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8085B1 -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 Google Patents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085B1
KR101438085B1 KR1020120140687A KR20120140687A KR101438085B1 KR 101438085 B1 KR101438085 B1 KR 101438085B1 KR 1020120140687 A KR1020120140687 A KR 1020120140687A KR 20120140687 A KR20120140687 A KR 20120140687A KR 101438085 B1 KR101438085 B1 KR 101438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gas
air
boiler
exhau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035A (ko
Inventor
조병두
Original Assignee
조병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두 filed Critical 조병두
Priority to KR102012014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0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08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6Water heaters having plural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 F23B1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including separat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2/00Liquid heaters and vapori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화목) 등을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난방 또는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목을 연소시킬 수 있도록 일차연소실을 형성하고 상기 일차연소실의 상부측에 이차연소실을 추가로 형성하여 일차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로 발생되는 목초액연기를 이차연소실에서 완전연소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오염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친화적인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a wood boiler}
본 발명은 나무(화목) 등을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난방 또는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목을 연소시킬 수 있도록 일차연소실을 형성하고 상기 일차연소실의 상부측에 이차연소실을 추가로 형성하여 일차연소실에서 불완전 연소로 발생되는 목초액연기를 이차연소실에서 완전연소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오염을 획기적으로 줄여 환경친화적인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화목보일러는 화목을 연소시켜 사용하는 보일러로서, 농촌, 산간지역 등 화목을 쉽게 구할 수 있거나, 전기, 등유 또는 경유 등을 사용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유가가 급등하는 이유에 의하여, 연료비를 절약하기 위하여 화목보일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화목보일러는 공급되는 나무를 연소시켜 난방하는 것이므로 난방효율이 저하되고 화력의 조절이 불편하며 완전연소 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화목보일러는 등록특허 제10-0813130호에 개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그 구조를 살피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화목보일러(1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체적을 갖는 본체(11)의 하부로부터 마련되는 도어(12)를 통해 화목을 넣어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실(13)이 구비되고, 내측 상부에는 급탕을 위한 물탱크(14)가 단일로 구비되며, 일측으로는 연소된 배기가스를내보내기 위한 배기로(15)가 형성되고, 배기로(15)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는 연통(16)이 연결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에 개발된 화목보일러(10)는 연소실(13) 내부에서 화목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은 직접 단일로 된 물탱크(14)를 가열함에 있어, 급탕수로 사용하기까지 화목의 많은 투입과 물탱크(14) 내의 물을 급탕수로서 사용하기에 알맞은 온도로 충분히 가열하기 위한 연소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목을 투입시켜 연소함에 있어, 연소실(13) 내부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화목을 투입할 경우, 화목이 불완전 연소되면서 많은 양의 그을음이나 연기(목초액연기) 등이 발생하고, 많은 재가 쌓이게 되어 청소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배기로(15)를 통해 연통(16)을 거쳐 배출되기 때문에 보일러에 투입되는 화목의 연소 소비량에 비하여 열효율이 낮은 문제로 보일러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화목보일러에 있어, 화목을 연소시킴에 따라 배기로를 따라 연통을 통해 외부로 대량 배출되는 열은 그만큼 열손실이 높아 많은 양의 화목을 땔감으로 투입시켜야 하나, 실질적으로 배기로를 통해 빠져나가는 심한 연기는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813130 (등록번호) 2008.03.16. KR 20-0249579 (등록번호) 2001.09.26. KR 10-1094472 (등록번호) 2011.12.