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9451B1 - 염색제 용기 - Google Patents

염색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451B1
KR101449451B1 KR1020130097184A KR20130097184A KR101449451B1 KR 101449451 B1 KR101449451 B1 KR 101449451B1 KR 1020130097184 A KR1020130097184 A KR 1020130097184A KR 20130097184 A KR20130097184 A KR 20130097184A KR 101449451 B1 KR101449451 B1 KR 101449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ye
oxidizing agent
pumping
containers
dy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욱
Original Assignee
(주)나산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산기업 filed Critical (주)나산기업
Priority to KR102013009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4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색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목적은, 누름버튼의 구조를 변경하여 염모제와 산화제를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하는 염색제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염모제와 산화제가 각각 충전됨과 함께 상기 담겨진 염모제와 산화제를 각각 토출하도록 하는 노즐부가 구비된 한 쌍의 용기와, 상기 한쌍의 용기 상부에 설치되어 각 용기의 상부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각 용기의 노즐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좌,우측에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진 결합하우징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혼합된 염모제 및 산화제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하우징의 걸림턱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누름버튼이 형성되어진 펌핑헤드부재와, 상기 결합하우징과 펌핑헤드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되, 하부에 형성된 가압결합부는 상기 결합하우징의 노즐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혼합된 염모제와 산화제가 상기 펌핑헤드부재의 토출부에 연통되는 혼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결합부와 혼합부 사이에 챔버가 형성하되, 중앙의 격벽을 중심으로 제1챔버는 염모제가 유입되고, 제2챔버에는 산화제가 유입되도록 하는 펌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좌,우측에서 가압하게 되면, 결합부가 걸림턱에 결합되면서 펌핑부재의 가압결합부가 염모제 및 산화제의 노즐부를 가압하도록 하며, 상기 펌핑부재의 제1,2챔버 내부에는 틈새가 형성된 제1 완충벽이 형성되고, 상기 펌핑부재의 혼합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염모제와 산화제가 와류되면서 혼합되도록 하며, 상기 펌핑헤드부재의 토출부 상에 틈새가 형성되어진 제2완충벽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염색제 용기{HAIRDYE VESSEL}
본 발명은 염색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버튼의 구조를 변경하여 염모제와 산화제를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하는 염색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발의 염색을 위해서는 제1액인 염모제와 제2액인 산화제를 혼합 사용하게 되며, 특히 염모제는 백모용을 비롯하여 다양한 헤어칼라의 염색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색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들 염모제 및 산화제는 혼합되어진 상태에서는 변질이 발생하므로별도의 용기에 각각 보관할 수 밖에 없고, 염색을 할 때 바로 혼합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각각의 용기에 담겨진 염모제와 산화제가 별도의 라인을 통해, 혼합용 분무 브러쉬에서 일정한 비율의 양으로 각각 토출되어 모발염색 중에 서로 혼합되도록 하거나 혹은 혼합브러쉬 내에서 혼합이 이루어지게 한 후에 폼(거품)형태로 토출하도록 하는 염색제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염색제 용기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33054호의 혼합용 분무 브러쉬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누름버튼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모발을 염색하기 위한 분무 브러쉬에 있어서, 염모제와 산화제가 각각 충전됨과 함께 상기 담겨진 염모제와 산화제를 각각 토출하도록 하는 노즐부(1a)가 구비된 한 쌍의 용기(1)와, 상기 각 용기(1)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각 용기(1)가 각각 삽입됨과 함께 상기 각 용기를 바닥에 세우도록 하는 케이스(2)와, 상기 각 용기(1)의 상부에 설치되어 각 용기(1)의 상부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각 용기(1)의 노즐부(1a)가 각각 삽입 결합되는 관통공(3a)을 갖는 하부하우징(3)과, 상기 하부하우징(3)의 상부에는 후면에 안내공(4a)이 형성됨과 함께 하부하우징(3)과 하우징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하우징(4)과, 상기 상부하우징(4) 내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각 용기(1)의 노즐부(1a)와 연결되어 각 용기(1)에서 토출되는 염모제와 산화제의 흐름 유로를 각각 형성하도록 하는 유로라인부재(5)와, 상기 유로라인부재(5)에 결합되어 유로라인부재(5)에서 각 용기 내의 염모제와 산화제가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하는 노즐가압부재(6), 상기 상부하우징(4)의 상부에 결합되어 유로라인부재(5)를 통해 유입된 염모제와 산화제가 혼합된 폼(거품)형태의 염액이 토출됨은 물론 상기 토출된 염액을 모발에 묻혀 염색하도록 상기 모발을 빗는 혼합브러쉬(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완료된 혼합용 분무 브러쉬를 사용할 때 즉, 모발을 염색할 때에는 상기 상부하우징(4)의 후면 안내공(4a)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노즐가압부재(6)의 누름버튼(6b)을 하방으로 누른다.
