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5829B1 - 탄속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탄속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829B1
KR101455829B1 KR1020120157084A KR20120157084A KR101455829B1 KR 101455829 B1 KR101455829 B1 KR 101455829B1 KR 1020120157084 A KR1020120157084 A KR 1020120157084A KR 20120157084 A KR20120157084 A KR 20120157084A KR 101455829 B1 KR101455829 B1 KR 101455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head
speed
yoke
magnet
adap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301A (ko
Inventor
정규채
손대락
신준구
이성민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2015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82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8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1/00Electric fuzes
    • F42C11/06Electric fuzes with time delay by electric circui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1/00Electric fuzes
    • F42C11/001Electric circuits for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7/00Fuze-setting apparatus
    • F42C17/04Fuze-setting apparatus for electric fuz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9/00Time fuzes; Combined time and percussion or pressure-actuated fuzes; Fuzes for timed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variable reluctance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발사체에서 발사된 탄두가 정확한 폭발 위치에서 폭발할 수 있도록 탄두의 탄속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는 탄두의 탄속을 측정하기 위한 탄속 신호를 발생하는 탄속 신호 발생부와, 그 탄속 신호를 이용하여 탄속을 측정하는 탄속 측정부를 포함하며, 이때, 탄속 신호 발생부는 발사체에서 발사된 탄두가 통과하는 어댑터의 두 지점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자석 및 자석 양단의 자속이 어댑터 내부로 향해 자기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안내하는 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 요크를 통해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이 어댑터의 내부로 향하게 되므로 자속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속 측정 장치{MUZZLE VELOCITY MEASURING APPARATUS}
발사체에서 발사된 탄두가 정확한 폭발 위치에서 폭발할 수 있도록 탄두의 탄속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약에 있어서 기계식 및 화공식 신관은 목표물에 충돌하여 폭발하는 충격기능과 설정시간에 의해 폭발하는 시한기능으로 크게 구분되며, 전자식 신관은 기계식 및 화학식 신관의 기능을 포함하면서 전파를 이용한 근접 기능이 부가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식 신관은 주로 공중 폭발탄에 사용되고 있다. 공중 폭발탄은 목표물까지의 거리가 레이저 레인지 파인더로 측정되면 그 거리에 해당하는 시간 또는 탄의 회전수를 사격통제장치에서 신관에 입력하고, 이후 발사된 탄이 설정된 거리에 도달하면 공중에서 폭발하게 된다.
사격통제장치에서 입력된 목표물의 위치 데이터와 실제로 공중 폭발탄이 비행하여 기폭되는 위치와는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탄이 총열을 이탈한 후 탄속을 측정하여 최종 위치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과 일정하게 회전하는 탄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최종 위치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9-0061892호에는 발사체에서 발사되어 총열을 이탈한 탄두의 속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시한을 보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탄속 측정 방법은 자석에 의한 자기장이 외부로 유출이 되어 이물질이 달라붙고, 자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어댑터의 내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요크가 형성된 탄속 측정 장치가 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탄두의 탄속을 측정하기 위한 탄속 신호를 발생하는 탄속 신호 발생부와, 그 탄속 신호를 이용하여 탄속을 측정하는 탄속 측정부를 포함하는 탄속 측정 장치에 있어서, 탄속 신호 발생부는 발사체에서 발사된 탄두가 통과하는 어댑터의 두 지점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자석 및 자석 양단의 자속이 어댑터 내부로 향해 자기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안내하는 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속 신호 발생부는 탄두에 형성되며 탄두가 어댑터에 형성된 한 쌍의 자석을 통과할 때 탄속 신호를 발생하는 탐지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의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요크의 일측이 안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소정 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탄속 측정부는 탐지 코일에 의해 발생된 탄속 신호를 기초로 탄속을 산출하는 탄속 산출부 및 산출된 탄속을 이용하여 비행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속 측정 장치는 탄두의 폭발 거리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폭발 거리 정보 및 산출된 비행 거리를 기초로 상기 탄두의 폭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석은 네오디뮴(Nd)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대부분의 자속이 어댑터의 내부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요크가 형성되어 외부로 자속의 유출을 최대한 방지하여 약한 자석을 사용하여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탄속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요크의 모양에 따른 누설 자기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를 이용한 탄속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탄속 측정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탄속 측정 장치의 일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탄속 측정 장치는 총열의 일단에 장착된 어댑터(20)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센서가 형성되고, 제1센서는 상하 2개의 자석(22a, 22b)과 미도시된 전후 2개의 자석이 방사상 형태로 배치되고, 제2 센서 역시 상하 2개의 자석(23a,23b)과 미도시된 전후 2개의 자석이 방사상 형태로 배치된다.
