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6401B1 -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401B1
KR101456401B1 KR1020137006704A KR20137006704A KR101456401B1 KR 101456401 B1 KR101456401 B1 KR 101456401B1 KR 1020137006704 A KR1020137006704 A KR 1020137006704A KR 20137006704 A KR20137006704 A KR 20137006704A KR 101456401 B1 KR101456401 B1 KR 10145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robe
tool
length
main shaft
workpie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754A (ko
Inventor
요시카츠 사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4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 B23Q17/24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for measuring features or for detecting a condition of machine parts, tools or workpieces
    • B23Q17/2457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for measuring features or for detecting a condition of machine parts, tools or workpieces of tools
    • B23Q17/2461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01B21/045Correction of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7/2233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for adjusting the tool relative to the workpie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16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10T408/17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to control relative positioning of Tool and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3752Pro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3864Milling with means to weigh or test work or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6664Milling including means to infeed rotary cutter toward work
    • Y10T409/307224Milling including means to infeed rotary cutter toward work with infeed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10T409/30728In response to cutter cond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6664Milling including means to infeed rotary cutter toward work
    • Y10T409/307224Milling including means to infeed rotary cutter toward work with infeed control means energized in response to activator stimulated by condition sensor
    • Y10T409/307336In response to work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hine Tool Sens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주축(115)에 터치 프로브(102)를 장착하고, 주축(115)의 축 단부를 소정의 위치(Ps1)에 위치시키고 있을 때의 프로브(102)의 온 상태의 선단부(102a)의 위치 Pp1 및 오프 상태의 선단부(102a)의 위치 Pp2를 카메라(123)로 광학적으로 각각 계측하고, 상기 위치 Pp1, Pp2에 기초하여 프로브(102)의 불감대 영역 길이 Lp2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 Ps1 및 상기 위치 Pp2에 기초하여 프로브(102)의 외관상의 길이 Lp1을 산출하고, 이 외관상의 길이 Lp1에 불감대 영역 길이 Lp2를 가미하여 프로브(102)의 실질적인 길이 Lp3을 산출하고 나서, 프로브(102)에 의해 작업물(1)의 실제의 높이 Lw를 구한 후, 주축(115)에 공구(103)를 장착하고, 공구(103)의 선단부(103a)의 위치 Pt1을 카메라(123)로 광학적으로 계측하여 공구(103)의 실제의 길이 Lt를 산출하고, 상기 높이 Lw 및 상기 길이 Lt에 기초하여 가공을 실시한다.

Description

가공 방법 {MACHINING METHOD}
본 발명은, 주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구와 테이블 상에 고정 지지되는 작업물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당해 작업물에 가공을 실시하는 머시닝센터 등의 공작 기계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구와 테이블 상에 고정 지지되는 작업물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당해 작업물에 가공을 실시하는 머시닝센터 등의 공작 기계에 있어서는, 작업물에 대해 고정밀도로 가공을 실시하기 위해, 우선, 주축에 장착한 공구의 실제의 길이 및 테이블 상의 작업물의 실제의 높이 위치(상하 방향의 길이)를 각각 계측하여 구하고 나서, 당해 공구의 길이 및 당해 작업물의 높이 위치(상하 방향의 길이)에 기초하여 당해 작업물에 가공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공구의 길이 및 작업물의 높이 위치(상하 방향의 길이)는, 종래,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하고 있다.
(1) 주축에 인디케이터를 장착하고, 당해 인디케이터를 테이블의 상면에 접촉시켰을 때의 주축 단부의 위치와 작업물의 상면에 접촉시켰을 때의 주축 단부의 위치의 차분으로부터, 작업물의 높이 위치(상하 방향의 길이)를 구하는 동시에, 주축에 공구를 장착하고, 테이블 상에 적재된 접촉식(또는 레이저식)의 공구 측정 장치의 검출부에 상기 공구를 접촉(또는 레이저광을 차단)시켜 당해 공구 측정 장치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의 주축 단부의 위치로부터 당해 공구 측정 장치의 높이를 뺌으로써 당해 공구의 길이를 구한다.
