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9015B1 -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015B1
KR101449015B1 KR1020070138094A KR20070138094A KR101449015B1 KR 101449015 B1 KR101449015 B1 KR 101449015B1 KR 1020070138094 A KR1020070138094 A KR 1020070138094A KR 20070138094 A KR20070138094 A KR 20070138094A KR 101449015 B1 KR101449015 B1 KR 101449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ing
excavator
control
control valve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183A (ko
Inventor
신중묵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0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01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8Servomotor systems incorporating electrically operated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해 온/오프 조작되는 주행전환스위치(10); 작업레버의 조작에 연동되는 작업리모콘밸브(4)(7)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작업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에 인가하는 제1위치와 상기 작업리모콘밸브(4)(7)로부터 신호를 상기 주행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에 인가하는 제2위치로 선택적인 절환이 가능한 유로변경밸브(31,32,33,34); 상기 유로변경밸브(31,32,33,34)를 제1위치로 절환하도록 파일럿펌프의 압유를 유로변경밸브(31,32,33,34)의 수압부로 제공하는 제3위치와, 유로변경밸브(31,32,33, 34)를 제2위치로 절환하도록 파일럿펌프의 압유를 유로변경밸브(31,32,33,34)의 수압부로 제공하는 제4위치로 절환가능한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 및 주행전환 스위치(10)의 온/오프 스위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를 제3위치 또는 제4위치로 전환시키는 굴삭기 제어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변경밸브(31,32,33,34)에 의해 상기 작업리모콘밸브(4)(7)와 컨트롤밸브 유닛(5)내 주행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가 연결되면, 상기 주행레버의 조작없이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주행장치의 구동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행밸브, 굴삭기, 컨트롤밸브, 유로변경밸브

Description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Covering switch throwing device of excavator}
본 발명은 건설기계에서 무한궤도 타입인 굴삭기의 주행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한궤도 타입인 굴삭기의 작업 도중에 좌우 조작레버 또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주행전환 스위치를 이용하여 암과 붐을 동작시켜 좌우 주행 모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면서 굴삭기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타입의 굴삭기는 일반 자동차와 같이 전후진 레버와 악셀 패달을 이용하여 주행을 하며, 방향전환은 핸들을 이용하여 조작한다.
이와는 다르게 무한궤도 타입의 굴삭기는 하부체의 좌우에 각각의 주행모터를 가지고 있어서 개별적인 주행 패달의 조작에 의해 좌우 독립적으로 전후진을 수행함으로써 전후진과 각 주행모터에 공급되는 유량의 차이로 방향 전환을 수행하게 된다.
즉,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무한궤도 타입의 굴삭기는 우측 조작레버(1)를 2,4의 방향으로 움직이면 붐이 움직이고, 상기 우측 조작레버(1)를 1,3의 방향으로 움직이면 버킷이 움직인다.
그리고 좌측 조작레버(2)를 2,4의 방향으로 움직이면 암이 움직이고, 상기 좌측 조작레버(2)를 1,3의 방향으로 움직이면 굴삭기 상부체가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주행레버(3a)(3b)에서 우측의 주행레버(3a)를 4,3의 방향으로 움직이면 우측 주행모터를 구동시키고, 좌측의 주행레버(3b)를 2,1의 방향으로 움직이면 좌측 주행모터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우측 조작레버(1)를 2번 방향으로 움직이면, 파일럿 압력이 우측 작업리모콘밸브(4)의 PB8을 통해 도 3의 컨트롤밸브 유닛(5)내 붐 밸브(BOOM)를 움직여 붐 실린더에 메인펌프의 유량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붐은 다운(down)된다.
그리고 우측 조작레버(1)를 4번 방향으로 움직이면, 우측 작업리모콘밸브(4)의 PA8을 통해 컨트롤밸브 유닛(5)내 붐 밸브(BOOM)을 움직여 붐 실린더의 반대방향으로 메인펌프의 유량이 공급됨으로써 붐은 업(up) 되는 것이다.
