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5712B1 - 케이블용 보호 가이드 및 보호 가이드에 이용되는 브라켓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보호 가이드 및 보호 가이드에 이용되는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712B1
KR101455712B1 KR1020120103035A KR20120103035A KR101455712B1 KR 101455712 B1 KR101455712 B1 KR 101455712B1 KR 1020120103035 A KR1020120103035 A KR 1020120103035A KR 20120103035 A KR20120103035 A KR 20120103035A KR 101455712 B1 KR101455712 B1 KR 101455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guide
curved strip
longitudinal direction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307A (ko
Inventor
고우이치 가이호츠
히로시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덴소 웨이브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덴소 웨이브,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덴소 웨이브
Publication of KR20130033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7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16L3/01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using articulated- or supple-guid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1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position of the plates to be connected being adjustable
    • F16B5/022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the position of the plates to be connected being adjustable allowing for adjustment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보호 가이드는 유연한 케이블 및 배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긴 부재들을 내부적으로 유지하여, 그 긴 부재들에 의해 요구되는 이동과 조화되게 이동시킨다. 가이드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갖는 긴 플레이트의 형상의 연성 베이스, 합성수지로 이루어지진 연성 구획 부재; 및 두 개의 브라켓을 포함한다. 구획 부재는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베이스의 끝단들로부터 기립되고(uprise), 길이방향에서 갭들에 의해 서로 이격되며, 베이스를 따라 상기 긴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협력하여 형성한다. 상기 브라켓은 가이드를 설치한 기계의 고정 및 가동 부재에 베이스의 끝단들을 탈착가능하게 연결한다. 각 브라켓은 브라켓과 갭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결합 수단 및 브라켓을 고정 또는 가동 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용 보호 가이드 및 보호 가이드에 이용되는 브라켓{PROTECTIVE GUIDE FOR CABLES AND BRACKET USED FOR THE PROTECTIVE GUIDE}
본 발명은 유연한 케이블 및/또는 배관을 보호하면서, 그 케이블 및/또는 배관의 거동을 주어진 경로에 대하여 안내하기 위한 연성 보호 가이드에 관한 것이며, 상기 케이블 및/또는 배관은 보호 가이드가 설치되는 기계의 고정 측을 그 기계의 가동 측에 연결하여 이들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하거나 이들 사이에서 물리적 매체를 이송시키며, 보호 가이드에 이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보호 가이드가 설치되는 기계의 고정 측과 그 기계의 가동 측 간의 연결을 위해 케이블 및/또는 배관이 굴곡(屈曲) 되는 기술분야의 응용에 바람직한 유연한(연성) 보호 가이드에 관한 것이며, 상기 보호 가이드에 이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기계의 고정 측의 부재(이하, '고정 부재'로 칭함)에 작동을 위해 연결되는 선형 액추에이터 또는 선형 로봇과 같은 가동 부재가 제공되는, 오늘날 이용가능한 다양한 기계들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계들 대부분에서, 전력과 같은 에너지, 제어 신호 및/또는 공기는 케이블 및/또는 배관(이하, '케이블'로만 칭함)을 통해 고정 부재로부터 가동 부재로 전송되도록 요구된다. 케이블은 고정 부재와 가동 부재 사이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케이블을 보호하면서 요구되는 경로에 대한 케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케이블 보호 부재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514725호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합성수지를 편평한 원-피스(one-piece) 구조로 사출성형함으로써 각각 형성되는 세그먼트(segment)들로 구성된다. 이들 세그먼트는 보호 부재가 접힐 수 있도록 굽어질 수 있는 브리지(bridge)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그러나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514725호의 접힐 수 있는 케이블 보호 부재에서, 각 세그먼트는 합성수지를 편평한 구조의 원-피스로 사출성형함으로써 제공된다. 따라서, 하나씩 접혀져야만 하는 사출 서형 세그먼트들 및 접혀진 세그먼트들은 조립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조립하는데 있어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된다. 보호 부재의 양단은 보호 부재를 설치하는 기계의 고정 부재와 가동 부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세그먼트들을 접고 조립함으로써 얻어진 보호 부재는 복잡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보호 부재를 프레임에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브라켓은 필연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들을 보호 부재에 설치하는데 있어 더욱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된다. 또한, 낮은 능률의 처리공정에도, 그에 따른 프레임과 보호 부재의 연결은 불안정하며, 보호 부재는 프레임으로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케이블 보호 부재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케이블 및/또는 배관에 대해 이용되는 보호 가이드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 브라켓은 보호 가이드를 설치하는 기계에 보호 가이드를 연결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짐에도 일단 브라켓이 연결되면 보호 가이드가 기계로부터 거의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그의 끝단들을 통해 기계에 대해 보호 가이드의 탈부착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브라켓을 이용하는 보호 가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관점으로서, 유연한 케이블 및 유연한 배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긴 부재들을 내부적으로 유지하여 상기 긴 부재들에 의해 요구되는 이동과 조화되게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긴 보호 가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긴 보호 가이드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갖는 긴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된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flexible curved strip-shaped base);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갭들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연성 구획 부재; 및 상기 보호 가이드를 설치한 기계의 고정 부재와 가동 부재에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의 양단을 탈착가능하게 연결하는 두 개의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기립되고(uprise),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를 따라 상기 긴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협력하여 형성하며,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의 양측은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한다. 상기 두 브라켓 각각은 상기 브라켓을 상기 갭들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결합 수단과, 상기 브라켓을 상기 고정 부재 또는 가동 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브라켓으로서 제공된다. 상기 브라켓은 유연한 케이블 및 유연한 배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긴 부재들을 내부적으로 유지하여 상기 긴 부재들에 의해 요구되는 이동과 조화되게 이동시키도록 안내하는 긴 보호 가이드를 설치한 기계의 고정 부재와 가동 부재 중 대응하는 하나에 보호 가이드의 두 단부 각각을 탈착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브라켓 각각은 내부에 상기 긴 부재들을 내부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 가이드에 의해 이용되는 공간에 삽입되고 배치되는 플레이트형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1 링크 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된 스텝을 갖고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형 제2 링크 부재; 상기 제1 링크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 부재의 부분들에서 형성된 갭들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형성 부재와 상기 제1 링크 부재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결합 수단; 및 상기 공간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를 상기 고정 부재 또는 가동 부재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제2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용 보호 가이드(보호 가이드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 포함)를 설치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가이드의 전체적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부분 생략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가이드의 선형-자세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가이드의 굴곡-자세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굴곡부를 포함하는 보호 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선형 자세에 상응하는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에 따른 굴곡 자세에 상응하는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C-C선에 따른 다른 선형 자세에 상응하는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가이드용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D-D선에 따른, 브라켓이 가이드와 결합되기 전 브라켓과 보호 가이드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D-D선에 따른 단면도(브라켓이 결합된 이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호 가이드의 일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케이블 보호 가이드는 케이블 보호 가이드를 설치하는 기계에 케이블 보호 가이드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을 포함한다.
