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3537B1 - 골프공 - Google Patents

골프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537B1
KR101433537B1 KR20130123389A KR20130123389A KR101433537B1 KR 101433537 B1 KR101433537 B1 KR 101433537B1 KR 20130123389 A KR20130123389 A KR 20130123389A KR 20130123389 A KR20130123389 A KR 20130123389A KR 101433537 B1 KR101433537 B1 KR 10143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ple
spherical
golf ball
degrees
dimp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홍
문경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볼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볼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볼빅
Priority to KR2013012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537B1/ko
Priority to US14/193,021 priority patent/US953319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5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14Speci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19Specified dimple dep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6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 A63B37/00065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located around the pole or the equa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2Specified dimple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에 관한 것으로, 구상 마름모꼴 12면체로 구획되는 표면에 가장 큰 직경을 갖는 제1딤플과, 두번째로 큰 직경을 갖는 제2딤플을 포함하는 다수의 딤플이 배열되는 골프공에 있어서, 상기 제1딤플은 상기 구상 마름모꼴 12면체 중 4개의 마름모꼴에 의해 공유되는 제1꼭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π/10 라디안(Radian) ± 10% 범위를 갖는 LF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제2딤플은 상기 구상 마름모꼴 12면체 중 3개의 마름모꼴에 의해 공유되는 제2꼭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π/20 라디안(Radian) ± 10% 범위를 갖는 LS 영역에 배열됨으로써 공기의 흐름과 압력 항력이 모든 구상 다각형에서 균일해져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골프공{GOLF BALL}
본 발명은 골프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공의 딤플 배열은 골프공의 비행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골프공은 골프채에 의한 타격시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에 따라 역회전을 일으킴과 동시에 골프공의 핵으로부터 발생하는 강한 반발 탄성에 의해 튀어 나가게 되며, 골프공의 제원에 따라 여러 형태의 탄도를 형성하며 비행하게 된다.
여기서, 골프공을 드라이버로 타격했을 경우 골프공의 비행 시간은 통상 6초 전후인데, 초기 탄도가 비슷하더라도 딤플에 따라 탄도의 정점은 상당히 달라지게 된다. 물론, 동일한 사용자가 동일한 골프채를 사용하여 골프공을 가격하여도 골프공의 반발 탄성 능력과 딱딱함, 그리고 회전 성능의 차이에 의해서도 비행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지만 딤플들의 크기, 개수, 면적율, 깊이, 배열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비행 특성이 형성되고, 그 비행 탄도의 정점도 달라진다.
더욱이, 딤플들을 배열할 때 사용되는 분할 구도는 골프공의 대칭성과 연계되어 딤플들의 크기와 면적율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공의 표면에 딤플을 배열하기 위한 분할 구도는 구상 다면체 상태로 구체를 분할하는 것이었다. 즉, 골프공의 분할 구도에는 구상 삼각형 4개로 이루어진 구상 4면체, 구상 사각형 6개로 이루어진 구상 6면체, 구상 삼각형 8개로 이루어진 구상 8면체, 구상 사각형 6개와 구상 삼각형 8개로 이루어진 구상 6-8면체, 구상 오각형 12개로 이루어진 구상 12면체, 구상 삼각형 20개로 이루어진 구상 20면체, 구상 오각형 12개와 구상 삼각형 20개로 이루어진 구상 20-12면체 등이 있는데, 이를 다시 세분하여 여러 형태의 구상 다면체를 유도한 후 딤플들을 배열하는 것이다.