이때, 좌측의 주행레버(3b)를 2번 방향으로 밀면 주행리모콘밸브(6)(L.TRAVEL)의 PA1을 통해 파일롯 압력이 컨트롤밸브 유닛(5)내 주행밸브(TR(L))를 움직여 메인펌프의 유량이 좌측 주행모터에 전진 방향으로 공급되고, 이에따라 굴삭기의 좌측 무한궤도가 앞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좌측의 주행레버(3b)를 1번 방향으로 당기면 주행리모콘밸 브(6)(L.TRAVEL)의 PB1을 통해 파일럿 압력이 컨트롤밸브 유닛(5)내 주행밸브(TR(L))를 움직여 메인펌프의 유량이 좌측 주행모터의 반대방향으로 공급되면서 좌측의 무한궤도가 역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우측 조작레버(1)를 1,3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좌측 조작레버(2)를 1,3의 방향 또는 2,4의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우측의 주행레버(3a)를 4,3의 방향으로 움직이면 각각 우측의 작업리모콘밸브(4)와 주행리모콘밸브(6), 그리고 좌측의 작업리모콘밸브(7)를 통해 파일럿 압력이 컨트롤밸브 유닛(5)내 밸브(BKT)(TR(R))(ARM)(SWING)를 움직이고, 이에 따라 버킷, 암, 선회모터, 그리고 우측의 주행모터는 운전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압 회로에서의 동작에서는 굴삭기의 주행을 위해 우측 및 좌측의 주행레버(3a)(3b)를 상체를 구부린 상태에서 움직여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중 근거리를 이동하거나 장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장거리 이동시에는 전진의 경우 주행레버(3a)(3b)를 앞으로 밀어 운전을 해야 하는 관계로, 대부분의 운전자는 이와 같은 상태로부터 피로도를 느끼기 때문에 굴삭기 상부체를 180도 회전하여 주행레버(3a)(3b)를 운전자 측으로 잡아당겨 후진을 이용하여 주행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무한궤도 타입의 굴삭기의 작업 도중에 운전자가 주행을 위하여 몸을 앞으로 숙이지 않아도 되어 굴삭기 운전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굴삭기 주행방향을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는, 굴삭기의 주행장치의 조작을 위한 주행레버와, 상기 굴삭기에 마련된 작업장치의 조작을 위한 작업레버와, 상기 주행장치 및 상기 작업장치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장치용 제어밸브 및 작업장치용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컨트롤밸브 유닛을 구비하는 굴삭기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해 온/오프 조작되는 주행전환 스위치;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에 연동되는 작업리모콘밸브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에 인가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작업리모 콘밸브로부터 신호를 상기 주행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에 인가하는 제 2 위치로 선택적인 절환이 가능한 유로변경밸브; 상기 유로변경밸브를 상기 제 1 위치로 절환시키도록 파일럿펌프의 압유를 상기 유로변경밸브의 수압부로 제공하는 제 3 위치와, 상기 유로변경밸브를 상기 제 2 위치로 절환시키도록 파일럿펌프의 압유를 상기 유로변경밸브의 수압부로 제공하는 제 4 위치로 절환가능한 주행전환 솔레노이드; 및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를 상기 제 3 위치 또는 상기 제 4 위치로 전환시키는 굴삭기 제어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변경밸브에 의해 상기 작업리모콘밸브와 컨트롤밸브 유닛내 주행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가 연결되면, 상기 주행레버의 조작없이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주행장치의 구동제어가 가능한 것을 구성된다.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는 상기 주행레버가 조작된 경우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를 상기 제 3 위치로 절환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에 의해 온/오프 조작되어 상기 작업레버를 주행조작용으로 사용여부를 선택하는 주행전환 스위치;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주행장치용 제어밸브 및 상기 작업장치용 제어밸브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는 굴삭기 제어장치; 를 포함함은 물론,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는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작업레버가 주행조작용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주행장치용 제어밸브로 인가하여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장치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는 상기 주행레버가 조작되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신호와 무관하게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작업장치용 제어밸브로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행레버의 조작여부는 검출부에 의해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 조작레버를 전기식으로 대체하고, 주행레버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굴삭기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운전자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온/오프되는 주행전환 스위치;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신호에 