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060B1 -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및 이의 추락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및 이의 추락방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5060B1 KR101455060B1 KR1020140054015A KR20140054015A KR101455060B1 KR 101455060 B1 KR101455060 B1 KR 101455060B1 KR 1020140054015 A KR1020140054015 A KR 1020140054015A KR 20140054015 A KR20140054015 A KR 20140054015A KR 101455060 B1 KR101455060 B1 KR 1014550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elevating
- speed
- lifting
-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승강대차; 상기 승강대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대차를 수직이동 시키는 다수의 제1 승강부; 상기 승강대차에 별도로 연결되고, 위험 상황 시 상기 승강대차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2 승강부; 및 상기 승강대차를 수직이동 시키도록 상기 제1 승강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승강부 각각의 수직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1 와이어가 승강대차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방식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1 와이어가 승강대차의 상부에 고정 구비되는 지점을 보여주는 예시도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2 와이어의 내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다른 제2 와이어의 내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가이드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종단 가이드의 정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 (b)는 도 7 (a)의 상부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종단 가이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추락방지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추락방지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보여주는 블록도.
130: 제2 승강부 140: 제어부
210: 가이드 와이어 220: 가이드부
121: 제1 와이어 122: 제1 와이어 드럼
123: 제1 모터 123a: 제1 회동축
131, 231: 제2 와이어 132: 제2 와이어 드럼
133: 제2 모터 133a: 제2 회동축
131a: 전원 케이블 131b: 신호 케이블
221, 321: 종단 가이드 222: 홀더바
223: 홀더 파이프 224: 스프링
221a: 마찰부재 321a: 제1 도르래
321b: 제2 도르래 321c: 연결판
141: 속도센서, 142: 비교기
143: 알람기 144: 감속기
145: 차단기 146: 키패드
147: 디스플레이 A: 제1 고리
B: 제2 고리 C: 제3 고리
a, b, c, d: 결합지점
Claims (15)
-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승강대차;
상기 승강대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대차를 수직이동 시키는 다수의 제1 승강부;
상기 승강대차에 상기 제1 승강부와 별도로 연결되고, 위험 상황 시 상기 승강대차의 추락을 방지하는 제2 승강부; 및
상기 승강대차를 수직이동 시키도록 상기 제1 승강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승강부 각각의 수직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승강대차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승강대차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제2 와이어;
상기 제2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하되, 상기 제2 와이어의 상태를 루즈(loose)한 상태로 유지하는 제2 와이어 드럼;
상기 제2 와이어 드럼을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제2 와이어에 기 설정된 장력(張力)보다 높은 장력이 가해지면 회동을 중단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동력과 회동방향을 상기 제2 와이어 드럼으로 전달하는 제2 회동축; 을 포함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차의 수직이동을 가이드(guide)하기 위해, 상기 승강대차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수직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와이어(wire); 및
일단은 상기 승강대차의 상부 일측면에 장착되며, 타단을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승강대차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 종단이 상기 승강대차의 상부 일측면에 장착되는 중공관 형상의 홀더 파이프(holder pipe);
상기 홀더 파이프의 타측 종단에 일측 종단이 삽입되는 홀더바(bar);
상기 홀더 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바의 상기 일측 종단과 맞닿아 구비되는 스프링(spring); 및
상기 홀더바의 타측 종단에 구비되는 종단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종단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종단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원주면에 레일(rail)이 형성된 제1 도르래;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타측면에 형성되고, 원주면에 레일이 형성된 제2 도르래; 및
상기 제1 도르래 및 상기 제2 도르래를 연결하고, 상기 홀더바에 연결된 연결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종단 가이드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종단 가이드 내부에 연결 구비되고, 내향하는 두 개의 마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가 전류를 인가하면 자기화(磁氣化)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마찰시킴으로써 상기 승강대차를 감속시키는 전자석 브레이크(brea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대차에 부착되고, 상기 승강대차의 하강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
상기 속도센서로부터 상기 승강대차의 하강속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받고, 상기 승강대차의 하강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면 속도초과 정보를 전송하는 비교기;
상기 속도초과 정보를 전송받으면, 탑승자가 인지할 수 있는 알람(alarm)을 발생시키는 알람기;
상기 속도초과 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마찰부재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화 시킴으로써,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서로 마찰시키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의 기동 후, 수신된 하강속도 정보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1 승강부의 동력을 차단하는 차단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대차의 내부에
상기 승강대차의 상승, 하강, 및 속도에 관한 버튼(button)이 구비된 키패드(key pad);
상기 승강대차의 현재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및
상기 승강대차의 내부에 구비된 무선 송수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상태는 상기 승강대차의 속도, 하중, 및 상기 승강대차의 현재높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승강대차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승강대차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다수의 제1 와이어(wire);
상기 승강대차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다수의 제1 와이어 드럼(wire drum);
상기 제1 와이어 드럼을 회전 구동시키는 다수의 제1 모터(motor); 및