예컨대, 미국 특허 US 5575477는 20-12면체의 구도로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딤플들을 배열함에 있어 성형 접합선인 적도 부위의 BUFFING 공정에 의한 딤플 없는 면적율과, 극 부분의 새로운 구도에 의해 딤플이 넓게 배치됨으로써 발생하는 딤플 없는 면적율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골프공의 비행 안정성을 도모하고 비거리를 향상시킨 것으로, 이에 의하면 비행 안정성은 우수하나 비행 시간을 늘리며 탄도 정점을 높일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US 5564708는 8면체를 이루는 구상 삼각형의 정점 부위와 그 큰 구상 삼각형의 각 변의 중간점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하여 생기는 작은 구상 삼각형(6-8면체에서 하나의 작은 구상 삼각형)의 정점에 각각 제일 큰 딤플을 배열한 것으로, 각 면체에서의 크고 작은 딤플들이 조화를 이루어 공기의 저항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비행 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아울러, 미국 특허 US 5024444는 골프공의 표면에 3 또는 4 종류의 딤플들을 배열함에 있어 딤플의 직경에 따른 딤플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양자간의 비율을 알맞게 조절하여 비거리를 늘린 것이다.
한편, 미국 특허 US 6450902는 기존의 6-8면체의 구체 분할 구도를 더욱 세분하여 영역마다 각각 하나씩 존재하는 제일 큰 딤플을 사이에 두고 밴드 형태로 연결되도록 배열함으로써 저속 영역에서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흐름의 영역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비거리를 늘려주는 골프공의 딤플 배열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특허 문헌 외에 다른 특허 문헌의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딤플의 대칭성이 있는 분할 구도와 균일한 배열을 위해 그 크기를 감안한 순서로 딤플을 배열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골프채로 골프공을 가격하면 골프채 헤드의 로프트 각도에 의한 역회전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역회전하며 비행하는 골프공의 하부에는 공기의 압력이 쌓이고, 상부 공기는 주위보다 더욱 빠르게 흘러 공기의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결과적으로 골프공에 중력의 수배에 달하는 양력이 형성된다. 이후, 골프공은 타력에 의한 반발력과 양력의 도움을 받으며 탄도 정점까지는 고속으로 비행을 하게 되고, 탄도의 정점 이후부터 착지점까지는 저속으로 비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골프공이 탄도의 정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더 증가시키거나 같은 시간에 알맞은 탄도로 비행하여도 그 정점을 더 높여줄 수 있다면 포물선의 원리에 의해 비거리를 더 늘릴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골프공은 최대 단면적에 비례하여 공기의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골프공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비거리 면에서 유리하나, R&A나 USGA의 공인구 규정에 의해 골프공의 크기가 1.68인치 이상으로 제한되므로 그 크기를 임의로 조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공인된 골프공들은 대부분 크기가 1.68인치 부근이기 때문에 그 직경에 따른 표면적도 거의 비슷하고, 이로 인해 앞서 설명한 구상 다면체로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딤플들을 배열하면 어떠한 구상 다면체도 상호 중첩될 수 밖에 없는 분할 구도가 된다.
일반적으로 골프공의 제조에 있어 금형에 삽입할 캐비티를 제작할 경우 마스터 몰드를 먼저 제작하고, 그 위에 두께 0.8 mm 이하의 스테인레스스틸 판을 씌워 각각의 딤플들을 고압의 핀으로 가압하는데, 이 경우 그 금속 재질의 강도로 인해 각 딤플 직경에 의해 그 깊이가 어느 정도 한정된다. 이 깊이를 프러스텀 깊이(Frustum depth)로 계산하여 딤플의 체적율을 계산하면 대개의 골프공은 400 mm3 ± 10% 내외로 비슷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캐비티에 형성되는 딤플들의 경우 직경이 결정되면 체적율이 거의 비슷해지기 때문에 골프공의 비행 특성은 각 딤플의 크기와 개수에 의해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딤플을 배열할 때에는 구체의 표면에 최대로 딤플을 채워 넣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딤플들의 직경과 개수에 의해 딤플 면적율도 따라서 결정되는 경향이 생기게 된다. 이는 공기 역학적으로 비거리를 좌우하는 딤플 배열이 "크기가 비슷한 딤플들의 총 개수가 같아지면 비행 성능도 비슷해진다"라는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골프공의 구조, 크기, 무게, 딱딱함, 커바의 재질, 핵의 반발탄성 정도, 커바의 경도 등의 차이에 의해서 같은 딤플 배열을 갖는 골프공일지라도 많은 비행 성능의 차이가 만들어진다. 그러나 구조, 무게, 크기, 딱딱함, 커바 재질 등을 같게 하고 크기가 비슷한 딤플들로 총 개수를 같게 하여 R&A나 USGA의 공인구 규정에 따른 대칭성을 갖는 딤플 배열을 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배열로 제조된 골프공들을 각각 스윙 머신 등으로 가격하여 트랙맨이나 기타 측정 방법으로 추적 비교해 본 결과 그들의 비행 성능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골프공의 비행 성능에서 중요한 요소는 비거리와 회전량, 비행시간, 정점의 높이 그리고 좌우 편차인데, 3~6 종류의 크기로 양자가 같은 개수의 딤플들을 갖고 있는 두 개의 골프공에서는 그 딤플 크기에 따른 배열을 서로 달리 했을 때 그 배열의 차이로 인해 정점의 높이, 좌우 편차는 서로간에 차이가 있었다.