따라 굴삭기의 주행 전환을 결정하는 굴삭기 제어장치;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파일럿펌프의 압력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전환 솔레노이드;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에 의해 흐름이 제어되는 파일럿 압력에 따라 붐/암의 동작을 위한 작업리모콘밸브를 컨트롤밸브내 주행밸브로 유로를 연결하는 비례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비례밸브에 의해 붐 또는 암의 작업리모콘밸브와 컨트롤밸브내 주행밸브의 유로가 연결될 때 메인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유량이 좌측/우측의 주행모터를 회전시켜 굴삭기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밸브는 전기식으로 전환된 좌우측 조작레버의 조작으로부터 붐 또는 암의 동작을 위한 유압을 공급받아 그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주행 전환 장치에 따른 전환표시방법은, 주행전환 솔레노이드가 쇼트에러인가를 판단하고, 쇼트에러이면 계기판에 암과 붐의 동작을 위한 좌우 조작레버의 조작 금지를 표시하고 경고부저를 출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 서 쇼트에러가 아니면 주행전환 스위치를 온/오프시키고, 상기의 온/오프에 따라 주행전환 솔레노이드를 온/오프 구동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가 오프 구동시, 계기판에서 주행모드 전환 표시를 해제하고 경고부저를 일정시간동안 출력하는 제 3 단계;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가 온 구동시 주행전환 솔레노이드의 오픈에러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오픈에러이면 계기판에 주행모드 전환 에러를 표시하며, 굴삭기를 표준 모드로 동작시키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결과 오픈에러가 아니면 계기판에 주행모드 전환표시를 하고, 일정시간동안 경고부저를 출력한 후 좌우 조작레버를 통해 굴삭기를 주행시키는 제 5 단계; 로 진행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굴삭기의 운전자가 좌우 조작레버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던 중에 근거리를 이동하거나 하부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조작레버에서 손을 주행레버로 이동시켜 좌우 모터를 구동시키지 않고, 주행전환 스위치만 동작시킴으로써, 기존에 작업하던 좌우 조작레버의 암, 붐 동작 방법으로 주행모터를 구동시켜 작업은 물론 주행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행전환 상태에서 운전자가 좌우 조작레버를 밀어 굴 삭기의 상부체와 하부체가 동일한 방향인 상태에서 굴삭기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키는 한편, 주행레버와 좌우 주행 모터의 뒤바뀜으로 인해 발생하는 순간적인 착각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주행전환장치는 좌우측 조작레버(2)(1)와 좌우측 주행레버(3b)(3a)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에 따라 파일럿 압력이 좌우측의 작업리모콘밸브(4)(7)와 주행리모콘밸브(6)를 통해 컨트롤밸브 유닛(5)내 밸브들(BOOM)(ARM)(BKT)SWING)(TR(R))(TR(L))을 선택적으로 움직이고, 이 움직임으로부터 메인펌프의 유압공급이 이루어지면서 붐과 암 및 버킷의 동작과 선회, 그리고 전후진 주행이 가능한 굴삭기의 주행 구동장치에 더하여 구성되며, 주행전환스위치(10),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 다수개의 유로변경밸브(31)(32)(33)(34), 굴삭기 제어장치(40), 계기판(50), 경고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10)는 상기 주행레버(3a)(3b)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굴삭기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운전자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이다.
이러한 온/오프 동작에 의해 후술될 굴삭기 제어장치(40) 또는 주행전환 솔 레노이드(20)로 주행전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의 우측 조작레버(10)의 우측에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10)가 설치된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10)는 좌/우측 조작레버(1,2)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조작레버(10)를 조작하여 작업을 수행하던 중에 운전자가 주행전환 스위치(10)를 조작하기 위해 시야를 운전실 내부로 돌리지 않아도 되는 부수적인 효과가 발생된다.
이 경우, 우측 조작레버(1)에 설치된 주행전환 스위치(10)만 조작할 경우 우측 주행 모터가 구동되고, 좌측 조작레버(2)에 설치된 주행전환 스위치(10)만 조작할 경우 좌측 주행 모터가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조작레버(1,2)의 신호가 굴삭기 제어장치(40)에 전자신호로 출력되고 이에 대응하는 작업신호가 각 제어밸브에 전자신호로 인가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기계식 유압장치 타입 굴삭기에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설명한다.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는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10)에서 온 스위칭신호가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로 출력될 때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것으로,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로 공급되는 파일럿펌프(Pilot Pump)의 압력흐름을 제어한다.