케이블 보호 가이드는 선형 가이드 또는 로봇과 같이 고정 측에서의 부재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기계에 설치된다(이하, 고정 부재로 칭함). 이러한 기계는 케이블 및/또는 배관(이하, 간단히 케이블로 칭함)을 통해 고정 부재로부터 가동 부재로 전력과 같은 에너지, 제어 신호 및/또는 공기가 전송되도록 요구된다. 케이블은 고정 부재와 가동 부재 간을 연결하기 때문에, 케이블을 보호하고 요구되는 경로로 그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 예의 케이블 보호 가이드는 케이블을 보호하고 안내하는 역학을 한다.
이하, 케이블 보호 가이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를 설치하는 선형 로봇으로 불리는 선형 이동 장치(M)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선형 이동 장치(M)는 볼-스크류 구동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 이동 장치(M)는 고정 프레임(M1), 가동 부재(M2), 세팅 프레임(setting frame)(M3) 및 액추에이터(M4)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M1)은 기계 측에 제공된다. 가동 부재(M2)는 기계 측에 제공된 가동 프레임이다. 셋팅 프레임(M3)은 고정 프레임(M1)에 연결되고, 구동 모터(MT)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M4)는 고정 프레임(M1)에 대하여 가동 부재(M2)를 선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스크류 구동 액추에이터이다. 세팅 프레임(M3)에 포함된 구동 모터(MT)의 회전에 따라, 액추에이터(M4)가 구동된다. 이 구동에 응하여, 가동 부재(M2)는 고정 프레임(M1)에 대하여 선형으로 이동, 즉 평행하게 이동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Z 좌표계는 고정 프레임(M1)의 길이방향이 Y-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가동 부재(M2)는 Y-축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도 1에서 화살표 L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고정 프레임(M1)의 두 측면 중 하나에는 설치 플레이트(M1A)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볼 때 L자형 단면을 갖는 설치 플레이트(M1A)는 고정 프레임(M1)의 측면들 중 하나에 고정되고, Z-축 방향으로 상향 지향되는 측면을 갖는다. 또한, X-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가동 부재(M2)의 두 측면 중 하나에는 캔틸레버(cantilever)(M2A)가 제공된다. 특히, X-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역 L자형 단면을 갖는 캔틸레버(M2A)는 가동 부재(M2)의 측면 중 하나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설치 플레이트(M1A) 및 캔틸레버(M2A)는 선형 이동 장치(M)의 측면에서 Z-방향으로 서로 대향한다. 따라서, 가동 부재(M2)가 고정 프레임(M1)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캔틸레버(M2A) 또한, 설치 플레이트(M1A)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1에서 화살표 L 참조).
가동 부재(M2)는 전력을 소모하는 부재들과 같은 전기 기계적 부재들 및 액추에이터(M4)의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로 되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부재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M4)에는 케이블/배관(C)과 같이 길고 유연한 부재들이 제공되며, 이 케이블/배관은 고정 프레임(M1)에 연결되는 일단과 고정 프레임(M1)으로부터 가동 부재(M2) 측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가동 부재(M2)에 연결되는 타단의 단부들을 갖는 케이블; 고정 프레임(M1)과 가동 부재(M2) 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 및 다른 필요한 배관들을 포함한다. 이하, 케이블/배관(C)은 간단히 케이블(C)로 칭한다. 케이블(C)은 가동 부재(M2)의 이동과 함께 공간적 방식(spatial manner)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선형 이동 장치(M)는 케이블(C)을 보호하고, 요구되는 경로 내에서 케이블(C)의 이동(거동)을 안내하는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가이드 바디(100H) 및 두 개의 브라켓(bracket)(130)을 포함한다. 가이드 바디(100H)는 유연성을 가지며, 긴 형상을 갖는다. 두 개의 브라켓(130)은 가이드 바디(100H)의 양단에 설치되고, 가이드 바디(100H)의 양단을 가동 부재(M2)와 고정 부재(지지체)(M1)에 고정되게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 두 개의 브라켓(130)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 바디(100H)는 긴 형상을 가지며, 끝단들(일단과 타단)(100a, 100b)을 갖는다. 가이드 바디(100H)는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대략 사각 단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바라볼 때 사각 형상에 대략 가까운 중공이 내측에 형성된다. 중공은 케이블(C)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로서 기능을 한다.
이렇게 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바디(100H)의 단부들(100a, 100b)은 브라켓(130)을 통해 설치 플레이트(M1A) 및 캔틸레버(M2A)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단부들(100a, 100b) 이외의 가이드 바디(100H) 일부는 트렁크(trunk)(100c)에 상응한다. 트렁크(100c)의 일부분은 설치 플레이트(M1A)의 상면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긴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Y-Z 평면을 따라 U자형 굴곡부(100X)(트렁크(100c)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굴곡되어 선형 이동 장치(M)에 설치된다. 따라서, 가동 부재(M2)가 고정 프레임(M1)에 대하여 이동될 때, 설치 플레이트(M1A) 상에서 U자형 굴곡부(100X)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이동될 수 있다(도 1에서 쇄선 참조).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소정 강성(rigidity)이 주어지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선형 이동 장치(M)에 설치되기 전에,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실질적으로 그의 선형 형상을 자연스럽게 유지한다. 그러므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설치 플레이트(M1A)에 위치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그의 선형 형상을 유지할 수 있지만, 설비에서 다른 기계들이나 부재들로부터의 보호를 위하여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설치 플레이트(M1A)에 위치된다.