발사체에 의해 탄두(10)가 발사되면, 탄두(10)에 형성된 탐지코일(12)이 한 쌍의 센서를 통과할 때 각 센서의 자석에 의해 펄스 신호가 발생하고 탄두(10)는 발생된 펄스 신호를 기초로 실제 탄속을 측정한다. 탄두(10)의 실제 속도가 측정되면 그 실제 측정된 탄속을 기초로 목표물의 위치까지 비행 시간을 산출하여 미리 설정된 폭발 시한을 보정한다.
즉, 탄두(10)에는 탐지코일(12)에 의해 발생된 펄스 신호를 기초로 탄속을 산출하는 탄속 측정 회로(미도시)와 초기 시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탄속 측정 회로에서 산출된 탄속을 기초로 시한을 보정하고 폭발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반적인 탄속 측정 장치는 각 센서에 형성된 4개의 자석이 외부로 노출되어 그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외부로 유출되는 자기장에 의해 총열에 이물질이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100)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100)는 탄속 신호 발생부(110), 탄속 측정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속 신호 발생부(110)는 탄두(10)에 형성된 탐지코일(111)과 어댑터(20)에 형성된 한 쌍의 센서(112,115)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20)는 별도로 제작되어 발사체 총열(30)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발사체의 제작시 총열(30)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1 센서(112)와 제2 센서(115)는 어댑터(2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각 센서(112,115)는 자석(114,117)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114,117)은 링 형태로 형성된 영구자석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사상 형태로 자화된 네오디뮴(Nd) 자석일 수 있다. 방사상 형태로 자화된 네오디뮴(Nd)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누설 자기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탄두(10)가 발사체에서 발사되면 어댑터(20)를 통과하여 목표물까지 비행을 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 즉, 목표물이 위치한 거리에 도달하면 공중에서 폭발하게 된다. 이때, 비행하는 탄두(10)가 미리 설정된 정확한 폭발 위치에서 폭발하기 위해서는 탄두(10)가 실제로 비행하는 거리를 산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비행하는 탄두(10)의 실제 속도를 정확히 측정할 필요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두(10)가 비행하여 어댑터(20)를 통과하게 되면, 탄두(10)에 형성된 탐지코일(111)이 그 어댑터(20)에 형성된 제1, 제2 센서(112, 115)의 자석(114,117)을 통과하면서 탄속에 관련된 펄스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즉, 탐지코일(111)이 먼저 제1 센서(112)의 자석(114)를 지나갈 때 제1 탄속 신호가 발생하고, 일정 시간 후에 제2 센서(115)의 자석(117)을 지나갈 때 제2 탄속 신호가 발생한다.