이러한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는 굴삭기 제어장치(40)를 경유하지 않고 주 행전환 스위치(10)로부터 직접 신호를 받아 동작되도록 구성도 가능하며, 즉, 굴삭기 제어장치(40)는 주행전환 스위치(10)와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의 연결에서 배제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는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10)의 온/오프 스위칭신호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의 제어를 받아 제 3 위치 또는 제 4 위치로 전환되는 것으로,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를 제 1 위치로 절환시키도록 파일럿펌프의 압유를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의 수압부로 제공하는 제 3 위치와,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를 제 2 위치로 절환시키도록 파일럿펌프의 압유를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의 수압부로 제공하는 제 4 위치로 절환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는 붐 또는 암의 동작을 위한 파일럿 압력을 작업리모콘밸브(4)(7)에서 컨트롤밸브 유닛(5)내 주행밸브(TR(L),TR(R))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에 의해 흐름이 제어되는 파일럿 압력에 따라 유로를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붐 또는 암의 동작을 위한 파일럿 압력을 작업리모콘밸브(4)(7)에서 컨트롤밸브 유닛(5)내 주행밸브(TR(L),TR(R))로 공급하는 것이다.
즉,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는 작업레버의 조작에 연동되는 작업리모콘밸브(4)(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에 인가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작업리모콘밸브(4)(7)로부터 신호를 상기 주행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에 인가하는 제 2 위치로 선택적인 절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다.
여기서, 상기 주행레버(3a)(3b)의 조작여부는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후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로 통보되도록 하였으며, 이에따라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는 상기 주행레버(3a)(3b)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를 제 3 위치로 절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10)의 온/오프 스위칭신호와 무관하게 작업레버의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작업장치용 제어밸브로 인가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에 의해 상기 작업리모콘밸브(4)(7)와 컨트롤밸브 유닛(5)내 주행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가 연결되면, 상기 주행레버의 조작없이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주행장치의 구동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에 의해 붐 또는 암의 작업리모콘밸브(4)(7)와 컨트롤밸브 유닛(5)내 주행밸브(TR(L),TR(R))의 유로가 연결될 때, 운전자가 좌우측 조작레버(2)(1)를 조작하면 붐 또는 암의 동작을 위한 유압이 주행밸브(TR(L),TR(R))로 공급되면서, 상기 주행밸브(TR(L),TR(R))의 움직임이 발생하고, 이에따라 메인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유량이 좌측/우측의 주행모터를 회전시켜 굴삭기가 좌우의 조작레버(2)(1)를 통해 주행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 1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주행전환 스위치(10)를 자세변화 없이 온 시키면, 상기의 온 스위칭신호는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를 직접 동작시키거나,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굴삭기 제어장치(40)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로 주행전환 스위치(10)의 온 스위칭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는 첨부된 도 7의 S10단계와 같이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가 쇼트에러 인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에서 쇼트에러가 발생한 경우, 도 7의 S11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는 계기판(50)에 좌우 조작레버(2)(1)의 조작 금지를 알리는 것을 표시하고, 경고부(60)를 제어하여 일정시간동안 경고부저를 출력시켜 좌우 조작레버(2)(1)의 오작동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킨다.
한편, 정상상태로서 쇼트에러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에 굴삭기를 전진시키기 위한 주행전환의 온 스위칭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는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를 제 3 위치 또는 제 4 위치로 전환시킨다.
그러면,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의 제 3 위치 또는 제 4 위치 전환으로부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는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절환이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상기 절환이 이루어진 제 1 위치로부터 작업리모콘밸브(4)(7)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작업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에 인가되며, 상기 절환이 이루어진 제 2 위치로부터 작업리모콘밸브(4)(7)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주행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에 인가된다.