(2) 주축에 터치 프로브를 장착하고, 당해 터치 프로브를 작업물의 상면에 접촉시켜 당해 터치 프로브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의 주축 단부의 위치로부터 당해 터치 프로브의 길이를 뺌으로써 당해 작업물의 높이 위치(상하 방향의 길이)를 구하는 동시에, 주축에 공구를 장착하고, 상기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공구의 길이를 구한다.
(3) 주축에 터치 프로브를 장착하고, 테이블 상에 적재된 기준 블록의 상면에 당해 터치 프로브를 접촉시켜 당해 터치 프로브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의 주축 단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기준 블록의 높이를 뺌으로써 당해 터치 프로브의 실제의 길이를 산출하고, 당해 터치 프로브를 작업물의 상면에 접촉시켜 당해 터치 프로브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의 주축 단부의 위치로부터 상기 터치 프로브의 실제의 길이를 뺌으로써 당해 작업물의 높이 위치(상하 방향의 길이)를 구하는 동시에, 주축에 공구를 장착하고, 상기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공구의 길이를 구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89608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공구의 길이 및 작업물의 높이 위치(상하 방향의 길이)를 구하면,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에 수반하여, 상기 (1)에서는 공구 측정 장치의 온도 변화 길이, 상기 (2)에서는 공구 측정 장치 및 터치 프로브의 온도 변화 길이, 상기 (3)에서는 공구 측정 장치 및 기준 블록의 온도 변화 길이가 더해져 버려, 고정밀도의 가공이 어렵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예를 들어 (4) 주축에 터치 프로브를 장착하고, 테이블 상에 적재된 접촉식(또는 레이저식)의 공구 측정 장치의 검출부에 상기 터치 프로브를 접촉(또는 레이저광을 차단)시켜 당해 공구 측정 장치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의 주축 단부의 위치로부터 당해 공구 측정 장치의 높이를 뺌으로써 당해 터치 프로브의 실제의 길이를 산출하고, 당해 터치 프로브를 작업물의 상면에 접촉시켜 당해 터치 프로브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의 주축 단부의 위치로부터 당해 터치 프로브의 실제의 길이를 뺌으로써 당해 작업물의 높이 위치(상하 방향의 길이)를 구하는 동시에, 주축에 공구를 장착하고, 상기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공구의 길이를 구하는, 즉, 공구 및 터치 프로브의 양자 모두 테이블 상의 동일한 상기 측정 장치로 측정함으로써, 당해 측정 장치의 온도 변화 길이를 캔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 (4)와 같이 터치 프로브의 실제의 길이를 접촉식(또는 레이저식)의 공구 측정 장치로 구하면, 당해 터치 프로브의 불감대 영역 길이(접촉하고 나서 온으로 될 때까지의 동안에 변화되는 길이)가 가산되어 버려, 역시 고정밀도의 가공이 어렵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종래보다도 고정밀도로 가공할 수 있는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가공 방법은, 주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구와 테이블 상에 고정 지지되는 작업물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당해 작업물에 가공을 실시하는 공작 기계의 가공 방법이며, 상기 주축에 터치 프로브를 장착하고, 당해 주축의 축 단부를 소정의 위치 Ps1에 위치시키고 있을 때의 당해 터치 프로브의 온 상태의 선단부의 위치 Pp1 및 오프 상태의 선단부의 위치 Pp2를 광학적으로 각각 계측하고, 당해 위치 Pp1, Pp2에 기초하여 당해 터치 프로브의 불감대 영역 길이 Lp2를 산출하는 터치 프로브 불감대 영역 길이 산출 공정과, 상기 주축의 상기 축 단부의 상기 위치 Ps1 및 상기 터치 프로브의 오프 상태의 상기 선단부의 상기 위치 Pp2에 기초하여 당해 터치 프로브의 외관상의 길이 Lp1을 산출하고, 당해 길이 Lp1에 상기 불감대 영역 길이 Lp2를 가미함으로써, 당해 터치 프로브의 실질적인 길이 Lp3을 산출하는 터치 프로브 길이 산출 공정과, 상기 주축에 장착된 상기 터치 프로브의 선단부를 상기 테이블 상의 상기 작업물의 상면에 접촉시켜 당해 터치 프로브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의 당해 주축의 축 단부의 위치 Ps2 및 상기 터치 프로브의 실질적인 길이 Lp3에 기초하여 당해 작업물의 실제의 높이 Lw를 구하는 작업물 높이 산출 