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235B1 - Stand devic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Stand device,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8235B1 KR101438235B1 KR1020080007751A KR20080007751A KR101438235B1 KR 101438235 B1 KR101438235 B1 KR 101438235B1 KR 1020080007751 A KR1020080007751 A KR 1020080007751A KR 20080007751 A KR20080007751 A KR 20080007751A KR 101438235 B1 KR101438235 B1 KR 1014382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rical portion
- wire
- cylinder
- wound
- cylindr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값싸고, 신뢰성이 높고,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작은 부피로 제작 가능하고, 제품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배면 고정부; 상기 배면 고정부에 제공되는 제 1 원통부; 상기 제 1 원통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 지지되는 제 2 원통부; 상기 제 2 원통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제 1 원통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원통부의 전방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전방 와이어; 및 상기 제 1 원통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원통부의 후방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후방 와이어가 포함되고, 상기 후방 와이어 및 상기 전방 와이어는, 상기 배면고정부가 상기 제 2 원통부를 중심으로 공전될 때 상기 제 1 원통부가 자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와이어 및 상기 후방 와이어에 가하여지는 장력이 달라지도록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 2 원통부에 감겨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개시된다. A body in which at least a display module is accommodated, which is inexpensive, highly reliable, simple in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volume, and in which operation reliability of a product is improved; A rear fixing part fixed to the main body; A first cylindrical portion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fixing portion; A circumferential portion in which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is rotatably supported;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A base supporting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nd a front wire fixedly connected to a front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bout a hinge axis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nd a rear wire fixed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bout a hinge axis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wherein the rear wire and the front wire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rear surface fixing portion revolves around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Disclosed is a display device in which at least one portion is wound and supported by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so that a tension applied to the front wire and the rear wire is changed so that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is rotated.
디스플레이, 스탠드 Display, stand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그 사용처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는 스탠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device which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a display device, but can not be said to be limited in its use.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을 시청하는 장치로서, 근래 들어서는 거의 2차원 평면으로 그 형상이 가능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실내공간을 차지하는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고, 취급이 편리하기 때문에, 소비자로부터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 display device is an apparatus for viewing an image. Recently, a large number of flat display devices capable of being shaped in a two-dimensional plane have been released. These flat-panel display devices have attracted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consumers because they occupy an indoor space, are small in volume, light in weight, and easy to handle.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종래 음극선관 방식과 비교하여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아서,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이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동작상태가 구현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기능으로서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본체를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틸팅기능과, 본체를 세워서 시청할 수도 있도록 하는 포트레이트 기능과, 본체를 전체적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위블 기능이 있다. These flat-panel display devices are light in weight and small in volum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thode-ray tube type, so that various operating states are realized to allow the user to handle them more conveniently. Typical functions include a tilting function for freely moving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 portrait function for allowing the main body to be viewed upright and a swivel function for rotating the main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a whole.
한편,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틸팅기능이 수행될 때, 본체가 공전할 뿐만 아니라, 자전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에 주된 관심이 있다. 이 기능은, 디스플레이 기기가 틸팅될 때, 힌지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기능과 함께 자전이 수행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본체가 항상 일정한 각도로 사용자를 향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본체를 하방으로 내리거나 상방으로 올리는 힘만 가하면, 언제든지 동일한 시야각으로 화상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를 자전기능이라고 한다. In the mean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ilting function is performed, there is a major interest in a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use the display device more conveniently by allowing the body to rotate as well as to rotate. When the display device is tilted, this function is performed with the function of revolving around the hinge axis, so that the display main body always faces the user at a constant angle. Therefore, the user can enjoy the image at the same viewing angle at any time if only the force of lowering the display main body or raising the display main body upward is applied. Hereinafter, this is referred to as a rotation function.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본체가 자전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미국특허출원번호 11/486,031에 기재되는 링크구조가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되는 링크구조는 주 링크에 더해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힌지축의 전후방향으로 보조링크를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링크의 작용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본체의 공전운동이 일어날 때에는, 항상 적절한 각도로 자전운동이 함께 수행되도록 한다. As a representative prior art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device performs the rotation function, there is a link structure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 11 / 486,031. In addition to the main link, the link structure described in this document is provided with auxiliary link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two hinge shaft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idle motion of the display body occurs due to the action of the auxiliary link, the rotation is always performed at an appropriate angle.