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목 등과 같은 열원재료의 1차 연소에 의한 하부연소실과 고온의 공기분사에 의해 2차 연소가 되는 상부연소실로 구성된 2중 연소실수단과, 송풍수단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고 하부연소실과 상부연소실을 거쳐 설치되면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하부연소실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공기공급파이프수단, 상부연소실에 구비된 공기공급파이프수단에 설치되어 상부연소실로 공급되는 목초액연기에 고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상부연소실에서 2차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분사수단, 및 목초액 연기 배출관에 구비되어 그 벽면 청소 및 목초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목초액배출구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에서의 1차 연소와 상기 공기분사수단에 의한 2차연소가 이루어지면서 목초액 연기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차연소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즉, 목초액 연기를 2차 연소를 통해 완전 연소에 가깝게 연소시켜 줌으로써 환경오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환경친화적인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2차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각 연소실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난방수의 배관을 지그재그로 설치하여 난방수로의 열전달 효율을 배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전면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된 도어와 상단부에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배기관이 구비된 보일러본체와, 상기 보일러본체의 내부 바닥부측에 형성되면서 화목의 열원재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된 하부연소실과, 상기 하부연소실의 상부측으로 제1,2칸막이에 의해 형성 구비되고 그 후면부에는 상기 하부연소실에서 연소된 목초액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가스유입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상부연소실과, 상기 하부연소실과 상기 상부연소실의 천정부측에 각각 연이어 설치되되, 그 끝단부는 상기 제1칸막이의 전반부측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연소실에 설치되면서 외부 공기를 상기 하부연소실과 상기 상부연소실에서 연소되는 열에 의해 가열하여 상기 하부연소실 내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 할 수 있도록 토출부가 구비되고, 그 타단부에는 공기를 생성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수단이 설치된 공기공급파이프수단, 및 상기 보일러본체의 상부측에 제3칸막이에 의해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연소실과 상기 상부연소실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스배기통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는, 하부연소실에 구비되는 공기공급파이프수단을 통한 1차 연소와 상부연소실에 구비되는 공기분사수단에 의한 2차 연소를 통해 목초액 연기가 완전히 연소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1,2차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각 연소실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난방수의 배관을 지그재그로 설치함으로써 난방수로의 열전달 효율을 배가시켜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의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의 개략적인 내부상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화목보일러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면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된 도어(111)와 상단부에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배기관(112)이 구비된 보일러본체(110)와,
상기 보일러본체(110)의 내부 바닥부측에 형성되면서 화목(나무) 등과 같은 열원재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된 하부연소실(120)과,
상기 하부연소실(120)의 상부측으로 제1,2칸막이(131,132)에 의해 형성 구비되고 그 후면부에는 상기 하부연소실(120)에서 연소된 목초액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가스유입구(13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상부연소실(130)과,
상기 하부연소실(120)과 상기 상부연소실(130)의 천정부측에 각각 연이어 설치되되, 그 끝단부는 상기 제1칸막이(131)의 전반부측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연소실(120)에 설치되면서 외부 공기를 상기 하부연소실(120)과 상기 상부연소실(130)에서 연소되는 열에 의해 가열하여 상기 하부연소실(120) 내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 할 수 있도록 토출부가 구비되고, 그 타단부에는 공기를 생성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수단(141)이 설치된 공기공급파이프수단(140), 및
상기 보일러본체(110)의 상부측에 제3칸막이(151)에 의해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연소실(120)과 상기 상부연소실(130)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관(11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스배기통로(1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소실(130)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제2칸막이(132)와 상기 제3칸막이(15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소실(130)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제2칸막이(132)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제2가스유입구(134)로 유입되어 상기 제3칸막이(151)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제3가스유입구(152)를 통해 상기 가스배기통로(150)로 공급되도록 하는 가스공급통로(16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140)의 도입관부(142)는 상기 가스배기통로(150)와 상기 가스공급통로(160) 및 상기 상부연소실(130)을 거쳐 연결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140)은 상기 가스배기통로(150)와 상기 가스공급통로(160) 및 상기 상부연소실(130)을 거쳐 구비되는 상기 도입관부(142)와, 상기 하부연소실(120)의 상부측에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가열관부(143)와, 상기 