; 상기 진동스크린에서 분리선별된 석분을 야적장으로 운반하는 석분 컨베이어; 상기 진동스크린에서 분리선별된 골재를 야적장으로 운반하는 골재 컨베이어; 상기 조크러셔와 인접 설치되어 상기 조크러셔에서 미파쇄된 쇄설물을 2차로 파쇄하여 상기 쇄설물 컨베이어 위로 떨어뜨리는 콘크러셔(cone crusher); 상기 진동스크린에서 미분리된 쇄설물을 상기 콘크러셔로 운반하는 미파쇄물 컨베이어; 및 상기 골재 컨베이어 상에서 양측이 제2블로어와 덕트를 통해서 연결 설치되어 골재 중에 혼재된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분리하는 제2라인 디퓨저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생산라인의 콤팩트화 및 설비 면적을 최소화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하고, 운전시간을 줄여서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편리성과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제1라인 디퓨저와 인접 설치되어 상기 피더로 운반되는 폐기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송풍에 의해 모이는 제1이물질 수거함; 및 상기 제2라인 디퓨저와 인접 설치되어 야적장으로 운반되는 골재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송풍에 의해 모이는 제2이물질 수거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이물질의 수거 효율 및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트로멜과 상기 그리즐리는, 상기 토분 컨베이어와 상기 폐기물 컨베이어의 이송라인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생산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제1 및 제2라인 디퓨저는 각각, 전면에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의 상하부에 나사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양측에 공기가 통하는 덕트연결관이 형성된 댐퍼박스와, 상기 댐퍼박스의 전면 중 상기 송풍구의 상하부에 상기 나사구멍들과 나사결합으로 각각 장착하되, 상기 송풍구를 통하여 취출되는 풍량 가변을 위해 상기 댐퍼박스에 대하여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나사구멍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상하슬롯홀이 형성된 한 쌍의 취출플랩 및 상기 덕트연결관이 끼워지는 링형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의 송풍 방향 가변을 위해 상기 댐퍼박스의 설치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홀더를 통하여 상기 덕트연결관과 나사 이음으로 접속하는 조임구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의 하부에 설치 면과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에 설치 면에 대하여 전후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후슬롯홀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가이드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순환골재와 각종 이물질을 더욱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분리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댐퍼박스의 전면과 상기 취출플랩 사이에는 그 접촉면을 통해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스킷이 개재됨으로써 압송 공기가 엉뚱한 방향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막아 더욱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순환골재와 이물질을 분리선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생산라인의 콤팩트화 및 설비 면적을 최소화하여 저비용화 및 설치의 용이성을 도모하고, 운전시간을 줄여서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편리성과 파쇄 및 선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게다가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종류와 그 함유량 등 특성에 따라 평면분류의 기류가 나오는 슬롯형 송풍구의 크기를 비롯하여 취출 풍량과 기류 방향 및 취출된 바람의 도달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최적으로 세팅(setting)할 수 있으므로 건설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순환골재와 각종 이물질을 더욱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분리선별하여 양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를 나타낸 국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를 나타낸 국부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를 나타낸 국부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용 라인 디퓨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용 라인 디퓨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용 라인 디퓨저를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용 라인 디퓨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확대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는 크게 트로멜(1), 그리즐리(2), 토분 컨베이어(3), 제1마그네틱 선별기(4), 조크러셔(5), 피더(6), 폐기물 컨베이어(7), 제1블로어(8), 제1라인 디퓨저(9), 제2마그네틱 선별기(10), 진동스크린(11), 쇄설물 컨베이어(12), 제3마그네틱 선별기(13), 석분 컨베이어(14), 골재 컨베이어(15), 콘크러셔(16), 미쇄설물 컨베이어(17), 제2블로어(18), 제2라인 디퓨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로멜(1)은 경사진 축의 둘레로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체질하여 크고 작은 입자로 분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트로멜(1)은 1차적으로 구멍의 직경이 60~80mm 범위인 망체(타공망)를 통과시키고, 2차적으로 구멍의 직경이 25mm 이하인 망체를 통과시키는 이중복합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선별 효율을 높이고 한층 정밀하게 분리선별할 수 있다.