그러나, 상기 인용문헌에 제시되는 링크구조는 복잡한 강성재질의 보조링크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제조비가 증가되고,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복잡한 링크가 다수개 사용되고 있으므로, 스탠드의 부피도 커져서 외적인 미감이 좋지 아니한 문제점도 있다. However, the link structure disclosed in the cited docum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requires a complicated rigid auxiliary link to be additionally installed,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In addition, since a large number of complicated links are used, the volume of the stand also becomes larg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ernal aesthetics are not good.
또한, 링크등의 부재가 강한 힘을 받고 있어서, 링크를 이루고 있는 각 부재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embers such as links are subjected to a strong force, so that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link are easily broken.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렴하고 간단한 제조과정을 제조할 수 있고, 그 부피가 작아서 외적인 심미감이 향상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및 스탠드 장치를 제안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stand device capable of manufacturing an inexpensive and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having a small volume,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배면 고정부; 상기 배면 고정부에 제공되는 제 1 원통부; 상기 제 1 원통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 지지되는 제 2 원통부; 상기 제 2 원통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제 1 원통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원통부의 전방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전방 와이어; 및 상기 제 1 원통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원통부의 후방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후방 와이어가 포함되고, 상기 후방 와이어 및 상기 전방 와이어는, 상기 배면고정부가 상기 제 2 원통부를 중심으로 공전될 때 상기 제 1 원통부가 자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와이어 및 상기 후방 와이어에 가하여지는 장력이 달라지도록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 2 원통부에 감겨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t least a display module; A rear fixing part fixed to the main body; A first cylindrical portion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fixing portion; A circumferential portion in which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is rotatably supported;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A base supporting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nd a front wire fixedly connected to a front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bout a hinge axis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nd a rear wire fixed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bout a hinge axis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wherein the rear wire and the front wire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rear surface fixing portion revolves around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is wound and supported by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so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front wire and the rear wire is changed in order to rotate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 장치에는, 배면 고정부; 상기 배면 고정부에 제공되는 제 1 원통부; 상기 제 1 원통부가 자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에 지지되는 제 2 원통부; 상기 제 2 원통부를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제 1 원통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원통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전방 와이어; 및 상기 제 1 원통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원통부의 후방에 연결되는 후방 와이어가 포함되고, 상기 전방 와이어 및 상기 후방 와이어에는, 상기 제 1 원통부가 상기 제 2 원통부에 대하여 공전될 때 상기 전방 와이어 및 상기 후방 와이어에 서로 다른 장력이 인가되어, 상기 제 1 원통부를 자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tan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r fixing part; A first cylindrical portion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fixing portion; A circumferential portion in which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is rotatably supported;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A base supporting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 front wir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bout a hinge axis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nd a rear wire connected to a rear portion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bout a hinge axis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wherein the front wire and the rear wire are connected to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when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revolv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Different tension is applied to the front wire and the rear wire to rotate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본 발명의 스탠드 장치에는, 제 1 원통부; 제 2 원통부; 상기 제 1 원통부와 상기 제 2 원통부를 연결하는 지주부; 상기 1 원통부의 앞쪽과 뒷쪽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2 원통부에는 적어도 일 부분이 감기는 적어도 한 쌍의 와이어; 및 상기 제 2 원통을 감겨서 통과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와이어가, 상기 제 1 원통부의 공전시에, 원통의 접촉점 간의 길이가 달라지도록 하는 회전부재가 포함된다.The st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ylindrical portion; A second cylindrical portion; A pivotal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and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At least a pair of wires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one cylindrical portion and at least one portion wound on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And at least a pair of wires wound and passed through the second cylinder include a rotating member for changing the length between the contact points of the cylinder when the first cylinder rotates.