상부연소실(13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연소실(1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온공급관부(144), 및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하부연소실(1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사관부(145)로 형성되어, 이들이 상호 연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도입관부(142)의 입구부에는 외부공기를 생성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상기 송풍수단(141)이 연결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공급통로(160)의 바닥면과 천정면에는 상기 하부연소실(120)의 바닥부측과 후면부측으로 매립 설치되면서 연통되는 온수공급관(17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온수공급관(170)을 통해 유입되는 난방수는 상기 하부연소실(120)에서 연소되는 연소열에 의해 뜨거워지고 이어 상기 가스공급통로(160)에서 유입되는 배기가스열에 의해 추가적으로 가열되어 뜨거워 지면서 소요처로 공급될 수 있어 난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소실(130)에 설치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140)에 구비된 상기 고온공급관부(144)에는 상기 하부연소실(12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하부연소실(120)로부터 유입된 불완전 연소가스와 만나 다시 점화되어 2차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분사수단(18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칸막이(131)의 후단부측에는 상기 하부연소실(120)의 바닥부를 향하여 일정 높이의 연소열유동억제판(19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소열유동억제판(190)에 의해 상기 하부연소실(120)에서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열이나 목초액연기(이하 배기가스라 함)가 상기 제1가스유입구(133)를 통해 상기 상부연소실(130)로 유입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면서 상기 하부연소실(120)에 더 머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하부연소실(120)의 온도가 상승되고 이로 인해 그 내부 천정부에 구비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140)의 내부로 유입되어 들어오는 공기의 온도를 고온으로 가열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140) 내부의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상기 공기분사수단(180)을 통해 상기 상부연소실(130) 내부로 분사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연소실(130)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공기분사수단(180)을 통해 분사되는 고온의 공기와 접촉하여 점화(연소)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연소실(130)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하부연소실(120)에 구비된 상기 연소열유동억제판(190)에 의해 더욱 온도가 높아진 상태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연소열유동억제판(190)의 단부에는 상기 하부연소실(120)에서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열이나 배기가스의 유동성 억제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조판(191)이 상기 연소열유동억제판(190)의 길이방향과 직각 또는 경사지게 설치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소열유동억제판(190)은 상기 하부연소실(120)에 다수개가 구비되되 상기 하부연소실(120)의 전면부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식으로 설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연소실(120)의 상부측에 구비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140)은 설치 면적을 크게하여 그 흡수열을 극대화 하기 위해 지그재그로 형성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112)의 하단부에는 그 벽면에 고착되는 그을음 등을 긁어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수단(20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일정기간 상기 배기관(112)을 통해 배기가스를 배출한 후에는 상기 배출구수단(200)에 구비된 밸브(201)를 개방하고 별도의 청소도구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배기관(112)의 벽면에 고착된 그을음 등을 긁어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본체(110)에 구비된 상기 도어(111)의 하부측으로 상기 하부연소실(120) 내부로 외부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도어(21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140)은 열에 강하고 열전달이 좋은 재질로 제조된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또 고온의 공기가 분사되는 상기 공기분사수단(180)은 오리피스 구성을 갖는 노즐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수단(180)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의 온도와 상기 하부연소실(120)에서 연소되어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등은 이들이 접촉하여 발화되는 온도에 이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미설명부호 220은 난방수 유입밸브이고 230은 가열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공급밸브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100)는 상기 하부연소실(120) 내부에 나무 등을 공급하여 연소시키게 되면 그 연소열에 의해 천정부에 구비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140)이 가열되어 그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온도가 상승되고, 배기가스는 상기 연소열유동억제판(190)에 의해 더욱 온도가 높아진 상태로 상기 상부연소실(13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상부연소실(130)에서는 