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905B1 -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6905B1 KR101436905B1 KR20130048510A KR20130048510A KR101436905B1 KR 101436905 B1 KR101436905 B1 KR 101436905B1 KR 20130048510 A KR20130048510 A KR 20130048510A KR 20130048510 A KR20130048510 A KR 20130048510A KR 101436905 B1 KR101436905 B1 KR 1014369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nching
- unit
- rail
- traveling
- carr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8—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trains of unconnected load-carriers, e.g. belt sections, movable in a path, e.g. a closed path, adapted to contact each other and to be propelled by means arranged to engage each load-carrier in tur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분기 및 합류구간의 분기영역 및 합류영역에 대한 반송대차의 주행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에 대한 캐리어 유닛의 분기주행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Ⅰ-Ⅰ에 대한 캐리어 유닛의 직진주행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브분기가이드 및 커브합류가이드에 대한 반송대차의 분기주행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반송대차에 대한 대상물의 이재 및 적재방향 상태도이다.
도 7a는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전륜 측 캐리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7c는 도 7b의 보조승강 휠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주행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캐리어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캐리어 유닛에 의해 견인되는 다른 캐리어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분기롤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웜기어 박스에 설치되는 웜 기어와 웜휠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Ⅱ-Ⅱ에 대한 캐리어 유닛의 분기주행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와 관련된 분기영역 및 합류영역에 대한 반송대차의 분기주행상태도이다.
도 14는 도 12와 관련된 분기영역 및 합류영역에 대한 반송대차의 직진주행상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캐리어 유닛에 추가적인 요소가 구성된 상세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반송 시스템의 반송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캐리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캐리어 유닛의 평면도이다.
102: 직진구간 103: 커브연결구간
104: 분기 및 합류구간 105: 반송포트
107: 분기영역 108: 합류영역
110: 주행레일 111: 분기 및 합류레일
112: 직진분기가이드 113: 커브분기가이드
115: 직진레일본체 116: 분기레일본체
117: 레일부재 120: 바코드
121: 비접촉 전원공급장치 123: 통신센서
125: 진입확인 센서용 반사판 131: 커브합류가이드
132: 합류직진가이드 140: 반송대차
141: 캐리어 유닛 142: 캐리어 본체
144: 주행바퀴 145: 지지롤러
146: 주행모터 147: 적재프레임
148: 이동바 150: 분기롤러유닛
151, 152: 분기롤러 153: 분기롤러 구동부
154: 롤러 포지션감지유닛 155: 롤러설치 프레임
156: 시소 경사부 157: 프레임 구동축
158: 시소 베어링부 159: 시소 회전부
160: 경사면 161: 분기구동모터
162: 웜기어박스 163: 기어 하우징
164: 웜 기어 165: 웜휠
166: 수동 입력축 167: 내장 엔코더
168: 외부 엔코더 169: 보조승강 휠유닛
170: 보조 휠 171: 보조 승강 모듈
172: 휠 승강블록 173: 승강안내부재
174: 승강 조절부 175a: 높이조절볼트 175b: 높이조절너트
176: 슬라이드 이동장치 177: 적재승강장치
178: 척 그립퍼유닛 179: 승강유닛
180: 낙하방지장치 181: 회전지지부재
185: 낙하방지 구동부 186: 회전링크
187: 지지링크 188: 링크구동모듈
190: 솔레노이드 191: 솔 바디 192: 솔 로드
250: 지지홀더유닛 251: 지지홀더부재
252: 측벽 지지부 253: 회전 방지부
255: 홀더이동 안내부 256: 홀더이동부재
257: 리니어 가이드 260: 홀더이동 구동부
261: 홀더이동모터 263: 볼스크류 모듈
264: 스크류 환봉 265: 암 스크류
266: 구동풀리 267: 구동벨트
268: 종동풀리
Claims (24)
- 복수의 주행레일과 상기 복수의 주행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분기 및 합류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주행레일과 상기 분기 및 합류레일이 연결되는 분기영역에 직진주행을 안내하는 직진분기가이드와 분기주행을 안내하는 커브분기가이드가 설치되는 레일시스템의 상기 주행레일에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대상물을 반송하는 캐리어 유닛;
상기 직진주행 및 상기 분기주행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캐리어 유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분기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 유닛이 상기 분기영역으로 진입될 때, 상기 복수의 분기롤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직진분기가이드와 상기 커브분기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 지지시키는 분기롤러유닛; 및
상기 캐리어 유닛을 상기 주행레일 상에서 이격시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행레일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보조 휠이 마련되되, 상기 보조 휠을 상기 주행레일에 접촉시켜 상기 캐리어 유닛을 상기 주행레일 상에서 이격시키는 보조 승강 모듈을 구비하는 보조승강 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은,
상기 주행레일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캐리어 본체;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상기 캐리어 본체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주행바퀴;
상기 복수의 주행바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캐리어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복수의 주행모터;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캐리어 본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주행레일에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승강 모듈은,
상기 보조 휠이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캐리어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휠 승강블록;
상기 복수의 캐리어 본체에 마련되되, 상기 휠 승강블록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안내부재; 및
상기 주행바퀴를 상기 주행레일 상에서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휠 승강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휠 승강블록과 함께 상기 보조 휠을 승강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휠 승강블록에 배치되되, 상기 캐리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볼트; 및