공정과, 상기 주축에 상기 공구를 장착하고, 당해 주축의 축 단부를 소정의 위치 Ps3에 위치시키고 있을 때의 당해 공구의 선단부의 위치 Pt1을 광학적으로 계측하고, 상기 주축의 상기 축 단부의 상기 위치 Ps3 및 상기 공구의 상기 선단부의 상기 위치 Pt1에 기초하여 당해 공구의 실제의 길이 Lt를 산출하는 공구 길이 산출 공정과, 상기 작업물 높이 산출 공정에서 산출된 상기 작업물의 상기 높이 Lw 및 상기 공구 길이 산출 공정에서 산출된 상기 공구의 상기 길이 Lt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물과 상기 공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당해 작업물에 가공을 실시하는 본 가공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가공 방법에 따르면, 터치 프로브의 온 상태의 선단부의 위치 Pp1 및 오프 상태의 선단부의 위치 Pp2를 광학적으로 계측함으로써, 터치 프로브의 불감대 영역 길이 Lp2를 산출하여, 터치 프로브의 외관상의 길이 Lp1로부터 실질적인 길이 Lp3을 구하는 동시에, 공구의 선단부의 위치 Pt1을 광학적으로 계측함으로써, 공구의 길이 Lt를 구하므로, 온도 변화에 수반되는 측정 오차를 없앨 수 있는 동시에, 터치 프로브의 불감대 영역 길이 Lp2에 의한 측정 오차도 없앨 수 있으므로, 작업물에 대해 종래보다도 고정밀도로 가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가공 방법을 사용하는 공작 기계의 주된 실시 형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작 기계의 주요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작 기계의 주요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터치 프로브의 실제의 길이의 구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작업물의 실제의 높이 위치(상하 방향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6은 공구의 실제의 길이를 구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가공 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된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가공 방법의 주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작 기계(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드(111) 상의 Y축 방향 일측(도 1 중, 우측)에 컬럼(112)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 컬럼(112)의 전방면에는, 새들(113)이 X축 방향[도 1 중, 지면(紙面)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새들(113)의 전방면에는, 주축 헤드(114)가 Z축 방향(도 1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축 헤드(114)에는, C축 주위(도 1 중, 상하 방향의 연직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주축(1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축(115)의 축 단부에는, 공구나 터치 프로브 등의 어태치먼트(10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컬럼(112)의 측부에는, 자동 공구 교환 장치(117)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자동 공구 교환 장치(117)는, 매거진 내에 수납되어 있는 다수의 어태치먼트(101) 중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어태치먼트(101)를 취출하여, 주축(115)의 축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101)를 제거하고 상기 어태치먼트(101)를 당해 주축(115)의 당해 축 단부에 새롭게 장착하고, 제거한 상기 어태치먼트(101)를 매거진 내에 수납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드(111) 상의 Y축 방향 타측(도 1 중, 좌측)에는, 작업물(1)을 고정 지지하는 테이블(116)이 Y축 방향(도 1 중,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116) 상에는, 상기 주축(115)의 축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어태치먼트(101)의 선단부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의 위치를 광학적으로 계측하는 어태치먼트 계측 수단인 어태치먼트 계측 장치(120)가 상기 작업물(1)의 가공시에 장해로 되지 않는 위치에 적재되어 있다.