한편, 골프공은 공인구 규정에 의해 대칭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딤플의 배열도 구체의 표면을 다수의 구상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상 다면체로 구체의 표면을 나누어 대칭을 이룰 수 있게 같은 구상 다각형들에 같은 딤플들을 배열하게 된다. 그러나 구상 다면체를 이루는 구상 다각형들의 표면적이 서로 같으면 딤플 배열의 차이도 없어져 비행 성능의 차이도 한정적이겠지만 불행하게도 많은 경우의 구체의 분할에서는 구도에 따라 형성되는 구상 다각형의 각 표면적의 크기도 많이 차이가 나서 딤플 배열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예컨대, 골프공의 반경이 0.84인치라면 그 전체 표면적은 8.866831105 in2 인데, 구상 마름모꼴 십이면체의 하나의 구상 마름모의 표면적은 같은 크기로 0.738902592 in2 인 것이 12개가 모여 구체의 전체 표면적이 되지만, 구상 6-8면체를 이루는 하나의 구상 삼각형의 표면적은 0.388987121 in2 이고, 이 구상 6-8면체의 하나의 구상 사각형은 그 표면적이 0.959155691 in2 이다. 물론, 이 구상 삼각형의 표면적 8개와 이 구상 사각형의 표면적 6개가 모여서 구상 6-8면체로 분할된 구체의 전체 표면적이 된다. 또한, 같은 반경의 구상 20-12면체의 구체에서도 하나의 구상 오각형의 표면적은 0.527394879 in2 이고, 하나의 구상 삼각형의 표면적은 0.126904631 in2 로써 이 구상 오각형 12개와 이 구상 삼각형 20개가 모여 구체의 전체 표면적이 된다. 이처럼 각 구상 다각형이 상이함에 따라 그의 표면적이 각각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만일, 양력을 얻기 쉬운 직경 0.145 인치 이상의 상대적으로 큰 딤플 한 종류로만 구체 전 표면에 걸쳐서 대칭을 이루는 딤플 배열을 한다면 필연적으로 딤플이 없는 랜드 부위가 너무 많이 형성되어 딤플이 차지하는 총 딤플 면적율이 적어지고, 이로 인해 양력도 적어져 기대한 만큼의 비거리를 얻기가 어려워진다. 반대로, 직경 0.1 인치 이하의 작은 딤플들로만 구체 전 표면에 걸쳐서 대칭을 이룬 딤플 배열을 한다면 양력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어 바라고자 하는 비거리의 대략 85% 정도 밖에 얻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딤플의 크기를 여러 종류로 하여 딤플이 없는 부위를 최소화하고 좌우 대칭을 유지하여 비행 안정성을 도모하는 딤플 배열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골프공의 전반에 걸쳐 각 위치에서 공기에 의한 압력 항력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비행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골프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구상 마름모꼴 12면체로 구획되는 표면에 가장 큰 직경을 갖는 제1딤플과, 두번째로 큰 직경을 갖는 제2딤플을 포함하는 다수의 딤플이 배열되는 골프공에 있어서, 상기 제1딤플은 상기 구상 마름모꼴 12면체 중 4개의 마름모꼴에 의해 공유되는 제1꼭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π/10 라디안(Radian) ± 10% 범위를 갖는 LF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제2딤플은 상기 구상 마름모꼴 12면체 중 3개의 마름모꼴에 의해 공유되는 제2꼭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π/20 라디안(Radian) ± 10% 범위를 갖는 LS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딤플은 상기 LF 영역의 내측 또는 LF 영역의 내측과 그 경계선에 일부가 절반 이상 걸쳐지도록 배열되고, 그 주위에 세번째 크기의 직경을 갖는 제3딤플과, 네번째 크기의 직경을 갖는 제4딤플 및 다섯번째 크기의 직경을 갖는 제5딤플이 