즉,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는 붐/암의 동작을 위한 파일럿 압력을 작업리모콘밸브(4)(7)를 통해 컨트롤밸브 유닛(5)내 주행밸브(TR(L),TR(R))로 공급하도록 유로(PA1,PB1,PA6,PB6)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유로가 변경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좌측 조작레버(2)를 제 2 위치 방향으로 밀면(운전자 입장에서), 암 DUMP용으로 생성된 유압은 변경된 유로(PA1)를 따라 주행밸브(TR(L))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주행밸브(TR(L))의 움직임이 발생하면서 메인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유량이 좌측 주행모터를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운전자가 좌측 조작레버(2)를 제 4 위치 방향으로 당기면, 암 CROWD용으로 생성된 유압은 변경된 유로(PB1)를 따라 주행밸브(TR(L))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따라 상기 주행밸브(TR(L))의 움직임이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면서, 메인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유량은 좌측 주행모터를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가 우측 조작레버(1)를 제 2 위치 방향으로 밀면(운전자 입장에서), 붐 DOWN용으로 생성된 유압은 변경된 유로(PA6)를 따라 주행밸브(TR(R))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주행밸브(TR(R))의 움직임이 발생하면서 메인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유량이 우측 주행모터를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반대로, 운전자가 우측 조작레버(1)를 제 4 위치 방향으로 당기면, 붐 UP용으로 생성된 유압은 변경된 유로(PB6)를 따라 주행밸브(TR(R))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주행밸브(TR(R))의 움직임이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면서, 메인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유량은 우측 주행모터를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굴삭기의 주행이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조작레버(2)(1)를 통해 가능하게 되는 것 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주행전환 스위치(10)를 조작하여 주행방법을 전환하는 상태에서,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는 계기판(50)에 도 7의 S18단계와 같이 주행전환 상태라는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계기판(50)의 화면에는 주행전환모드가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경고부(60)에서는 주행전환 초기에 경고부저를 일정시간동안(약 1~3초)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현재 굴삭기가 주행 전환 상태라는 것을 알려주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의 주행전환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는 상기 계기판(50)의 화면에서 주행전환모드의 표시를 제거함과 동시에, 경고부(60)를 통해 경고부저가 일정시간동안(약 1~3초) 출력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운전자가 굴삭기의 주행전환 해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주행전환 스위치(10)가 동작한 상태에서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에 오프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는 도 7의 S16,S17 단계에서와 같이 계기판(50)에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가 오프에러라는 것을 표시하고, 주행전환모드는 표시하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가 굴삭기를 표준주행모드, 즉 정상적인 좌우측의 주행레버(3b)(3a)를 통해 굴삭기를 주행시키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굴삭기의 캐빈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굴삭기의 조작 밸브 구성도,
도 3은 종래 굴삭기의 간략화 된 콘트롤 밸브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굴삭기 제어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일반동작시 구현되는 굴삭기의 조작 밸브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주행전환 동작시 구현되는 굴삭기의 조작 밸브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굴삭기의 주행 전환을 위한 흐름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좌,우 조작레버 5 : 컨트롤밸브
10 : 주행전환 스위치 20 : 주행전환 솔레노이드
31,32,33,34; 유로변경밸브 40 : 굴삭기 제어장치
50 : 계기판 60 : 경고부

Claims (5)

  1. 굴삭기의 주행장치의 조작을 위한 주행레버(3a,3b)와, 상기 굴삭기에 마련된 작업장치의 조작을 위한 작업레버와, 상기 주행장치 및 상기 작업장치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장치용 제어밸브 및 작업장치용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컨트롤밸브 유닛(5)을 구비하는 굴삭기에 있어서,
    운전자에 조작에 대응하여 주행전환 신호를 출력하는 주행전환 스위치(10);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에 연동되는 작업리모콘밸브(4)(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작업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에 인가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작업리모콘밸브(4)(7)로부터 신호를 상기 주행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에 인가하는 제 2 위치로 선택적인 절환이 가능한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를 상기 제 1 위치로 절환시키도록 파일럿 펌프(Pilot Pump)의 압유를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의 수압부로 제공하는 제 3 위치와,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를 상기 제 2 위치로 절환시키도록 파일럿펌프의 압유를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의 수압부로 제공하는 제 4 위치로 절환이 가능하며, 상기 주행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4 위치로 절환되는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변경밸브(31, 32, 33, 34)에 의해 상기 작업리모콘밸브(4)(7)와 컨트롤밸브 유닛(5)내 주행장치용 제어밸브의 수압부가 연결되면, 상기 주행레버의 조작없이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주행장치의 구동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10)의 온/오프 스위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를 상기 제 3 위치 또는 상기 제 4 위치로 전환시키는 굴삭기 제어장치(40); 및
    상기 주행레버(3a,3b)의 조작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는 상기 주행레버(3a,3b)가 조작된 경우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를 상기 제 3 위치로 절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