그러면 상기 유로라인부재(5)의 상면에 형성된 위치조절공(5d)에 삽입되어 있는 노즐가압본체(6a)의 누름돌기(6c)가 유로라인부재(5)의 상면을 누름과 동시에, 유로라인본체(5a)의 삽입유로공(5b)에 삽입 결합된 각 용기(1)의 노즐부(1a)도 힘이 가해지면서 상기 각 용기(1) 내의 염모제와 산화제는 각 노즐부(1a)를 통해 상기 각 용기(1)의 외부로 일정한 양으로 동시에 토출된다.
상기 토출되는 염모제와 산화제는 각 노즐부(1a)와 연통되어 있는 상기 유로라인본체(5a)내의 빈 공간내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된 염모제와 산화제는 격벽에 의해 상기 유로라인본체(5a)내에서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며 유로라인부재(5)를 통하여 유로라인본체(5a) 내로 유입된 염모제와 산화제가 각각 분출된다.
상기 유로라인부(5c)로 분출되어 흐르는 염모제와 산화제는 혼합브러쉬본체(7a)에 형성된 유로부(7b)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토출빗부(7d)의 각 빗에 형성된 토출공을 통해 혼합된 염액 또는, 상기 토출공을 통해 염모제와 산화제가 각각 토출되어 폼(거품)형태의 염액이 형성되면, 상기 혼합브러쉬(7)로 모발을 골고루 빗음에 따라 상기의 모발은 염색된다.
즉,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혼합용 분무 브러쉬의 케이스(2)를 잡고 상기 혼합브러쉬(7)로 모발을 빗음에 따라 상기 혼합브러쉬(7)의 빗부(7c)와 토출빗부(7d)의 각 빗에 의해 상의 폼(거품)은 모발에 묻으면서 상기 모발을 원하는 색상으로 염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염색제 용기는 누름버튼(62)에 의해 용기의 노즐부(1a)를 가압하는 유로라인부재(5)의 누름동작에 의해 염모제와 산화제의 노즐부(1a)가 가압되어 분출되는 구조인데, 누름버튼(6b)의 중앙(a)를 정확히 누루지 않고, 좌측(b) 또는 우측(c)으로 치우쳐 누르게 되면 염모제 또는 산화제의 균일한 토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염모제와 산화제의 토출되는 유로상에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액이 급격하게 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누름버튼의 구조를 변경하여 염모제와 산화제를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하는 염색제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모제와 산화제의 토출되는 유로상에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액의 급격한 토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염색제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는 염모제와 산화제가 각각 충전됨과 함께 상기 담겨진 염모제와 산화제를 각각 토출하도록 하는 노즐부가 구비된 한 쌍의 용기와, 상기 한쌍의 용기 상부에 설치되어 각 용기의 상부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각 용기의 노즐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좌,우측에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진 결합하우징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혼합된 염모제 및 산화제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하우징의 걸림턱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누름버튼이 형성되어진 펌핑헤드부재와, 상기 결합하우징과 펌핑헤드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되, 하부에 형성된 가압결합부는 상기 결합하우징의 노즐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혼합된 염모제와 산화제가 상기 펌핑헤드부재의 토출부에 연통되는 혼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결합부와 혼합부 사이에 챔버가 형성하되, 중앙의 격벽을 중심으로 제1챔버는 염모제가 유입되고, 제2챔버에는 산화제가 유입되도록 하는 펌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좌,우측에서 가압하게 되면, 결합부가 걸림턱에 결합되면서 펌핑부재의 가압결합부가 염모제 및 산화제의 노즐부를 가압하도록 하며, 상기 펌핑부재의 제1,2챔버 내부에는 틈새가 형성된 제1 완충벽이 형성되고, 상기 펌핑부재의 혼합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염모제와 산화제가 와류되면서 혼합되도록 하며, 상기 펌핑헤드부재의 토출부 상에 틈새가 형성되어진 제2완충벽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대응경사면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는 누름버튼을 좌,우측의 양측에서 가압되도록 하여 염모제와 산화제의 노즐부를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되도록 