상기 어태치먼트 계측 장치(1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16) 상에 설치되어 오목부(121a)를 갖도록 오목형을 이루는 지지대(121)와, 이 지지대(121)의 한쪽의 상단부에 지지된 광원(122)과, 이 광원(122)에 대향하도록 지지대(121)의 다른 쪽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촬상 수단인 CCD 카메라(1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호 124는, 상기 지지대(121)의 오목부(121a)에 설치 가능한 압박대(124)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 계측 장치(120)의 상기 CCD 카메라(123)는, 제어 수단인 제어 장치(130)의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130)의 입력부에는, 당해 제어 장치(130)에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인 입력 장치(131)가 전기적으로 더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130)의 출력부에는, 상기 자동 공구 교환 장치(117)와, 상기 주축(115)을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새들(113), 상기 주축 헤드(114), 상기 테이블(116)을 각각 이동시키는 각종 구동 모터(118)와, 상기 주축(115)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19)와, 상기 광원(122)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당해 제어 장치(130)는, 상기 입력 장치(131)로부터 입력된 정보나 상기 CCD 카메라(123)에 의해 촬상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공구 교환 장치(117)나 상기 구동 모터(118, 119)나 상기 광원(122) 등의 작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작 기계(100)를 사용하는 가공 방법을 다음에 설명한다.
우선, 본 공작 기계(100)의 가동 운전을 실시하기 전에, 이하에 설명하는 사전 설정 공정을 행한다.
우선, 상기 주축(105)의 축 단부에 상기 터치 프로브(102)를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어태치먼트 계측 장치(120)의 상기 지지대(121)의 상기 오목부(121a)에 상기 압박대(124)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 장치(130)를 작동시키면, 당해 제어 장치(130)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터치 프로브(102)의 선단부(102a)를 상기 어태치먼트 계측 장치(120)의 상기 압박대(124)의 상면에 접촉시켜 당해 터치 프로브(102)를 온 상태로 하도록, 상기 모터(118)를 작동시켜 상기 새들(113)이나 상기 주축 헤드(114)나 상기 테이블(116) 등을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터치 프로브(10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터치 프로브(102)가 온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면, 상기 주축(115)의 축 단부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위치 Ps1을 기록하는 동시에, 상기 광원(122)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도록 당해 광원(122)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CCD 카메라(123)에 의해 상기 터치 프로브(102)의 선단부(102a)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위치 Pp1을 촬상하여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터치 프로브(102)의 선단부(102a)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위치 Pp1을 상기 CCD 카메라(123)에 의해 촬상하여 기록한 후, 상기 어태치먼트 계측 장치(120)의 상기 지지대(121) 상으로부터 상기 압박대(124)를 제거하면,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터치 프로브(102)의 선단부(102a)가 자연 길이까지 신장되어 오프 상태로 되므로, 상기 제어 장치(130)는, 당해 터치 프로브(10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터치 프로브(102)가 오프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여, 상기 광원(122)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도록 당해 광원(122)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CCD 카메라(123)에 의해 상기 터치 프로브(102)의 선단부(102a)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위치 Pp2를 촬상하여 기록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터치 프로브(102)의 온 상태의 선단부(102a)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위치 Pp1과 오프 상태의 선단부(102a)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위치 Pp2의 차분으로부터, 당해 터치 프로브(102)의 불감대 영역 길이 Lp2(=Pp2-Pp1)를 산출하고, 이것을 기억한다.
그리고, 상기 주축(105)의 축 단부로부터 상기 터치 프로브(102)를 제거함으로써, 사전 설정 공정을 종료한다(이상, 터치 프로브 불감대 영역 길이 산출 공정).
이와 같이 하여 사전 설정 공정을 종료한 후, 본 공작 기계(100)를 가동하여 실제로 작업물(1)의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공정을 행한다.