케이블(C)은 가동 부재(M2)로의 연결을 위해 고정 프레임(M1) 측으로부터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중공(후술되는 공간(R))을 통과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해 보면, 이하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가이드 바디(100H)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가이드 바디(100H)를 제작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료는 케이블/배관과 같이 길고 유연한 부재들을 유지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와 성형 정확성에서 뛰어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될 수 있는 재료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및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가이드 바디(100H)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앞서 언급한 수지 재료는 먼저 압출 기계 또는 인발 기계를 이용하여 처리된다. 압출 또는 인발 과정을 통해, 만곡된 스트립-형상 베이스(curved strip-shaped base)(110)가 복수의 벽 부분들과 연속적으로 일체화되는 단일의 관형 부재가 준비된다. 각 벽 부분(120)은 X-축으로의 양측에 측벽(121A, 121B) 및 그 측벽들 중 상응하는 하나에 일체로 연결되는 천장(ceiling)(122)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서, 공정 기계에서 이용되는 형틀(die)은 그 형틀이 베이스(110)에 만곡부(110A)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준비된 관형 부재의 천장(12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폭(W1)(예를 들면, 몇몇 밀리미터)을 갖는 제1 슬릿(slit)(SL)을 길이방향을 따라, 즉 Y-축 방향을 따라 형성하도록 슬라이서(slicer)를 이용하여 처리된다. 하나의 제1 슬릿(SL)이 제공된다. 제1 슬릿(SL)은 폭 방향으로, 즉 X-축 방향으로 천장(122)의 각각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제1 슬릿(SL)은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굴곡부(100X)가 굴곡에 의해 발생하는 왜곡(또는 변형)을 흡수하는 기능의 일부를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굴곡부(100X)는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일부에 상응하며, 이 부분은 굴곡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가이드의 이동과 함께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에서 그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그런 다음, 제1 슬릿(SL)이 형성된 관형 부재는 다른 슬라이서를 이용하여 가공처리되어, 각각 소정 폭(L1)(예를 들면, 1mm)을 갖는 복수의 제2 슬릿(갭)(S)을 형성한다. 제2 슬릿(S)은 소정 피치(P1)로 Y-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제2 슬릿(S) 또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굴곡부(100X)가 굴곡에 의해 발생하는 왜곡(또는 변형)을 흡수하는 기능의 일부를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2 슬릿(S) 각각은 각 벽 부분(120)의 높이에 걸쳐 형성되고, 베이스(110)에 다다르는 깊이 또는 데드 엔드(dead end)를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제2 슬릿(S)의 데드 엔드는 라운드부(R)(부호 R 참조)를 갖는다.
그 결과, 가이드 바디(100H)에는 앞서 언급한 측벽(121A, 121B) 및 앞서 언급한 천장(122)을 형성하기 위한 천장 카운터파트(counterpart)(122A, 122B)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측벽(121A, 121B)은 만곡된 스트립-형상 베이스(110)의 각 단부들로부터 일체로 기립하고(rise up), 이 단부들은 베이스(110)의 폭 방향으로, 즉 X-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된다. 측벽(121A, 121B)은 소정 높이만큼 Z-방향으로 각 단부로부터 기립된다. 측벽(121A, 121B)은 굴곡되어 각각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를 각각 연장되게 제공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L의 형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Y-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사각 단면을 갖는 공간(R)(중공)은 케이블(C)의 수용을 위하여 형성된다. 대략 사각 단면은 그의 하부 긴 측(또는 상부 긴 측)으로서 베이스(110)에 의해 정의되고, 측벽(121A, 121B)은 그의 짧은 측으로서 정의되며,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는 그의 상부 긴 측(또는 하부 긴 측)으로서 정의된다.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는 단일의 천장(122)을 형성하고, 제1 슬릿(SL)을 통해 천장(122)에서 서로 대향된다.
그러므로 한 쌍의 측벽(121A, 121B) 및 한 쌍의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는 단일의 벽 부분(120)(즉, 단일의 구획 부재)을 구성한다. 복수의 벽 부분(120)은 베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폭(L1)에 상응하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천장 카운트파트(122A, 122B)는 단일의 천장(122)을 형성한다. 따라서, 복수의 벽 부분(120)은 가이드 바디(100H)의 길이방향으로, 즉 Y-축 방향으로 폭(L1)에 상응하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벽 부분(120) 각각은 L자형 구획 부재 카운터파트(우측 및 좌측 벽들)(120A, 120B)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단일의 구획 부재(벽 부분)(120)를 구성하고 베이스(110)의 X-축 방향으로 좌우 단부에서 베이스(110)와 일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보다 정확히, 공간의 단면에서 바라볼 때 베이스(11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전체 베이스(110)는 일정한 곡률(CF)로 그의 폭 방향에서 전체적으로 내측으로 만곡(curve)된다. 이러한 만곡은 제작시 이용되는 형틀에 의해 주어진다.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 각각은 측벽(121A(121B))에 직교하는 각도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내측으로 날카롭게(예각으로) 굴곡된다. 날카로운 굴곡은 외측으로 가해지는 가압력에 대항하여 높은 내구성을 갖는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를 제공한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가이드 바디(100H)에서, 즉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에서, 가동 부재(M2)가 고정 프레임(M1)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때, 가이드 바디(100H)의 일단(타단)(100b)도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으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굴곡부(100X)의 위치는 Y-축 방향으로 변화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바디(100H)에서, 그의 선형-자세부는 그의 상부 또는 하부 긴 측이 만곡된 채 X-Z 평면을 따라 대략 사각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굴곡부(100X)가 이동하여 선형-자세부에 근접함에 따라, 그 굴곡부(100X) 부근에서의 몇몇 제2 슬릿(S)은 그때까지 유지된 폭(L1)보다 크게 개방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굴곡부 부근에서의 제1 슬릿(SL)은 그 폭(W1)보다 좁아지기 시작한다. 그런 다음, 굴곡부(100X)의 도착에 따라, 제2 슬릿(S)은 가장 높은 정도의 굴곡을 갖는 부분에서 소정 폭(L2)(> L1)만큼 크게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제1 슬릿(SL)의 폭(W1)은 0과 동일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2 슬릿(S)이 넓어지고 제1 슬릿(SL)이 좁아짐에 따라, 굴곡부(100X)의 굴곡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또는 변형)은 탄성 변형에 의해 보다 신뢰성있게 흡수된다. 이 경우에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굴곡부(100X)의 단면, 즉 X-Z 평면에 따른 단면은 베이스(110)에서 편평해진다. 이에 대응하여, 측벽(121A, 121B)은 내측으로 경사지고, 이에 응답하여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 또한 내측으로 경사져서, 제1 슬릿(SL)의 폭(W1)은 실질적으로 0의 폭(W2)(<W1)으로 좁아진다.