함으로서, 염모제와 산화제를 균일하게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는 펌핑부재의 제1,2챔버의 내부에 틈새가 형성된 제1 완충벽을 형성하고, 펌핑헤드부재의 토출부 상에 틈새가 형성된 제2 완충벽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염모제와 산화제의 토출되는 유로상에 완충수단을 형성하여 액의 급격한 토출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누름버튼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누름버튼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누름버튼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누름버튼의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누름버튼의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누름버튼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누름버튼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누름버튼의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 용기의 누름버튼의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염색제 용기는, 한쌍의 용기(10), 결합하우징(20), 펌핑헤드부재(30) 및 펌핑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용기(10)는 염모제와 산화제가 각각 충전됨과 함께 상기 담겨진 염모제와 산화제를 각각 토출하도록 하는 노즐부(1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용기(10)의 노즐부(11)는 눌려짐에 의해 각각 염모제와 산화제가 토출되는 것이며, 노즐부(11)가 눌려지지 않을 때에는 내부의 가스가 밖으로 나오지 못하다 노즐부(11)가 눌려지면 가스가 밖으로 나오는 구조이다.
상기 결합하우징(20)은 상기 한쌍의 용기(10) 상부에 설치되어 각 용기(10)의 상부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각 용기(10)의 노즐부(11)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좌,우측에 걸림턱(22)이 각각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22)의 하부에는 경사면(22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펌핑헤드부재(30)는 상기 결합하우징(20)의 상부에 결합되고, 혼합된 염모제 및 산화제가 토출되는 토출부(3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하우징(20)의 걸림턱(22)에 결합되는 결합부(33)를 포함하는 누름버튼(32)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펌핑헤드부재(30)의 토출부(31) 상에 틈새(t)가 형성되어진 제2완충벽(35)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결합부(33)에는 상기 걸림턱(22)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22a)에 대응하는 대응경사면(33a)이 형성되어 상기 펑핑헤드부재(30)의 누름버튼(32)을 좌,우측에서 누르게 되면 대응경사면(33a)과 걸림턱(22)의 하부의 경사면(22a) 사이에 미끄럼 동작에 의해 후술하는 펌핑부재(4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한쌍의 용기(10)의 노즐부(11)를 가압하여 염모제 및 산화제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펑핑부재(40)는 상기 결합하우징(20)과 펌핑헤드부재(30)의 사이에 설치되되, 하부에 형성된 가압결합부(41)는 상기 결합하우징(20)의 노즐부(11)에 결합되고, 상부는 혼합된 염모제와 산화제가 상기 펌핑헤드부재(30)의 토출부(31)에 연통되는 혼합부(42)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결합부(41)와 혼합부(42) 사이에 챔버(43)가 형성하되, 중앙의 격벽(44)을 중심으로 제1챔버(43)는 염모제가 유입되고, 제2챔버(43)에는 산화제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펌핑부재(40)의 제1,2챔버(43a)(43b) 내부에는 틈새(t)가 형성된 제1 완충벽(45)이 형성되어져 용기(10)의 노즐부(11)에서 토출되는 염모제 및 산화제를 1차로 완충하게 되고, 2차로 펌핑헤드부재(30)의 토출부(31) 내부의 제2완충벽(35)에서 2차로 완충하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염모제 및 산화제의 급격한 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완충벽(45)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그재그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펌핑부재(40)의 