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9024B1 - 다이렉트 링크 설정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이를 지원하는 장치,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프레임포맷 - Google Patents

다이렉트 링크 설정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이를 지원하는 장치,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프레임포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024B1
KR101449024B1 KR1020080024032A KR20080024032A KR101449024B1 KR 101449024 B1 KR101449024 B1 KR 101449024B1 KR 1020080024032 A KR1020080024032 A KR 1020080024032A KR 20080024032 A KR20080024032 A KR 20080024032A KR 101449024 B1 KR101449024 B1 KR 10144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
relay
tdls
frame
reques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568A (ko
Inventor
석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024B1/ko
Priority to PCT/KR2009/001271 priority patent/WO2009113834A2/en
Priority to US12/922,266 priority patent/US8570945B2/en
Publication of KR2009009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568A/ko
Priority to US14/033,111 priority patent/US916137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0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이렉트 링크 설정(Direct Link Setup, DL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새로운 프레임 포맷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절차는 릴레이 목표 스테이션(STA) 정보를 포함하는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TDLS) 릴레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TA들로부터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TDLS 릴레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TA들 중에서 릴레이 STA을 선정하고, 상기 릴레이 목표 STA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정된 상기 릴레이 STA에게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BSS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고, 저전력 통신이 가능하여 스테이션의 전원 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다이렉트 링크 설정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프레임 포맷{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DLS Wireless Network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method, and frame format for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랜(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LAN)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이렉트 링크 설정(Direct Link Setup, DL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새로운 프레임 포맷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항공기 등과 같은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초기의 무선랜 기술은 IEEE 802.11을 통해 2.4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 대역 확산, 적외선 통신 등으로 1~2Mbps의 속도를 지원하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무선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OFDM) 기술 등을 무선랜에 적용하여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외에도 IEEE 802.11에서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의 향상,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프로토콜 호환, 보안 강화(Security Enhancement), 무선 자원 측정(Radio Resource Measurement),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신속한 로밍(Fast Roaming),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외부 네트워크와의 상호 작용(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관리(Wireless Network Management) 등을 위한 무선 통신 기술을 개발하여 실용화하였거나 또는 현재에도 개발 중에 있다.
IEEE 802.11에서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룬 STA의 집합을 가리킨다. 그리고 기본 서비스 영역(Basic Service Area, BSA)는 BSS를 구성하는 멤버들을 담고 있는 영역을 가리킨다. BSA는 무선 매체의 전파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경계가 다소 불명확하다. BSS는 기본적으로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와 인프라스트락쳐 BSS(Infrastructured BSS)의 두 가지 구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전자는 자기 자신이 포함된(self-contained)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분산 시스 템(Distribution System, DS)으로의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BSS를 말하고, 후자는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분산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스테이션들 사이의 통신을 포함한 모든 통신 과정에서 AP가 이용되는 BSS를 말한다.
초기의 WLAN 통신 절차에 의하면, 인프라스트락쳐 BSS에서는 비AP 스테이션(Non-AP STA)들 사이에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는 반드시 AP를 경유할 것을 요구하였다. 반면, 최근에는 무선 통신의 효율 향상을 위해 Non-AP STA들 사이의 다이렉트 링크 설정(Direct Link Setup, DLS)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지원하는 BSS, 즉 서비스품질 스테이션(QSTA)과 서비스품질 엑세스 포인트(QAP)로 구성된 서비스품질 기본 서비스 세트(QBSS)에서는, 비AP 스테이션(Non-AP STA)들은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고, QAP를 경유하지 않고서도 다이렉트 링크를 통하여 직접 통신을 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DLS 설정 절차는 BSS가 QoS지원하는 QBSS를 전제로 한다. QBSS에서는 Non-AP STA 뿐만 아니라 AP도 QoS를 지원하는 QAP이다. 그런데,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무선랜 환경(예컨대, IEEE 802.11a/b/g 등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는 비록 Non-AP STA이 QoS를 지원하는 QSTA이라고 하더라도 AP는 QoS 를 지원하지 못하는 레거시(Legacy) AP가 대부분이다. 그 결과,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무선랜 환경에서는 QSTA이라고 하더라도 DLS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없는 한계가 있다.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롭게 제안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다. TDLS는 QoS를 지원하지는 않지만 현재 상용화된 IEEE 802.11a/b/g 등의 무선랜 환경에서도 QSTA들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TDLS는 레거시 AP가 관리하는 BSS에서도 QSTA들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반 절차를 규정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TDLS 절차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TDLS 무선 네트워크라고 한다.
한편, 무선 네트워크의 단말은 계속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그에 포함되는 배터리도 일정한 제약을 가질 수 밖에 없다. 그 결과, 무선 네트워크의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범위도 일정한 한계가 있어서, 무선랜에서의 서비스 범위(Service Coverage)도 충분하게 넓은 범위를 보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인프라스트럭쳐 네트워크에서, 단말인 Non-AP STA의 파워가 충분하지 못하여,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가 커버할 수 있는 서비스 범위인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의 서비스 커버리지는 충분히 넓지 못할 수가 있다.
