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820B1 - Tent - Google Patents
T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6820B1 KR101456820B1 KR1020140031569A KR20140031569A KR101456820B1 KR 101456820 B1 KR101456820 B1 KR 101456820B1 KR 1020140031569 A KR1020140031569 A KR 1020140031569A KR 20140031569 A KR20140031569 A KR 20140031569A KR 101456820 B1 KR101456820 B1 KR 1014568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t
- space
- loop
- zipper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2—Pegs, stak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텐트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개폐가능한 출입구가 개구 형성되고 상호 연결되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는 지퍼부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지퍼부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는 차폐부를 구비한 텐트천과; 상기 텐트천에 의하여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텐트천을 지지하는 복수의 메인폴대와; 상기 텐트천이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텐트천을 상기 지면과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내부에 별도의 보조폴대가 내장되도록 하여 텐트를 설치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텐트의 폴대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고정부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텐트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텐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assembled, and has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which are opened and closed at one side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are formed by a zipper And a shield for preventing the zipp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main poles supporting the tent stream to form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by the tent river; A fixing unit connecting the tent stream to the ground so that the tent stream can b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tent and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ortion used for supporting the pole of the tent so that the tent can be installed and dismantled The time required can be reduced and the tent can be easily installed,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t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isassembled.
일반적으로 텐트는 사용자가 캠핑 또는 야외에서 임시로 거처할 수 있도록 방수천과 다수개의 폴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방수천을 다수개의 폴로 지지 및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텐트를 형성하게 된다.Generally, the tent is composed of a waterproof cloth and a plurality of poles so that the user can temporarily camp out or outdoors, and the waterproof cloth is supported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les to form various types of tents.
즉, 다수개의 폴을 상호 연결하여 직선 또는 곡선의 아치형을 이루어 그 골격을 형성하고, 방수천을 펼쳐 폴에 연결하여, 폴이 형성하는 골격에 따라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 plurality of paw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traight or curved arched shape to form a skeleton thereof, and a waterproof cloth is unfolded and connected to the pawl so that a space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skeleton formed by the pawl.
이러한 텐트의 전체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폴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보관 및 휴대하기 간편하게 구성하였으며, 야외에서 분할된 폴들을 연결하여 텐트와 그늘막을 설치한다.As the total length of the tent becomes longer, the pol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the tent and the shade are installed by connecting the divided pole in the outdoors.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2의 텐트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폴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디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ent, and FIGS. 2 and 3 are saddle diagrams showing a structure of a pole used for installing the tent of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1)는 복수 개의 폴대(10)를 이용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한다.As shown in FIG. 1, the tent 1 is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10)는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분할된 폴대(10')의 단부는 다른 폴대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게 직경이 작거나 또는 폴대의 직경보다 큰 연결구(11)가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그리고 복수개의 분할된 폴대(10')들을 고무줄(13)로 연결해 둠으로써, 분할된 폴대(10')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분할된 폴대(10')의 분실을 방지한다.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divided
보다 구체적으로, 고무줄(13)은 폴대(10')들을 관통해 분할된 폴대(10')들을 하나로 연결한다. 그리고 고무줄(13)의 양단은 폴(1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는데, 고무줄(13)의 양단은 팁(15)에 각각 고정되고, 팁(15)은 폴대(10)의 양단에 삽입되어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15)은 연결된 폴대(10)의 양단에 위치한 구성요소로서, 폴대(10)의 내부에 위치한 고무줄(13)과 연결된다. 그리고 지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팁(15)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팁(15)은 지반에 박힐 수 있게 끝단이 뾰족한 뾰족부(17)와, 폴대(10)의 단부에 걸리도록 폴대(10)의 외경의 크기를 갖는 걸림턱(19)과, 폴대(10)의 단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고무줄(13)과 연결되는 고리(21)를 포함한다.The
따라서, 폴대(10)에 고무줄(13)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고무줄(13)을 고리(21)에 꿴 후에 고무줄(13)의 단부를 클램퍼로 집어 고무줄(13)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무줄(13)이 연결된 팁(15)은 고리(21)가 폴(10)의 단부에 삽입된다. Therefore, in order to connect the
그러면 걸림턱(19)이 폴(10)의 단부에 걸려 팁(15)의 뾰족부(17)만이 폴(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한다.Th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텐트를 설치함에 있어서, 폴대(10)의 구성인 고무줄과 팁을 연결함에 있어서 고무줄을 고리에 꿴 후에 고무줄을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installing such a conventional t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work because the rubber band is fixed after the rubber band is hooked on the ring in connecting the rubber band and the tip which are the constitution of the
