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9666B1 - 정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정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666B1
KR101429666B1 KR1020070062764A KR20070062764A KR101429666B1 KR 101429666 B1 KR101429666 B1 KR 101429666B1 KR 1020070062764 A KR1020070062764 A KR 1020070062764A KR 20070062764 A KR20070062764 A KR 20070062764A KR 101429666 B1 KR101429666 B1 KR 10142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ressing
pressure roller
heating roller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3828A (ko
Inventor
이재훈
김진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666B1/ko
Priority to US12/121,912 priority patent/US8014712B2/en
Publication of KR2008011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6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2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rotating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정착장치는 가열롤러와; 인쇄매체를 가열롤러에 대해 가압하도록 이동하는 제1가압롤러와; 제1가압롤러의 이동 위치에 연동하도록 제1가압롤러에 지지되며, 제1가압롤러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가열롤러에 대해 가압하도록 이동하는 제2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착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정착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착장치 100 : 지지프레임
200 : 가열롤러 300 : 제1가압롤러
400 : 제2가압롤러 500 : 탄성가압부
510 : 홀더 520 : 홀더가이드
530 : 홀더탄성부재 600 : 연동가압부
610 : 아암부재 611 : 제1홀딩부
613 : 아암부 615 : 제2홀딩부
620 : 탄성부재 P : 인쇄매체
본 발명은 분리롤러가 적용된 정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분리롤러의 가압 방향을 일정하게 하는 구조의 정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전사시킨 후, 미정착된 이러한 가시 화상을 정착장치에 의하여 인쇄매체 상에 정착시킨다. 정착장치는 가열롤러 및 이에 접하게 회전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가시 화상을 정착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열과 압력 때문에, 정착 과정에서 인쇄매체가 가열롤러에 흡착되어 말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착이 이루어진 인쇄매체를 가열롤러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롤러를 더 포함하는 정착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정착장치는 가압롤러 및 분리롤러의 가압 방향이 각기 가열롤러의 회전중심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그런데 정착장치의 구동 중에 장치의 마모 혹은 열과 압력에 의한 장치의 형상변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가열롤러의 회전중심이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분리롤러 및 가열롤러의 상호 접촉 지점이 이동하게 되고, 분리롤러의 가압 방향이 가열롤러의 회전중심을 향하지 못하며 가열롤러에 대한 분리롤러의 가압력이 변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가 가열롤러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고 흡착됨으로써, 인쇄매체의 잼(jam)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가열롤러에 대해 압력이 편중되게 가해지므로 가열롤러의 국부적 마모가 심화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한 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가열롤러가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하더라도 분리롤러가 항상 가열롤러의 회전중심을 향하도록 하는 구조의 정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는 가열롤러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열롤러에 대해 가압하도록 이동하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의 이동 위치에 연동하도록 상기 제1가압롤러에 지지되며, 상기 제1가압롤러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열롤러에 대해 가압하도록 이동하는 제2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압롤러를 상기 제1가압롤러에 대해 이격 지지하는 아암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암부재는, 상기 제1가압롤러에 지지된 제1홀딩부와; 상기 제1홀딩부로부터 연장된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롤러를 지지하는 제2홀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재는 상기 제2가압롤러가 상기 제1가압롤러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가압롤러가 상기 인쇄매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아암부재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가압롤러가 지지된 상기 아암부재 일 영역 을 가압하도록 마련된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제1가압롤러를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가열롤러를 향해 상기 홀더를 탄성 가압하는 홀더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와; 상기 상담지체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상기 인쇄매체 상의 가시 화상을 정착시키는 상기한 구조의 정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는, 가열롤러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열롤러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열롤러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와; 상기 탄성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1가압롤러에 가해진 가압력 중 일부를 상기 제2가압롤러에 전달하여 상기 제2가압롤러가 상기 인쇄매체를 가압하도록 하는 연동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동가압부는, 상기 제2가압롤러를 상기 제1가압롤러에 대해 이격 지지하는 아암부재와; 상기 제2가압롤러가 지지된 상기 아암부재 일 영역을 상기 가열롤러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아암부재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의 구성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도 1에서는 가열롤러(200)를 나타내지 않았음을 밝힌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는 인쇄매체(P) 상에 형성된 현상제의 미정착 가시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100)과, 가열롤러(200)와, 가열롤러(200) 일 영역에 대해 접촉하도록 지지프레임(10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가압롤러(300)와, 제1가압롤러(300)로부터 이격되며 가열롤러(200) 타 영역에 대해 접촉 가능하게 마련된 제2가압롤러(400)와, 가열롤러(200) 방향으로 제1가압롤러(300)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500)와, 제2가압롤러(400)의 위치가 제1가압롤러(300)의 이동 위치에 연동하도록 지지하며 제2가압롤러(400)를 가열롤러(20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연동가압부(600)를 포함한다.