이러한 좁은 서비스 커버리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보다 많은 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를 많이 설 치하게 되면 그 만큼 설비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액세스 포인트는 고정 설비이기 때문에, 많은 수의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랜 시스템의 업그레이드에도 장애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무선랜에서 기본 서비스 세트(BSS)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신장시킬 수 있는 무선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절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무선랜에서 기본 서비스 세트(BSS)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신장시킬 수 있는 무선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절차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이렉트 링크를 이용하여 무선랜에서 기본 서비스 세트(BSS)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신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 포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절차는 릴레이 목표 스테이션(STA) 정보를 포함하는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TDLS) 릴레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TA들로부터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TDLS 릴레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TA들 중에서 릴레이 STA을 선정하고, 상기 릴레이 목표 STA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정된 상기 릴레이 STA에게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릴레이 STA은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목표 STA으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메시지는 트래픽 클래스(TCLAS)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STA은 수신된 상기 데이터 중에서 TCLAS가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TCLAS와 매칭되는 경우에만,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목표 STA을 위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TDLS 릴레이 응답 메시지는 상기 릴레이 목표 STA으로부터의 수신 채널에 대한 채널 품질을 나타내기 위한 RCPI1 정보 및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STA으로부터의 수신 채널에 대한 채널 품질을 나타내기 위한 RCPI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RCPI1 정보 및 상기 RCPI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 STA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과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STA 사이에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STA으로부터 상기 릴레이 목표 STA으로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릴레이 목표 스테이션(STA)은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DLS 무선 네트 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절차는 자신의 MAC 어드레스를 릴레이 목표 스테이션(STA) 정보로 설정한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TDLS) 릴레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TA들로부터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TDLS 릴레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TA들 중에서 릴레이 STA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릴레이 STA은 상기 릴레이 목표 STA을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릴레이 목표 STA에게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메시지는 트래픽 클래스(TCLAS)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STA은 수신된 상기 데이터 중에서 TCLAS가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TCLAS와 매칭되는 경우에만,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목표 STA을 위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TDLS 릴레이 응답 메시지는 상기 릴레이 목표 STA으로부터의 수신 채널에 대한 채널 품질을 나타내기 위한 RCPI1 정보 및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STA으로부터의 수신 채널에 대한 채널 품질을 나타내기 위한 RCPI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RCPI1 정보 및 상기 RCPI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 STA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는 STA과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STA 사이에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STA으로부터 상기 릴레이 목표 STA으로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는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전송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차는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절차로서, 개시 스테이션(STA)과 피어 STA 사이에는 다이렉트 링크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개시 STA 또는 상기 피어 STA은 상기 다이렉트 링크의 상대방 STA의 릴레이 기능을 이용하여 제3의 STA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3의 STA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개시 STA과 상기 피어 STA 사이에는 상기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가 전송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절차와 다이렉트 링크 설정 절차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릴레이 스테이션을 활용하여, BSS의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가 있다. 그리고 스테이션의 경우에도, 적은 송수신 전력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전원 관리가 용이하며 저전력 스테이션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는 Non-AP STA들 간에 다이렉트 링크 설정(DLS) 절차가 지원되는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IEEE 802.11e 규격에 따른 DLS 설정 절차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TDLS) 설정 절차가 지원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TDLS 무선 네트워크인 경우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TDLS 무선 네트워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비록 레거시 AP에 결합(Association)하고 있는 Non-AP STA이라도 상호 간에 다이렉트 링크인 TDLS 링크를 설정하고, 또한 설정된 TDLS 링크를 해제할 수가 있다. 어느 하나의 STA이 상대방 STA과 TDLS 링크를 설정하거나 또는 해제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관리 작용 프레임(Management Action Frames), 예컨대 TDLS 프레임을 레거시 AP를 통해 주고 받을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레거시 AP는 두 개의 Non-AP STA이 TDLS 링크를 설정하는데 직접적으로 관여할 수 없는 문제가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TDLS 프레임을 데이터 프레임의 형태로 인캡슐레이션시켜서 레거시 AP를 경유하여 상대방 STA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레거시 AP는 단지 Non-AP STA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며, TDLS 링크의 설정이나 관리, 해제 등의 절차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와 같이 TDLS 링크의 설정, 해제, 및 관리를 위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형태로 인캡슐레이션된 TDLS 프레임을 주고 받는 TDLS 무선 네트워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TDLS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들 중에서, Non-AP STA은 IEEE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이다. Non-AP STA은 AP가 아닌 무선국(Wireless Device)으로서, 각각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Terminal),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으로 불릴 수 있다.
Non-AP STA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며,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서와 디스플레이 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기능 유닛으로써, 스테이션을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그리고 사용자를 위한 여러 가지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트랜시버는 상기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이다.