상기 고무줄의 한 쪽 단부에 팁을 고정한 후에, 다른 쪽 단부에 팁을 고정함에 있어서 고무줄을 인장시킨 상태로 팁을 고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폴 밖으로 고무줄의 단부를 끌어낸 상태에서 고무줄을 고리에 꿰려고 하면, 고무줄의 탄성에 의해 작업자의 뜻대로 팁을 연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텐트를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After the tip is fixed to one end of the rubber band, the tip should be fixed with the rubber band stretched when fixing the tip to the other end. Therefore, if the user tries to fasten the rubber band to the loop while pulling the end of the rubber band out of the pole,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tip according to the operator's intention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rubber band, have.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별도의 보조폴대가 내장되도록 하여 텐트를 설치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텐트의 폴대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고정부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텐트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텐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텐트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nt structure, The tent can be easily installed 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tent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ten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텐트는, 일측에 개폐가능한 출입구가 개구 형성되고 상호 연결되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는 지퍼부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지퍼부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는 차폐부를 구비한 텐트천과; 상기 텐트천에 의하여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텐트천을 지지하는 복수의 메인폴대와; 상기 텐트천이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텐트천을 상기 지면과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nt having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which are opened and closed at one side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are formed by a zipper And a shield for preventing the zipper par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main poles supporting the tent stream to form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by the tent river; A fixing unit connecting the tent stream to the ground so that the tent stream can b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
여기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1공간부과 상기 제2공간부을 연결하는 지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과 상기 제2공간부의 경계 영역에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퍼부를 덮는 차폐천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hield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zipper connecting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and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Shielding cloth.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텐트천 가장자리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는 연장끈과, 상기 연장끈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고리 및 제2고리와, 지면에 고정되며 일측에 고정고리가 구비된 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텐트천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고리를 경유하여 상기 제1고리 및 제2고리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고리를 감싸고 상기 제2고리의 내측으로 인출되는 고정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n extension cord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edge of the tent stream, a first ring and a second ring provid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cord,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ground and having a fixing ring at one side thereof, And a fixing strap which is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tent stream and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tent stream and the other end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oks and then is wound around the first hook and drawn out to the inside of the second hook have.
또한, 상기 고정끈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끈이 상기 제1고리를 감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폭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주름부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strap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rrugated portion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strap so as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straps wrap the first loop.
아울러, 상기 고정끈이 상기 제1고리를 감싼 상태를 해제시에 상기 제2고리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제2고리에는 해제끈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loop may be provided with a release cord so that the second loop can be lifted when the fixing strap wraps around the first loop.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텐트는, 일측에 개폐가능한 출입구가 개구 형성되고 상호 연결되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형성하는 텐트천과; 상기 텐트천에 의하여 상기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텐트천을 지지하는 복수의 메인폴대와; 상기 텐트천이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텐트천 가장자리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는 연장끈과, 상기 연장끈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고리 및 제2고리와, 지면에 고정되며 일측에 고정고리가 구비된 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텐트천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고리를 경유하여 상기 제1고리 및 제2고리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고리를 감싸고 상기 제2고리의 내측으로 인출되는 고정끈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nt river forming a first spac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the opening portion being openable and closable at one side of the tent; A plurality of main poles supporting the tent stream to form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by the tent river; An extension cord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edge of the tent so that the tent stream can b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a first ring and a second ring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cord; And a second member which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tent stream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first annular member and the second annular member and surrounding the first annular member, A fixing member made of a fixing strap; .
여기서, 상기 고정끈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끈이 상기 제1고리를 감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폭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주름부가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strap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rrugated portion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straps can hold the first loop.
그리고, 상기 고정끈이 상기 제1고리를 감싼 상태를 해제시에 상기 제2고리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제2고리에는 해제끈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release cord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ring so that the fixing strap can lift the second ring when the first loop is wrapped around.
또한, 상기 텐트천은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를 연결하는 지퍼부와, 상기 지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nt river may include a zipper connect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a shielding portion preventing the zipper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아울러, 상기 차폐부는 상기 제1공간부과 상기 제2공간부을 연결하는 지퍼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과 상기 제2공간부의 경계 영역에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퍼부를 덮는 차폐천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hielding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zipper connecting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Shielding cloth.