그리즐리(2)는 트로멜(1)에 공급하기 위한 폐기물과 파쇄의 필요가 없는 일정 크기 이하의 토분을 분리선별하도록 트로멜(1)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그리즐리(2)로는 강봉이나 레일 따위의 막대체를 30~50도의 경사를 주어 30~150mm의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고정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체질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저속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트래블링 방식, 기계적으로 진동을 주는 바이브레이팅 방식, 특수한 모양의 자전 롤러가 배열된 롤 방식 등을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트로멜(1)과 그리즐리(2)는 파쇄 및 선별의 효율성과 생산성의 증대를 위해 토분 컨베이어(3)와 폐기물 컨베이어(7)의 이송라인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분 컨베이어(3)는 그리즐리(2)에서 분리선별된 토분을 야적장으로 운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토분 컨베이어(3)는 그리즐리(2)에서 배출되는 토분을 그리즐리(2) 밑에 적재하지 않고 곧바로 야적장 등을 향해 연속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그리즐리(2)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토분 컨베이어(3)는 전동기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운동하는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전동기로부터 골재 또는 미분의 운반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벨트를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제1마그네틱 선별기(4)는 토분 중에 혼재된 금속을 자력으로 끌어당겨 분리하도록 토분 컨베이어(3)의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1마그네틱 선별기(4)는 토분이 운반되는 토분 컨베이어(3)의 상측에 설치되어 강한 자기력으로 철근 등의 각종 금속류를 끌어당겨서 분리한다.
조크러셔(5)는 폐기물을 1차로 조쇄 및 파쇄하기 위해 트로멜(1)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조크러셔(5)는 폐기물 컨베이어(7)와 피더(6)를 통해 공급되는 폐기물을 1차로 조쇄 및 파쇄한다.
피더(6)는 폐기물을 조크러셔(5)에 균일하게 연속공급하기 위해 조크러셔(5)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폐기물 컨베이어(7)는 트로멜(1)에서 분리된 큰 입자의 폐기물을 피더(6)로 운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폐기물 컨베이어(7)는 분리선별처리를 위한 입도를 갖는 폐기물을 트로멜(1) 밑에 적재하지 않고 곧바로 연속적으로 운반하여 피더(6)로 투입하기 위해 트로멜(1)과 피더(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폐기물 컨베이어(7)는 전동기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운동하는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전동기로부터 골재 또는 미분의 운반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벨트를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제1블로어(8)는 폐기물 컨베이어(7)에 의해 운반되는 폐기물 중에 혼재된 각종 이물질을 강한 풍속으로 불어서 날리어 떨어뜨리기 위해 덕트를 통해 제1라인 디퓨저(9)와 통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블로어(8)로는 폐기물에서 이물질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날개차(impeller) 또는 로터(rotor)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외기를 일정한 유속과 유량 및 압력으로 제1라인 디퓨저(9)의 양측으로 압송하는 산업용 고압 송풍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개차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케이싱 내 압력이 상승하면서 와류운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외기를 강한 흡입력과 토출압으로 제1라인 디퓨저(9)로 흘려보내는 링블로워(ring blower) 또는 고압을 얻을 수 있으면서 효율이 높은 방폭형 송풍기 등을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제1라인 디퓨저(9)는 폐기물 컨베이어(7)에 의해 피더(6)로 운반되는 폐기물 중에 혼재된 각종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분리하기 위해 폐기물 컨베이어(7) 상에 배치되어 있고, 양측이 제1블로어(8)와 덕트를 통해서 연결 설치되어 있다.
제2마그네틱 선별기(10)는 폐기물 컨베이어(7)에 의해 피더(6)로 운반되는 폐기물 중에 혼재된 각종 금속을 자력으로 끌어당겨 분리하도록 폐기물 컨베이어(7)의 이송라인 상에 제1라인 디퓨저(9)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제2마그네틱 선별기(10)는 폐기물이 운반되는 폐기물 컨베이어(7)의 상측에 설치되어 강한 자기력으로 철근 등의 각종 금속류를 끌어당겨서 분리한다.