우선, 상기 테이블(116) 상에 작업물(1)을 적재하여 고정 지지하는 동시에, 당해 작업물(1)의 조건이나 가공 조건 등의 각종 조건을 상기 입력 장치(131)에 입력하면,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자동 공구 교환 장치(117)의 매거진 내에 수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101) 중으로부터 터치 프로브(102)를 선택하여 상기 주축(115)의 축 단부에 장착하도록 상기 모터(118)를 작동시켜 상기 새들(113)이나 상기 주축 헤드(114) 등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자동 공구 교환 장치(117)를 작동시킨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어태치먼트 계측 장치(120)의 상기 지지대(121)의 상방의 소정의 위치 Ps1에 상기 주축(115)을 위치시켜 당해 지지대(121)의 상기 오목부(121a)에 상기 터치 프로브(102)의 선단부(102a)를 위치시키도록 상기 모터(118)를 작동시켜 상기 새들(113)이나 상기 주축 헤드(114)나 상기 테이블(116) 등을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광원(122)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도록 당해 광원(122)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CCD 카메라(123)에 의해 상기 터치 프로브(102)의 선단부(102a)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위치 Pp2를 촬상하여 기록함으로써, 당해 터치 프로브(102)의 외관상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길이 Lp1(=Pp2-Ps1)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새롭게 구한 상기 터치 프로브(102)의 상기 길이 Lp1에 대해, 상기 사전 설정 공정에서 기억된 상기 불감대 영역 길이 Lp2를 가미함으로써, 실제의 가공 환경에 있어서의 당해 터치 프로브(102)의 실질적인 길이 Lp3(=Lp1-Lp2)을 구한다(이상, 터치 프로브 길이 산출 공정).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터치 프로브(102)의 실질적인 길이 Lp3을 구하면,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테이블(116) 상의 상기 작업물(1)의 상면에 당해 터치 프로브(102)의 선단부(102a)를 접촉시켜 온 상태로 하도록 상기 모터(118)를 작동시켜 상기 새들(113)이나 상기 주축 헤드(114)나 상기 테이블(116) 등을 이동시킨다.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터치 프로브(10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터치 프로브(102)가 온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때의 상기 주축(115)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축 단부의 위치 Ps2, 즉, 상기 주축(115)의 축 단부와 상기 테이블(116)의 상면 사이의 길이 Ls2 및 당해 터치 프로브(102)의 실질적인 길이 Lp3으로부터, 상기 작업물(1)의 실제의 높이(상하 방향의 길이) Lw(=Ls2-Lp3)를 구한다(이상, 작업물 높이 산출 공정).
이와 같이 하여 작업물(1)의 실제의 높이(상하 방향의 길이) Lw를 구하면,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자동 공구 교환 장치(117)의 매거진 내에 수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101) 중으로부터 선택한 공구(103)와 상기 주축(115)의 상기 터치 프로브(102)를 교환하도록 상기 모터(118)를 작동시켜 상기 새들(113)이나 상기 주축 헤드(114) 등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자동 공구 교환 장치(117)를 작동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 장치(13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주축(115)의 축 단부를 규정 위치 Ps3에 위치시켜 상기 공구(103)의 선단부(103a)를 상기 어태치먼트 계측 장치(120)의 상기 지지대(121)의 상기 오목부(121a) 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모터(118)를 작동시켜 상기 새들(113)이나 상기 주축 헤드(114)나 상기 테이블(116) 등을 이동시키면, 상기 광원(122)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도록 당해 광원(122)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CCD 카메라(123)에 의해 상기 공구(103)의 선단부(103a)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위치 Pt1을 촬상하여 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주축(115)의 축 단부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위치 Ps3 및 상기 공구(103)의 선단부(103a)의 Z축 방향(상하 방향)의 상기 위치 Pt1로부터, 당해 공구(103)의 실제의 길이 Lt(=Pt1-Ps3)를 산출한다(이상, 공구 길이 산출 공정).
