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210B1 -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1210B1 KR101441210B1 KR1020120154270A KR20120154270A KR101441210B1 KR 101441210 B1 KR101441210 B1 KR 101441210B1 KR 1020120154270 A KR1020120154270 A KR 1020120154270A KR 20120154270 A KR20120154270 A KR 20120154270A KR 101441210 B1 KR101441210 B1 KR 1014412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
- battery
- battery module
- coupling
- cell hol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분해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셀 홀더와 셀 커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셀 홀더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모듈의 최종 조립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10: 셀 커버
15: 결합홈
20: 배터리 셀
30: 셀 홀더
31: 안착면
32: 단차부
33: 결합돌기
35a: 삽입돌기
35b: 삽입홈
40: 측부커버
50: 클램핑부재
Claims (7)
- 외측을 이루는 테두리 형상에 의해 중앙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터리 셀을 안착시키도록 하는 안착면이 형성된 다수의 셀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셀 홀더에 안착된 배터리 셀을 각각 덮어서 밀폐 구조를 형성하는 1 쌍의 셀 커버의 양측부에 다수의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에 수직으로 대응하는 상기 셀 홀더의 테두리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돌기를 삽입하여 결합되며,
상기 셀 홀더의 상부 또는 하부에 삽입돌기와, 삽입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셀 홀더의 상, 하부가 연속하도록 수평하게 다수 적층시켜 결합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부가 강기 단차부에서 개구부 쪽으로 경사를 이루어, 상기 셀 커버의 결합홈의 하단부를 밀어서 탄성 이동시키는 빗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셀 홀더의 중앙의 개구부에 접하는 안착면의 외측에 형성되는 단차부에서 개구부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홀더의 결합돌기의 전방의 안착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셀 커버의 결합홈을 동시에 삽입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적층된 셀 홀더의 양측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측부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적층된 셀 홀더의 상부와 하부의 측부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셀 홀더를 동시에 고정하는 클램핑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셀 홀더의 길이방향의 상, 하부측의 2 개소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4270A KR101441210B1 (ko) | 2012-12-27 | 2012-12-27 |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4270A KR101441210B1 (ko) | 2012-12-27 | 2012-12-27 |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4619A KR20140084619A (ko) | 2014-07-07 |
KR101441210B1 true KR101441210B1 (ko) | 2014-09-17 |
Family
ID=5173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4270A Active KR101441210B1 (ko) | 2012-12-27 | 2012-12-27 |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12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1944A (ko) * | 2014-12-12 | 2016-06-22 | 주식회사 코캄 | 이차전지 모듈용 양면형 셀 카트리지,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 및 이차전지 팩 |
KR102019884B1 (ko) * | 2015-11-13 | 2019-09-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KR102092268B1 (ko) * | 2015-11-30 | 2020-03-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클램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
US11183729B2 (en) * | 2019-01-09 | 2021-11-23 | Byd Company Limited | Battery pack, vehicle and energy storage device |
KR102731448B1 (ko) * | 2021-01-28 | 2024-11-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6048A (ko) * | 2009-09-07 | 2011-03-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팩 |
JP2011065908A (ja) * | 2009-09-18 | 2011-03-31 | Nissan Motor Co Ltd | 電池モジュール |
KR20110133256A (ko) * | 2010-06-04 | 2011-12-12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20120074426A (ko) * | 2010-12-28 | 2012-07-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신규한 구조의 단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2012
- 2012-12-27 KR KR1020120154270A patent/KR10144121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6048A (ko) * | 2009-09-07 | 2011-03-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배터리 팩 |
JP2011065908A (ja) * | 2009-09-18 | 2011-03-31 | Nissan Motor Co Ltd | 電池モジュール |
KR20110133256A (ko) * | 2010-06-04 | 2011-12-12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20120074426A (ko) * | 2010-12-28 | 2012-07-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신규한 구조의 단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4619A (ko) | 2014-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2968B1 (ko) | 확장형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 |
EP3416209B1 (en) | Integrated cartridg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KR101441210B1 (ko) | 배터리 셀의 확장 및 변경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 |
JP5408440B2 (ja) |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 |
JP5494748B2 (ja) | 電池用配線モジュール | |
JP6490953B2 (ja) | 二次電池パック | |
JP2018521447A (ja) | バッテリ圧潰保護システム | |
JP2008097942A (ja) | 組電池 | |
JP6161199B2 (ja) | 蓄電装置 | |
JP7081237B2 (ja) | 接続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 | |
KR102635431B1 (ko) | 이차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
CN104078627A (zh) | 蓄电装置 | |
KR102660426B1 (ko) | 배터리 모듈 | |
JP5796746B2 (ja) | 配線モジュール | |
JP6383318B2 (ja) | 電池パック | |
JP6168599B2 (ja) | 蓄電装置 | |
JP2010027501A (ja) | 電池組立体及びパック電池 | |
KR20090033776A (ko) | 배터리 모듈의 지지 구조 | |
KR20130090096A (ko) | 배터리 팩 | |
KR102012403B1 (ko) | 통합형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1424357B1 (ko) | 빌트인 셀 격벽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 |
JP5673495B2 (ja) | 配線モジュール | |
KR102490608B1 (ko) | 고전압 배터리 서브모듈 | |
KR20210048699A (ko) | 양방향으로 조립이 가능한 전지 셀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카트리지 스택 | |
KR102187275B1 (ko) | 배터리 모듈 고정 팔레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