진동스크린(11)은 제1마그네틱 선별기(4)를 거친 폐기물을 체로 걸러서 석분과 일정 크기 이하의 골재를 분리선별하기 위해 트로멜(1)과 인접 설치되어 있다.
즉, 진동스크린(11)은 조크러셔(5)에서 조쇄 및 파쇄된 쇄설물을 진동식 체로 걸러서 석분과 일정 크기 이하의 골재 및 그 이상의 골재로 분리선별한다.
쇄설물 컨베이어(12)는 조크러셔(5)에서 조쇄 및 파쇄되어 배출되는 쇄설물을 진동스크린(11)으로 운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쇄설물 컨베이어(12)는 조크러셔(5)에서 배출되는 일정 크기의 쇄설물을 조크러셔(5) 밑에 적재하지 않고 곧바로 진동스크린(11)을 향해 연속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조크러셔(5)의 배출구와 진동스크린(11)의 투입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쇄설물 컨베이어(12)는 콘크러셔(16)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쇄설물을 전달받아 진동스크린(11)으로 운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쇄설물 컨베이어(12)는 조크러셔(5)와 콘크러셔(16)에서 배출되는 쇄설물을 각각 전달받아 동시에 진동스크린(11)으로 운반한다.
여기서 쇄설물 컨베이어(12)는 전동기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운동하는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전동기로부터 골재 또는 미분의 운반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벨트를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제3마그네틱 선별기(13)는 진동스크린(11)으로 운반되는 쇄설물 중에 혼재된 각종 금속을 자력으로 끌어당겨 분리하도록 쇄설물 컨베이어(12)의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3마그네틱 선별기(13)는 쇄설물이 운반되는 쇄설물 컨베이어(12)의 상측에 설치되어 강한 자기력으로 철근 등의 각종 금속류를 끌어당겨서 분리한다.
석분 컨베이어(14)는 진동스크린(11)에서 분리선별되어 배출되는 석분을 야적장으로 운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석분 컨베이어(14)는 진동스크린(11)에서 배출되는 입자의 크기가 미세한 석분을 진동스크린(11) 밑에 적재하지 않고 곧바로 야적장 등을 향해 연속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진동스크린(11)의 하부배출구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석분 컨베이어(14)는 전동기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운동하는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전동기로부터 골재 또는 미분의 운반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벨트를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골재 컨베이어(15)는 진동스크린(11)에서 분리선별되어 배출되는 일정 크기 이하의 골재를 야적장으로 운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골재 컨베이어(15)는 진동스크린(11)에서 배출되는 입자의 크기가 9mm 이하의 골재를 진동스크린(11) 밑에 적재하지 않고 곧바로 야적장 등을 향해 연속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진동스크린(11)의 하부배출구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골재 컨베이어(15)는 전동기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운동하는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전동기로부터 골재 또는 미분의 운반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벨트를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콘크러셔(16)는 조크러셔(5)에서 미파쇄된 쇄설물을 2차로 파쇄하여 쇄설물 컨베이어(12) 위로 떨어뜨리기 위해 조크러셔(5)와 인접 설치되어 있다.
미쇄설물 컨베이어(17)는 진동스크린(11)에서 미분리된 쇄설물을 콘크러셔(16)로 운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미쇄설물 컨베이어(17)는 진동스크린(11)의 상부배출구와 콘크러셔(16)의 투입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미쇄설물 컨베이어(17)는 전동기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체인과 스프로킷 또는 벨트와 벨트풀리 등의 동력전달장치나 전동장치에 의해 연결된 구동롤러와, 이 구동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종동롤러 및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외주면을 감아 걸어 상호 연결하면서 순환운동하는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전동기로부터 골재 또는 미분의 운반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벨트를 순환시키는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제2블로어(18)는 미쇄설물 컨베이어(17)에 의해 운반되는 미쇄설물 중에 혼재된 각종 이물질을 강한 풍속으로 불어서 날리어 떨어뜨리기 위해 덕트를 통해 제2라인 디퓨저(19)와 통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블로어(18)로는 상술한 제1블로어와 마찬가지로 폐기물에서 이물질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날개차(impeller) 또는 로터(rotor)의 회전 운동에 의해서 외기를 일정한 유속과 유량 및 압력으로 제2라인 디퓨저(19)의 양측으로 압송하는 산업용 고압 송풍기를 채용할 수 있다.