본 발명에 따르면, 값싸고, 신뢰성이 높고,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작은 부피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st is low, reliability is high, a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 small volume can be manufactured, and operation reliability of a product is improv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However,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적어도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어 화상을 제공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가 일정한 높이에 놓여져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지주부(6)와, 상기 지주부(6)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본체(1)의 자중이 지지되도록 하는 베이스(5)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1, there is show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본체(1)의 배면에는 배면 고정부(11)가 설치된다. 상기 배면 고정부(11)의 후방에는 제 1 원통(2)이 설치되어, 상기 지주부(6)와 힌지축(21)으로 연결된다. 상기 지주부(6)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5)에 힌지축(31)으로 연결되고, 그 힌지축(31)에는 제 2 원통(3)이 설치되어 있다. On the rear surface of the
여기서, 상기 제 1 원통(2)은 상기 배면 고정부(11)와 항상 함께 회전되고, 상기 제 2 원통(3)은 다른 부품과는 관계없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도 있다. Here, the
상기 베이스(5)에는 이중 도르레(4)가 설치되는데, 상기 이중 도르레(4)는 직경이 달라서, 소경부(42)와 대경부(41)가 각각 제공되는 부재이다. 그러나, 상기 이중 도르레(4)는 소경부(42) 및 대경부(41)와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다. 즉, 소경부(42)와 대경부(41)는 항상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는 것이다. The
또한, 상기 이중 도르레(4)의 내부에는 스프링(도 2의 44참조)이 부설되어 있어서, 상기 이중 도르레(4)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하는 힘이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중 도르레(4)의 일단부에는 지지구(45)가 설치되어 있 다. 그래서, 상기 지지구(45)는 상기 이중 도르레(4)와 함께 회전된다. A spring (see 44 in FIG. 2) is provided inside the
도 2는 이중 도르레가 설치되는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where a double drum is installed.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5)에 대하여 중심축(43)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중 도르레(4)와, 상기 이중 도르레(4)를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44)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45)는 상기 이중 도르레(4)의 하측부에 제공되어 상기 이중 도르레(4)와 함께 회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 a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및 스탠드 장치에는 와이어가 제공되어 본체(1)의 자전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1, a wire is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stan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rotation function of the
상기 와이어는 두개(7)(8)가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할 때 상기 제 1 원통(2)의 앞쪽에 고정 연결되고, 제 2 원통(3)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고 돌아서 상기 대경부(41)에 감기고, 상기 지지구(45)에 연결되는 전방 와이어(8)가 그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21)을 중심으로 할 때 상기 제 1 원통(2)의 뒷쪽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 2 원통(3)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고 돌아서 상기 소경부(42)에 감기고, 상기 지지구(45)에 연결되는 후방 와이어(7)가 그 다른 하나이다. The wire is provided with two (7) and (8). More specifical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되는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탠드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stand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사용자가 본체(1)를 당기거나 밀면, 이는 상기 지주부(6)가 힌지축(31)에 대하여 자전하는 힘을 발휘된다. 그러면, 본체(1)는 상기 힌지축(31)에 대하여 자전 하는 것은 당연하다. When the user pulls or pushes the
그리고, 상기되는 바와 본체(1)의 자전운동 시에는 제 1 원통(2)도 상기 제 2 원통(3)에 대하여 공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원통(2)이 회전하면, 상기 와이어(7)(8)의 전장 중에서 상기 제 2 원통(3)을 감는 부분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제 1 원통(2)과 제 2 원통(3) 간의 기하학적 거리는 항상 동일한 상태이므로, 상기 와이어(7)(8)에는 장력이 가하여지고, 그 장력에 의해서는 이중 도르레(4)에 감겨있는 와이어가 풀려나올 수 밖에 없다. During rotation of the
그런데, 상기 와이어(7)(8)의 타단이 연결되는 이중 도르레(4)에서는, 상기 전방 와이어(8)는 대경부(41)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 와이어(7)는 소경부(42)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중 도르레(4)에서 풀려나오는 와이어(7)(8)의 길이는 서로 달라서, 전방 와이어(8)는 후방 와이어(7)에 비하여 항상 풀려나오는 길이가 길다. 이와 같이, 본체(1)의 회전 시에 발생되는 장력에 의해서 풀려나올 수 있는 와이어(7)(8)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으로 인하여, 상기 제 1 원통(2)은 자전할 수밖에 없게 된다. The