상기 휠 승강블록에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기롤러는, 롤링 회전 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직진주행 및 상기 분기주행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상기 캐리어 유닛의 진행방향에 따른 라인을 기준으로 롤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롤러유닛은,
상기 캐리어 유닛의 진행방향에 교차하는 라인 상에 상기 분기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설치 프레임;
상기 롤러설치 프레임에 결합되는 프레임 구동축; 및
상기 프레임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프레임 구동축에 연결되는 분기롤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설치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분기롤러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직진분기가이드 및 상기 커브분기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접촉 지지되도록, 상호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시소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 상에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 구동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시소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설치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구동축에 의해 상기 시소 베어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시소 경사부를 상호 대향하게 결합시키는 시소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 경사부에는, 상기 분기롤러가 한 쌍으로 설치되되,
상기 시소 경사부와 상기 시소 회전부의 결합부에는 상기 시소 경사부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 베어링부에는, 상기 시소 회전부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도록 엔코더 타입의 롤러 포지션감지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롤러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 구동축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캐리어 유닛 상에 설치되는 분기구동모터; 및
상기 분기구동모터로부터 상기 프레임 구동축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분기구동모터와 상기 프레임 구동축 사이에 설치되는 웜기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웜기어박스는,
상기 프레임 구동축의 구동력을 입력받도록 상기 분기구동모터에 결합되는 기어 하우징;
상기 기어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웜 기어; 및
상기 기어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웜 기어에 기어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 구동축에 결합되는 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롤러 구동부는,
상기 기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분기구동모터의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웜 기어에 결합되는 수동 입력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동축은, 상기 캐리어 유닛의 진행방향에 따른 상기 캐리어 유닛의 중심라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웜 기어는 상기 프레임 구동축에 교차하게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분기롤러는, 상기 프레임 구동축의 중심라인의 양측에 한 쌍씩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터는,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내장 엔코더를 갖는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캐리어 본체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회전되는 상기 복수의 주행바퀴에 대한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외부 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상기 캐리어 유닛의 중심라인으로부터 편향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이동장치; 및
상기 슬라이드 이동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집어 올리고 내릴 수 있는 적재승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승강장치는,
상기 대상물을 잡을 수 있는 척 그립퍼유닛; 및
상기 척 그립퍼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척 그립퍼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회전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에 설치되되, 상기 대상물이 내부로 인입되어 안치되는 적재프레임; 및
상기 적재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낙하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장치는,
상기 적재프레임의 하부에 대향하게 배치되되, 상기 적재프레임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적재프레임에 결합되는 낙하방지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 구동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하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적재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링크;
상기 회전링크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적재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링크; 및
상기 회전링크에 일단부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적재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지지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링크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편향된 위치에 따라 상기 캐리어 유닛을 상기 주행레일에 고정시키는 지지홀더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홀더유닛은,
상기 캐리어 유닛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대상물이 이동 시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대상물의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주행레일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홀더부재; 및
상기 지지홀더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캐리어 유닛에 설치되는 홀더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대차. - 복수의 주행레일과 상기 복수의 주행레일을 상호 연결하는 분기 및 합류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주행레일과 상기 분기 및 합류레일이 연결되는 분기영역에 직진주행을 안내하는 직진분기가이드와 분기주행을 안내하는 커브분기가이드가 설치되는 레일시스템; 및
상기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반송대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시스템은,
상기 분기 및 합류레일이 설치되되, 상기 캐리어 유닛을 분기하여 분기전후의 주행방향을 반대로 전환시키는 커브분기구간;
상기 커브분기가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분기레일을 따라 상기 합류레일로 배치되되, 상기 분기롤러 중 어느 하나의 분기롤러가 연속적으로 접촉 지지되는 커브합류가이드; 및