크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에워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딤플은 상기 LS 영역의 경계선에 절반이 걸쳐지도록 배열되고, 이러한 제2딤플과 인접한 제2딤플 사이에 상기 제3딤플이 배열되며, 그 주위에 제4딤플이, 또한 그 주위에는 제4딤플과 제5딤플이 차례대로 에워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딤플, 제3딤플, 제4딤플, 제5딤플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작아지되, 각각 상기 제1딤플의 97%, 94%, 88%, 7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딤플, 제2딤플, 제3딤플, 제4딤플, 제5딤플의 깊이는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상기 제1딤플, 제2딤플, 제3딤플의 깊이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딤플, 제5딤플의 깊이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제1딤플의 98%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채로 골프공을 타격한 후 정점까지의 고속 영역에서 표면적이 서로 다른 구상 다각형 간에 비행 중에 받는 압력 항력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각 위치에서의 알맞은 넓이를 갖는 영역을 설정하고, 이러한 영역에 크기에 따라 알맞은 딤플을 배열하여 골프공 전표면적에 걸쳐 회전축의 흔들림이 없도록 함으로써 맞부딪히는 공기의 압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 양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정점을 더 높여주어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딤플 배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공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골프공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딤플 배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100)은 구상 다면체로 구획되는 표면에 다수의 딤플이 분할 구도에 적합하게 크기에 따라 구분 배열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골프공의 분할 구도와 딤플의 배열 구조에 대해 차례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100)의 표면은 구상 마름모꼴로 이루어지는 구상 마름모꼴 12면체(Spherical Rhombic dodecahedron)로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구체의 표면에 임의의 한 점 P를 극(위도 90도, 경도 90도)으로 하고, 점(51; 위도 0도, 경도 0도)과 점(21; 위도 35.26438968982도, 경도 90도) 그리고 점(54; 위도 0도, 경도 180도)를 통과하는 대원(1)과, 점(53; 위도 0도, 경도 120도)과 점(22; 위도 35.26438968982도, 경도 210도) 그리고 점(56; 위도 0도, 경도 300도)을 통과하는 대원(2) 및 점(52; 위도 0도, 경도 60도)과 점(23; 위도 35.26438968982도, 경도 330도) 그리고 점(55; 위도 0도, 경도 240도)을 통과하는 대원(3)으로 구체의 표면을 구획하고, 점(41; 위도 0도, 경도 30도)과 극점(P) 그리고 점(44; 위도 0도, 경도 210도)을 통과하는 대원(P1)과, 점(43; 위도 0도, 경도 150도)과 극점(P) 그리고 점(46; 위도 0도, 경도 330도)을 통과하는 대원(P2) 및 점(42; 위도 0도, 경도 90도)과 극점(P) 그리고 점(45; 위도 0도, 경도 270도)을 통과하는 대원(P3)으로 구체의 표면을 더 구획하면 구상 마름모꼴 12개로 이루어지는 구상 마름모꼴 12면체가 형성된다.