그리고 Non-AP STA은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상대방 Non-AP STA을 위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중계한다. 데이터 프레임의 중계는 업링크의 경우는 물론 다운링크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피어 STA과 TDLS 링크를 설정하고 있는 Non-AP STA은, 상기 피어 STA으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피어 STA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을 다른 STA, 예컨대 AP로 릴레이한다. 또는, 상기 피어 STA에게로 전송될 데이터 프레임을 대신 수신하여 이를 상기 피어 STA에게로 릴레이한다.
그리고 AP는 무선국 기능을 가지며 또한 결합된 무선국(Associated Station)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경유하여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는 기능 개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의하면, 상기 AP는 서비스품질(QoS)을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AP일 수 있다. 이러한 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 B,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의 명칭으로 불릴 수도 있다.
도 1은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1 Non-AP STA이 레거시 AP를 경유하여 상대방 Non-AP STA (또는 Peer STA)과 주고 받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레임(이하, 'TDLS 프레임'이라 한다)의 포맷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TDLS 프레임은 MAC 헤더 필드(MAC Header), 논리 링크 제어(Logical Link Control, LLC)/서브네트워크 접속 프로토콜(Sub-Network Access Protocol, SNAP) 필드, 리모트 프레임 유형 필드(Remote Frame Type), TDLS 패킷 유형 필드(TDLS Packet Type), 정보 필드(Information), 및 에러 정정 필드(Cyclic Redundancy Code, CRC)를 포함한다. 그리고 TDLS 프레임은 프로토콜 버전 필드(Protocol Vers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AC 헤더 필드에는 거의 모든 유형의 프레임에 공통되는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MAC 헤드 필드는 프레임 제어 필드(Frame Control), 지속시간/아이디 필드(Duration/ID), 복수의 주소 필드(Address1, Address2, Address3, Address4), 시퀀스 제어 필드(Sequence Control), 및/또는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 QoS) 제어 필드(QoS Contro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프레임 제어 필드는 프로토콜 버전 필드(Protocol Version), 프레임의 기능을 식별하기 위한 타입과 서브타입 필드(Type and Subtype), 뒤따르는 현재의 MSDU나 MMPDU의 추가 프래그먼트가 존재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추가 프로그먼트 필드(More Fragments), 재전송되는 프레임인지를 지시하기 위한 재시도 필드(Retry), 전원 절약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전원 관리 필드(Power Management) 등을 포함한다. 프레임 제어 필드의 전원 관리 필드는 일련의 프레임 교환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이후에 STA이 동작하는 모드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전원 관리 필드가 '0'으로 설정되면 상기 프레임의 전송 STA은 활동 모드(Active Mode)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지만, 상기 전원 관리 필드가 '1'로 설정되면 전송 STA은 피어 전원 절약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품질 제어 필드는 프레임이 속하는 트래픽 카테고리(Traffic Category, TC) 또는 트래픽 스트림(Traffic Stream, TS)과 프레임 타입과 서브타입에 따라서 달라지는 프레임에 대한 여러 가지 다른 서비스품질 관련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품질 제어 필드는 프레임의 서브타입 필드의 QoS 서브필드가 '1'로 설정되어 있는 모든 TDLS 프레임에 존재할 수 있다. 각 서비스품질 제어 필드는 5개의 서브필드를 포함하는데, 이들 서브필드들의 사용예와 여러 가지 가능한 레이아웃은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Figure 112008018863086-pat00001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LLC/SNAP 필드는 LLC/SNAP 헤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모트 프레임 유형 필드는 TDLS 프레임이라는 것을 지시하는 값(예컨대, '2')으로 설정될 수 있다. 프로토콜 버전 필드는 송/수신 메시지의 프로토콜 버전을 지시하기 위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TDLS 패킷 유형 필드는 TDLS 프레임의 유형을 특정하기 위한 값으로 설정된다. TDLS 프레임의 유형과 이에 해당되는 값의 일례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TDLS 프레임에는 TDSL 설정 요청 프레임(TDLS Setup Request), TDLS 설정 응답 프레임(TDLS Setup Response), TDLS 설정 확인 프레임(TDLS Setup Confirm), TDLS 수신경로 스위치 요청 프레임(TDLS Rx Switch Request), TDLS 스위치 요청 응답 프레임(TDLS Rx Switch Response)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TDLS 프레임에는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TDLS Relay Request)과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TDLS Relay Response)이 더 포함된다.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은 Non-AP STA이 TDLS 무선 네트워크 상의 다른 Non-AP STA에게 자신을 위하여 프레임을 중계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한 것으로서, 업링크나 다운 링크 모두에 대하여 프레임의 릴레이 요청이 가능하다. 이러한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의 명칭은 예시적인 것이다. 그리고 TDLS 무선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무선 네트워크(DLS 설정 절차를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TDLS 프레임의 형식이 아닌 다른 관리 작용 프레임(Management Action)의 포맷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은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서 반송되는 프레임이다.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과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 요소들(Information Elements)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에러 정정 필드(CRC)에는 해당 프레임이 전송 과정 중에 데이터의 일부가 소실되거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이러한 에러 정정을 위한 부가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TDLS 프레임의 정보 필드(Information)에는 각 TDLS 프레임의 유형에따라서 개별적으로 특정되는 여러 가지 정보들이 포함된다. 상기 정보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는 각 TDLS 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 및/또는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의 정보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 요소들을 새롭게 정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의 정보 필드(Information)에 포함되는 정보들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의 정보 필드는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요소, 다이얼로그 토큰(Dialog Token) 요소, 트래픽 클래스(TCLAS) 요소, 릴레이 목표(Relay Destination) 요소를 포함한다.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요소는 다이렉트 링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만일,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기 이전에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 식별자 요소는 장래 설정된 다이렉트 링크를 모두 허용한다는 값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임의의 다이렉트 링크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0'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반면,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한 이후에 전송되는 경우에, 이러한 링크 식별자는 STA이 현재 결합되어 있는 BSSID, 소스 STA의 MAC 어드레스, 목표 STA의 MAC 어드레스, STA이 현재 결합되어 있는 규제 클래스(Regulatory Class), 및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의 경우에, 링크 식별자의 목표 STA의 MAC 어드레스는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이얼로그 토큰은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과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의 교환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값을 포함한다.