그리고, 상기 텐트천은 지면에 대하여 직립되게 배치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직립부와, 상기 직립부의 단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립부의 복수의 개소에는 상기 직립부의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보조폴대가 설치될 수 있다. The tent raft is composed of an upright portion arranged in a standing uprigh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forming a side surface and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at an end of the upright portion to form a ceiling, an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upright portion,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보조폴대는 상기 직립부의 내면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된 수용주머니에 선택적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pole may be received in a receiving bag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right portion so that the auxiliary bag can be selectively taken in and ou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텐트는, 내부에 별도의 보조폴대가 내장되도록 하여 텐트를 설치시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텐트의 폴대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고정부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텐트의 설치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텐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parate auxiliary pole inside the tent, thereby enhanc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t the time of installing the tent, and also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ortion used to support the tent pole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tent and facilitating installation of the ten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2의 텐트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폴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폴대의 수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ent,
Figs. 2 and 3 are saddle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le used for installing the tent of Fig. 2.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xing part of a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ortion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eiving structure of an inner pole installed in a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폴대의 수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of FIG. 6,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pole of the 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iving structure.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는, 일측에 개폐가능한 출입구(101)가 개구 형성되고 상호 연결되는 제1공간부(110)와 제2공간부(120)를 형성하되, 상기 제1공간부(110)와 제2공간부(120)는 지퍼부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지퍼부(150)가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는 차폐부(160)를 구비한 텐트천(100)과; 상기 텐트천(100)에 의하여 상기 제1공간부(110)와 제2공간부(120)가 형성되도록 상기 텐트천(100)을 지지하는 복수의 메인폴대(200)와; 상기 텐트천(100)이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텐트천(100)을 상기 지면과 연결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160)는 상기 제1공간부(110)과 상기 제2공간부(120)을 연결하는 지퍼부(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110)과 상기 제2공간부(120)의 경계영역에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퍼부(150)를 덮는 차폐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4 and 5, th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천(100)은 복수의 메인폴대(20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일정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경우에 상기 내부공간은 상호 연통되는 제1공간부(110)와 제2공간부(120)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천(10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텐트의 제1공간부(110)와 제2공간부(120)로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출입구(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출입구(101)는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텐트천(100)은 방수가 가능한 방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and 5, an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160)는 제1공간부(110)과 제2공간부(120)을 연결하는 지퍼부(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제1공간부(110)과 제2공간부(120)의 경계 영역에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퍼부(150)를 덮는 차폐천으로 구성할 수 있다. 5, the
이러한 차폐천도 텐트천(100)과 마찬가지로 방수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지퍼부(150)를 통하여 수분이 침투함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분에 의하여 지퍼부(150)가 녹쓸지 않도록 할 수 있다. Like the
메인폴대(200)는 텐트천(100)의 중앙 영역 설치됨으로써 텐트천(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 길이는 설치하고자 하는 텐트의 높이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메인폴대(200)는 출입구(101) 측에 구비되는 하나의 메인폴대(200)와 제2공간부(120)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다른 하나의 메인폴대(200)로 구성되며, 출입구(101) 측에 구비되는 메일폴대(200)는 다른 메인폴대(200)의 높이와 같거나 적어도 낮도록 구비된다. The
고정부(300)는 텐트천(100)이 지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텐트천(100)을 지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메인폴대(200)를 지지함으로써 텐트가 지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고정부(300)는 텐트천(100) 가장자리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는 연장끈(310)과, 연장끈(310)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고리(320) 및 제2고리(330)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고리(340)와, 일단이 텐트천(10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고리(340)를 경유하여 제1고리(320) 및 제2고리(330)를 통과한 후에 제1고리(320)를 감싸고 제2고리(330)의 내측으로 인출되는 고정끈(3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5 and 6, the
고정끈(350)의 외면에는 고정끈(350)이 제1고리(320)를 감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폭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주름부(35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러한 주름부(351)에 의하여 제1고리(320)를 감싸고 제2고리(330)의 내측으로 통과한 고정끈(350)의 상호 중첩된 부분에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고정끈(350)이 제1고리(320) 및 제2고리(330)에 체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Since the frictional force is increased at the mutually overlapped portions of the fixin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끈(350)이 제1고리(320)를 감싼 상태를 해제시에 제2고리(33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제2고리(330)에는 해제끈(36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해제끈(360)을 이용하여 제2고리(330)를 들어올리게 되면 고정끈(350)의 상호 중첩된 부분이 이탈되면서 마찰력이 해제되므로 고정끈(350)이 제1고리(320) 및 제2고리(330)에 체결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7, the
한편, 텐트천(100)은 지면과의 배치된 상태에 따라서 지면에 대하여 직립되게 배치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직립부(130)와, 직립부(130)의 단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경사부(140)로 구분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부(130) 가장자리의 복수의 개소에는 직립부(130)의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보조폴대(400)가 설치되는데, 보조폴대(400)는 직립부(130)의 내면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된 수용주머니(410)에 선택적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8, an