이러한 작용은, 상기 제 1 원통(2)이, 상기 제 2 원통(3) 주위를 1회 공전할 때 자전도 1회전 한다면, 와이어는 항상 동일한 길이로 있다는 것에서 비추어 볼 때,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c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the
상기되는 것에 의해서 이해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가 공전되면, 자전운동이 수반되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동일한 축에 직경이 다른 두 원통을 제공하고, 상기 두 원통에 동일한 방향으로 감겨있는 와이어를 하방으로 늘어뜨리고, 늘어뜨린 와이어에 다른 원통을 감은 상태에서, 상기 두 원통을 돌렸을 때, 상기 다른 원통이 회전되는 운동과 마찬가지로 이해될 수 있다. As will be understood from the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when the
이하에서는 개념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원통이 공전각도와 동일한 자전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원리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inciple that the first cylinder can be rotated at the same rotation angle as the idle ang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conceptual drawings.
도 3은 본체가 회전될 때 제 1 원통과 제 2 원통과 와이어의 상호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and the wire when the main body is rotated.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원통(2)이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θ)만큼 공전되면, 제 2 원통에 감긴 와이어의 길이도 제 2 원통의 반경에 회전각도(θ)를 곱한 양 만큼 더 늘어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는 와이어는 제 1 원통에 감겨져 있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고, 각도는 라디안 각도인 것으로 한다. 결국, 제 1 원통(2)의 공전을 위해서는 와이어(7)(8)가 더 길어져야 하는 결과가 되고, 그 경우에 와이어의 각도는 전방 와이어(8) 및 후방 와이어(7)에서 동일하다. 3, when the
그러나, 상기 와이어(7)(8)가 동일하게 늘어나는 것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중 도르레(4)에서 풀려나올 수 있는 길이는 서로 다르다. 이는 상기 이중 도르레(4)에는 대경부(41) 및 소경부(42)가 형성되어 있음에도, 양자가 함께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상기 후방 와이어(7)에 인가되는 장력(T1)은 상기 전방 와이어(8)에 인가되는 장력(T2)에 비하여 크게 되고, 제 1 원통(2)은 자전된다. However, although the
도 4는 제 1 원통과 이중 도르레의 상호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상기 제 1 원통이 공전되는 경우에는 항상 일정한 양의 와이어의 길이가 더 요구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여 상기 제 2 원통(3)의 도시는 생략하고, 바로, 이중 도르레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4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ylinder and the double drum. In FIG. 4, when the first cylinder is revolving,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원통(2)이 공전되면 이중 도르레(4)에 일정길이 권선되는 와이어(7)(8)에는 당겨지는 장력이 생기고, 상기 장력에 의해서 이중 도르레(4)는 풀려나오게 된다. 그런데,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중 도르레(4)는 지름이 다른 대경부(41) 및 소경부(42)가 함께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방 와이어(8)는 더 많이 풀려나오게 되고, 후방 와이어(7)는 더 작게 풀려나오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이와 같이 이중 도르레(4)가 일정각도로 회전되는 것은, 상기 이중도르레(4)에는 스프링(44)이 설치되어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가하여진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4)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7)(8)는 느슨해지는 상태가 있을 수 없다. 이때에는 상기 제 1 원통(2)이 일정각도(θ1)로 회전되면, 상기 이중 도르레(4)도 마찬가지로 회전되기는 하지만, 상기 제 1 원통(2)과는 회전되는 각이 다른, 일정각(θ2)으로 회전될 것이기 때문이다. In this way, the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와이어(8)가 상기 후방 와이어(7)보다 더 길어지게 되므로, 상기 전방 와이어(8)에 가하여지는 장력(T2)은 상기 후방 와이어(7)에 가하여지는 장력(T1)보다 작게 된다. 이와 같은 장력의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원통(2)은 자전 될 수밖에 없고, 그 자전되는 각도는 대경부(41)와 소경부(42)의 직경, 제 1 원통(3) 및 제 2 원통(2)의 직경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다만, 자전되는 각도는 구체적인 설계조건에 따라서 달라지더라도, 상기 제 1 원 통(3)에 가하여지는 장력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제 1 원통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시계방향으로 자전하리라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nsion T2 applied to the
여기서, 상기 제 1 원통(3)이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하는 것은 상기 본체(1)가 하방으로 틸팅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제 1 원통(3)이 시계방향으로 자전하는 것은 본체(1)가 시계방향으로-본체의 우측에서 볼 때- 자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본체(1)가 하방으로 공전-틸팅-될 때, 상기 본체(1)는 상방으로 자전하게 되어서, 사용자가 보는 각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rotation of the
<제 2 실시예>≪