상기 제1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동력과 회동방향을 상기 제1 와이어 드럼으로 전달하는 제1 회동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승강대차의 무게중심에서 모멘트(moment)가 동일한 영역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개수는 짝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승강대차의 상부 무게중심에 연결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cable);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송신하거나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케이블(cable); 을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는
토크(torque)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 (A) 속도센서가 승강대차의 하강속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단계;
(B) 제어부가 상기 하강속도를 전송받아 기 설정된 속도와 비교하고, 상기 하강속도가 상기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면 속도초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제어부가 상기 속도초과 정보를 전송받으면, 알람기가 알람을 발생시키고, 감속기가 상기 승강대차의 하강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
(D) 제어부가 상기 속도센서로부터 전송된 상기 승강대차의 하강속도가 상기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면, 제어부가 제1 승강부의 동력을 차단하는 단계; 및
(E) 제어부가 제2 승강부의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승강대차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승강대차를 상방으로 지지하는 제2 와이어;
상기 제2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하되, 상기 제2 와이어의 상태를 루즈(loose)한 상태로 유지하는 제2 와이어 드럼;
상기 제2 와이어 드럼을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제2 와이어에 기 설정된 장력(張力)보다 높은 장력이 가해지면 회동을 중단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동력과 회동방향을 상기 제2 와이어 드럼으로 전달하는 제2 회동축; 을 포함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추락방지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감속은
상기 제어부가 마찰부재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화(磁氣化)시킴으로써, 가이드 와이어에 대향하여 발생된 인력에 의해 상기 마찰부재와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서로 마찰함으로써 상기 승강대차를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추락방지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4015A KR101455060B1 (ko) | 2014-05-07 | 2014-05-07 |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및 이의 추락방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4015A KR101455060B1 (ko) | 2014-05-07 | 2014-05-07 |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및 이의 추락방지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5060B1 true KR101455060B1 (ko) | 2014-10-28 |
Family
ID=5199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4015A Active KR101455060B1 (ko) | 2014-05-07 | 2014-05-07 |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및 이의 추락방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506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3400B1 (ko) * | 2017-04-13 | 2017-07-31 | 정관영 |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KR20190043014A (ko) * | 2017-10-17 | 2019-04-25 | 전하영 |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인명 추락 방지 장치 |
KR102387230B1 (ko) * | 2022-01-03 | 2022-04-18 | (주)성진하이텍 | 와이어와 케이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39872B2 (ja) | 1996-07-29 | 1998-12-16 | 株式会社サノヤス・ヒシノ明昌 | 立坑用ロープ式エレベータ |
KR20110133776A (ko) * | 2010-06-07 | 2011-12-14 | (주)성풍건설 | 수직터널용 케이지 |
KR20120084959A (ko) * | 2011-01-21 | 2012-07-31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JP5164995B2 (ja) | 2007-12-19 | 2013-03-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
2014
- 2014-05-07 KR KR1020140054015A patent/KR10145506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39872B2 (ja) | 1996-07-29 | 1998-12-16 | 株式会社サノヤス・ヒシノ明昌 | 立坑用ロープ式エレベータ |
JP5164995B2 (ja) | 2007-12-19 | 2013-03-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KR20110133776A (ko) * | 2010-06-07 | 2011-12-14 | (주)성풍건설 | 수직터널용 케이지 |
KR20120084959A (ko) * | 2011-01-21 | 2012-07-31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3400B1 (ko) * | 2017-04-13 | 2017-07-31 | 정관영 | 추락 방지 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
KR20190043014A (ko) * | 2017-10-17 | 2019-04-25 | 전하영 |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인명 추락 방지 장치 |
KR102021842B1 (ko) * | 2017-10-17 | 2019-09-30 | 전하영 |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인명 추락 방지 장치 |
KR102387230B1 (ko) * | 2022-01-03 | 2022-04-18 | (주)성진하이텍 | 와이어와 케이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374726T3 (es) | Aparato elevador. | |
US9546074B2 (en) |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an anomalous acceleration detecting mechanism | |
CN105358468B (zh) | 竖井区域的扩展 | |
US9834415B2 (en) | Elevator system for a building under construction | |
KR101974760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1455060B1 (ko) |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및 이의 추락방지 방법 | |
AU2017289326B2 (en) | Method for constructing an elevator system having an adaptable usable lifting height | |
CN106256746A (zh) | 控制装置和方法 | |
JP2017114668A (ja) | 安全装置、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 | |
KR101783323B1 (ko) | 리프트 낙하 방지장치 | |
EP3828115B1 (en) | Emergency stop system for elevator | |
JP2005132543A (ja) | エレベーターの保守時安全装置 | |
EP3752442B1 (en) |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 |
JP5818930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H0825702B2 (ja) |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の支持構造 | |
JP6416545B2 (ja) | 遮蔽体駆動装置 | |
CN209799332U (zh) | 一种建筑外墙施工装置 | |
JP2007176624A (ja) | エレベータ | |
JP2000160863A (ja) | 昇降式駐車装置 | |
JP3531504B2 (ja) |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 |
JP4862296B2 (ja) | エレベータの検査方法 | |
JP2008247568A (ja) | スタッカクレーンの昇降体落下防止装置およびスタッカクレーン | |
JP3452879B2 (ja) | 立体駐車装置 | |
KR102423016B1 (ko) | 짚라인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2835085B1 (ko) | 크레인용 권과장치 및 자동 제어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5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