탄속 측정부(120)는 탄두(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탐지코일(111)이 제1,제2 센서(112,115)를 지나면서 발생된 제1 탄속 신호 및 제2 탄속 신호를 이용하여 비행하는 탄두의 실제 속도를 측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탄속 측정부(120)는 제1 센서(112) 및 제2 센서(115) 간의 거리와, 제1 탄속 신호와 제2 탄속 신호의 시간 간격을 이용하여 탄속을 산출하는 탄속 산출부(121)와, 탄속 산출부(121)에서 탄두(10)의 실제 비행 속도가 측정되면 그 탄속을 기반으로 비행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양상에 따르면, 탄속 측정 장치(100)는 탄두(10)의 폭발 거리, 즉 비행 거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미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탄두(10)에 더 포함할 수 있다. 탄두(10)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접촉식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비접촉식 근거리 통신 모듈, 블루투스, 무선랜(WiFi) 등의 통신 모듈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밖의 다양한 통신 모듈이 탄두(10)에 탑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목표물의 위치가 파악되고 발사체에서 목표물까지의 거리 정보가 산출되면 탄두(10)를 발사하기 전에 탄두(10)가 비행하여 폭발할 폭발 거리, 즉 탄두의 실제 비행 거리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설정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폭발 거리 정보를 수신하여 미도시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탄두가 발사되어 비행하여 비행 거리가 산출되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폭발 거리 정보와 비교하여 탄두(10)가 설정된 폭발 거리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 폭발 거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폭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미리 입력된 비행 거리 정보와 실제로 탄두(10)가 발사되어 비행하는 도중 산출되는 거리 정보를 기초로 목표물이 위치한 정확한 지점에서 폭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탄속 측정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1 센서(112) 또는 제2 센서(115)에 요크(yok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센서(112) 및 제2 센서(115) 모두에 요크(113a,113b,116a,116b)가 포함되어 있으며, 요크(113a,113b,116a,116b)는 자석(114,117) 양단에 형성되는 자속이 어댑터(20)의 내부로 향해 자기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112)와 제2 센서(115)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요크(예: 제1 센서의 113a, 113b, 제2 센서의 116a, 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요크(113a,113b,116a,116b)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요크(113a,113b,116a,116b)의 일면이 자석(114,117)의 양단에 밀착되어 자석(114,117)의 양단에 형성되는 자기장을 어댑터(20)의 내부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센서(112) 또는 제2 센서(115)에는 도 2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 자석과 요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112)와 제2 센서(115)에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는 자석과 요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각 센서(112,115)에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자석과 요크를 포함하거나, 어느 하나의 센서에만 요크가 포함되고, 다른 센서에는 요크가 포함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탄속 측정 장치(100)를 구성하는 요크와 자석의 다양한 구조와, 그 다양한 구조에 따라 누설 자기장을 측정한 모의 실험 결과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속 신호 발생부(110)에 포함된 자석과 요크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는 탄속 측정 장치(100)에 형성된 자석(119)과 요크(118a,118b) 구조의 제1 실시예로서, 제1 실시예와 같이 제작된 자석(119)과 요크(118a,118b)의 구조에서 요크(118a,118b)의 윗면, 즉 어댑터(20)의 외부 방향에서의 X축(탄두(10)의 비행 방향)을 따라서 측정한 누설 자기장을 도시한 것이다.
그래프의 X축은 제1 요크(118a)의 자석(119)과 맞닿지 않은 일단에서 제2 요크(118b)의 자석(119)와 맞닿지 않은 일단까지의 거리를 나타낸 것이고, Y축은 측정된 누설 자기장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크(118a)의 자석(119)과 맞닿지 않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누설 자기장이 증가하다가 다시 자석(119)의 중심에 가까울수록 감소하고, 자석(119)의 중심 부분에서 제2 요크(118b)의 자석과 맞닿지 않은 일단으로 갈수록 반대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요크(118a,118b)에 의해 자석(119)의 양단의 자속이 내부로 향하게 되면서 자석(119)의 중심부로 갈수록 누설 자기장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b는 탄속 측정 장치(100)에 형성된 자석(119)과 요크(118a,118b) 구조의 제2 실시예로서, 제2 실시예와 같이 제작된 자석(119)과 요크(118a,118b)의 구조에서 요크(118a,118b)의 윗면에서의 X축(탄두(10)의 비행 방향)을 따라서 측정한 누설 자기장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자석(119)의 부피는 동일하나 폭을 길게 하고, 어댑터(20)의 내부로 향하는 요크(118a,118b)의 일측이 안쪽 방향으로 소정 각도 휘어지게 형성한 것이다. 도 4b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도 4a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그래프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지만, 자석(119)의 중심 쪽으로 갈수록 누설 자기장이 제1 실시예 보다 훨씬 감소되어 그 성능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댑터(20)의 내부로 향하는 요크(118a,118b)의 일측을 안쪽 방향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외부로 유출되는 자기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c는 탄속 측정 장치(100)의 제3 실시예로서, 제3 실시예와 같이 제작된 자석(119a,119b)과 요크(118a,118b,118c)의 구조에서 요크(118c) 윗면에서의 X축(탄두(10)의 비행 방향)을 따라서 측정한 누설 자기장을 도시한 것이다.