상기 합류레일에 배치되는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커브합류가이드에 연결되는 합류직진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8510A KR101436905B1 (ko) | 2013-04-30 | 2013-04-30 |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8510A KR101436905B1 (ko) | 2013-04-30 | 2013-04-30 |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6905B1 true KR101436905B1 (ko) | 2014-11-04 |
Family
ID=5228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48510A Active KR101436905B1 (ko) | 2013-04-30 | 2013-04-30 |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6905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9711A (ko) * | 2015-04-06 | 2016-10-14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물품 반송 설비 |
KR101901029B1 (ko) | 2016-11-29 | 2018-09-21 | 세메스 주식회사 | Oht 장치 |
KR20190032493A (ko) * | 2016-08-26 | 2019-03-27 |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 유궤도 대차 시스템 및 유궤도 대차 |
CN112309931A (zh) * | 2019-07-29 | 2021-02-02 | Bns株式会社 | 具备行驶及引导功能的行驶轨道及利用其的托盘移送系统 |
KR20210051695A (ko) * | 2019-10-31 | 2021-05-10 | 세메스 주식회사 | 부호 인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호 인쇄 방법 |
KR20210113467A (ko) * | 2020-03-05 | 2021-09-16 | 세메스 주식회사 | 이송 대차 시스템 |
KR20210157257A (ko) | 2020-06-19 | 2021-12-28 | 세메스 주식회사 | 컨테이너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반송 시스템 |
CN115196263A (zh) * | 2021-06-17 | 2022-10-18 |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 散列高架悬吊式运输机具轨道系统及其操作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59841A (ja) | 2000-08-23 | 2002-02-26 | Ryokeiso Kk | キャリヤー |
JP2002087250A (ja) | 2000-09-14 | 2002-03-27 | Daifuku Co Ltd | 搬送設備 |
KR20050066980A (ko) * | 2003-12-26 | 2005-06-30 |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 유궤도대차 시스템 |
KR101244268B1 (ko) | 2009-03-27 | 2013-03-18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물품 반송 설비 |
-
2013
- 2013-04-30 KR KR20130048510A patent/KR10143690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59841A (ja) | 2000-08-23 | 2002-02-26 | Ryokeiso Kk | キャリヤー |
JP2002087250A (ja) | 2000-09-14 | 2002-03-27 | Daifuku Co Ltd | 搬送設備 |
KR20050066980A (ko) * | 2003-12-26 | 2005-06-30 |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 유궤도대차 시스템 |
KR101244268B1 (ko) | 2009-03-27 | 2013-03-18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물품 반송 설비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2207B1 (ko) | 2015-04-06 | 2022-07-15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물품 반송 설비 |
KR20160119711A (ko) * | 2015-04-06 | 2016-10-14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물품 반송 설비 |
KR20190032493A (ko) * | 2016-08-26 | 2019-03-27 |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 유궤도 대차 시스템 및 유궤도 대차 |
KR102165190B1 (ko) * | 2016-08-26 | 2020-10-12 |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 유궤도 대차 시스템 및 유궤도 대차 |
US11476141B2 (en) | 2016-08-26 | 2022-10-18 | Murata Machinery, Ltd. | Rail-guided trolley system, and rail-guided trolley |
KR101901029B1 (ko) | 2016-11-29 | 2018-09-21 | 세메스 주식회사 | Oht 장치 |
CN112309931A (zh) * | 2019-07-29 | 2021-02-02 | Bns株式会社 | 具备行驶及引导功能的行驶轨道及利用其的托盘移送系统 |
CN112309931B (zh) * | 2019-07-29 | 2024-03-22 | Bns株式会社 | 具备行驶及引导功能的行驶轨道及利用其的托盘移送系统 |
KR102264861B1 (ko) | 2019-10-31 | 2021-06-14 | 세메스 주식회사 | 부호 인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호 인쇄 방법 |
KR20210051695A (ko) * | 2019-10-31 | 2021-05-10 | 세메스 주식회사 | 부호 인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호 인쇄 방법 |
KR20210113467A (ko) * | 2020-03-05 | 2021-09-16 | 세메스 주식회사 | 이송 대차 시스템 |
KR20220011747A (ko) * | 2020-03-05 | 2022-01-28 | 세메스 주식회사 | 이송 대차 시스템 |
KR102366068B1 (ko) | 2020-03-05 | 2022-02-22 | 세메스 주식회사 | 이송 대차 시스템 |
KR102387592B1 (ko) | 2020-03-05 | 2022-04-18 | 세메스 주식회사 | 이송 대차 시스템 |
KR20210157257A (ko) | 2020-06-19 | 2021-12-28 | 세메스 주식회사 | 컨테이너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컨테이너 반송 시스템 |
CN115196263A (zh) * | 2021-06-17 | 2022-10-18 |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 散列高架悬吊式运输机具轨道系统及其操作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6905B1 (ko) |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 |
KR101419359B1 (ko) |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 |
KR101504146B1 (ko) | 반송시스템 | |
KR101521498B1 (ko) |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 |
JP6202199B6 (ja) |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 |
JP5590422B2 (ja) | 物品搬送設備 | |
KR101473832B1 (ko) | 반송시스템 | |
KR101419356B1 (ko) | 대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송시스템 | |
KR101479941B1 (ko) | 반송대차 | |
JPWO2015174181A6 (ja) |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 |
TWI763871B (zh) | 搬運系統及搬運方法 | |
KR20070076368A (ko) | 천정 주행차 시스템 | |
TW201637982A (zh) | 搬送台車及搬送台車系統 | |
TW201924996A (zh) | 行走台車 | |
KR20190023531A (ko) | 이송 장치 | |
KR101419358B1 (ko) | 반송시스템 | |
KR101530028B1 (ko) | 이송대차 시스템 | |
KR101407417B1 (ko) | 반송 시스템 | |
KR101407418B1 (ko) | 반송 시스템 | |
KR101504145B1 (ko) | 반송시스템 및 그 대차장치 | |
KR20170057568A (ko) | 이송대차 시스템 | |
KR101419357B1 (ko) | 반송시스템 | |
KR101396226B1 (ko) | 반송시스템 | |
KR102536042B1 (ko) | 제조 공장의 물품 반송 시스템 | |
KR20130115138A (ko) | 반송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