이 경우, 구상 마름모꼴 3개가 짧은 지름 쪽의 꼭지점 하나를 서로 공유하는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구상 삼각형은 점(11; 위도 19.47122028965도, 경도 30도)과 점(12; 위도 19.47122028965도, 경도 150도)을 통과하는 대원(1)과, 점(12; 위도 19.47122028965도, 경도 150도)과 점(13; 19.47122028965도, 경도 270도)을 통과하는 대원(2) 및 점(13; 19.47122028965도, 경도 270도)과 점(11; 위도 19.47122028965도, 경도 30도)을 통과하는 대원(3)으로 둘러싸인 구상 사면체의 하나의 큰 구상 삼각형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구상 마름모꼴 12면체의 마름모꼴 4개가 긴 지름 쪽의 꼭지점 하나를 서로 공유하는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구상 8면체를 이루는 하나의 구상 삼각형, 즉, 점(56; 위도 0도, 경도 300도)과 점(31; 위도54.7356098도, 경도 30도) 그리고 점(53; 위도 0도, 경도 120도)을 통과하는 대원 (7)과, 점(52; 위도 0도, 경도 60도)과 점(32; 위도 54.7356098도, 경도 150도) 그리고 점(55; 위도 0도, 경도 240도)을 통과하는 대원(8) 및 점(54; 위도 0도, 경도 180도)과 점(33; 위도 54.7356098도, 경도 270도) 그리고 점(51; 위도 0도, 경도 0도)을 통과하는 대원(9)으로 구체의 표면을 구획함으로써 형성되는 구상 8면체의 구상 삼각형 4개가 하나의 꼭지점을 공유하는 지점과 먼저 설명한 구상 마름모꼴 12면체의 마름모꼴 4개가 긴 지름 쪽의 꼭지점 하나를 공유하는 지점과는 정확히 일치한다.
아울러, 이러한 구상 8면체의 각 구상 삼각형 각 변의 중간 지점을 서로 이웃하는 지점과 연결한 대원(4), 대원(5), 대원(6), 그리고 대원 E(적도 선) 등에 의해 구상 6-8면체가 형성된다.
즉,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면, 구상 마름모꼴 12면체의 지름이 긴 쪽 꼭지점은 구상 6-8면체의 구상 사각형의 중심인 동시에 구상 8면체의 구상 삼각형의 꼭지점이고, 구상 마름모꼴 12면체의 지름이 짧은 쪽 꼭지점은 구상 6-8면체의 구상 삼각형의 중심인 동시에 구상 4면체의 큰 구상 삼각형의 꼭지점인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체의 표면을 분할하여 형성된 각 구상 다각형의 표면적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의 분할 구도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분할 구도에 배열되는 딤플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공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골프공의 B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며 비행하는 골프공(100)의 압력 항력의 균형을 위하여 구상 마름모꼴 12면체의 마름모꼴 4개가 긴 지름 쪽의 꼭지점 하나를 공유하는 지점에 반경 π/10 라디안(Radian) ± 10%의 원형 LF 영역(도 2에서 해치 상태로 표시된 영역)이 설정되고, 이러한 LF 영역에 직경이 가장 큰 제1딤플(L1)이 배열된다.
이 경우, 제1딤플(L1)은 좌우 대칭되도록 배열되는데, 전부 LF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배열되거나 일부는 LF 영역 내에 존재하고, 일부는 LF 영역의 경계선에 절반 가까이 걸쳐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배열되는 제1딤플(L1)의 주위에는 두번째로 큰 직경을 갖는 제2딤플(L2)이 아닌 세번째 크기의 제3딤플(L3), 네번째 크기의 제4딤플(L4) 및 다섯번째 크기의 제5딤플(L5)이 순차적으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상 마름모꼴 12면체의 마름모꼴 3개가 짧은 지름 쪽의 꼭지점 하나를 서로 공유하는 지점에는 반경 π/20 라디안(Radian) ± 10%의 원형 LS 영역을 설정되고, 이러한 LS 영역(도 3에서 해치 상태로 표시된 영역)에 직경이 두번째로 큰 제2딤플(L2)이 배열된다.