상기 제 1 실시예는 상기 이중 도르레(4)에 별도의 지지구(4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구에 와이어(7)(8)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중 도르레(4)는 회전하는 원형의 부재이기 때문에, 그와 같이 움직여야 하는 부재에 별도의 지지구(45)는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실시예는 그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더 제시되는 실시예이다. 그러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르레 부분의 평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of a double drum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와이어(8) 및 후방 와이어(7)가 도르레에 전체적으로 감겨서 제공되어 권선부(71)(81)를 이룬다. 상기 권선부(71)(81)의 가장 안쪽단부는 이중 도르레(4)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지지구가 필요없이 자체적으로 와이어가 이중 도르레(4)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re itself can be connected to the
<제 3 실시예>≪ Third Embodiment >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는 이중 도르레 구조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중 도르레는 자체적으로 제작이 어려워서, 그 제작비용을 증대시키고, 제작을 어렵게 만드는 일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가 제 3 실시예로서 더 제시된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는 것으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provided with a double pulley structure. However, since the double pulley is difficult to manufacture on its own, it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An embodiment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further presented as a third embodim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of a b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중심축(43)에는 이중 도르레가 아니라 바(10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100)에는 스프링(44)이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바(100)가 항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바(100)에는 중심축(43)을 기점으로 하여, 가까운 거리에는 후방 와이어(7)가 연결되어 있고, 먼 거리에는 전방 와이어(8)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7)(8)의 진행방향이 부드럽게 꺾이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어(7)(8)가 바(100)와 연결되는 부분의 인접측에는 롤러(48)(49)가 마련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6, a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롤러(48)(49)에 의해서 와이어(7)(8)의 회전방향이 원활히 꺾여서 제 2 원통(3)으로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100)는 회전되는 작용이 수행되는 것과 함께 상기 와이어(7)(8)가 당겨지는 거리가 서로 달라지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후방 와이어에 가하여지는 장력이 더 커지게 된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ire 7 (8) is smoothly bent by the rollers (48) and (49) to be directed to the second cylinder (3). Further, the
이와 같은 의미에서, 상기 롤러 및 바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 도르레를 아울러서, 그 기능을 중심으로 보면, 이를 회전부재라고 이름할 수 있고,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위치의 차이로 인하여, 상기 전방 와이어 및 상기 후방 와이어의 인출거리가 달라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roller and the bar, together with the double drum, its function as a center, can be called a rotating member, an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osition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ull-out distance of the rear wire is changed.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는 원통(2)(3)이 각각 제공되고, 그와 함께 와이어(7)(8)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이중 도르레 또는 바가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별도로 이중 도르레 및 바가 설치되는 것은 기구가 복잡해지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시되는 실시예를 더 제시한다.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개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원통(2) 및 제 2 원통(3)이 제시되는 것은, 이미 설명된 바가 있는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특징적으로 제 1, 제 2 실시예에 제시되는 이중 도르레 또는, 제 3 실시예에 제시되는 바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를 대신하여, 상기 와이어(7)(8)는 상기 제 1 원통(2)에도 고정적으로 연결되지만, 상기 제 2 원통(3)에도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원통은 베이스(5)에 대한 회전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와이어(8)는 상기 제 2 원통(3)의 전방으로 감겨있고, 상기 후방 와이어(7)는 상기 제 2 원통(3)의 후방으로 감겨있다. Referring to Fig. 7, in this embodiment, the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 1 원통(2)이 공전되면, 와이어가 양 원 통(2)(3)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자전도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기기 본체를 상방 및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본체는 자전도 일어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는 디스플레이 기기 본체의 각도는 항상 동일한 각이 된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다시 설명하면, 제 1 원통(2)에는 와이어(7)(8)가 제 1 고정점(201)에 고정되어 있고, 제 2 원통(3)에는 와이어(7)(8)가 제 2 고정점(30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원통(2)이 회전되면, 제 2 원통(3)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는 제 1 원통(2)을 회전시키는 힘을 발휘하게 되고, 제 1 고정점(201)은 원래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The