  3. 굴삭기의 주행장치의 조작을 위한 주행레버(3a, 3b)와, 상기 굴삭기에 마련된 작업장치의 조작을 위한 작업레버와, 상기 주행장치 및 상기 작업장치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전자비례제어밸브로 형성된 주행장치용 제어밸브 및 작업장치용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컨트롤밸브 유닛(5)을 구비하는 굴삭기에 있어서,
    운전자에 조작에 대응하여 주행전환 신호를 출력하는 주행전환 스위치(10);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주행장치용 제어밸브;
    상기 작업장치용 제어밸브 중 어느 하나로 출력하는 굴삭기 제어장치(40); 및
    상기 주행레버(3a,3b)의 조작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는,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작업레버가 주행조작용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주행장치용 제어밸브로 인가하여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주행장치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주행레버(3a, 3b)가 조작되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10)의 온/오프 스위칭신호와 무관하게 상기 작업레버의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작업장치용 제어밸브로 인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
  4. 삭제
  5. 좌우 조작레버(2, 1)를 전기식으로 대체하고, 주행레버(3a, 3b)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굴삭기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운전자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온/오프되는 주행전환 스위치(10);
    상기 주행전환 스위치(10)의 온/오프 스위칭신호에 따라 굴삭기의 주행 전환 을 결정하는 굴삭기 제어장치(40);
    상기 굴삭기 제어장치(4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여 파일럿펌프의 압력흐름을 제어하는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
    상기 주행전환 솔레노이드(20)에 의해 흐름이 제어되는 파일럿 압력에 따라 붐/암의 동작을 위한 작업리모콘밸브(4)(7)를 컨트롤밸브 유닛(5)내 주행밸브(TR(L), TR(R))로 유로를 연결하는 비례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비례밸브에 의해 붐/암의 작업리모콘밸브(4)(7)와 컨트롤밸브 유닛(5)내 주행밸브(TR(L),TR(R))의 유로가 연결될 때 메인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유량이 좌측/우측의 주행모터를 회전시켜 굴삭기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주행밸브(TR(L),TR(R))는 전기식으로 전환된 좌우측 조작레버(2, 1)의 조작으로부터 붐/암의 동작을 위한 유압을 공급받아 그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
KR1020070138094A 2007-12-27 2007-12-27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49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094A KR101449015B1 (ko) 2007-12-27 2007-12-27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094A KR101449015B1 (ko) 2007-12-27 2007-12-27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183A KR20090070183A (ko) 2009-07-01
KR101449015B1 true KR101449015B1 (ko) 2014-10-13

Family

ID=41321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09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9015B1 (ko) 2007-12-27 2007-12-27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0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469U (ja) * 1992-09-10 1994-04-12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車両の走行装置
JPH115558A (ja) * 1997-06-17 1999-01-1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クローラ式走行機体の走行用操作装置
JP2000027238A (ja) * 1998-07-09 2000-01-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式走行車両の走行操作装置
JP2002070081A (ja) 2000-09-05 2002-03-08 Sumitomo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rane Co Ltd アースドリル機に於ける操作レバーの油圧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469U (ja) * 1992-09-10 1994-04-12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車両の走行装置
JPH115558A (ja) * 1997-06-17 1999-01-1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クローラ式走行機体の走行用操作装置
JP2000027238A (ja) * 1998-07-09 2000-01-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式走行車両の走行操作装置
JP2002070081A (ja) 2000-09-05 2002-03-08 Sumitomo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rane Co Ltd アースドリル機に於ける操作レバーの油圧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183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2384B1 (ko) 쇼벨
JP7289232B2 (ja)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
CN109072577B (zh) 可变发动机速度控制
KR101382046B1 (ko) 건설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
WO2017047654A1 (ja) ショベル
US20120031088A1 (en) Hydraulic drive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US11518318B2 (en) Shovel
US11549237B2 (en) Work vehicle and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
CN107949676B (zh) 工程机械的驱动控制装置
JP5020528B2 (ja) 建設機械の監視装置
US12241235B2 (en) Work machine
CA3017597C (en) Excavator track tensioning
US20070209356A1 (en) Method for providing priority to steering wheel on machines with steering wheel and joystick
CN101616835B (zh) 弯曲式建筑车辆
EP2634316B1 (en) Work vehicle
JPWO2017126049A1 (ja) 作業車両およびエンジン出力制御方法
US10697149B2 (en) Work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49015B1 (ko) 굴삭기의 주행 전환장치
JP4535277B2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CN109515537B (zh) 履带式车辆行走机构的控制方法、系统及履带式车辆
JP3779825B2 (ja) 油圧式走行車両の走行操作装置
JPH11324026A (ja) 建設機械における操作子とアクチュエータ組合せ変更装置および作業モード変更装置
KR20040094186A (ko) 중장비의 주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7120222A (ja) ホイール式建設機械
JP6695288B2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