가열롤러(200)는 내부에 열원(미도시)을 포함함으로써 외주면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다. 현상제에 의해 가시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P)는 그 판면이 제1가압롤러(300)에 의해 가열롤러(200)에 접한다.
제1가압롤러(300)는 가열롤러(200)에 대해 인쇄매체(P)를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제1가압롤러(300)는 가열롤러(200)와 곡면접촉하게 회전하며, 이 곡면접촉하는 영역이 정착 닙(nip)을 형성한다. 인쇄매체(P)는 가열롤러(200) 및 제1가압롤러(300) 사이, 즉 상술한 정착 닙을 통과함으로써 가시 화상의 정착이 이루어진다.
제1가압롤러(300)는 가열롤러(200)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100)에 지지된다. 이러한 제1가압롤러(300)는 탄성가압부(500)에 의 해 가열롤러(200) 방향으로 탄성 가압됨으로써, 정착 닙을 통과하는 인쇄매체(P)를 가열롤러(200)에 대해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가열롤러(200)가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하더라도 제1가압롤러(300)가 가열롤러(200)에 접촉하여 정착 닙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인쇄매체(P)가 제1가압롤러(300) 및 가열롤러(200)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인쇄매체(P)에는 열 및 압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서 인쇄매체(P)는 가열롤러(2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흡착하여 잼(jam)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정착이 이루어진 인쇄매체(P)를 가열롤러(20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제2가압롤러(400)가 마련된다.
제2가압롤러(400)는 제1가압롤러(300) 및 가열롤러(200)에 의해 정착이 이루어진 인쇄매체(P)를 가열롤러(200)에 대해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2가압롤러(400) 및 가열롤러(200) 사이는 곡면접촉함으로써 닙이 형성되는데, 상기 닙은 가열롤러(20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에 제2가압롤러(400) 및 가열롤러(200) 사이의 닙을 통과하는 인쇄매체(P)는 제2가압롤러(400) 방향으로 벤딩(bending)이 이루어지며 가열롤러(200)로부터 분리된다. 이를 위하여 제2가압롤러(400)는 가열롤러(200)에 비해 상대적 경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압롤러(400)는 그 가압되는 방향이 제2가압롤러(400)의 회전중심 및 가열롤러(200)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따른다. 또한 가열롤러(200)가 초기 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더라도, 제2가압롤러(400)는 항상 가열롤러(200) 외주 일 영역에 접촉하는 동시에, 제2가압롤러(400)의 가압 방향은 이동한 가열롤러(200)의 회 전중심 및 제2가압롤러(400)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압롤러(400)는 이를 위하여 지지프레임(100)에 대해 이동하는 제1가압롤러(300)에 지지된다. 이로써 제2가압롤러(400)의 위치는 제1가압롤러(300)의 이동 위치에 연동한다. 즉 가열롤러(200)가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하더라도 탄성가압부(500)에 의해 제1가압롤러(300)는 항상 가열롤러(200)에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제2가압롤러(400)는 제1가압롤러(300)에 지지되므로, 이러한 제1가압롤러(300)의 이동 위치 변화에 따라서 제2가압롤러(400)는 그 위치가 변화하며, 그 가압방향이 계속 가열롤러(200) 회전중심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탄성가압부(500)는 제1가압롤러(300)를 가열롤러(20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제1가압롤러(300)가 인쇄매체(P)를 가열롤러(200)에 대해 가압하도록 한다. 탄성가압부(500)는 제1가압롤러(300) 단부를 지지하는 홀더(510)와, 지지프레임(100)에 마련되며 홀더(510)가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홀더가이드(520)와, 홀더가이드(520)에 수용되며 홀더(510)를 탄성 가압하는 홀더탄성부재(530)를 포함한다.
홀더(510)는 홀더가이드(520)에 수용되며, 홀더가이드(520)를 안내되어 지지프레임(100)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다. 홀더(510)는 제1가압롤러(300)가 가열롤러(200)에 대해 곡면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제1가압롤러(300) 단부를 지지한다. 홀더(510)는 홀더탄성부재(530)에 의해 탄성 가압되며, 가열롤러(200)가 초기 위치를 이탈하더라도 상기 탄성 가압력에 의해 홀더가이드(520)를 이동한다. 이에 제1가압 롤러(300)는 가열롤러(200)와의 사이에 정착 닙을 항상 형성할 수 있다.