이와 같이 하여 작업물(1)의 실제의 높이(상하 방향의 길이) Lw 및 공구(103)의 실제의 길이 Lt를 구하면, 상기 제어 장치(130)는, 상기 입력 장치(131)로부터 입력된 각종 조건 및 작업물(1)의 실제의 높이(상하 방향의 길이) Lw 및 공구(103)의 실제의 길이 Lt에 기초하여, 당해 작업물(1)과 당해 공구(103)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당해 작업물(1)에 가공을 실시하도록 상기 모터(118, 119)를 작동시켜 상기 주축(115)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새들(113)이나 상기 주축 헤드(114)나 상기 테이블(116) 등을 이동시킨다(이상, 본 가공 공정).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터치 프로브(102)의 온 상태의 선단부(102a)의 위치 Pp1 및 오프 상태의 선단부(102a)의 위치 Pp2를 CCD 카메라(123)에 의해 촬상하여 광학적으로 계측함으로써, 당해 터치 프로브(102)의 불감대 영역 길이 Lp2를 산출하여, 당해 터치 프로브(102)의 외관상의 길이 Lp1로부터 실질적인 길이 Lp3을 구하는 동시에, 공구(103)의 선단부(103a)의 위치 Pt1을 CCD 카메라(123)에 의해 촬상하여 광학적으로 계측함으로써, 당해 공구(103)의 길이 Lt를 구하도록 한 것이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온도 변화에 수반되는 측정 오차를 없앨 수 있는 동시에, 터치 프로브(102)의 불감대 영역 길이 Lp2에 의한 측정 오차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작업물(1)에 대해 종래보다도 고정밀도로 가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원(122) 및 CCD 카메라(123)에 의해 상기 터치 프로브(102)의 선단부(102a)나 공구(103)의 선단부(103a)의 위치를 촬상하여 광학적으로 계측하는 어태치먼트 계측 장치(120)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어 레이저광 발광기로부터 레이저광을 스캐닝하면서 터치 프로브(102)의 선단부(102a)나 공구(103)의 선단부(103a)를 향해 발사하여 레이저광 수광기로 수광함으로써, 터치 프로브(102)의 선단부(102a)나 공구(103)의 선단부(103a)의 위치를 광학적으로 계측하는 어태치먼트 계측 수단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가공 방법은, 작업물에 대해 종래보다도 고정밀도로 가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금속 가공 산업 등을 비롯한 각종 산업에 있어서, 극히 유익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작업물
100 : 공작 기계
101 : 어태치먼트
102 : 터치 프로브
102a : 선단부
103 : 공구
103a : 선단부
111 : 베드
112 : 컬럼
113 : 새들
114 : 주축 헤드
115 : 주축
116 : 테이블
117 : 자동 공구 교환 장치
118, 119 : 구동 모터
120 : 어태치먼트 계측 장치
121 : 지지대
121a : 오목부
122 : 광원
123 : CCD 카메라
124 : 압박대
130 : 제어 장치
131 : 입력 장치

Claims (1)

  1. 주축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구와 테이블 상에 고정 지지되는 작업물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당해 작업물에 가공을 실시하는 공작 기계의 가공 방법이며,
    상기 주축에 터치 프로브를 장착하고, 당해 터치 프로브를 장착한 주축의 축 단부를 미리 결정된 위치(Ps1)에 위치시키고 있을 때의 당해 터치 프로브의 온 상태의 선단부의 위치(Pp1) 및 오프 상태의 선단부의 위치(Pp2)를 광학적으로 각각 계측하고, 당해 터치 프로브의 온 상태의 선단부의 위치(Pp1) 및 오프 상태의 선단부의 위치(Pp2)에 기초하여 당해 터치 프로브의 불감대 영역 길이(Lp2)를 산출하는 터치 프로브 불감대 영역 길이 산출 공정과,
    상기 터치 프로브를 장착한 주축의 축 단부의 위치(Ps1) 및 상기 터치 프로브의 오프 상태의 선단부의 위치(Pp2)에 기초하여 당해 터치 프로브의 외관상의 길이(Lp1)를 산출하고, 당해 외관상의 길이(Lp1)에 상기 불감대 영역 길이(Lp2)를 가미함으로써, 당해 터치 프로브의 실질적인 길이(Lp3)를 산출하는 터치 프로브 길이 산출 공정과,
    상기 주축에 장착된 터치 프로브의 선단부를 상기 테이블 상의 상기 작업물의 상면에 접촉시켜 당해 터치 프로브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의 당해 주축의 축 단부의 위치(Ps2) 및 상기 터치 프로브의 실질적인 길이(Lp3)에 기초하여 당해 작업물의 실제의 높이(Lw)를 구하는 작업물 높이 산출 공정과,
    상기 주축에 상기 공구를 장착하고, 당해 공구를 장착한 주축의 축 단부를 미리 결정된 위치(Ps3)에 위치시키고 있을 때의 당해 공구의 선단부의 위치(Pt1)를 광학적으로 계측하고, 상기 공구를 장착한 주축의 축 단부의 위치(Ps3) 및 상기 공구의 선단부의 위치(Pt1)에 기초하여 당해 공구의 실제의 길이(Lt)를 산출하는 공구 길이 산출 공정과,
    상기 작업물 높이 산출 공정에서 산출된 상기 작업물의 높이(Lw) 및 상기 공구 길이 산출 공정에서 산출된 상기 공구의 길이(Lt)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물과 상기 공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당해 작업물에 가공을 실시하는 본 가공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방법.