제2라인 디퓨저(19)는 골재 컨베이어(15)에 의해 야적장으로 운반되는 골재 중에 혼재된 각종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분리하기 위해 골재 컨베이어(15) 상에 배치되어 있고, 양측이 제2블로어(18)와 덕트를 통해서 연결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라인 디퓨저(9)와 제2라인 디퓨저(19)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댐퍼박스(110)와, 한 쌍의 취출플랩(120) 및 한 쌍의 고정가이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댐퍼박스(110)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전면에 가로의 폭이 넓은 직사각형의 송풍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송풍구(111)의 상하측 전면에는 나사구멍(112)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제1블로어(8) 또는 제2블로어(18)로부터 각각 덕트를 통해서 송풍을 받을 수 있도록 공기가 통하는 원통형 덕트연결관(113)이 형성되어 있다.
취출플랩(120)은 단면의 형상이 마치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댐퍼박스(110)의 전면에 나사구멍(112)들과 나사결합으로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취출플랩(120)들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111)를 통하여 취출되는 풍량의 가변을 위해 댐퍼박스(110)에 대하여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구멍(112)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상하슬롯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취출플랩(120)들은 댐퍼박스(110)의 전면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 및 임의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댐퍼박스의 송풍구(111)를 통하여 취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안내 및 유도하는 주둥이 기능 및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가이드(130)는 원통형의 덕트연결관(113)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링형 홀더(131)가 형성되어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111)의 송풍 방향 가변을 위해 댐퍼박스(110)의 설치각(setting angle)을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그 홀더(131)를 통하여 덕트연결관과 나사 이음으로 접속하는 조임구(132)가 홀더(131)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131)의 하부에는 제1라인 디퓨저(9) 또는 제2라인 디퓨저(19)의 설치 면과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1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브래킷(133)에는 설치 면에 대하여 전후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후슬롯홀(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1라인 디퓨저(9)와 제2라인 디퓨저(19)는 건설폐기물의 특성에 따라 평면분류의 기류가 나오는 송풍구(111)의 크기를 비롯하여 취출 풍량과 기류 방향 및 취출된 바람의 도달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최적으로 세팅(setting)할 수 있다.
한편, 댐퍼박스(110)의 전면과 취출플랩(120) 사이에는 그 접촉면을 통해서 기체, 즉 압송 공기가 엉뚱한 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스킷(140)이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개스킷(140)은 댐퍼박스(110)의 전면과 취출플랩(120)의 나사결합이 용이하도록 볼트 등의 조임용 부재가 통과하는 관통구멍(141)이 댐퍼박스의 나사구멍(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제1라인 디퓨저(9)와 인접 설치되고, 피더(6)로 운반되는 폐기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송풍에 의해 모이는 제1이물질 수거함(20) 및 제2라인 디퓨저(19)와 인접 설치되고, 골재 컨베이어(15)에 의해 야적장으로 운반되는 골재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송풍에 의해 모이는 제2이물질 수거함(2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이물질의 수거 효율 및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라인 디퓨저(9)와 제2라인 디퓨저(19)의 송풍에 의해 발생하는 미분이나 먼지 등을 포집 및 집진하기 위해 흡입용 블로어와 같은 포집 및 집진장치를 구비한 사이클론(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는 스위치 개폐 신호나 센서의 검출 신호 등에 따라 각 액추에이터 및 전동기의 작동을 연동시킴은 물론 운전실에서 장치와 시스템의 전반적인 가동을 유기적으로 설정 및 제어하여 조종하거나 감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의 작용 및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토사, 폐벽돌, 폐콘크리트, 폐아스콘, 폐목재, 폐합성수지, 철근 등의 폐기물을 그리즐리(2)의 호퍼로 투입하면 파쇄의 필요가 없는 일정 크기 이하의 토분은 망 아래로 빠져나가고, 그 이상의 폐기물은 트로멜(1) 쪽으로 굴러 떨어져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때, 분리된 토분은 토분 컨베이어(3)에 의해 야적장으로 운반되고, 이 과정에서 제1마그네틱 선별기(4)에 의해 토분 중에 혼재되어 있던 각종 금속은 분리된다.