도 4c의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총 부피는 동일한 2개의 자석(119a,119b)을 나누어 넣고, 3개의 요크(118a,118b,118c)로 2개의 자석(119a,119b)의 양단을 밀착시켜 외부로 자석(119a,119b) 양단의 자속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이때, 어댑터(20)의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요크(118a,118b)의 일측은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쪽 방향으로 소정 각도 휘어지게 형성한 것이다. 도 4c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자석(119)의 중심 쪽으로 갈수록 누설 자기장이 제2 실시예 보다 더 감소되어 그 성능이 더욱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100)에 적용가능한 자석과 요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100)에 적용가능한 자석과 요크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의 양단에 형성되는 자속을 탄두가 통과하는 어댑터의 내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탄속 측정 장치에 비해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기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현저히 감소하므로 자력이 약한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외부로 유출되는 자기장에 의해 이물질이 붙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를 이용한 탄속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탄속 측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탄속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탄속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가 탄두(10)에 형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폭발 거리 정보를 설정하면, 그 폭발 거리 정보를 입력받는다(단계 510). 이때, 탄속 측정 장치(100)는 폭발 거리 정보가 입력되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가 발사체를 이용하여 탄두(10)를 발사하면, 탄두(10)는 총열(30)의 일단에 장착되거나 그 총열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어댑터(20)를 통과한다. 이때, 탄두(10)는 어댑터(20)에 형성된 제1 센서(112) 및 제2 센서(115)의 자석(114,117)을 통과하게 되고, 탄두(10)에 형성된 탐지코일(111)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두 번의 탄속에 관한 펄스 신호가 발생한다(520).
이때, 제1 센서(112) 및 제2 센서(115)는 자석(114,117)의 양단에 형성되는 자기장이 어댑터(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자기장이 어댑터(20)의 내부로 향해 자기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안내하는 요크(113a,113b,116a,11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탄속 측정 장치(100)는 두 번의 탄속 신호가 발생하면 그 탄속 신호를 수신하여 발사된 탄두의 실제 비행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단계 530). 일반적으로 탄두(10)는 제조 환경 및 발사 환경 등의 여러 가지 사정에 따라 비행 속도는 약간씩 다르게 된다. 즉, 동일한 탄두(10)라고 하더라도 발사체에 따라 비행 속도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목표물의 위치 및 발사체에서 그 목표물까지의 거리가 정확히 파악된다고 하더라도 이와 같은 제반 사정에 따라 정확한 목표물 상공에서 폭발하게 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발사체에서 발사된 탄두(10)의 실제 비행 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 다음, 탄두(10)의 실제 비행 속도가 산출되면 그 비행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탄두가 실제 비행하는 거리를 산출하고(단계 540), 산출된 실제 비행 거리가 최초 설정된 폭발 거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폭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55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탄속 측정 장치 110: 탄속 신호 발생부
111: 탐지코일 112,115: 한 쌍의 센서
113a,113b,116a,116b,118a,118b,118c : 요크
114,117, 119: 자석
120: 탄속 측정부 121: 탄속 산출부
122: 거리 산출부 130: 제어부

Claims (6)

  1. 탄두의 탄속을 측정하기 위한 탄속 신호를 발생하는 탄속 신호 발생부와, 그 탄속 신호를 이용하여 탄속을 측정하는 탄속 측정부를 포함하는 탄속 측정 장치에 있어서,
    탄속 신호 발생부는,
    발사체에서 발사된 탄두가 통과하는 어댑터의 두 지점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자석; 및
    상기 자석 양단의 자속이 어댑터의 내부로 향해 자기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안내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두 지점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자석은 각각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제1 자석과 제2 자석의 어댑터 외부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제1 요크, 상기 제1 자석의 어댑터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제2 요크 및 상기 제2 자석의 어댑터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제3 요크를 포함하고, 어댑터의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제2 요크 및 제3 요크의 일측이 안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소정 각도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탄속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탄속 신호 발생부는,
    탄두에 형성되며 탄두가 어댑터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자석을 통과할 때 탄속 신호를 발생하는 탐지 코일;을 더 포함하는 탄속 측정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속 측정부는
    상기 탐지 코일에 의해 발생된 탄속 신호를 기초로 탄속을 산출하는 탄속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탄속을 이용하여 비행 거리를 계산하는 거리 산출부;를 포함하는 탄속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탄두의 폭발 거리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폭발 거리 정보 및 상기 산출된 비행 거리를 기초로 상기 탄두의 폭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탄속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네오디뮴(Nd) 자석을 포함하는 탄속 측정 장치.