그리고 트래픽 클래스(TCLAS) 요소는 릴레이되기를 원하는 프레임의 트래픽 클래스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TCLAS 요소는, 단말이 릴레이 요청을 수락한 경우에, TCLAS 요소에 설정되어 있는 트래픽 클래스와 릴레이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 프레임(예컨대, MPDU)의 TCLAS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데 이용된다. 피요청 STA은 판정 결과,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에 특정되어 있는 TCLAS와 매칭되는 프레임들에 대해서만 릴레이 목표 STA으로 해당 프레임들을 릴레이하게 된다. 이러한 TCLAS 요소의 용도 및 포맷은 IEEE P802.11-REVma/D9.0 "Part11: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MAC) and Physical Layer(PHY) specifications"의 '7.3.2.31 TTCLA element'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릴레이 목표(Relay Destination) 요소는 릴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단말이 프레임을 릴레이하는 목표 STA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의 경우에, 릴레이 목표 요소에는 AP의 MAC 어드레스 주소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다운링크의 경우에는 상기 릴레이 목표 요소에는 릴레이를 요청하는 STA의 MAC 어드레스가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의 정보 필드(Information)에 포함되는 정보들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의 정보 필드는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요소, 다이얼로그 토큰(Dialog Token) 요소, 및 상태 코드(Status Code) 요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필드는 RCPI1 요소와 RCPI2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CPI1 요소와 RCPI2 요소는 프레임의 중계와 관련된 채널의 품질을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예시적인 것이다.
링크 식별자(Link Identifier) 요소는 다이렉트 링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만일,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기 이전에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링크 식별자 요소는 장래 설정된 다이렉트 링크를 모두 허용한다는 값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임의의 다이렉트 링크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0'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해당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반면,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한 이후에 전송되는 경우에, 이러한 링크 식별자는 STA이 현재 결합되어 있는 BSSID, 소스 STA의 MAC 어드레스, 목표 STA의 MAC 어드레스, STA이 현재 결합되어 있는 규제 클래스(Regulatory Class), 및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의 경우에, 링크 식별자의 목표 STA의 MAC 어드레스는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STA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이얼로그 토큰은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과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의 교환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값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태 코드 요소는 요청된 TDLS 릴레이에 대한 성공(수락) 또는 실패(거절 또는 불가능)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예컨대, 오퍼레이션이 성공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되고, 오퍼레이션이 실패를 지시하는 경우에는, 실패의 원인을 지시하는 소정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RCPI1 요소와 RCPI2 요소는 프레임의 중계와 관련된 채널의 품질을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예시적인 것이다. RCPI1 요소는, 예컨대 릴레이 요청을 받는 STA이 릴레이 목표로 특정되어 있는 STA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들에 대한 RCPI값을 나타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RCPI2 요소는, 예컨대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STA으로부터 수신한 프레임들에 대한 RCPI값을 나타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RCPI1 요소 및 RCPI2 요소에 설정된 값, 즉 채널 품질 정보는 이를 수신하는 STA이 프레임의 릴레이 경로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RCPI값은 요청 STA이 릴레이 STA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요청 STA이 다수의 STA으로부터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RCPI1 및 RCPI2 요소에 설정되어 있는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 다수의 STA들 중에서 채널 상태가 좋은 STA을 릴레이 STA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과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한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프레임 및/또는 수신되는 프레임들에 대하여, 상대방 STA을 위하여 프레임을 릴레이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에 의하면, STA은 비록 AP 또는 다른 STA과 직접 통신을 할 수가 없거나 또는 곤란한 상황에 있는 경우라도, 릴레이 STA에게 프레임의 릴레이를 요청함으로써, AP 또는 다른 STA과 통신을 할 수가 있다.