KR1020137006704A 2010-09-17 2011-07-25 가공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56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8707A JP5473846B2 (ja) 2010-09-17 2010-09-17 加工方法
JPJP-P-2010-208707 2010-09-17
PCT/JP2011/066802 WO2012035883A1 (ja) 2010-09-17 2011-07-25 加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754A KR20130047754A (ko) 2013-05-08
KR101456401B1 true KR101456401B1 (ko) 2014-10-31

Family

ID=4583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7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6401B1 (ko) 2010-09-17 2011-07-25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67283B2 (ko)
JP (1) JP5473846B2 (ko)
KR (1) KR101456401B1 (ko)
CN (1) CN103079758B (ko)
TW (1) TWI476066B (ko)
WO (1) WO2012035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6486B2 (ja) * 2012-04-05 2016-05-11 トーヨーエイテック株式会社 ワークの位置測定方法および位置測定装置
TWI500474B (zh) 2012-11-09 2015-09-21 Ind Tech Res Inst 工具機刀具的補償量測方法及其系統
WO2017017825A1 (ja) * 2015-07-29 2017-02-02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工具交換方法および工具交換装置
US10357863B2 (en) 2016-04-19 2019-07-23 Okuma Corporation Error identification method of machine tool and error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same
US10359266B2 (en) 2016-04-19 2019-07-23 Okuma Corporation Position measurement method of object in machine tool and position measurement system of the same
TWI786221B (zh) * 2017-12-22 2022-12-11 瑞士商謹觀股份公司 具有用於工具夾具及工件夾具間之三維對齊的光學測量裝置的工具機
JP7266511B2 (ja) * 2019-11-06 2023-04-28 オークマ株式会社 工作機械における対象物の位置計測方法及び位置計測システム、位置計測プログラム
TWI749961B (zh) 2020-12-22 2021-12-11 雷應科技股份有限公司 刀具檢測器
KR102607957B1 (ko) * 2021-12-31 2023-11-30 주식회사 스맥 공작물의 중심을 자동으로 정렬하는 공작기계의 제어방법
JP2023173786A (ja) * 2022-05-26 2023-12-07 オークマ株式会社 基準器設置用治具、工作機械における基準器の測定方法
KR102695483B1 (ko) * 2023-07-31 2024-08-23 특허법인 해안 프로파일 가공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339B1 (ko) * 1995-09-18 1999-01-15 서상기 컴퓨터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열변형 오차측정장치
JP2001105279A (ja) * 1999-10-05 2001-04-17 Toyoda Mach Works Ltd 工作機械における計測補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8342A (ja) * 1986-09-09 1988-03-28 Kuroda Precision Ind Ltd 倣い加工機用測定ホルダ
JPH03277450A (ja) * 1990-03-27 1991-12-09 Mitsubishi Materials Corp 工具寸法測定装置
JP3792812B2 (ja) * 1996-11-11 2006-07-05 オークマ株式会社 ボールエンドミルの真球度測定方法
JP5235284B2 (ja) 2000-10-16 2013-07-10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測定方法及び工作機械
JP2003205439A (ja) * 2002-01-10 2003-07-22 Sodick Co Ltd 工作機械の位置決め方法
JP2003211346A (ja) * 2002-01-15 2003-07-29 Mori Seiki Co Ltd 工作機械の精度解析装置
JP4245375B2 (ja) * 2003-03-03 2009-03-25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工作機械の制御方法及び工作機械