상기 공기분사수단(180)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와 상기 하부연소실(120)에서 연소되어 공급되는 배기가스가 만나 점화 되어 2차 연소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소실(130)에서 연소되는 배기가스는 완전연소되어 상기 제2칸막이(132)의 전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2가스유입구(134)를 통해 상기 가스공급통로(160)로 들어가고 여기에서 상기 온수공급관(170)을 통해 흐르는 온수가 추가적으로 가열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된 온수는 온수공급밸브(230)를 통해 소요처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가스공급통로(160)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상기 제3칸막이(151)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3가스유입구(152)를 상기 가스배기통로(150)로 들어가면서 상기 배출구수단(2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공급통로(160)에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관(112)으로 배출될 때 화재의 위험이 있는바, 외부공기가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140)에 형성된 상기 도입관부(142)로 공급될 때 이를 식혀주어 화재의 위험을 덜어줄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인 본 발명은 화목 등과 같은 열원재료의 1차 연소에 의한 하부연소실과 고온의 공기분사에 의해 2차 연소가 되는 상부연소실로 구성된 2중 연소실수단과, 송풍수단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고 하부연소실과 상부연소실을 거쳐 설치되면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하부연소실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공기공급파이프수단, 상부연소실에 구비된 공기공급파이프수단에 설치되어 상부연소실로 공급되는 목초액연기에 고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상부연소실에서 2차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분사수단, 및 목초액 연기 배출관에 구비되어 그 벽면 청소 및 목초액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목초액배출구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에서의 1차 연소와 상기 공기분사수단에 의한 2차연소가 이루어지면서 목초액 연기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1차연소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즉, 목초액 연기를 2차 연소를 통해 완전 연소에 가깝게 연소시켜 줌으로써 환경오염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100: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110:보일러본체 111:도어 112:배기관
120:하부연소실
130:상부연소실
131:제1칸막이 132:제2칸막이 133:제1가스유입구
134:제2가스유입구
140:공기공급파이프수단 141:송풍수단
150:가스배기통로 151:제3칸막이 152:제3가스유입구
160:가스공급통로 170:온수공급관 180:공기분사수단
190:연소열유동억제판
200:배출구수단 201:밸브

Claims (9)

  1.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전면부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된 도어와 상단부에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배기관이 구비된 보일러본체와,
    상기 보일러본체의 내부 바닥부측에 형성되면서 화목의 열원재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된 하부연소실과,
    상기 하부연소실의 상부측으로 제1,2칸막이에 의해 형성 구비되고 그 후면부에는 상기 하부연소실에서 연소된 목초액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1가스유입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상부연소실과,
    상기 하부연소실과 상기 상부연소실의 천정부측에 각각 연이어 설치되되, 그 끝단부는 상기 제1칸막이의 전반부측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연소실에 설치되면서 외부 공기를 상기 하부연소실과 상기 상부연소실에서 연소되는 열에 의해 가열하여 상기 하부연소실 내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 할 수 있도록 토출부가 구비되고, 그 타단부에는 공기를 생성시켜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수단이 설치된 공기공급파이프수단, 및
    상기 보일러본체의 상부측에 제3칸막이에 의해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연소실과 상기 상부연소실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스배기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연소실의 상부측으로는 상기 제2칸막이와 상기 제3칸막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상부연소실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제2칸막이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제2가스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제3칸막이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제3가스유입구를 통해 상기 가스배기통로로 공급되도록 하는 가스공급통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스공급통로의 바닥면과 천정면에는 상기 하부연소실의 바닥부측과 후면부측으로 매립 설치되는 온수공급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상부연소실에 설치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에는 상기 하부연소실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하부연소실로부터 유입된 불완전 연소가스와 만나 다시 점화되어 2차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기분사수단이 더 구비되는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칸막이의 후단부측에는 상기 하부연소실의 바닥부를 향해 설치되어 상기 하부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연소열이나 목초액연기가 상기 제1가스유입구를 통해 상기 상부연소실로 