이하, 이러한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과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프레임 전송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런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TDLS 릴레이 요청 및 응답 프레임의 교환 이전이나 또는 그 이후에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는 절차를 전제하므로, 우선 TDLS 링크의 설정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두 개의 Non-AP STA(이하, 단순히 'STA'이라고 하며, 개시 STA과 피어 STA으로 구분한다)과 레거시 AP를 포함하는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TDSL 설정 절차를 보여 주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피어 STA과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고자 하는 개시 STA은, 다이렉트 링크의 설정을 요청하기 위한 프레임, 예컨대 TDLS 설정 요청 프레임을 AP를 경유하여 피어 STA으로 전송한다(S11). TDLS 설정 요청 프레임은 도 1의 TDLS 프레임에서 TDLS 패킷 유형 필드가 TDLS 설정 요청(TDLS Setup Request)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프레임일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1에서는 TDLS 설정 요청이 데이터 프레임의 형태로 인캡슐레이션되어 전송되고, AP는 수신되는 프레임이 TDLS 설정 요청 프레임이면 이를 수신 STA인 피어 STA을 위해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TDLS 설정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피어 STA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TDSL 설정 응답 프레임을 역시 AP를 경유하여 개시 STA으로 전송한다(S12). 이 경우에, TDLS 설정 응답 프레임은 도 1의 TDLS 프레임에서 TDLS 패킷 유형 필드가 TDLS 설정 응답(TDLS Setup Response)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TDLS 설정 응답(TDLS Setup Response)은 데이터 프레임의 형태로 인캡슐레이션되어 AP를 경유하여 개시 STA으로 전송된다.
계속해서, 개시 STA은 수신된 TDSL 설정 응답 프레임에 대한 TDSL 설정 확인 프레임을 AP를 경유하여 피어 STA으로 전송한다(S13). TDLS 설정 확인 프레임은 도 1의 TDLS 프레임에서 TDLS 패킷 유형 필드가 TDLS 설정 확인(TDLS Setup Confirm)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역시 데이터 프레임의 형태로 인캡슐레이션되어 AP를 경유하여 전송된다. TDLS 설정 절차에서는 관리 작용 프레임들이 AP의 직접적인 관여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형태로 인캡슐레이션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 도중에 손실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TDLS 설정 절차에서는 피어 STA(제2 STA)으로부터의 TDSL 설정 응답 프레임에 대하여, 개시 STA(제1 STA)이 TDLS 설정 확인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절차를 보여 주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6은 요청 STA(Requesting STA)이 릴레이 STA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피요청 STA(Requested STA)을 이용하여 목표 STA(Destination STA)에게 프레임을 전송하는 절차를 보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업링크 절차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목표 STA은 AP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청 STA과 피요청 STA 사이에서는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과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의 교환 이전이나 또는 그 이후에, TDLS 설정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5의 개시 STA이 도 6의 요청 STA에 해당되고, 도 5의 피어 STA이 도 6의 피요청 STA에 해당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DLS 설정 절차는 요청 STA과 피요청 STA 중에서 어떠한 STA에 의해서도 개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요청 STA은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S21).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은 브로드캐스팅 또는 멀티캐스팅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은 다이렉트 링크의 상대방에게만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요청 STA이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에,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의 목표 STA에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 STA의 MAC 어드레스가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요청 STA이 데이터를 AP로 업링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목표 STA에는 AP의 MAC 어드레스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에는 요청 STA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TCLAS 정보가 기록된다.
계속해서,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단말들 중에서, 릴레이 목표 STA 으로의 데이터 릴레이를 허용하는 단말, 즉 피요청 STA은, 'Successful'을 지시하는 상태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상기 요청 STA으로 전송한다(S22). 이러한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은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만일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이 브로드캐스트 형식으로 전송된 경우에, 릴레이 목표 STA으로의 릴레이를 허용하지 않는 단말은 반드시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요청 STA으로 전송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이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전송된 경우에는, 릴레이 목표 STA으로의 릴레이를 허용하지 않는 피요청 STA은 거절이나 불가능 등을 지시하는 상태 코드와 함께 그 이유가 포함된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상기 요청 STA으로 전송해야 한다.
계속해서, 요청 STA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경우에, 수신된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채널) 품질을 지시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STA을 결정한다. 예컨대, 요청 STA은 수신된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들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RCPI1 및 RCPI2를 이용하여 릴레이 STA을 선정할 수 있다.