홀더가이드(520)는 지지프레임(100)에 마련되며 홀더(510) 및 홀더탄성부재(530)를 수용한다. 홀더가이드(520)는 가열롤러(20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홀더탄성부재(530)는 홀더가이드(520)의 연장 영역 중 가열롤러(2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단부와, 홀더(510) 사이에 개재된다. 홀더탄성부재(530)는 코일스프링 혹은 판스프링 등과 같은 기술이 적용되며, 홀더(510)를 가열롤러(20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이에 제1가압롤러(300)가 인쇄매체(P)를 가열롤러(200)에 대해 가압하도록 하며, 인쇄매체(P)가 제1가압롤러(300) 및 가열롤러(200) 사이를 통과할 때, 인쇄매체(P)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1가압롤러(300)를 미세 간격 이동시킬 수 있다. 혹은 가열롤러(200)가 초기 위치를 이탈하더라도 그에 따라서 홀더(510)를 가열롤러(200)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가압롤러(300) 및 가열롤러(200) 사이에 정착 닙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연동가압부(600)는 제1가압롤러(300)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제2가압롤러(400)의 위치가 이동하여, 제2가압롤러(400)의 가압 방향이 항상 일정하도록 한다. 연동가압부(600)는 탄성가압부(500)에 의해 제1가압롤러(300)에 가해진 가압력 중 일부를 제2가압롤러(400)에 전달하여, 제2가압롤러(400)가 가열롤러(200)에 대해 인쇄매체(P)를 가압하도록 한다. 즉 연동가압부(600)는 탄성가압부(500)가 제1가압롤러(300) 및 제2가압롤러(400)의 위치 이동에 모두 기여하도록 한다.
연동가압부(600)는 제1가압롤러(300)에 대해 제2가압롤러(400)를 지지하는 아암부재(610)와, 아암부재(610)에 설치되며 제2가압롤러(400)가 가열롤러(200)를 향해 가압되도록 아암부재(610) 일 영역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620)를 포함한다.
아암부재(610)는 제2가압롤러(400)가 제1가압롤러(300)로부터 이격되게, 제1가압롤러(300)에 대해 제2가압롤러(400)를 지지한다. 이에 탄성가압부(500)에 의한 가압력은 제1가압롤러(300) 뿐 아니라 제2가압롤러(400)까지 이동시킨다.
아암부재(610)는 제1가압롤러(300) 단부에 지지된 제1홀딩부(611)와, 제1가압롤러(300)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제1홀딩부(611)로부터 연장된 막대 형상의 아암부(613)와, 아암부(613) 단부에 형성되며 제2가압롤러(400)를 지지하는 제2홀딩부(6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홀딩부(611) 및 제2홀딩부(615)는 각각 제1가압롤러(300) 및 제2가압롤러(400)의 회전중심을 지지함으로써, 제1가압롤러(300) 및 제2가압롤러(400)가 가열롤러(200)에 대해 각각 곡면접촉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암부재(610)는 제1홀딩부(611)를 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즉 제2홀딩부(615)는 제1홀딩부(61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아암부(613)의 연장 길이만큼의 직경을 가지고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홀딩부(615)의 회동 방향은 가열롤러(200)의 회전중심을 향한다.
탄성부재(620)는 제2가압롤러(400)가 가열롤러(200)의 회전중심을 향해 가압되도록 아암부재(610) 일 영역을 탄성 가압한다. 즉 탄성부재(620)는 제2홀딩부(615)가 가열롤러(200)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회동하도록 제2홀딩부(615)를 가압 한다.
탄성부재(620)는 와이어(wire)로 형성된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부재(620)는 일단부가 지지프레임(100)에 지지되며, 중앙 영역은 제1홀딩부(611)에 권취되고, 타단부가 제2홀딩부(615)를 가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탄성부재(620)는 지지프레임(100)에 지지된 일단부 및 제1홀딩부(611)에 권취된 중앙 영역에 대하여, 제2홀딩부(615)를 가압하기 위한 타단부가 탄성력을 형성함으로써, 제2홀딩부(615)를 가열롤러(200) 방향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00)에 지지된 탄성부재(620)의 일단부는 제1가압롤러(300)의 이동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 구간 지지프레임(100)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620)의 상술한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620)는 제1홀딩부(611) 내측에 설치되어 아암부재(610)가 탄성적으로 회동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다만 탄성부재(620)는 탄성가압부(500)에 의한 제1가압롤러(300)의 가압에 대해 상호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의 작동 과정에 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현상제에 의한 미정착 가시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P)는 가열롤러(200) 및 제1가압롤러(300) 사이의 정착 닙으로 진입한다. 정착 닙에서는 열과 압력이 작용하여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P) 상에 정착시킨다. 가시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 는 가열롤러(200)에 흡착되어 이동한다.