그러나, 제 4 실시예는 이론적으로 바람직할 수 있으나, 실제로 구현되기는 어려움이 있다. 먼저, 상기 와이어가 늘어짐이 없이 견고하게 체결되기 위해서는 양자가 완전히 당겨진 상태에서 체결되어야 하는데, 실제로 그와 같이 와이어를 체결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그리고 제 1 원통(2)의 회전각도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각도와 동일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원통(2)(3)들의 직경이 서로 동일해야 한다. 그러나 그와 같은 구조로 만드는 것은 실제로 많이 어렵다. 그리고 와이어가 약간 정도 늘어나는 경우에도 원통의 회전량은 상당부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의 지름을 크게 해야 한다. 그러나 스탠드의 내부에서 원통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However, although the fourth embodiment may be theoretically preferable, it is difficult to actually implement the fourth embodiment. First, in order for the wire to be firmly fastened without being slacked, it must be fastened in a state in which both are pulled completely. In fac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fasten the wire like that.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기되는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방식대로 장력을 조절하는 별도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4 실시예에 의하더라도 별도의 링크구조가 채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와이어만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본체의 회전량에 대응적으로 자전량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In view of such a problem, it is more preferable to provide a separate means for adjusting the tension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owever, even in the four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dvantage that the rotation amount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device by using only the wire in a state in which a separate link structure is not employed Of course.
본 발명은 상기되는 실시예 외에 다른 실시예가 더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other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예를 들어, 원통이라고 지칭되는 구성요소는 원통이 아니라, 소정의 판이나 바와 같은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이 때에는 판이나 바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실시예에는 그와 같은 다른 구조가 잘 소개되어 있다. 이 경우도 상기 원통과 동일한 작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제품의 부드러운 동작을 위해서는 원통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함에 있어서, 원통부라고 기재되는 것은 상기되는 직접적인 원통이 아니라, 그와 동일한 작용이 수행되는 다른 구조를 다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For example, a component referred to as a cylinder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such as a predetermined plate or bar, rather than a cylinder, in which case the plate or bar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hinge axis. For example, such a second structure is well known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case as well, the same action as that of the cylinder will be possible. However,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cylinder is more preferable for smooth operation of the product.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at is described as a cylindrical portion is not a direct cylindrical shape as described above but includes other structures in which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원통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아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 원통에 감겨서 제공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 중에서도 상기 제 1 원통에 감기는 부분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원통이 상기 와이어와 항상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another example, it is described that the wire is fixedly connected to the cylind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wire may be provided by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cylinder. In this case, The portion wound around the cylinder may be provided with irregularities so that the first cylinder is always rotated at the same angle as the wire.