유입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된 연소열유동억제판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열유동억제판의 단부에는 상기 하부연소실에서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열이나 배기가스의 유동성 억제력을 높일 수 있도록 보조판이 상기 연소열유동억제판의 길이방향과 직각 또는 경사지게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열유동억제판은 상기 하부연소실에 다수개가 구비되되 상기 하부연소실의 후면부에서 전면부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식으로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하단부에는 그 벽면에 고착되는 그을음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수단이 더 설치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파이프수단은 상기 가스배기통로와 상기 가스공급통로 및 상기 상부연소실을 거쳐 구비되는 도입관부와, 상기 하부연소실의 상부측에 지기재그로 설치되는 가열관부와, 상기 상부연소실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연소실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온공급관부, 및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하부연소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사관부로 연결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KR1020120140687A 2012-12-06 2012-12-06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Expired - Fee Related KR101438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687A KR101438085B1 (ko) 2012-12-06 2012-12-06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687A KR101438085B1 (ko) 2012-12-06 2012-12-06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035A KR20140073035A (ko) 2014-06-16
KR101438085B1 true KR101438085B1 (ko) 2014-09-11

Family

ID=5112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6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8085B1 (ko) 2012-12-06 2012-12-06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0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40Y1 (ko) * 2019-03-15 2019-12-24 강춘표 캠핑용 온수 보일러
KR200491114Y1 (ko) * 2019-04-09 2020-02-21 민형기 화목 보일러
KR20220107349A (ko) * 2021-01-25 2022-08-02 홍선기 용융로 내부의 이중굴뚝장치
KR102656847B1 (ko) 2023-04-12 2024-04-18 민형기 화목 보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94Y1 (ko) * 2014-12-08 2015-03-06 삼현테크(주) 가열장치
KR101677250B1 (ko) * 2014-12-23 2016-11-17 (주) 삼화금속 화목 보일러
KR101960249B1 (ko) * 2017-02-10 2019-03-20 박강철 복수의 연소실을 갖는 연소장치
CN111102560A (zh) * 2019-12-11 2020-05-05 北京新立机械有限责任公司 加热炉
KR102353433B1 (ko) * 2020-09-04 2022-01-21 김정기 화목 다단 열교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543Y1 (ko) * 1995-10-25 1999-06-15 우제정 석유,경유 및 폐유 보일러용 완전연소장치
KR101006146B1 (ko) * 2010-05-27 2011-01-07 장하연 화목 보일러
KR20110043564A (ko) * 2011-03-15 2011-04-27 송윤영 단열된 수직연소로의 화목연소장치 와 열교환기
KR101079694B1 (ko) * 2011-01-07 2011-11-03 김연중 화목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543Y1 (ko) * 1995-10-25 1999-06-15 우제정 석유,경유 및 폐유 보일러용 완전연소장치
KR101006146B1 (ko) * 2010-05-27 2011-01-07 장하연 화목 보일러
KR101079694B1 (ko) * 2011-01-07 2011-11-03 김연중 화목보일러
KR20110043564A (ko) * 2011-03-15 2011-04-27 송윤영 단열된 수직연소로의 화목연소장치 와 열교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740Y1 (ko) * 2019-03-15 2019-12-24 강춘표 캠핑용 온수 보일러
KR200491114Y1 (ko) * 2019-04-09 2020-02-21 민형기 화목 보일러
KR20220107349A (ko) * 2021-01-25 2022-08-02 홍선기 용융로 내부의 이중굴뚝장치
KR102445088B1 (ko) 2021-01-25 2022-09-19 홍선기 용융로 내부의 이중굴뚝장치
KR102656847B1 (ko) 2023-04-12 2024-04-18 민형기 화목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035A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085B1 (ko) 2중 연소실을 갖는 화목보일러
CN207438581U (zh) 燃烧器及燃气热水器
CN108106008B (zh) 一种多级加热型导热油锅炉及其方法
CN102966978B (zh) 一种固体、气体多燃料用水暖炉
CN201522091U (zh) 卧式逆燃燃煤锅炉
CN100549553C (zh) 抽离反水往复烟道式锅炉
CN105823090B (zh) 一种基于蜂窝陶瓷蓄热体的采暖炉
CN204693800U (zh) 一种高效能吸热锅炉
CN203231654U (zh) 窑炉尾气处理系统
CN206160468U (zh) 一种安全节能环保的热水加热装置
CN103759251A (zh) 一种燃煤、燃油、燃气锅炉
CN205641004U (zh) 一种基于蜂窝陶瓷蓄热体的采暖炉
CN104132452A (zh) 一种燃煤供热采暖炉
CN204100303U (zh) 一种无烟煤高效燃烧炊事采暖炉
CN203533630U (zh) 一种二次供氧成型燃料燃烧炉
CN219674187U (zh) 井口注汽用蒸汽锅炉
CN202769716U (zh) 民用生活采暖两用锅炉
CN201662208U (zh) 燃秸秆颗粒锅炉
CN103388841B (zh) 一种高效燃煤采暖炉
CN102997405B (zh) 一种逆向烟道三回程热水锅炉
CN108167888B (zh) 一种多层网筒式节能炉具
CN202598827U (zh) 三次进风的锅炉
CN208846735U (zh) 燃气红外加热壁挂炉和模块炉
KR200207399Y1 (ko) 화목보일러
CN200993467Y (zh) 节能采暖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