제2가압롤러(400)는 이렇게 가열롤러(200) 및 제1가압롤러(300) 사이를 통과한 인쇄매체(P)를 가열롤러(200)에 대해 가압한다. 제2가압롤러(400)는 가열롤러(200)에 비해 상대적 경도가 높으므로, 인쇄매체(P)는 제2가압롤러(400) 및 가열롤러(200)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제2가압롤러(400) 방향으로 벤딩이 발생한다. 이에 인쇄매체(P)는 제2가압롤러(400)에 의해 가열롤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가압롤러(400)가 가열롤러(200)로부터 인쇄매체(P)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그 가압방향이 제2가압롤러(400)의 회전중심 및 가열롤러(200)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정착장치(10) 작동 중 가열롤러(20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있다. 도 3은 가열롤러(200)의 이러한 위치 이동에 대응한 제1가압롤러(300) 및 제2가압롤러(400)의 작동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점 H, P1 및 P2는 각각 가열롤러(200), 제1가압롤러(300) 및 제2가압롤러(400)의 회전중심의 초기 위치이다.
제1가압롤러(300)는 홀더탄성부재(530)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홀더(510)에 지지됨으로써 가열롤러(200)를 가압한다. L1은 점 P1 및 H를 연결한 직선, 즉 제1가압롤러(300)의 회전중심 및 가열롤러(200)의 회전중심을 연결한 직선이다. 이에 제1가압롤러(300)는 직선 L1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L2는 점 P2 및 H를 연결한 직선, 즉 제2가압롤러(400)의 회전중심 및 가열롤러(200)의 회전중심을 연결한 직선이다. 탄성부재(620)는 제2홀딩부(615)를 탄성 가압함에 있어서, 그 가압 방향이 직선 L2를 따르도록 마련된다.
L3는 점 P1 및 P2를 연결한 선분, 즉 제1가압롤러(300)의 회전중심 및 제2가압롤러(400)의 회전중심을 연결한 선분이다. 제2가압롤러(400)는 아암부재(610)에 의해 제1가압롤러(300)에 지지되므로, 선분 L3의 거리는 아암부재(610)에 의한 제1가압롤러(300) 및 제2가압롤러(4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가열롤러(200)가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가열롤러(200)의 회전중심은 점 H에서 H'로 이동한다.
이에 홀더탄성부재(530)는 홀더(510)를 가열롤러(20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제1가압롤러(300)의 회전중심은 점 P1으로부터 P1'으로 이동한다. 점 P1'은 직선 L1 상에서 점 P1 및 H 사이에 있는 어느 한 위치이다.
제1가압롤러(300)의 회전중심이 이동함에 따라서 제2가압롤러(400)의 회전중심 또한 홀더탄성부재(530)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 직선 L1에 평행하게 이동한다. 그런데 탄성부재(620)는 제2가압롤러(400)의 회전중심이 제1가압롤러(30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가열롤러(200)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홀더탄성부재(530) 및 탄성부재(620)의 탄성력이 함께 작용함으로써, 제2가압롤러(400)의 회전중심은 점 P2에서 P2'로 이동한다.
여기서 점 P1' 및 P2'를 연결한 선분을 L3'라고 하면, 선분 L3 및 L3'의 길이는 동일하다. 그리고 점 H' 및 P2'를 연결한 직선을 L2'라고 하면, 제2가압롤러(400)는 직선 L2'를 따른 방향으로 가열롤러(200)에 대해 가압된다.
이로써 가열롤러(200)가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하더라도 제2가압롤러(400)의 가압 방향이 항상 가열롤러(200)의 회전중심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케이싱(20)과, 인쇄매체(P)가 적재 및 공급되는 매체공급장치(30)와, 정전잠상 및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상담지체(40)와, 상담지체(40)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50)와, 상담지체(40)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장치(60)와, 상담지체(40)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전사하는 전사장치(70)와, 전사된 미정착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P)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80)를 포함한다.
상담지체(40)는 인쇄매체(P) 상에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 개, 예를 들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색상에 해당하는 네 개의 개체가 인쇄매체(P)의 이송경로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담지체(40)는 외주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후, 광주사장치(50)으로부터의 빔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담지체(40)에 현상장치(60)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면, 상담지체(40)에는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이 형성된다.
광주사장치(50)은 복수 상담지체(40) 각각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한다. 광주사장치(50)은 최종 형성하고자 하는 컬러 화상의 이미지 정보를 색상별로 분리하여, 이에 기초하여 각 상담지체(40)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장치(60)는 각 현상제 색상별로 마련된 복수의 상담지체(40)에 대응하게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각 상담지체(40) 상에는 상이한 색상의 가시 화상이 형성된다.