트로멜(1)로 공급된 폐기물은 회전과 경사에 의해 위에서 아래로 흐르도록 체질하여 그 배출구를 통해 폐기물 컨베이어(7) 위로 연속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폐기물은 폐기물 컨베이어(7)에 의해 조크러셔(5)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피더(6)로 운반되고, 이 과정에서 제1라인 디퓨저(9)와 제2마그네틱 선별기(10)에 의해 폐기물 중에 혼재되어 있던 각종 이물질과 금속은 분리된다. 특히 각종 이물질은 제1이물질 수거함(20) 속으로 자연스럽게 보내진다.
피더(6)로 운반된 폐기물은 조크러셔(5)에 균일하게 연속 공급되어 1차로 조쇄 및 파쇄된 후, 그 배출구를 통해 쇄설물 컨베이어(12) 위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쇄설물은 쇄설물 컨베이어(12)에 의해 진동스크린(11)으로 운반되고, 이 과정에서 제3마그네틱 선별기(13)에 의해 쇄설물 중에 혼재되어 있던 각종 금속은 분리된다.
진동스크린(11)으로 공급된 쇄설물은 체질에 의해 걸러져서 석분과 일정 크기 이하의 골재 및 그 이상의 미쇄설물로 분리선별되어 각각의 배출구를 통해 석분 컨베이어(14)와 골재 컨베이어(15) 및 미쇄설물 컨베이어(17) 위로 연속 배출된다.
즉, 석분은 석분 컨베이어(14)에 의해 야적장으로 운반되고, 골재는 골재 컨베이어(15)에 의해 야적장으로 운반되며, 일정 크기 이상의 미쇄설물은 콘크러셔(16)로 미쇄설물 컨베이어(17)에 의해 운반되고, 이 과정에서 제2라인 디퓨저(19)에 의해 골재 중에 혼재되어 있던 각종 이물질은 분리되어 제2이물질 수거함(21) 속으로 자연스럽게 보내진다.
콘크러셔(16)로 공급된 미쇄설물은 2차로 파쇄된 후, 그 배출구를 통해 다시 쇄설물 컨베이어(12) 위로 배출되고, 이 중에 혼재되어 있던 각종 금속은 제3마그네틱 선별기(13)에 의해 재차 분리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건설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순환골재와 각종 이물질을 더욱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분리선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양질의 재생골재를 생산할 수 있다.