이 경우, 제2딤플(L2)는 LS 영역의 경계선에 딤플 직경의 절반이 걸쳐지도록 배열된다. 한편, 이러한 제2딤플(L2)의 주위에는 제3딤플(L3)이 두 개의 제2딤플(L2)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열되고, 그 주위를 제4딤플(L4)이 둘러싸도록 배열되며, 다시 그 주위에 제4딤플(L4)과 제5딤플(L5)이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이처럼 LS 영역의 최외각에 배열되는 제4딤플(L4)과 제5딤플(L5)은 앞서 설명한 LF 영역의 최외각 딤플 배열과 충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딤플들의 크기를 직경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5종류의 딤플들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1딤플(L1)과, 제2딤플(L2) ≥ 0.97 L1, 제3딤플(L3) ≥ 0.94 L1, 제4딤플(L4) ≥ 0.88 L1, 그리고 제5딤플 ≥ 0.78 L1로 딤플 크기의 제한을 갖는다. 이와 달리, 4종류의 딤플들을 사용할 경우 제1딤플(L1)과 제2딤플(L2)의 상관 관계는 5종류의 딤플을 사용할 경우와 차이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LF 영역과 LS 영역이 차지하는 표면적의 크기의 차이의 비례가 구체 전체에서 차지하는 크기의 비례와의 상관 관계에 따른 적합한 딤플 크기로서 제2딤플(L2)의 크기는 제1딤플(L1)의 97%로 되는 것이 공기의 압력에 대항해서 균형을 잡으며 비행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딤플들의 깊이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딤플(L1)과 제2딤플(L2), 그리고 제3딤플(L3)의 깊이는 0.0066~0.00665 인치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4딤플(L4)과 제5딤플(L5)은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가지되, 제1딤플(L1)의 98%가 되도록 함으로써 양력이 깊이에 따른 차이가 없게 균일화를 기하고, 제1딤플(L1)의 깊이와의 차이로 인한 변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원형 딤플들의 깊이와 직경은 필요에 따라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3, 4, 5, 6, 7, 8, 9, P1, P2, P3: 대원
L1, L2, L3, L4, L5: 딤플
P: 극점

Claims (8)

  1. 구상 마름모꼴 12면체로 구획되는 표면에 가장 큰 직경을 갖는 제1딤플과, 두번째로 큰 직경을 갖는 제2딤플을 포함하는 다수의 딤플이 배열되는 골프공에 있어서,
    상기 제1딤플은 상기 구상 마름모꼴 12면체 중 4개의 마름모꼴에 의해 공유되는 제1꼭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π/10 라디안(Radian) ± 10% 범위를 갖는 LF 영역에 배열되고, 상기 제2딤플은 상기 구상 마름모꼴 12면체 중 3개의 마름모꼴에 의해 공유되는 제2꼭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π/20 라디안(Radian) ± 10% 범위를 갖는 LS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딤플은 상기 LF 영역 내측에 배열되고, 상기 제2딤플은 상기 LS 영역의 경계선에 절반이 걸쳐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딤플 중 일부는 상기 LF 영역 내측에 배열되고, 나머지는 상기 LF 영역의 경계선에 걸쳐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딤플 주위에 세번째 크기의 직경을 갖는 제3딤플과, 네번째 크기의 직경을 갖는 제4딤플과, 다섯번째 크기의 직경을 갖는 제5딤플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딤플과 인접하는 제2딤플 사이에 상기 제3딤플이 배열되고, 상기 제3딤플 주위에 상기 제4딤플이 배열되며, 상기 제4딤플 주위에는 상기 제4딤플과 상기 제5딤플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딤플, 제3딤플, 제4딤플, 제5딤플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작아지되, 각각 상기 제1딤플의 97%, 94%, 88%, 7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딤플, 제2딤플, 제3딤플, 제4딤플, 제5딤플의 깊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딤플, 제2딤플, 제3딤플의 깊이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4딤플, 제5딤플의 깊이는 서로 동일하되, 상기 제1딤플의 9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KR20130123389A 2013-10-16 2013-10-16 골프공 Expired - Fee Related KR10143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389A KR101433537B1 (ko) 2013-10-16 2013-10-16 골프공
US14/193,021 US9533194B2 (en) 2013-10-16 2014-02-28 Golf b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389A KR101433537B1 (ko) 2013-10-16 2013-10-16 골프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537B1 true KR101433537B1 (ko) 2014-08-29

Family