전사장치(70)은 인쇄매체(P)를 이송하여 복수의 상담지체(40)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며, 각 상담지체(40)의 가시 화상이 인쇄매체(P) 상에 중첩 전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전사장치은 각 상담지체(40)에 마주하게 배치된 전사백업벨트(71) 및 전사롤러(73)를 포함한다. 인쇄매체(P)는 전사백업벨트(71)를 따라 이송되며, 전사롤러(73)에 인가된 전사 바이어스에 의하여 상담지체(40)의 가시 화상이 인쇄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정착장치(80)는 전사장치(70)에서 가시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가시 화상을 정착시킨다. 정착장치(8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장치(10)의 구성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롤러가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하더라도 제2가압롤러의 가압 방향 및 가압력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인쇄매체에 대한 가시 화상의 정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롤러 등의 국부적 마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장치의 수명을 늘리고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인쇄매체가 가열롤러에 흡착하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인쇄매체의 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착장치를 화상형성장치에 적용함에 의해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인쇄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장치에 있어서,
    가열롤러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열롤러에 대해 가압하도록 이동하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의 이동 위치에 연동하도록 상기 제1가압롤러에 지지되며, 상기 제1가압롤러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열롤러에 대해 가압하도록 이동하는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1가압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제1가압롤러가 상기 가열롤러를 향해 가압되도록 제1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홀더와;
    상기 제1가압롤러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홀딩부와, 상기 제2가압롤러를 지지하는 제2홀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가압롤러가 상기 가열롤러를 향해 가압되도록 제2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아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2홀딩부가 상기 제1홀딩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열롤러의 회전중심을 향해 회동하도록 상기 제2홀딩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는, 상기 제1홀딩부로부터 연장된 아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는 상기 제2가압롤러가 상기 제1가압롤러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홀딩부에 권취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홀딩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장치.
  6. 삭제
  7.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와;
    상기 상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와;
    상기 상담지체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 상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상기 인쇄매체 상의 가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070062764A 2007-06-26 2007-06-26 정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2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764A KR101429666B1 (ko) 2007-06-26 2007-06-26 정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12/121,912 US8014712B2 (en) 2007-06-26 2008-05-16 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764A KR101429666B1 (ko) 2007-06-26 2007-06-26 정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828A KR20080113828A (ko) 2008-12-31
KR101429666B1 true KR101429666B1 (ko) 2014-08-13

Family

ID=4016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76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9666B1 (ko) 2007-06-26 2007-06-26 정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14712B2 (ko)
KR (1) KR101429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85781B1 (en) * 2005-11-14 2018-11-28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ixing apparatus
JP5063385B2 (ja) * 2008-01-23 201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塗布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173245B2 (ja) * 2014-03-20 2017-08-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ローラー支持機構、ローラーユニット、定着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5777A (ja) * 1986-09-30 1988-04-16 Mita Ind Co Ltd 定着装置
KR20070010786A (ko) * 2005-07-20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9368A (ja) * 2001-02-06 2002-08-14 Sharp Corp 定着装置
US7107001B2 (en) * 2004-03-29 2006-09-12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apparatus with controlled heating members for hea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rotating member
KR100580222B1 (ko) * 2005-05-12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574574B2 (ja) * 2006-03-15 2010-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定着装置、定着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5777A (ja) * 1986-09-30 1988-04-16 Mita Ind Co Ltd 定着装置
KR20070010786A (ko) * 2005-07-20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착기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828A (ko) 2008-12-31
US8014712B2 (en) 2011-09-06
US20090003901A1 (en) 200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1448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nip pad including a center bend line
US10095164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20070059060A1 (en) Image heating apparatus
US8838002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JP5645013B2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630652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429666B1 (ko) 정착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N102033477A (zh) 分离单元、定影单元和图像形成装置
US6282398B1 (en) Fixing apparatus
US939567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transport device
US9020410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CN110209030A (zh) 定影装置和图像形成装置
US10289038B2 (en) Fixing device having a separating member that separates a recording material from a cylindrical film
CN106569398B (zh) 定影装置
KR100744679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112851B2 (ja) 転写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484179B1 (ko) 정착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US10061244B2 (en) Guide bushing disposed at an end of a nip forming member to support an end of a fixing belt
JP5533423B2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06288B2 (ja) 画像形成装置
CN114594666A (zh) 处理单元以及图像形成装置
JP2002193471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506998B2 (en) Transfer device having meandering prevention member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6126190A (ja) 定着装置
US20210311422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6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6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