다시 말해서, 도 7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편평해지고,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자세부에서의 단면에 비하여 내측으로 경사진다. 그 결과, 단면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변화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슬릿(SL)은 좁아지고, 제2 슬릿(S)은 넓어지고, 베이스(110)는 편평해지며,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는 내측으로 경사짐으로 인해,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구성요소들은 굴곡에 의해 발생되는 그의 왜곡(또는 변형)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그 자체를 선형에서 굴곡으로 부드럽게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부드러운 굴곡이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에서 가능해지기 때문에, 내부 공간(R)에 수용된 케이블(C)은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에 의해 보호되면서 공간(R)(경로)의 이동과 함께 수평으로 안내된다. 그러므로 가동 부재(M2) 또한 부드러운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도 5에서, 점선(Lx)(도 5에서 이점 쇄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된)은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길이방향 위치들을 따라 선형 자세에서 만곡 자세로 진행함에 따라 만곡부(110A)의 상단 위치(TP)가 그의 Z-축 높이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준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 가이드 바디(100H)의 끝단들(100a, 100b)에 연결되는 브라켓(130)을 설명한다. 두 개의 브라켓(130) 중 하나의 브라켓(130)은 고정 측에서 가이드 바디(100H)의 일단(100a)과 고정 프레임(M1)의 설치 플레이트(M1A) 사이에서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 브라켓(130)은 가동 측에서 가이드 바디(100H)의 타단(100b)과 캔틸레버(M2A) 사이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브라켓(130)(이하 간단히 브라켓(130)으로서 칭함)은 그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 형상, 즉 대략 플레이트형 형상을 가지며, 연결 부재로서 기능을 한다. 브라켓(130)은 앞서 언급한 것들로부터 선택되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거나,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서, 브라켓(130)은 유연성을 갖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소정 정도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130)은 제1 플레이트 부재(131) 및 제2 플레이트 부재(133)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 부재(131)는 가이드 바디(100H)의 공간(R) 내측에 위치되는 제1 링크 부재로서 기능을 한다. 제2 플레이트 부재(133)는 스텝(step)(132)을 통해 제1 플레이트 부재(131)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플레이트 부재(133)는 가이드 바디(100H)에 인접하게 위치, 즉 가이드 바디(100H) 외측에 위치된다. 도 9에 나타낸 Y-축이 브라켓(130)의 길이방향일 때, 제1 및 제2 플레이트 부재(131, 132)는 스텝(132)에 의해 개재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스텝(132)은 베이스(110)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H), 즉 만곡부(100A)의 두께(t)(보다 정확하게, 편평한 상태에서 만곡부(110A)의 두께와 동일한)를 갖는다. 스텝(132)은 폭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하는, 즉 브라켓(130)의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텝 면을 갖는다. 브라켓(130)은 적어도 제1 플레이트 부재(131)가 공간(R)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되는 폭을 갖는다. 브라켓(130)은 제1 플레이트 부재(131)의 끝단부가 복수의 제2 슬릿(S) 중 제1 슬릿(S1)(도 9 참조)에 다다르고, 제2 플레이트 부재(133)가 소정 길이를 갖도록 설정되는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다.
그러므로 제1 플레이트 부재(131)는 베이스(110)와 접촉하게 되는 스텝(132)과 함께 공간(R)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서, 스텝(132)은 가이드 바디(100H)의 끝단, 즉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편평한 상태에서의 베이스(110)의 끝단에 끼워 맞춰진다. 그러므로 스크류(134)(후술됨)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캔틸레버(M2A)의 위치가 미리결정될 때, 가이드 바디(100H)의 위치는 브라켓(130)에 대하여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스텝(132)의 스텝 면은 위치결정 면으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 부재(131)의 끝단부는 제1 슬릿(S1)에 끼워맞춰질 수 있는 돌기들(131A)이 제공된 폭방향으로의 끝단들을 갖는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플레이트 부재(133)에는 길이방향으로의 각 두 위치에 두 개의 스크류 구멍(관통홀)(133A, 133A)이 제공된다.
따라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연결은 아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실행된다. 브라켓(130)의 제1 플레이트 부재(131)는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공간(R)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에서, 제1 플레이트 부재(131)는 베이스(110)의 만곡부(110A)에 위치되고, 좌우 돌기들(131A, 131A)은 제1 슬릿(S1)으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제1 플레이트 부재(131)는 제1 슬릿(S1)과 결합하고, 베이스(110)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결합은 구획 부재 카운트파트(120A, 120B)를 구부림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된다. 그 결과, 브라켓(130)은 두 개의 좌우 돌기(131A, 131A)를 통해 가이드 바디(100H)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이 경우에서, 제2 플레이트 부재(133)만이 길이방향으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그런 다음, 제2 플레이트 부재(133)는 가동 측에서 캔틸레버(M2A)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고, 이어서 제2 플레이트 부재(133)를 캔틸레버(M2A)에 탈착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각 스크류 구멍(133A, 133A)으로 스크류(134)를 나사결합한다. 그러므로 제2 플레이트 부재(133)는 캔틸레버와의 사이에서 어떠한 갭을 형성하지 않고 그 캔틸레버(M2A)에 대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일단(100a)에서 베이스(110) 및 두 개의 구획 부재 카운트파트(120A, 120B)는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캔틸레버(M2A)의 가압으로 인하여, 제1 플레이트 부재(131)는 베이스(110)의 만곡부(110A)가 편평해지도록 한다. 또한, 그의 끝단으로부터 만곡부(110A)의 소정 길이의 일부분은 스텝(132)에 끼워 맞춰지고, 캔틸레버(M2A)에 고정되며, 제1 플레이트 부재(131)에 의해 위로부터 가압된다. 그 결과,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일단(100a)은 캔틸레버(M2A)에, 즉 브라켓(130)을 이용하여 가동 부재(M2)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타단(100b) 또한 설치 플레이트(M1A)에, 즉 다른 브라켓(130)을 이용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고정 프레임(M1)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여러 작용 효과를 행한다.