JP4055074B2 (ja) * 2003-07-17 2008-03-0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工作機械制御装置、工作機械制御方法、工作機械制御プログラム及び工作機械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258431C (zh) * 2004-03-31 2006-06-07 清华大学 数控机床误差补偿方法及其系统
CN100483070C (zh) * 2004-05-27 2009-04-29 约翰尼斯海登海恩博士股份有限公司 用于坐标测量的装置和方法
GB0525306D0 (en) * 2005-12-13 2006-01-18 Renishaw Plc Method of machine tool calibration
GB0608235D0 (en) * 2006-04-26 2006-06-07 Renishaw Plc Differential calibration
GB0703423D0 (en) * 2007-02-22 2007-04-04 Renishaw Plc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4959508B2 (ja) * 2007-11-05 2012-06-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のワーク加工方法及び挙動計測装置
JP2010052053A (ja) * 2008-08-26 2010-03-11 Niigata Machine Techno Co Ltd 工具の切刃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TWM371056U (en) * 2009-07-13 2009-12-21 Avex Sg Technology Inc Measuring device for processing datum plane
JP5448634B2 (ja) * 2009-08-11 2014-03-19 オークマ株式会社 機械の誤差同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1339B1 (ko) * 1995-09-18 1999-01-15 서상기 컴퓨터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열변형 오차측정장치
JP2001105279A (ja) * 1999-10-05 2001-04-17 Toyoda Mach Works Ltd 工作機械における計測補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92054A1 (en) 2013-08-01
US9067283B2 (en) 2015-06-30
CN103079758A (zh) 2013-05-01
JP5473846B2 (ja) 2014-04-16
WO2012035883A1 (ja) 2012-03-22
TW201221284A (en) 2012-06-01
KR20130047754A (ko) 2013-05-08
TWI476066B (zh) 2015-03-11
JP2012061570A (ja) 2012-03-29
CN103079758B (zh)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401B1 (ko) 가공 방법
JP6013139B2 (ja) 工具長測定方法および工作機械
JP5385356B2 (ja) レーザ加工機
JP5547948B2 (ja) 研削加工ワークの補正研削加工方法
US10994385B2 (en) Vibration state detection device and machine tool including vibration state detection device
JP2012213840A (ja) 工作機械
JP6189191B2 (ja) 表面形状測定装置および工作機械
JP6120710B2 (ja) 切削装置
JP6603203B2 (ja) 工作機械における対象物の位置計測方法及び位置計測システム
JP2008070143A (ja) 光学式測定システム
JP5622250B1 (ja) 較正機能付きワーク加工装置
KR20120069056A (ko) 공작기계의 공구계측을 이용한 열변위 보정장치 및 방법
JP4986880B2 (ja) マイクロマシンやマイクロフライスマシンの工具長補正方法
JP5389613B2 (ja) 切削装置における切削ブレードの消耗量管理方法
JP2008076200A (ja) 光学式測定システム
TWI511821B (zh) Laser processing machine
JP5072743B2 (ja) マイクロマシンおよびマイクロフライスマシン
JP7512119B2 (ja) Nc工作機械に取り付け可能な画像測定ヘッド装置、および、nc工作機械システムの制御方法
TW201422360A (zh) 固定座的檢測與加工裝置及其作業方法
JP6057853B2 (ja) 切削装置
TWI886335B (zh) 工作機械、位置資訊修正方法、及位置資訊修正程式
JPH08264493A (ja) ダイシング装置
JP2006175540A5 (ko)
JP2005046944A (ja) 工作機械の熱変位補正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6300537A (ja) 光学式測定装置及び光学式測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