더구나 생산라인의 콤팩트화로 설비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시간을 줄여서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라인 디퓨저(9)와 제2라인 디퓨저(19)의 댐퍼박스(110)에 대하여 취출플랩(120)들의 상하 고정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폐기물의 종류 및 특성 등에 따라 송풍구(111)를 통하여 취출되는 풍량을 자유롭게 가변하여 최적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구(132) 풀거나 조여서 고정가이드(130)의 홀더(31)와 댐퍼박스의 덕트연결관(113)의 접속 방향과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송풍구(111)의 송풍 방향, 즉 댐퍼박스(110)의 설치각(setting angle)을 자유롭게 가변하여 최적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고정가이드(130)의 설치 면에 대하여 전후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취출된 바람의 도달 거리를 최적의 위치로 세팅(setting)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순환골재와 각종 이물질을 더욱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으로 분리선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 트로멜 2: 그리즐리
3: 토분 컨베이어 4: 제1마그네틱 선별기
5: 조크러셔 6: 피더
7: 폐기물 컨베이어 8: 제1블로어
9: 제1라인 디퓨저 10: 제2마그네틱 선별기
11: 진동스크린 12: 쇄설물 컨베이어
13: 제3마그네틱 선별기 14: 석분 컨베이어
15: 골재 컨베이어 16: 콘크러셔
17: 미쇄설물 컨베이어 18: 제2블로어
19: 제2라인 디퓨저 20: 제1이물질 수거함
21: 제2이물질 수거함
110: 댐퍼박스 111: 송풍구
112: 나사구멍 113: 덕트연결관
120: 취출플랩 121: 상하슬롯홀
130: 고정가이드 131: 홀더
132: 조임구 133: 브래킷
134: 전후슬롯홀 140: 개스킷
141: 관통구멍

Claims (5)

  1. 경사진 축의 둘레로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체질하여 크고 작은 입자로 분리하는 트로멜(trommel);
    상기 트로멜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트로멜에 공급하기 위한 폐기물과 파쇄의 필요가 없는 일정 크기 이하의 토분을 분리선별하는 그리즐리(grizzly);
    상기 그리즐리에서 분리선별된 토분을 야적장으로 운반하는 토분 컨베이어;
    상기 토분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토분 중에 혼재된 금속을 자력으로 끌어당겨 분리하는 제1마그네틱 선별기;
    상기 트로멜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폐기물을 1차로 조쇄 및 파쇄하는 조크러셔(jaw crusher);
    상기 조크러셔의 입구에 설치되어 폐기물을 상기 조크러셔에 균일하게 연속공급하는 피더(feeder);
    상기 트로멜에서 분리된 큰 입자의 폐기물을 상기 피더로 운반하는 폐기물 컨베이어;
    상기 폐기물 컨베이어 상에서 양측이 제1블로어와 덕트를 통해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피더로 운반되는 폐기물 중에 혼재된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분리하는 제1라인 디퓨저;
    상기 제1라인 디퓨저와 인접 설치되어 상기 피더로 운반되는 폐기물 중에 혼재된 금속을 자력으로 끌어당겨 분리하는 제2마그네틱 선별기;
    상기 조크러셔에서 조쇄 및 파쇄된 쇄설물을 체로 걸러서 석분과 일정 크기 이하의 골재를 분리선별하는 진동스크린;
    상기 조크러셔에서 조쇄 및 파쇄된 쇄설물을 상기 진동스크린으로 운반하는 쇄설물 컨베이어;
    상기 쇄설물 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진동스크린으로 운반되는 쇄설물 중에 혼재된 금속을 자력으로 끌어당겨 분리하는 제3마그네틱 선별기;
    상기 진동스크린에서 분리선별된 석분을 야적장으로 운반하는 석분 컨베이어;
    상기 진동스크린에서 분리선별된 골재를 야적장으로 운반하는 골재 컨베이어;
    상기 조크러셔와 인접 설치되어 상기 조크러셔에서 미파쇄된 쇄설물을 2차로 파쇄하여 상기 쇄설물 컨베이어 위로 떨어뜨리는 콘크러셔(cone crusher);
    상기 진동스크린에서 미분리된 쇄설물을 상기 콘크러셔로 운반하는 미쇄설물 컨베이어; 및
    상기 골재 컨베이어 상에서 양측이 제2블로어와 덕트를 통해서 연결 설치되어 골재 중에 혼재된 이물질을 불어서 날리어 분리하는 제2라인 디퓨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라인 디퓨저는 각각,
    전면에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의 상하측 전면에 나사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양측에 공기가 통하는 덕트연결관이 형성된 댐퍼박스;
    상기 댐퍼박스의 전면에 상기 나사구멍들과 나사결합으로 각각 장착하되, 상기 송풍구를 통하여 취출되는 풍량 가변을 위해 상기 댐퍼박스에 대하여 상하 고정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나사구멍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상하슬롯홀이 형성된 한 쌍의 취출플랩; 및
    상기 덕트연결관이 끼워지는 링형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의 송풍 방향 가변을 위해 상기 댐퍼박스의 설치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홀더를 통하여 상기 덕트연결관과 나사 이음으로 접속하는 조임구가 다수 구비되고, 상기 홀더의 하부에 설치 면과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에 설치 면에 대하여 전후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후슬롯홀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가이드;