무엇보다도,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작업장에서 조립 부재들을 조립함으로써 케이블 보호 가이드를 준비할 필요성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에서, 만곡된 스트립-형상 베이스(110) 및 복수의 벽 부분(120)은 단일의 부재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립 작업량은 생략되며, 그러므로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은 증진된다.
복수의 제2 슬릿(S)은 그의 길이방향으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에 걸쳐 균등한 피치(P1)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수용된 케이블(C)의 길이에 일치하도록 어떤 제2 슬릿(S)에서 절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적용에 따라 절단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전에 여러 타입의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를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작업장에서 단순한 작업만으로 요구되는 길이의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뛰어난 범용 특성을 갖는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압출이나 인발을 이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만곡된 스트립-형상 베이스(110)는 길이방향으로 고도의 분자배향을 갖는다. 이렇게 하여,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길이방향으로 높은 피로강도를 가지며, 이에 따라 뛰어난 내구성도 갖게 된다.
또한, 압출이나 인발을 행함에 있어,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베이스(110) 및/또는 벽 부분(120)에서 두께 및 사이즈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케이블(C)의 보호와 함께 케이블을 안내함에 있어, 수용되도록 요구되는 케이블(C)의 타입이나 개수에 따라 최적 모드의 경로, 즉 공간(R)이 얻어진다.
또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를 제작하는데 합성 수지 재료의 이용은 압출이나 인발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처리공정을 가능하게 하고, 케이블(C)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R)에서 안정적인 모드를 확보한다.
또한, 도 4,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가 그의 선형 자세를 유지하기까지 만곡부(110A)를 갖는다. 따라서, 약간의 예각 단면을 갖는 공간(SP)은 만곡부(100A)의 각 끝단에서의 기립부(uprising portion)와 측벽(121A 또는 121B)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블(C)의 적어도 일부는 좁은 공간(SP) 각각에 수용된다. 예각 공간(SP)은 그 형상, 벽 두께 등으로 인해 높은 강성을 갖는다. 높은 강성은 케이블(C)이 길이방향으로 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케이블(C)을 지지하는데 기여한다. 그러므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선형-자세부에서 케이블(C)을 안내함에 있어, 케이블(C)의 선형 자세는 신뢰 있게 유지된다.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굴곡부(100X)에서, 만곡된 스트립-형상 베이스(110)는 편평해지고,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는 내측으로 경사진다. 그 결과, 제1 슬릿(SL)은 실질적으로 영(0)인 폭(W2), 즉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 간의 갭(gap)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는 폭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굴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 제1 슬릿(SL)은 케이블(C)이 외측으로 밀어내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있어, 만곡된 스트립-형상 베이스(110) 및 벽 부분(120)의 형상 및 사이즈는 공간(R)이 케이블(C)을 수용하기 위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는 본 실시 예에 대한 독특한 구조와 함께 상승 작용하게 된다. 특히,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즉, 케이블(C))는 공간(R)에서, 케이블(C)이 선형 자세를 유지하는 부분; 케이블(C)의 자세가 선형에서 굴곡으로 변환되는 부분; 케이블(C)의 자세가 다시 굴곡에서 선형으로 변환되는 부분; 및 케이블(C)의 자세가 다시 선형으로 복귀되는 부분을 지속하여 갖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굴곡 자세를 포함하는 부분들은 제1 슬릿(LS) 및 제2 슬릿(S)이 굴곡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또는 변형)을 흡수하도록 하는 효과 및 만곡부(110A)를 편평하게 하는 효과를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공간(R)에서 케이블(C)이 선형 자세를 유지하는 부분 또는 케이블(C)이 굴곡 자세를 유지하는 부분을 갖는다. 이들 부분 사이에서, 만곡부(110A)가 편평해지고, 천장 카운터파트(122A, 122B)가 내측으로 경사지는 변화 이외에는, 공간(R)의 형상 및 사이즈에서의 현저한 변화는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 예는 내측에 완전히 확보되는 공간(R)(경로)을 갖고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선형 자세 및 굴곡 자세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모델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모델에서의 공간(R)은 케이블(C)의 이동을 수반하는 백래쉬(backlash)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U자형 굴곡부(100X)의 위치는 가동 부재(M2)의 이동과 함께 변화한다. 그러므로 굴곡부(100X)가 위치될 수 있는 어디든지,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케이블(C)을 변함없이 동봉할 수 있고, 케이블(C)의 굴곡부들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케이블(C)이 공간(R)에 수용될 때,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선형-자세부의 만곡부(110A)는 공간(R)에서 복수의 케이블의 수용된 부분들을 고정하는 그의 기능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만곡부(110A)의 경사는 공간(R)에 수용된 복수의 케이블(C)이 X-Z 평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자발적으로 이동(케이블(C)을 교차하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형 이동 장치(M)의 동작 동안, X-Z 평면을 따르는 케이블(C)의 위치들은 그 케이블이 공간(R)에 초기 수용되는 바와 같은 위치를 유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복수의 케이블(C)은 서로 간섭되거나, 접촉 마찰하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케이블(C)은 굴곡부(100X)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면서, 부드럽고 안정적인 이동의 케이블 안내가 실현된다.