릴레이 STA이 선정되면, 요청 STA은 릴레이 STA으로 선정된 피요청 STA으로 프레임을 전송한다(S23). 상기 프레임은 MPDU 등과 같은 데이터 프레임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요청 STA으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한 피요청 STA은 수신된 데이터가 릴레이 목표 STA으로 다시 전송한다(S24). 이 경우에, 피요청 STA은 수신된 데이터의 TCLAS 정보가,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에 특정되어 있는 TCLAS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신된 데이터를 릴레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 프레임을 전송하는 절차를 보여 주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7은 요청 STA(Requesting STA)이 릴레이 STA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피요청 STA(Requested STA)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프레임을 전송하는 절차를 보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다운링크 절차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목표 STA은 요청 STA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청 STA과 피요청 STA 사이에서는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과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의 교환 이전이나 또는 그 이후에, TDLS 설정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5의 개시 STA이 도 6의 요청 STA에 해당되고, 도 5의 피어 STA이 도 6의 피요청 STA에 해당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DLS 설정 절차는 요청 STA과 피요청 STA 중에서 어떠한 STA에 의해서도 개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요청 STA은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다(S31). 상기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은 브로드캐스팅 또는 멀티캐스팅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은 다이렉트 링크의 상대방에게만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요청 STA이 수신 받고자 하는 데이터의 릴레이를 피요청 STA에게 요청하는 경우에,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의 목표 STA에는 상기 요청 STA의 MAC 어드레스가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요청 STA이 AP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거나 또는 멀티캐스트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다고 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AP로부터 요청 STA에게 유니캐스트되는 데이터를 릴레이하는 절차는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에는 요청 STA이 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TCLAS 정보가 기록된다.
계속해서,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단말들 중에서, 릴레이 목표 STA 으로부터 상기 요청 STA으로의 데이터 릴레이를 허용하는 단말, 즉 피요청 STA은, 'Successful'을 지시하는 상태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상기 요청 STA으로 전송한다(S32). 이러한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은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만일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이 브로드캐스트 형식으로 전송된 경우에, 릴레이 목표 STA으로의 릴레이를 허용하지 않는 단말은 반드시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요청 STA으로 전송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이 유니캐스트 형식으로 전송된 경우에는, 릴레이 목표 STA으로의 릴레이를 허용하지 않는 피요청 STA은 거절이나 불가능 등을 지시하는 상태 코드와 함께 그 이유가 포함된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상기 요청 STA으로 전송해야 한다.
계속해서, 요청 STA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였을 경우에, 수신된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채널) 품질을 지시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릴레이 STA을 결정한다. 예컨대, 요청 STA은 수신된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들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RCPI1 및 RCPI2를 이용하여 릴레이 STA을 선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요청 STA은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을 전송한 피요청 STA들 중에서 릴레이 STA으로 선정되었는지 여부를 알려주기 위하여, 확인 메시지나 또는 다른 형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그 사실을 피요청 STA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컨대, TDLS 릴레이 확인 프레임이 이러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릴레이 STA이 선정되면, 릴레이 STA으로 선정된 피요청 STA은 상기 요청 STA으로 전송될 프레임, 예컨대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되는 프레임 등을 수신한다(S33). 상기 프레임은 MPDU 등과 같은 데이터 프레임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요청 STA을 위한 프레임을 수신한 피요청 STA은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요청 STA으로 다시 전송한다(S34). 이 경우에, 피요청 STA은 수신된 데이터의 TCLAS 정보가,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에 특정되어 있는 TCLAS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신된 데이터를 릴레이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P에게 릴레이 STA의 정보를 알려 주는지 여부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AP에게 릴레이 STA의 정보를 알려주는 경우나 알려주지 않는 경우 모두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AP에게 릴레이 STA의 정보를 알려 주는 경우에, 예컨대 프록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기능을 통해서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단말이 ARP 요청을 받은 경우에, ARP 응답을 보낼 경우에, 릴레이 STA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AP에게 릴레이 STA의 정보를 알려 주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이 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특히 다운 링크의 경우에는 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하여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드시 TDLS 무선 네트워크나 WLAN의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통신 네트워크, 예컨대 IP(Internet Protocol) 솔루션을 통해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릴레이 STA은 반드시 WLAN과 관계 있는 장치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릴레이 STA을 보다 포괄적으로 표현할 경우에는, 와이파이 반복기(WiFi Repeator)라고 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와이파이 반복기는 IP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피요청 STA인 릴레이 STA이 와이파이 반복기라고 가정을 하자. 이 경우에, 요청 STA(예컨대, 랩탑 컴퓨터)의 디폴트 게이트웨이 주소를 상기 와이파이 반복기의 IP 어드레스로 설정하면, 목표 STA인 AP로의 업링크 트래픽이 이 와이파이 반복기를 경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파이 반복기는 IP 라우팅을 통해, 수신된 업링크 트래픽의 패킷을 AP로 전달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의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된다.