    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 디퓨저와 인접 설치되어 상기 피더로 운반되는 폐기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송풍에 의해 모이는 제1이물질 수거함; 및
    상기 제2라인 디퓨저와 인접 설치되어 야적장으로 운반되는 골재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송풍에 의해 모이는 제2이물질 수거함;
    을 더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로멜과 상기 그리즐리는, 상기 토분 컨베이어와 상기 폐기물 컨베이어의 이송라인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란하게 배치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박스의 전면과 상기 취출플랩 사이에는 그 접촉면을 통해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스킷이 끼워진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KR1020160123698A 2016-09-27 2016-09-27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Active KR101685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698A KR101685025B1 (ko) 2016-09-27 2016-09-27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698A KR101685025B1 (ko) 2016-09-27 2016-09-27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5025B1 true KR101685025B1 (ko) 2016-12-09

Family

ID=5757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698A Active KR101685025B1 (ko) 2016-09-27 2016-09-27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02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615A (ko) 2019-04-30 2020-11-09 장동혁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CN112676145A (zh) * 2020-06-09 2021-04-20 许昌金科资源再生股份有限公司 建筑垃圾初选重筛机及回收工艺
CN113369143A (zh) * 2021-07-16 2021-09-10 顺叱华(青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装修和建筑垃圾资源化利用分类设备及其制造方法
CN113814169A (zh) * 2021-07-29 2021-12-21 桂林理工大学 一种建筑垃圾再生精品砂多级分级机
CN114833059A (zh) * 2022-03-28 2022-08-02 陕西正元秦电环保产业有限公司 一种灰磨机筛锻装置
CN116618308A (zh) * 2023-07-20 2023-08-22 河南勇威特种设备有限公司 一种工程施工用砂石筛选分离设备
CN116876295A (zh) * 2023-07-26 2023-10-13 重庆路安特路面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沥青铺装废料再生的破碎、去杂、干燥一体装置
CN117655193A (zh) * 2023-12-28 2024-03-08 湖北杰精精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钢壳拉伸模具
CN118357153A (zh) * 2024-06-20 2024-07-19 山东省建设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垃圾分离装置
CN119140411A (zh) * 2024-11-18 2024-12-17 河南春颖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超细粉细度可控的气流筛分装置
KR102755586B1 (ko) 2023-11-11 2025-01-15 민원 소성 골재와 저소성 골재 선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재 생산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612A (ja) * 1999-07-29 2001-02-20 Sumikin Kogyo Kk 建築土木用骨材の製造方法
KR20030078844A (ko) 2003-09-18 2003-10-08 유한회사 대한환경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100458183B1 (ko) 2001-08-03 2004-11-26 주식회사 신텍 재건축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100470486B1 (ko) 2004-05-07 2005-02-07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110051A (ko) * 2009-04-02 2010-10-12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1422793B1 (ko) 2013-12-24 2014-07-23 성안이엔티주식회사 매립쓰레기 건설 폐토석의 재활용이 가능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KR101427849B1 (ko) 2013-12-10 2014-08-0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에어(air)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방법
KR20140105041A (ko) 2013-01-15 2014-09-01 (주)경북환경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와 그 방법
KR101438133B1 (ko) 2012-10-12 2014-09-04 엠엔테크(주) 비닐 및 필름류쓰레기의 선별장치
KR101479187B1 (ko) 2013-05-23 2015-01-05 주식회사 리텍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612A (ja) * 1999-07-29 2001-02-20 Sumikin Kogyo Kk 建築土木用骨材の製造方法