상술한 바와 같이, 직립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보조폴대(400)가 수용주머지(410)에 수용됨으로써 텐트천(100)에 매립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텐트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텐트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텐트천 101 : 출입구
110 : 제1공간부 120 : 제2공간부
130 : 직립부 140 : 경사부
150 : 지퍼부 160 : 차폐부
200 : 메인폴대 300 : 고정부
310 : 연장끈 320 : 제1고리
330 : 제2고리 340 : 고정고리
350 : 고정끈 360 : 해제끈
400 : 보조폴대 410 : 수용주머니100: Tent Stream 101: Entrance
110: first space part 120: second space part
130: upright part 140: inclined part
150: zipper part 160: shielding part
200: main pole 300:
310: extension cord 320: first ring
330: second ring 340: retaining ring
350: Fixing strap 360: Release strap
400: auxiliary pole 410: bag
Claims (12)
상기 텐트천(100)에 의하여 상기 제1공간부(110)와 제2공간부(120)가 형성되도록 상기 텐트천(100)을 지지하는 복수의 메인폴대(200)와;
상기 텐트천(100)이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텐트천(100)을 상기 지면과 연결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160)는 상기 제1공간부(110)과 상기 제2공간부(120)을 연결하는 지퍼부(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110)과 상기 제2공간부(120)의 경계 영역에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퍼부(150)를 덮는 차폐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The first space part 110 and the second space part 120 form a first space part 110 and a second space part 120 which are opened and closed at one side and open and closed, (100) having a shielding part (160) connected by a zipper part and preventing the zipper part (15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main poles (200) for supporting the tent races (100) so that the first space (110) and the second space (120) are formed by the tent races (100);
A fixing unit 300 connecting the tent stream 100 to the ground so that the tent stream 100 can b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 / RTI &
The shield 160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zipper 150 connecting the first space 110 and the second space 120 and the first space 110, Wherein the zipper (150)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in a boundary region of the second space (120).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텐트천(100) 가장자리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는 연장끈(310)과, 상기 연장끈(310)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고리(320) 및 제2고리(330)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고리(340)와, 일단이 상기 텐트천(10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고리(340)를 경유하여 상기 제1고리(320) 및 제2고리(330)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고리(320)를 감싸고 상기 제2고리(330)의 내측으로 인출되는 고정끈(35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300 includes an extension cord 310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edge of the tent 100 and a first ring 320 and a second ring 330 provid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cord 31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tent stream 10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ring 320 and the second ring 330 via the fixing ring 340, And a fixing strap (350) which surrounds the first loop (320) a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second loop (330).
상기 고정끈(350)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끈(350)이 상기 제1고리(320)를 감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폭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주름부(35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strap 35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with a plurality of corrugated portions 351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strap 350 can keep the first ring 320 wrapped around the fixing strap 350 Wherein the tent is a tent.
상기 고정끈(350)이 상기 제1고리(320)를 감싼 상태를 해제시에 상기 제2고리(33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제2고리(430)에는 해제끈(3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loop 430 is provided with a release cord 360 so that the second loop 330 can be lifted when the fixing strap 350 releases the wrapping of the first loop 320 Tent that feature.
상기 텐트천(100)에 의하여 상기 제1공간부(110)와 제2공간부(120)가 형성되도록 상기 텐트천(100)을 지지하는 복수의 메인폴대(200)와;
상기 텐트천(100)이 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텐트천(100) 가장자리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는 연장끈(310)과, 상기 연장끈(310)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고리(320) 및 제2고리(330)와,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고리(340)와, 일단이 상기 텐트천(10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고리(340)를 경유하여 상기 제1고리(320) 및 제2고리(330)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고리(320)를 감싸고 상기 제2고리(330)의 내측으로 인출되는 고정끈(350)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끈(350)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끈(350)이 상기 제1고리(320)를 감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폭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주름부(35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끈(350)이 상기 제1고리(320)를 감싼 상태를 해제시에 상기 제2고리(33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제2고리(330)에는 해제끈(3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A tent river (100) forming a first space part (110) and a second space part (120) in which an entrance (101) openable and closable at one side is opened and interconnected;
A plurality of main poles (200) for supporting the tent races (100) so that the first space (110) and the second space (120) are formed by the tent races (100);
An extension cord 310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edge of the tent stream 100 so that the tent stream 100 can b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and a first loop And a fixing ring 340 fixed to the ground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tent 1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annulus 320 via the fixing ring 340. [ And a fixing strap (350) which surrounds the first loop (320) a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second loop (330)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loop (320) and the second loop (330); ≪ / RTI &
The fixing strap 35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with a plurality of corrugated portions 351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strap 350 can keep the first ring 320 wrapped around the fixing strap 350 And the second loop 330 is provided with a release cord 360 so that the second loop 330 can be lifted when the fixing strap 350 releases the first loop 320 Wherein the tent is a tent.