도 1은 TDLS 프레임의 포맷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TDLS 프레임의 유형과 이에 해당되는 값의 일례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DLS 릴레이 요청 프레임의 정보 필드(Information)에 포함되는 정보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LS 릴레이 응답 프레임의 정보 필드(Information)에 포함되는 정보들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LS 설정 절차를 보여 주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6은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절차를 보여 주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7은 TDLS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 절차를 보여 주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Claims (18)

  1. 무선랜에서 요청 STA(station)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청 STA이 요청 메시지를 AP(access point)로 전송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목적 STA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요청 STA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AP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STA의 릴레이 가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가능 정보는 각 후보 STA의 릴레이 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요청 STA이 상기 각 후보 STA으로부터 상기 요청 STA과 상기 각 후보 STA 사이의 제1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요청 STA이 상기 목적 STA으로부터 상기 목적 STA과 상기 각 후보 STA 사이의 제2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요청 STA이 상기 제1 채널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에서 릴레이 STA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요청 STA이 상기 릴레이 STA으로 릴레이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링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 STA이 상기 릴레이 STA으로부터 링크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 STA이 상기 목적 STA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STA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요청 STA은 상기 목적 STA과 직접 링크(direct link)가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STA은 상기 AP와 결합 상태인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STA는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목적 STA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STA의 릴레이 가능 정보가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의 상태 코드는 성공(successful)을 지시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요청 STA(station)에 있어서, 상기 요청 STA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요청 메시지를 엑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로 전송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목적 STA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AP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STA의 릴레이 가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가능 정보는 각 후보 STA의 릴레이 가능 여부를 지시하고,
    상기 각 후보 STA으로부터 상기 요청 STA과 상기 각 후보 STA 사이의 제1 채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목적 STA으로부터 상기 목적 STA과 상기 각 후보 STA 사이의 제2 채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채널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에서 릴레이 STA을 선택하고,
    상기 릴레이 STA으로 릴레이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링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릴레이 STA으로부터 링크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목적 STA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상기 릴레이 STA으로 전송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요청 STA은 상기 목적 STA과 직접 링크(direct link)가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STA은 상기 AP와 결합 상태인 요청 STA.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STA는 수신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목적 STA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청 STA.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 STA의 릴레이 가능 정보가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의 상태 코드는 성공(successful)을 지시하는 요청 STA.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80024032A 2008-03-14 2008-03-14 다이렉트 링크 설정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이를 지원하는 장치,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프레임포맷 Active KR101449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032A KR101449024B1 (ko) 2008-03-14 2008-03-14 다이렉트 링크 설정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이를 지원하는 장치,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프레임포맷
PCT/KR2009/001271 WO2009113834A2 (en) 2008-03-14 2009-03-1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dls wireless network
US12/922,266 US8570945B2 (en) 2008-03-14 2009-03-1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DLS wireless network
US14/033,111 US9161379B2 (en) 2008-03-14 2013-09-20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DLS wirel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032A KR101449024B1 (ko) 2008-03-14 2008-03-14 다이렉트 링크 설정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이를 지원하는 장치,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프레임포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68A KR20090098568A (ko) 2009-09-17
KR101449024B1 true KR101449024B1 (ko) 2014-10-10

Family

ID=4106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032A Active KR101449024B1 (ko) 2008-03-14 2008-03-14 다이렉트 링크 설정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이를 지원하는 장치,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프레임포맷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570945B2 (ko)
KR (1) KR101449024B1 (ko)
WO (1) WO20091138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0136A2 (en) 2008-09-11 2010-03-18 Lg Electronics Inc. Power management in tunneled direct link setup
KR20110031135A (ko) * 2009-09-18 2011-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SG179104A1 (en) * 2009-09-18 2012-05-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er -to -peer direct link communication with network connection
KR101774009B1 (ko) * 2009-09-29 2017-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링크 셋업 방법 및 장치
US9900759B2 (en) 2009-11-04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 dis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754098B1 (ko) 2009-11-13 2017-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된 중재자 장치, 릴레이 장치, 소스 장치 및 데스티네이션 장치의 통신 방법
US8762543B2 (en) * 2009-12-15 2014-06-2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peer discovery and enhancing link reliability for wireless peer direct links
US9456470B2 (en) * 2010-12-15 2016-09-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hibiting direct link setup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EP2538581B1 (en) 2010-02-16 2019-06-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band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which use a relay in transceiving operation
WO2011115408A2 (en) * 2010-03-15 2011-09-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lan system
US9191937B2 (en) 2010-06-22 2015-11-17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ess, enablement and control by devices in TV white space
US8954076B2 (en) 2010-06-24 2015-02-10 Lg Electronics Inc. Cooperativ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US10721782B2 (en) 2010-09-02 2020-07-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tunneled direct link setup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8675529B2 (en) * 2010-09-02 2014-03-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tunneled direct link setup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9749832B2 (en) 2010-09-24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isplay discovery and operation with TDLS