상기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부품이 다른 하나의 부품에 적용되는 것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가 더 제시될 수도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may be further illustrated by the fact that the components applied to any one embodiment are applied to the other components, but these are also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값싸고, 신뢰성이 높고,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작은 부피로 스탠드의 제작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품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tand at a low cost, a high reliability,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a small volume, and the display device ha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제 1 실시예에서 이중 도르레가 설치되는 부분의 확대 사시도.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where a double drum is installed in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디스플레이 본체가 회전될 때 제 1 원통과 제 2 원통과 와이어의 상호관계를 도시하는 도면.Fig. 3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ylinder and the second cylinder and the wire when the display body is rotated; Fig.
도 4는 제 1 원통과 이중 도르레의 상호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4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cylinder and a double drum.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도르레 부분의 평면도. 5 is a plan view of a double pulley por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평면도. 6 is a plan view of a ba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7751A KR101438235B1 (en) | 2008-01-25 | 2008-01-25 | Stand devic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7751A KR101438235B1 (en) | 2008-01-25 | 2008-01-25 | Stand device,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1714A KR20090081714A (en) | 2009-07-29 |
KR101438235B1 true KR101438235B1 (en) | 2014-09-04 |
Family
ID=4129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7751A Active KR101438235B1 (en) | 2008-01-25 | 2008-01-25 | Stand device,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8235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1133Y1 (en) | 2004-02-11 | 2004-05-27 | 변용근 | hinge of monitor for LCD |
KR20050018302A (en) * | 2003-08-11 | 2005-02-23 | 조우상 | Apparatus for going up and down monitor |
US20070152125A1 (en) | 2005-12-30 | 2007-07-05 | Lg Electronics Inc. | Stand of a display device |
KR20070082793A (en) * | 2006-02-17 | 2007-08-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stand |
-
2008
- 2008-01-25 KR KR1020080007751A patent/KR10143823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18302A (en) * | 2003-08-11 | 2005-02-23 | 조우상 | Apparatus for going up and down monitor |
KR200351133Y1 (en) | 2004-02-11 | 2004-05-27 | 변용근 | hinge of monitor for LCD |
US20070152125A1 (en) | 2005-12-30 | 2007-07-05 | Lg Electronics Inc. | Stand of a display device |
KR20070082793A (en) * | 2006-02-17 | 2007-08-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stan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1714A (en) | 2009-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M336654U (en) | Multi-screen supporting frame | |
US7578490B2 (en) | Stand of display device | |
US6601810B2 (en) | Apparatus for positioning screen of monitor | |
JP2011255979A (en) | Winder | |
WO2015021695A1 (en) | Packable folding camera apparatus | |
KR20100007682A (en)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 | |
CN105697950A (en) | Television | |
CN106075936A (en) | There is the slab devices of built-in drive | |
KR101438235B1 (en) | Stand device, display device | |
KR200287319Y1 (en) | Hanging banner establishing structure | |
CN112435613A (en) | Internet new media publishes display device with adjustment mechanism | |
KR101506035B1 (en) | Display device | |
KR101569182B1 (en) | Photographing apparatus | |
CN217789771U (en) | Display device | |
KR200446753Y1 (en) | Placard | |
JP2004212583A (en) | Angle adjustmen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 |
JP2554974Y2 (en) | Rewind type projection screen device | |
US20110219654A1 (en) | Display means | |
JP4586686B2 (en) | Television equipment | |
KR100784728B1 (en) | Omni-directional rotatable display wall mount | |
CN206539830U (en) | Display screen mounting structure capable of realizing support storage | |
CN216844223U (en) | Lamp assembly and spliced lamp with same | |
KR20120017964A (en) | Stand unit of display device | |
KR200346427Y1 (en) | An apparatus for advertisement | |
KR200410624Y1 (en) | Supporting device for video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1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