상기 텐트천(100)은 상기 제1공간부(110)와 상기 제2공간부(120)를 연결하는 지퍼부(150)와, 상기 지퍼부(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부(16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ent raft 100 includes a zipper 150 connecting the first space 110 and the second space 120 and a shield 160 for preventing the zipper 15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 ≪ / RTI >
상기 차폐부(160)는 상기 제1공간부(110)과 상기 제2공간부(120)을 연결하는 지퍼부(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110)과 상기 제2공간부(120)의 경계 영역에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퍼부(150)를 덮는 차폐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hield 160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zipper 150 connecting the first space 110 and the second space 120 and the first space 110, Wherein the zipper (150)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in a boundary region of the second space (120).
상기 텐트천(100)은 지면에 대하여 직립되게 배치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직립부(130)와, 상기 직립부(130)의 단부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경사부(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립부(130)의 복수의 개소에는 상기 직립부(130)의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보조폴대(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롤 하는 텐트.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6, 9, and 10,
The tent raft 100 includes an upright portion 130 which is disposed upright on the ground and forms a side surface and an inclined portion 140 which is inclined at an end of the upright portion 130 to form a ceiling, Wherein an upright pole (400)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upright part (130) to maintain the upright state of the upright part (130).
상기 보조폴대(400)는 상기 직립부(130)의 내면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된 수용주머니(410)에 선택적으로 인입출 가능하도록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uxiliary pole unit (400) is housed in a receiving bag (410)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right part (130) so as to be selectively able to be taken in and o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1569A KR101456820B1 (en) | 2014-03-18 | 2014-03-18 | T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1569A KR101456820B1 (en) | 2014-03-18 | 2014-03-18 | T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6820B1 true KR101456820B1 (en) | 2014-10-31 |
Family
ID=5199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15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6820B1 (en) | 2014-03-18 | 2014-03-18 | T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682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884B1 (en) | 2016-04-05 | 2017-03-22 | 김태우 | Connecting device for tent pole and Tent set using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38989U (en) * | 1989-08-23 | 1991-04-15 | ||
KR20090003664U (en) * | 2007-10-16 | 2009-04-21 | 배진산업주식회사 | Supplementary tent for cabin tent |
KR20130004129U (en) * | 2011-12-28 | 2013-07-08 | 박명식 | Living room extended type tent |
-
2014
- 2014-03-18 KR KR1020140031569A patent/KR10145682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38989U (en) * | 1989-08-23 | 1991-04-15 | ||
KR20090003664U (en) * | 2007-10-16 | 2009-04-21 | 배진산업주식회사 | Supplementary tent for cabin tent |
KR20130004129U (en) * | 2011-12-28 | 2013-07-08 | 박명식 | Living room extended type t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884B1 (en) | 2016-04-05 | 2017-03-22 | 김태우 | Connecting device for tent pole and Tent set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30899A1 (en) | Shading system and method of use | |
US8443471B2 (en) | Rope and fastener assembly | |
JP2020515741A (en) | Fly for one-touch tent | |
KR101423001B1 (en) | Pole connect webbing | |
KR200487940Y1 (en) | Hook Device AND Tent Provided With The Hook Device | |
US10557284B2 (en) | Fastening a portable shade apparatus to a fence to provide shade | |
KR101456820B1 (en) | Tent | |
KR20110051310A (en) | Tarp prop pack | |
KR200464211Y1 (en) | Outdoor shade | |
KR200496553Y1 (en) | Apparatus for fixing tarp | |
US6418952B1 (en) | Tent pole foot assembly | |
JP5959431B2 (en) | tent | |
US6810829B1 (en) | Protective cover for a boat having a tee-top | |
KR20100064537A (en) | Umbrella | |
JP4421037B2 (en) | Eggplant cover | |
CN219952854U (en) | A kind of pool tent and pool | |
DK3137371T3 (en) | Universal and fast cover system | |
KR200499313Y1 (en) | Device For Handling Telephone Pole | |
GB2497599A (en) | Tent for motorcyclists | |
JP2025098912A (en) | outdoor shielding device | |
KR20070104313A (en) | Parasol Integrated Tent | |
KR20140003671U (en) | Tarp | |
KR200471539Y1 (en) | Flag pole | |
JP2009263915A (en) | Tent device | |
JP2015055052A (en) | T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3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