KR1020120157084A 2012-12-28 2012-12-28 탄속 측정 장치 Active KR101455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084A KR101455829B1 (ko) 2012-12-28 2012-12-28 탄속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084A KR101455829B1 (ko) 2012-12-28 2012-12-28 탄속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301A KR20140087301A (ko) 2014-07-09
KR101455829B1 true KR101455829B1 (ko) 2014-10-30

Family

ID=5173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084A Active KR101455829B1 (ko) 2012-12-28 2012-12-28 탄속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792A (ko) 2018-11-07 2020-05-15 주식회사 한화 계측 데이터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6242B (zh) * 2019-04-28 2021-06-01 芜湖博高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毫米波近炸引信动态测试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932A (ja) * 1995-01-10 1996-07-23 Nissan Motor Co Ltd ピックアップセンサおよびピックアップセンサを適用した車速検出装置
JPH08271541A (ja) * 1995-03-21 1996-10-18 Oerlikon Contraves Ag 高発射速度の火砲の砲口で弾丸速度を測定する装置
KR100639045B1 (ko) * 1996-01-05 2007-05-14 제너럴 다이나믹스 올드넌스 앤드 텍티컬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발사체속도측정시스템및속도계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932A (ja) * 1995-01-10 1996-07-23 Nissan Motor Co Ltd ピックアップセンサおよびピックアップセンサを適用した車速検出装置
JPH08271541A (ja) * 1995-03-21 1996-10-18 Oerlikon Contraves Ag 高発射速度の火砲の砲口で弾丸速度を測定する装置
KR100639045B1 (ko) * 1996-01-05 2007-05-14 제너럴 다이나믹스 올드넌스 앤드 텍티컬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발사체속도측정시스템및속도계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792A (ko) 2018-11-07 2020-05-15 주식회사 한화 계측 데이터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301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195B1 (ko) 탄속 측정 장치 및 방법
US7566027B1 (en) Roll orientation using turns-counting fuze
KR100639045B1 (ko) 발사체속도측정시스템및속도계산방법
ES2650609T3 (es) Determinación de la velocidad de salida de un proyectil
CN103575926B (zh) 适用于高过载弹用微惯导系统的炮口初速实时测量方法
JP5882912B2 (ja) プログラム可能な砲弾
US20160216075A1 (en) Gun-launched ballistically-stable spinning laser-guided munition
JP3891619B2 (ja) プログラム可能発射体の爆発時間の決定法
TWI458935B (zh) 用來使拋射體程式化之裝置及方法
KR101455829B1 (ko) 탄속 측정 장치
JP3891618B2 (ja) プログラム可能発射体の爆発時間の決定法
US9157702B2 (en) Muni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H09280798A (ja) プログラム可能発射体の爆発時間の決定法
KR101823517B1 (ko) 공중폭발탄 신관 및 그 공중폭발탄의 기폭 제어 방법
KR100959358B1 (ko) 탄속 측정 및 시한 보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한 보정방법
KR101098119B1 (ko) 포구속도 보정형 신관 및 그 제어방법
CN204555822U (zh) 一种可准确获得射击环境信息的电子瞄准器
CN113587721A (zh) 自主式弹丸初速测量装置及定距系统
KR100959357B1 (ko) 회전감지센서가 내장된 신관 및 이를 이용한 시한 데이터의탄속 보정 방법
CN103499704A (zh) 一种弹丸测速方法
KR20060036263A (ko) 공중폭발탄용 약실유도장입형 회전수계수신관 및 그제어방법
JP5979022B2 (ja) 弾薬作動システム
CN106382866B (zh) 一种近炸引信距离速度测量精度标定装置及标定方法
CN116047106B (zh) 一种基于数据融合的弹丸炮口测速方法
KR20040097686A (ko) 탄약 신관용 회전수 계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4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10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9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6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