또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의 벽 부분(120)은 만곡된 스트립-형상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한 피치로 배열된다. 이러한 구성은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가 제1 슬릿(SL)의 폭을 좁히고, 제2 슬릿(S)의 폭을 넓히며, 만곡부(100A)를 편평하게 하는 그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하도록 한다. 그 결과, 가동 부재(M2)의 이동으로, U자형 굴곡부(100X)의 위치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유일한 굴곡부(100X)의 U자 형상은 신뢰성 있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케이블(C)은 안정된 방식으로 보호되고 안내된다.
또한, 복수의 벽 부분(120)은 제2 슬릿(S)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복수의 제2 슬릿(S) 각각의 베이스부, 즉 데드 엔드는 만곡된 스트립-형상 베이스(110)에 다다른다. 이러한 구성은 굴곡부(100X)에서 굴곡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또는 변형)을 흡수하는 효과를 더욱더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굴곡부(100X)는 보다 작은 곡률 반경만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에 의해 차지되는 공간은 보다 작게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제2 슬릿(S)의 데드 엔드는 라운드부(R)를 갖기 때문에, 각 제2 슬릿(S)의 베이스부(데드 엔드)에 가해지는 왜곡(또는 변형)은 주연으로 충분하고 균등하게 분산된다. 그러므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내구성은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에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끝단들(100a, 100b)은 브라켓(130)을 이용하여 가동 부재(M2)와 고정 프레임(M1)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를 가동 부재(M2)와 고정 프레임(M1)에 연결하는데 있어, 종래 기술의 케이블 보호 가이드에 비하여, 뛰어난 작업성을 확보한다.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브라켓(130)을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탈락될 수 있어, 케이블(C)의 교체나 유지보수하는데 있어 효율은 향상된다.
각 브라켓(130)의 일단을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와 결합함에 있어, 브라켓(130)은 결합을 위해 제2 슬릿(S)을 이용하고, 이는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가 그의 굴곡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또는 변형)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슬릿이 본래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130)은 스텝(132)을 통해 두 플레이트 부재(131, 133)를 간단히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따라서, 그 전체적으로 브라켓(130)의 구성은 매우 간단하다. 그러므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작된다.
브라켓(130)을 이용하는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에서, 각 브라켓(130)의 제1 플레이트 부재(131)는 돌기들(131A)을 통해 가이드 바디(100H)와 결합한다. 이와 동시에, 스크류(134)의 나사결합을 동반하여, 제1 플레이트 부재(131)는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베이스(110)의 단부에 대해 가압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바디(100H)는 브라켓(130)으로부터 떨어져나가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한다.
또한, 스텝(132)의 형성은 제1 및 제2 플레이트 부재(131, 133)의 상면(안내될 케이블(C)을 향하는)이 동일한 하나의 평면에 있게 할 수 있도록 베이스(110)의 두께를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의 단부들의 구성은 가이드를 브라켓들에 연결하기 위한 복잡한 요철 구조를 갖지 않고 더욱 단순하게 된다. 이러한 단순한 구성은 케이블(C)의 이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브라켓(130)의 일-평면 구조는 그를 통과하는 케이블(C)에 대한 공간(공간(R))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 부재(133)는 가동 부재(M2)의 캔틸레버(M2A)와 전체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그에 고정되며, 캔틸레버(M2A)와 제2 플레이트 부재(133)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지 않는다. 갭의 형성을 회피하는 것은 보호 케이블(100)을 확장 또는 굴곡함에 있어 갭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132)은 브라켓(130)에 대하여 가이드 바디(100H)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실행한다(스크류 구멍의 위치가 미리 결정될 때). 따라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의 연결은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미리결정된 위치에서 정확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케이블 보호 가이드(100)는 구불구불한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브라켓(13)의 위치결정 기능은 가이드 바디(100H)와 각 브라켓(130) 간의 연결에 있어 길이방향으로의 지향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서 느슨함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보호 가이드에 이용되는 케이블 보호 가이드 및 브라켓은 구조적으로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 부재(131)에 그의 폭방향으로 제공되는 좌우 돌기들(131A)은 길이방향으로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9에 도시한 제1 플레이트 부재(13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돌기는 길이방향으로 2열로 제공될 수 있어 첫째 및 둘째로 위치된 제2 슬릿(S)과 결합할 수 있다. 이는 가이드 바디(100H)에 대한 각 브라켓(130)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130)의 돌기들이 결합하는 가이드 바디(100H)의 갭들은 제2 슬릿(S)을 공유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이러한 결합에 대해 전용되는 갭과 같은 결합 구멍은 제1 및 제2 구획 부재 카운트파트(122A, 122B) 및/또는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베이스(11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 부재(133)에 형성된 스크류 구멍(133A)의 위치들은 도 9에 도시한 위치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스크류 구멍(133A)은 그의 폭방향으로 병치되어 제2 플레이트 부재(133)에 형성될 수 있다.
앞의 실시 예에서, 제1 슬릿(SL)은 생략될 수 있어, 천장 카운트파트(122A, 122B)는 단일 스트립-형상의 천장 부재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단일의 천장 부재는 Y-축 방향으로 볼 때 베이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내측으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만곡된 천장 부재 또한 그의 굴곡 작용에서 U자형 굴곡부(100X)를 부드럽게 이루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기재된 실시 예 및 변형 예는, 따라서,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에 앞서있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 규정되기 때문이다. 본 청구항의 범위 및 경계 내에 해당하는 모든 변형 예 또는 이러한 범위 및 경계의 균등 예는, 따라서 본 청구항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10)

  1. 유연한 케이블 및 유연한 배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재들을 내부적으로 유지하여 상기 부재들에 의해 요구되는 이동에 맞추어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연성 보호 가이드로서,
    상기 보호 가이드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갖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된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flexible curved strip-shaped base);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갭들에 의해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연성 구획 부재; 및
    상기 보호 가이드를 설치한 기계의 고정 부재와 가동 부재에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의 양단을 탈착가능하게 연결하는 두 개의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연성 구획 부재는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의 양측으로부터 기립되고(uprise),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를 따라 상기 부재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협력하여 형성하며,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의 양측은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고,
    상기 두 개의 브라켓의 각각은 상기 브라켓을 상기 갭들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결합 수단과, 상기 브라켓을 상기 고정 부재 또는 가동 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보호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공간을 향해 내측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보호 가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브라켓의 각각은
    상기 공간의 일단으로부터 배치되기 위하여 상기 보호 가이드로 삽입되고,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제1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보호 가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 모두는 플레이트형-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는 그 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는 구비하는 스텝을 구비하도록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의 두께에 의해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구비하며,
    상기 스텝은 상기 보호 가이드의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베이스의 단부에 끼워맞춰지는 위치결정 면을 구비하는
    보호 가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수단은 상기 제1 링크 부재로부터 일체로 돌출하고, 상기 갭들에 끼워맞춰지는 클로오(claw)에 상응하고,
    상기 제2 결합 수단은 상기 제2 링크 부재에 형성되는 구멍 및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링크 부재를 상기 고정 부재 또는 가동 부재와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크류를 구비하는
    보호 가이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성 구획 부재의 각각은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연성 베이스에 대향하는 천장(ceiling)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천장에 형성되는 슬릿에 의해 분리되는
    보호 가이드.