혼합부(42)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염모제와 산화제가 와류되면서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펌핑헤드부재(30)의 누름버튼(32)을 좌,우측에서 가압하게 되면, 결합부(33)의 대응경사면(33a)이 걸림턱(22)의 경사면(22a)에 밀착되면서 펌핑헤드부재(30)가 하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펌핑부재(40)의 가압결합부(41)가 염모제 및 산화제의 노즐부(11)를 가압하도록 하여 염모제 및 산화제를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한쌍의 용기(10)의 하부에는 하부케이스(50)가 설치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용기를 파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 발명의 염색제 용기는 염모제와 산화제가 각각 충전되어진 용기의 하부에 하부케이스(50)를 결합하고, 상부에는 결합하우징(20)을 결합하며,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된 노즐부(11)에 펌핑부재(40)의 가압결합부(41)를 결합한 후 상기 펌핑부재(40)의 혼합부(42)에 펌핑헤드부재(30)의 토출부(31)를 결합함과 아울러 펌핑헤드부재(30)의 누름버튼(32)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부(33)와 결합하우징(20)의 걸림턱(22)을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원 발명의 염색제 용기를 이용하여 염색을 하기 위해서는 펌핑헤드부재(30)의 누름버튼(32)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누름버튼(32)의 내부에 형성된 대응경사면(33a)과 결합하우징(20)의 걸림턱(22)의 경사면(22a)이 밀착되면서 펌핑헤드부재(30)는 하부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펌핑헤드부재(30)와 결합하우징(20) 사이에 위치해 있는 펌핑부재(40)도 펌핑헤드부재(30)와 함께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펌핑부재(40)의 가압결합부(41)가 용기의 노즐부(11)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압결합부(41)가 노즐부(11)를 가압하게 되면 용기(10)의 내부의 충전되어진 염모제 및 산화제가 토출되어 펌핑부재(40)의 제1,2챔버(43a)(43b)에 각각 토출되는데 상기 제1,2챔버(43a)(43b)에 형성된 제1 완충벽(45)에 의해 급격한 토출이 방지되면서 제1 완충벽(45)의 틈새(t)를 통해 토출된다.
또한, 상기 제1 완충벽(45)을 통해 토출된 염모제 및 산화제는 펌핑부재(40)의 혼합부(42)에서 와류되면서 펌핑헤드부재(30)의 토출부(31)를 토출된다.
또한, 상기 토출부(31)로 토출되는 염모제 및 산화제는 제2 완충벽(35)에서 2차로 완충되면서 외부로 급격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용기 11: 노즐부
20: 결합하우징 21: 관통공
22: 걸림턱 22a: 경사면
30: 펌핑헤드부재 31: 토출부
32: 누름버튼 33: 결합부
33a: 대응경사면 35: 제2 완충벽
40: 펌핑부재 41: 가압결합부
42: 혼합부 43: 챔버
43a: 제1챔버 43b: 제2챔버
44: 격벽 45: 제1 완충벽
틈새: t

Claims (5)

  1. 염모제와 산화제가 각각 충전됨과 함께 상기 담겨진 염모제와 산화제를 각각 토출하도록 하는 노즐부가 구비된 한 쌍의 용기와,
    상기 한쌍의 용기 상부에 설치되어 각 용기의 상부를 고정함과 함께 상기 각 용기의 노즐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좌,우측에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진 결합하우징과,
    상기 결합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혼합된 염모제 및 산화제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하우징의 걸림턱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누름버튼이 형성되어진 펌핑헤드부재와,
    상기 결합하우징과 펌핑헤드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되, 하부에 형성된 가압결합부는 상기 결합하우징의 노즐부에 결합되고, 상부는 혼합된 염모제와 산화제가 상기 펌핑헤드부재의 토출부에 연통되는 혼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결합부와 혼합부 사이에 챔버가 형성하되, 중앙의 격벽을 중심으로 제1챔버는 염모제가 유입되고, 제2챔버에는 산화제가 유입되도록 하는 펌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좌,우측에서 가압하게 되면, 결합부가 걸림턱에 결합되면서 펌핑부재의 가압결합부가 염모제 및 산화제의 노즐부를 가압하도록 하며,
    상기 펌핑부재의 제1,2챔버 내부에는 틈새가 형성된 제1 완충벽이 형성되고,
    상기 펌핑부재의 혼합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염모제와 산화제가 와류되면서 혼합되도록 하며,