KR100458183B1 (ko) 2001-08-03 2004-11-26 주식회사 신텍 재건축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20030078844A (ko) 2003-09-18 2003-10-08 유한회사 대한환경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KR100470486B1 (ko) 2004-05-07 2005-02-07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110051A (ko) * 2009-04-02 2010-10-12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1438133B1 (ko) 2012-10-12 2014-09-04 엠엔테크(주) 비닐 및 필름류쓰레기의 선별장치
KR20140105041A (ko) 2013-01-15 2014-09-01 (주)경북환경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와 그 방법
KR101479187B1 (ko) 2013-05-23 2015-01-05 주식회사 리텍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101427849B1 (ko) 2013-12-10 2014-08-0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에어(air)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처리방법
KR101422793B1 (ko) 2013-12-24 2014-07-23 성안이엔티주식회사 매립쓰레기 건설 폐토석의 재활용이 가능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건설폐기물 분야에 있어서 이물질 분리 선별 기술, 한국건설순화자원학회지 제10권 제3호(2015.9)pp.15-21, 이준호 외 2명.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615A (ko) 2019-04-30 2020-11-09 장동혁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CN112676145A (zh) * 2020-06-09 2021-04-20 许昌金科资源再生股份有限公司 建筑垃圾初选重筛机及回收工艺
CN113369143A (zh) * 2021-07-16 2021-09-10 顺叱华(青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装修和建筑垃圾资源化利用分类设备及其制造方法
CN113814169A (zh) * 2021-07-29 2021-12-21 桂林理工大学 一种建筑垃圾再生精品砂多级分级机
CN114833059A (zh) * 2022-03-28 2022-08-02 陕西正元秦电环保产业有限公司 一种灰磨机筛锻装置
CN114833059B (zh) * 2022-03-28 2023-11-17 陕西正元秦电环保产业有限公司 一种灰磨机筛锻装置
CN116618308B (zh) * 2023-07-20 2023-10-03 河南勇威特种设备有限公司 一种工程施工用砂石筛选分离设备
CN116618308A (zh) * 2023-07-20 2023-08-22 河南勇威特种设备有限公司 一种工程施工用砂石筛选分离设备
CN116876295A (zh) * 2023-07-26 2023-10-13 重庆路安特路面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沥青铺装废料再生的破碎、去杂、干燥一体装置
KR102755586B1 (ko) 2023-11-11 2025-01-15 민원 소성 골재와 저소성 골재 선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재 생산방법
CN117655193A (zh) * 2023-12-28 2024-03-08 湖北杰精精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钢壳拉伸模具
CN118357153A (zh) * 2024-06-20 2024-07-19 山东省建设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垃圾分离装置
CN119140411A (zh) * 2024-11-18 2024-12-17 河南春颖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超细粉细度可控的气流筛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025B1 (ko)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KR10182841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KR101061166B1 (ko)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0696308B1 (ko) 양방향 콘베어를 이용한 건식 재생골재 제조방법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CN109967494B (zh) 一种处理建筑垃圾的工艺方法及系统装置
US20240157368A1 (en) Process for treating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material with kinetic pulverization material with kinetic pulverization
KR20100110051A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2521523B1 (ko) 공기 순환식 풍력 선별장치
KR200266263Y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CN115090655A (zh) 一种拆建及装修垃圾回收处理方法
KR100595006B1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2725776B1 (ko) 폐기물로부터 고철을 선별하는 장치
KR101689211B1 (ko)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용 라인 디퓨저
KR20030051484A (ko)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건식 모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KR102390539B1 (ko)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20030064185A (ko) 건설폐기물 골재화 장치 및 재생모래 생산장치
CN212549957U (zh) 一种建筑用废水泥块固体垃圾处理系统
CN212760292U (zh) 一种垃圾处理系统
KR100404147B1 (ko)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KR20020029059A (ko) 폐기물선별장치
KR200302027Y1 (ko) 진공펌프를 갖는 재생골재 선별기의 쓰레기 분리장치
KR20060085438A (ko)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