  7. 유연한 케이블 및 유연한 배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재들을 내부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부재들에 의해 요구되는 이동에 맞추어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보호 가이드를 설치한 기계의 고정 부재와 가동 부재 중 대응하는 하나에 보호 가이드의 두 단부의 각각을 탈착가능하게 연결하는 브라켓으로서 -상기 보호 가이드는 복수의 연성 구획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연성 구획 부재가 상기 보호 가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단일의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베이스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연성 구획 부재와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향해 만곡되고, 상기 부재들은 상기 공간 내에 수용됨-,
    상기 브라켓의 각각은
    내부에 상기 부재들을 내부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보호 가이드에 의해 이용되는 공간에 삽입되고 배치되는 플레이트형 제1 링크 부재;
    상기 제1 링크 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된 스텝을 갖고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형 제2 링크 부재;
    상기 제1 링크 부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 부재의 부분들에서 형성된 갭들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형성 부재와 상기 제1 링크 부재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결합 수단; 및
    상기 공간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를 상기 고정 부재 또는 가동 부재와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제2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브라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 모두는 플레이트형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는 그 부재들 사이에서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베이스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는 구비하는 스텝을 구비하도록 상기 제1 링크 부재와 제2 링크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인접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 부재는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베이스의 두께에 의해 상기 제1 링크 부재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구비하며,
    상기 스텝은 상기 보호 가이드의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베이스의 단부에 끼워맞춰지는 위치결정 면을 구비하는
    브라켓.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수단은 상기 제1 링크 부재로부터 일체로 돌출하고 상기 갭들에 끼워맞춰지는 클로오(claw)에 상응하고,
    상기 제2 결합 수단은 상기 제2 링크 부재에 형성되는 구멍 및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제2 링크 부재를 상기 고정 부재 또는 가동 부재와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스크류를 구비하는
    브라켓.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성 구획 부재의 각각은 상기 만곡된 스트립-형상의 베이스에 대향하는 천장(ceiling)을 구비하고,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천장에 형성되는 슬릿에 의해 분리되는
    브라켓.
KR1020120103035A 2011-09-26 2012-09-17 케이블용 보호 가이드 및 보호 가이드에 이용되는 브라켓 Expired - Fee Related KR101455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08574 2011-09-26
JP2011208574A JP5491472B2 (ja) 2011-09-26 2011-09-26 ケーブル・配管類保護案内部材用取り付けブラ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307A KR20130033307A (ko) 2013-04-03
KR101455712B1 true KR101455712B1 (ko) 2014-10-28

Family

ID=4782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0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5712B1 (ko) 2011-09-26 2012-09-17 케이블용 보호 가이드 및 보호 가이드에 이용되는 브라켓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51436B2 (ko)
JP (1) JP5491472B2 (ko)
KR (1) KR101455712B1 (ko)
CN (1) CN103022938B (ko)
DE (1) DE102012108681B4 (ko)
TW (1) TWI5034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2926A1 (en) 2008-02-28 2009-09-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oftware license management system that functions in a disconnected or intermittently connected mode
JP5438753B2 (ja) * 2009-03-25 2014-03-12 大電株式会社 可動部用条材
JP5628124B2 (ja) * 2011-09-26 2014-11-1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合成樹脂製のケーブル・配管類保護案内部材
TWM427481U (en) * 2011-12-26 2012-04-21 Kang Yang Hardware Entpr Co Ltd Guiding protection device for cable and pipe
US9085416B2 (en) 2013-04-30 2015-07-21 Honeywell Asca Inc. Pneumatically-expandable cable track for scanning head of paper machine or other system
US9787075B2 (en) * 2013-04-30 2017-10-10 Honeywell Limited Cable track for scanning head of paper machine or other system
JP6032125B2 (ja) * 2013-05-17 2016-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DE102013211523B3 (de) * 2013-06-19 2014-08-07 Trumpf Laser- Und Systemtechnik Gmbh Bearbeitungsmaschine zur Werkstückbearbeitung
JP6020394B2 (ja) * 2013-09-05 2016-11-02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の外装材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JP6221987B2 (ja) * 2014-03-10 2017-11-01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101640021B1 (ko) * 2016-02-23 2016-07-15 주식회사 토마스엔지니어링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케이블
CN105953057B (zh) * 2016-06-25 2018-12-18 苏州赛智达智能科技有限公司 液位计垂直安装支架
JP7031958B2 (ja) * 2016-12-27 2022-03-08 株式会社ディスコ 伝達線カバーアセンブリ及び加工装置
JP6684452B2 (ja) * 2017-04-05 2020-04-22 住友電装株式会社 ハーネスガイド
GB2570651B (en) * 2018-01-30 2022-04-06 First Subsea Ltd Mounting device for an elongate flexible member
KR102557903B1 (ko) * 2020-11-24 2023-07-19 이민우 케이블수량 변동 대응형 케이블 가이드 체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1292A (ja) 2000-02-03 2001-08-17 Kunimori Kagaku Co Ltd ケーブルチェーン
JP2003533955A (ja) 1999-12-23 2003-11-11 カーベルシユレツプ・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ライン案内装置の条片及び繊維強化条片の製造方法
KR20060106644A (ko) * 2005-03-30 2006-10-12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장치의 케이블류 클램프 부재