ID=5175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3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3537B1 (ko) 2013-10-16 2013-10-16 골프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33194B2 (ko)
KR (1) KR101433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49B1 (ko) * 2013-04-04 2014-04-29 주식회사 볼빅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구상 다각형의 딤플 배열 구조를 갖는 골프공
USD831136S1 (en) * 2017-03-20 2018-10-16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USD831137S1 (en) * 2017-03-24 2018-10-16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059A (ko) * 1996-04-12 1997-11-07 이세권 골프공의 딤플(dimple) 배열 구조
US20020016227A1 (en) 2000-06-19 2002-02-07 Emerson Brent D. Distance golf ball - DDH steel distance
KR100506196B1 (ko) 2004-02-13 2005-08-03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
KR100725877B1 (ko) 1999-09-16 2007-06-08 캘러웨이 골프 컴파니 곡률 연속성을 갖는 골프공 딤플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0332B2 (ja) * 1988-03-03 1998-02-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2569776B2 (ja) 1988-12-02 1997-01-08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KR960016742B1 (ko) 1994-01-25 1996-12-20 일야실업 주식회사 골프공
KR970005338B1 (ko) 1994-09-06 1997-04-15 일야실업 주식회사 골프공
US5957786A (en) * 1997-09-03 1999-09-28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 pattern
US7641572B2 (en) * 1997-09-03 2010-01-05 Acushnet Company Golf ball dimples with a catenary curve profile
KR100360310B1 (ko) 2000-04-20 2002-11-13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의 딤플 배열
JP4672210B2 (ja) * 2001-08-21 2011-04-20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4506935B2 (ja) * 2003-07-07 2010-07-21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KR100759633B1 (ko) 2005-05-23 2007-09-17 주식회사 한영캉가루 골프공의 딤플 패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059A (ko) * 1996-04-12 1997-11-07 이세권 골프공의 딤플(dimple) 배열 구조
KR100725877B1 (ko) 1999-09-16 2007-06-08 캘러웨이 골프 컴파니 곡률 연속성을 갖는 골프공 딤플
US20020016227A1 (en) 2000-06-19 2002-02-07 Emerson Brent D. Distance golf ball - DDH steel distance
KR100506196B1 (ko) 2004-02-13 2005-08-03 주식회사 볼빅 골프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5181A1 (en) 2015-04-16
US9533194B2 (en)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4467B2 (ja) 管状格子パターンを有するゴルフボール
US6849007B2 (en) Dimple pattern for golf balls
KR960016742B1 (ko) 골프공
KR101550792B1 (ko) 둘레가 원호인 비원형 딤플 골프 볼
US6632150B1 (en) Golf ball having a sinusoidal surface
US7988571B2 (en) Golf ball with polygonal dimple groupings
JPH0767985A (ja) ゴルフボール
JPH0520113B2 (ko)
JP2000042138A (ja) ゴルフボール
US10258832B2 (en) Golf ball
US8632425B2 (en) Golf ball
JPH1099468A (ja) ゴルフボール
KR101197666B1 (ko) 동일 중심의 방사상 요면이 형성된 원형 딤플을 갖는 골프공
KR101433537B1 (ko) 골프공
JP4798326B2 (ja) ゴルフボール
US9776044B2 (en) Golf ball having comma-shaped dimples
US20180161631A1 (en) Golf ball aerodynamic configuration
US10150005B2 (en) Golf ball
JP4307976B2 (ja) 正弦波曲線表面を持つゴルフボール
US9873019B2 (en) Golf ball having surface divided by triangular concave sectors
KR101550402B1 (ko) 콤마 형상 딤플을 구비한 골프공
KR101567595B1 (ko) 삼각 요면 섹터들에 의해 분할된 표면을 갖는 골프공
US20230256301A1 (en) Golf balls having improved short game performance
US11058920B2 (en) Golf ball having surface divided by line segments of great circles and small circles
JPH1170186A (ja) ゴルフボ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