US9271136B2 (en) 2010-11-19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Probe messaging for direct link connections
US10091636B2 (en) 2010-11-19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Probe messaging for direct link connections
CA2824017C (en) * 2011-01-14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input from a sink device to a source devic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US9179300B2 (en) * 2011-03-02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Station-centric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MIMO)
US8614956B2 (en) 2011-03-10 2013-12-24 Qualcomm Incorporated Placement of wireless repeat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18473B2 (en) 2011-03-15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MIMO)
US20120271902A1 (en) * 2011-04-20 2012-10-25 Atheros Communications, Inc. Selecting forwarding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167614B2 (en) * 2011-09-28 2015-10-20 Marvell International Ltd. Tunneled direct link setup systems and methods with consistent link information maintenance
CN103209468B (zh) * 2012-01-17 2016-05-18 华为终端有限公司 无线传输的方法、接入点和站点
US9066287B2 (en) 2012-01-24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relay selection and setup
US20130294331A1 (en) * 2012-05-03 2013-11-07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Distributed Relay Discovery and Data Forwarding
US9794796B2 (en) 2012-06-13 2017-10-17 Qualcomm, In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implified store and forward relays
US9510271B2 (en) 2012-08-30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address format detection
CN103716860B (zh) * 2012-10-09 2017-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WiFi帧的方法及装置
EP2723143A1 (en) * 2012-10-19 2014-04-23 NEC Corporation Enhanced RRC signaling messages
EP2933932B1 (en) * 2012-12-12 2020-06-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ssociation identifi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3987090A (zh) * 2013-02-07 2014-08-13 华为终端有限公司 中继通信方法、设备及中继通信系统
WO2015005626A1 (ko) * 2013-07-09 201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서비스 기반의 릴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50124703A1 (en) * 2013-11-04 2015-05-07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classification element classifier parameters
JP6294704B2 (ja) 2014-02-26 2018-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580223B (zh) * 2014-04-15 2017-04-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直接通訊網路系統及其資源同步通訊方法
CN105530712B (zh) * 2014-09-30 2019-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直连链路调度方法、接入点和终端设备
CN104486776A (zh) * 2014-11-26 2015-04-01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Wi-Fi中继设备的WPS实现方法及Wi-Fi中继设备
US11284337B2 (en) * 2015-03-27 2022-03-22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on of proximity services relay
GB2542770B (en) * 2015-09-25 2020-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capability identifier
CN114079881B (zh) * 2020-08-13 2024-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5412200A (zh) * 2021-05-28 2022-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上行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
US20240098018A1 (en) * 2022-04-27 2024-03-2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of qos management of wlan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7746A1 (en) * 2001-06-08 2002-12-12 Ray-Guang Cheng Method for relay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61079A (ko) * 2002-12-30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노드들로 구성된 무선망에서의 세션 설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7988B2 (en) * 2003-01-29 2014-07-22 Intellectual Ventures I Llc Power management for wireless direct link
US6791962B2 (en) * 2002-06-12 2004-09-14 Globespan Virata, Inc. Direct link protoco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7375489B2 (en) * 2002-10-07 2008-05-20 Differential Power Llc Apparatus for generating sine waves of electromotive force, rotary switch using the apparatus, and generators using the rotary switch
JP4173485B2 (ja) * 2003-01-31 2008-10-29 富士通株式会社 移動体無線端末装置
JP4439354B2 (ja) 2004-07-29 2010-03-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局および端末局
US8159999B2 (en) * 2005-01-25 2012-04-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eer-to-pe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116275B (zh) * 2005-02-10 2012-11-28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在无线网络中转发数据分组的方法、传送节点和通信节点
WO2007149729A1 (en) * 2006-06-20 2007-12-27 Intel Corporation Random access request extension for an additional resource request
KR101213155B1 (ko) * 2006-08-21 2012-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상기방법이 적용된 릴레이 시스템
US7873338B2 (en) * 2006-11-06 2011-01-1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appropriate link path in a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1937006A1 (en) * 2006-12-22 2008-06-25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Multi-antenna relay station with two-way channel
US20080298328A1 (en) * 2007-06-04 2008-12-04 Suman Sharma Truste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station-to-station link association
US8385345B2 (en) * 2007-09-19 2013-02-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Data forwarding in hybrid mesh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7746A1 (en) * 2001-06-08 2002-12-12 Ray-Guang Cheng Method for relay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61079A (ko) * 2002-12-30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노드들로 구성된 무선망에서의 세션 설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7692A1 (en) 2011-01-13
US8570945B2 (en) 2013-10-29
WO2009113834A2 (en) 2009-09-17
WO2009113834A3 (en) 2009-12-17
US9161379B2 (en) 2015-10-13
US20140023062A1 (en) 2014-01-23
KR20090098568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024B1 (ko) 다이렉트 링크 설정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과이를 지원하는 장치, 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위한 프레임포맷
KR101146893B1 (ko)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다이렉트 링크 설정 절차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KR101511386B1 (ko)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다이렉트 링크 설정 절차
US8259632B2 (en) Peer power save mode in 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 wireless network
KR101220774B1 (ko)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다이렉트 링크 설정 절차 및 이를 지원하는 스테이션
US8175047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mesh network and A-MSDU format
JP5068852B2 (ja) 無線ランにおけるスキャン手順、これを支援するステーション、及びこのためのフレームフォーマット
US8767692B2 (en) Communication method in an IEEE 802.11 wireless LAN environment
WO2014040574A1 (zh) 一种基于多网络联合传输的分流方法、系统及接入网网元
JP200926793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22125A1 (en) Direct link teardown procedure in 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 wireless network and station supporting the same
JP201650621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ポイントを登録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90098423A (ko) 무선랜에서의 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3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