JP2009060731A (ja) 2007-08-31 2009-03-19 Yazaki Corp 屈曲可能プロテ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8247A (en) * 1949-03-10 1953-11-10 Automotive Spring Corp Snap-in deformable clip holder
US3011748A (en) * 1959-10-09 1961-12-05 Breuer Karl End mounting means for curtain rods
US3468509A (en) * 1967-09-06 1969-09-23 Lawrence Brothers Track mounting bracket
US4114158A (en) * 1977-06-13 1978-09-12 Verini Anthony J Mount assembly for antennas with male-female securing means
US4192062A (en) * 1978-06-08 1980-03-11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Terminating flat flexible cables
US4332433A (en) * 1978-07-28 1982-06-01 Western Electric Co., Inc. Termination of flat flexible cables
US4885774A (en) * 1987-07-22 1989-12-05 Nynex Corporation Bracket for armored cord
DD265449B5 (de) 1987-10-01 1996-11-28 Kabelschlepp Gmbh Kabel- und Schlauchschlepp
DE59109182D1 (de) 1991-11-26 2000-03-09 Kabelschlepp Gmbh Leitungsführungsanordnung mit Nutgrundverbreiterung
CN1115837A (zh) * 1994-07-26 1996-01-31 美国W.L.戈尔及合伙人有限公司 牵引链代用品
JPH09184547A (ja) * 1995-12-29 1997-07-15 Kawasaki Heavy Ind Ltd 可撓性長尺材の支持案内装置
CN1194683A (zh) * 1996-05-22 1998-09-30 西蒙公司 可拆卸地安装于支座上的线缆管理器
JP3709892B2 (ja) 1997-03-13 2005-10-26 カーベルシユレツプ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異なった2つの安定な位置に動かすことができる蓋を有する保護要素
DE19710489A1 (de) 1997-03-13 1998-09-24 Kabelschlepp Gmbh Faltbares Schutzelement für Leitungen
US6371424B1 (en) * 1999-09-10 2002-04-16 General Dynamics Canada Ltd. Mounting an article upon a support
JP2003092820A (ja) * 2001-09-19 2003-03-28 Mitsumi Electric Co Ltd ケーブル取付構造
JP3940308B2 (ja) * 2002-03-27 2007-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ーネス固定具
US6742653B2 (en) * 2002-09-13 2004-06-01 Jui-Chien Kao Tool suspension device
JP3717168B2 (ja) * 2003-04-28 2005-11-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05147233A (ja) * 2003-11-13 2005-06-09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JP4493559B2 (ja) * 2005-07-08 2010-06-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トユニット
US7878463B2 (en) * 2005-09-22 2011-02-01 Kauppila Richard W Shaft seal mounting and method
JP4297375B2 (ja) * 2006-08-14 2009-07-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US7312395B1 (en) * 2007-02-16 2007-12-25 Arlington Industries, Inc. Adjustable electrical outlet box assembly
JP4118314B1 (ja) 2007-04-27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20090108157A1 (en) * 2007-10-30 2009-04-30 William Spencer Bath accessory wall mounting installation assurance
US7918433B2 (en) * 2008-06-25 2011-04-05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ition piece mounting bracket and related method
JP2010007807A (ja) * 2008-06-30 2010-01-14 Yazaki Corp 屈曲性外装部品
US8091852B2 (en) * 2008-12-09 2012-01-10 Geoff Vassallo Hanger device and method for hanging an object
CN201330922Y (zh) * 2009-01-09 2009-10-21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壁挂架以及壁挂架与计算机主机的组合
CN201422219Y (zh) * 2009-04-23 2010-03-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线缆固定装置
US8727289B2 (en) * 2009-07-13 2014-05-2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able clamp
US8466364B2 (en) * 2010-05-18 2013-06-18 Hitachi Cable Ltd. Cable fixing member and cable fixing structure
JP5002688B2 (ja) * 2010-07-12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筐体取付構造
US8939674B2 (en) * 2011-12-28 2015-01-27 Custom-Pak,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blow molded parts without use of fasten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3955A (ja) 1999-12-23 2003-11-11 カーベルシユレツプ・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ライン案内装置の条片及び繊維強化条片の製造方法
JP2001221292A (ja) 2000-02-03 2001-08-17 Kunimori Kagaku Co Ltd ケーブルチェーン
KR20060106644A (ko) * 2005-03-30 2006-10-12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 안내장치의 케이블류 클램프 부재
JP2009060731A (ja) 2007-08-31 2009-03-19 Yazaki Corp 屈曲可能プロテ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91472B2 (ja) 2014-05-14
TW201333343A (zh) 2013-08-16
KR20130033307A (ko) 2013-04-03
CN103022938B (zh) 2016-01-20
TWI503495B (zh) 2015-10-11
US9551436B2 (en) 2017-01-24
JP2013070553A (ja) 2013-04-18
DE102012108681B4 (de) 2018-08-30
DE102012108681A1 (de) 2013-03-28
CN103022938A (zh) 2013-04-03
US20130075128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712B1 (ko) 케이블용 보호 가이드 및 보호 가이드에 이용되는 브라켓
KR101437400B1 (ko) 긴 부재들을 내부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연성 보호 가이드
KR101504566B1 (ko) 긴 부재들을 내부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연성 보호 가이드
US895731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member
KR20110111235A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용 다관절 지지 부재
KR101539311B1 (ko) 가동부용 세장 구조
KR101184113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JP5393509B2 (ja) ケーブル保持具
US20130025252A1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KR101902672B1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JP4136905B2 (ja) 水平設置型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KR20150011312A (ko) 체인 가이드
KR102420279B1 (ko) 장척체 및 케이블 등 지지 장치
JP5913883B2 (ja) ケーブル保護案内部材の取付構造
WO2013132710A1 (ja) スリット装着部材装着治具、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スリット装着部材
CN212842133U (zh) 走线结构、空调器及固定部
US918525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KR100968868B1 (ko) 산업용 로봇의 리니어 가이드 베이스 장치
WO2016088399A1 (ja) 長尺体及びケーブル等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