    상기 펌핑헤드부재의 토출부 상에 틈새가 형성되어진 제2완충벽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대응경사면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제 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097184A 2013-08-16 2013-08-16 염색제 용기 Active KR101449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184A KR101449451B1 (ko) 2013-08-16 2013-08-16 염색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184A KR101449451B1 (ko) 2013-08-16 2013-08-16 염색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451B1 true KR101449451B1 (ko) 2014-10-13

Family

ID=5199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184A Active KR101449451B1 (ko) 2013-08-16 2013-08-16 염색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4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667B1 (ko) * 2018-05-04 2018-10-16 (주)지영솔루텍 염모제와 산화제의 개별 용기 사용이 가능한 모발 염색용 브러시 기구
KR102139207B1 (ko) 2020-03-13 2020-07-29 서현영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KR102275575B1 (ko) 2020-12-02 2021-07-09 정환희 염색제 용기 및 그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757B1 (ko) * 2001-06-27 2008-01-04 가부시키가이샤 가네보케쇼힝 혼합주출장치
KR100905917B1 (ko) * 2008-10-08 2009-07-02 (주) 아름다운 화장품 교반봉이 구비된 염색제 용기
KR20100095056A (ko) * 2009-02-20 2010-08-30 전기평 크림타입 염색약의 혼합 압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757B1 (ko) * 2001-06-27 2008-01-04 가부시키가이샤 가네보케쇼힝 혼합주출장치
KR100905917B1 (ko) * 2008-10-08 2009-07-02 (주) 아름다운 화장품 교반봉이 구비된 염색제 용기
KR20100095056A (ko) * 2009-02-20 2010-08-30 전기평 크림타입 염색약의 혼합 압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667B1 (ko) * 2018-05-04 2018-10-16 (주)지영솔루텍 염모제와 산화제의 개별 용기 사용이 가능한 모발 염색용 브러시 기구
KR102139207B1 (ko) 2020-03-13 2020-07-29 서현영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KR102275575B1 (ko) 2020-12-02 2021-07-09 정환희 염색제 용기 및 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3054Y1 (ko) 혼합용 분무 브러쉬
KR101449451B1 (ko) 염색제 용기
KR101028059B1 (ko) 모발 염색용 브러시
WO2008136441A1 (ja) 二剤式染毛用又は脱色用毛髪化粧品
JP5829461B2 (ja) 毛髪の染毛又は脱色方法、及び染毛用又は脱色用キット
KR102164743B1 (ko) 복수의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조립체
US6505983B1 (en) Brush coupled to hairdye ejecting apparatus
EP1340688B1 (en) Foam delivering container and method for charging contents into the same
KR200459243Y1 (ko) 두발용 염모제 혼합브러쉬
KR102139207B1 (ko) 보조 용기가 구비된 모발 염색용 듀얼 브러시
JP2005035631A (ja) 吐出装置
JP2009149323A (ja) 二重容器
JP3540458B2 (ja) 剤塗布装置
KR100744661B1 (ko)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염색제를 혼합하는 염색장치
JP2007269384A (ja) エアゾール式噴出容器
JP2009149322A (ja) スクイズボトル
JP2016500294A (ja) 毛髪の泡沫染色装置
KR101889971B1 (ko) 펜슬형 화장품 용기
KR101458310B1 (ko) 도포 기능이 개선된 모발 거품 염색장치
KR101870139B1 (ko) 가정용 모발관리기
KR20100077253A (ko) 좌변기용 비데
US6631724B2 (en) Device for applying an additive to hair
JPH1111554A (ja) 混合液噴射用エアゾール装置
KR20080073689A (ko) 머리 염색용 염색장치
KR101630758B1 (ko) 세척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