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634B1 -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 Google Patents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9634B1 KR101429634B1 KR1020120052795A KR20120052795A KR101429634B1 KR 101429634 B1 KR101429634 B1 KR 101429634B1 KR 1020120052795 A KR1020120052795 A KR 1020120052795A KR 20120052795 A KR20120052795 A KR 20120052795A KR 101429634 B1 KR101429634 B1 KR 101429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grouting
- spiral
- ground
- w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66 inser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은, 천공 관입 설치가 가능하도록 선단부가 뾰족하며, 원통형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강관파일과, 상기 강관파일의 하단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지반을 교란시키면서 상기 강관파일을 관입시키는 나선날개와, 상기 강관파일의 외주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나선날개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말단의 바로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날개의 회전 경로를 따라 교란된 지반의 공극 부분에 그라우팅을 분출하는 제1 그라우팅 분출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의 나선날개의 다른 형태를 보인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조에 일정 규격 이상의 파일체 형성 내지 강관 케이싱의 삽입을 위한 케이싱 확공부가 형성된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조에 강관 케이싱이 삽입된 형태의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조에 보강재인 강봉이 삽입된 형태의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에 의한 연약지반 의 보강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구조에 관입된 강관파일 주변의 그라우팅을 위한 제1 주입부 확공부가 더 형성된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케이싱 확공부의 다른 예이다.
도 9는 도 1의 나선형 강관파일을 이용한 시공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나선형 강관파일을 이용한 시공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나선형 강관파일을 이용한 시공순서도이다.
11, 21 : 강관파일 12, 22 : 나선날개
13, 23 : 제1 그라우팅 분출구 14 : 제1 주입부 확공부
14a : 시단측 14b : 말단측
15a, 15b : 그라우팅 충진 31, 81 : 케이싱 확공부
41 : 강관 케이싱 51 : 강봉
61 : 지반 71 : 제2 그라우팅 분출구
72 : 제2 주입부 확공부 82 : 안착부
91 : 기초 콘크리트
Claims (7)
- 천공 관입 설치가 가능하도록 선단부가 뾰족하며, 원통형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강관파일과,
상기 강관파일의 하단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회전에 의해 지반을 교란시키면서 상기 강관파일을 회전 관입시키는 하나 이상의 나선날개와,
상기 강관파일의 외주면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나선날개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나선날개 말단의 바로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날개의 회전 경로를 따라 교란된 지반의 공극 부분에 그라우팅을 분출 및 충진하는 제1 그라우팅 분출구와,
상기 나선날개 말단의 상하에는 상기 나선날개의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시단측에서 말단측으로 갈수록 일정한 경사진 형태의 제1 주입부 확공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파일의 외주면의 양측에는 최상단에 형성된 상기 나선날개의 상측으로 상기 나선날개에 의해 교란된 지반의 보강을 위한 지반 확공용 날개판인 케이싱 확공부가 더 형성되는,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날개의 상측으로 상기 강관파일의 외주면에 지반 확공용 날개판의 형태인 케이싱 확공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확공부에 의해 확공된 영역에 강관 케이싱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파일의 내경측으로는 지반 기초 보강용의 강봉이 삽입되는,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입부 확공부는 상기 나선날개의 말단에는 일면이 상기 나선날개와 접하고 다른 일면이 상기 강관파일의 외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1 주입부 확공부는 삼각뿔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나선날개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시단측은 꼭지점이 되고, 말단측은 삼각형면이 되는,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날개가 형성된 상부측 상기 강관파일의 일측에는 제2 그라우팅 분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그라우팅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그라우팅재의 주입을위한 지반의 확공을 담당하는 제2 주입부 확공부가 더 형성되는,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2795A KR101429634B1 (ko) | 2012-05-18 | 2012-05-18 |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2795A KR101429634B1 (ko) | 2012-05-18 | 2012-05-18 |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8778A KR20130128778A (ko) | 2013-11-27 |
KR101429634B1 true KR101429634B1 (ko) | 2014-08-14 |
Family
ID=4985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27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9634B1 (ko) | 2012-05-18 | 2012-05-18 |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96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8209B1 (ko) * | 2020-05-25 | 2021-08-10 | 지피이엔씨(주) | 복합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 방법, 이에 의해 시공된 복합 파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84139A (zh) * | 2019-12-12 | 2020-04-10 |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连云港供电分公司 | 一种注浆式钢管螺旋桩及其施工方法 |
KR102270977B1 (ko) | 2019-12-17 | 2021-06-30 | 주식회사 비케이에너지 | 태양광발전장치의 연약지반용 프레임조립체 |
CN112921951A (zh) * | 2021-01-15 | 2021-06-08 | 山东大学 | 一种分段注浆的囊式螺旋桩及其施工方法 |
CN114032884B (zh) * | 2021-11-10 | 2022-09-16 | 江苏建院营造股份有限公司 | 一种稳定高承载可回收旋拧螺纹扩大体钢桩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96439A (ja) * | 1996-05-01 | 1997-11-18 | Mitsubishi Constr Co Ltd | 地盤改良装置 |
KR100708825B1 (ko) * | 2005-11-08 | 2007-04-18 |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 굴착날개를 구비하는 강관파일 |
KR100795850B1 (ko) * | 2007-04-16 | 2008-01-21 | 주식회사 오륙개발 | 앵커ㆍ네일용 확공장치 |
KR20080067732A (ko) * | 2007-01-17 | 2008-07-22 | 박재만 | 지반보강공법 |
-
2012
- 2012-05-18 KR KR1020120052795A patent/KR10142963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96439A (ja) * | 1996-05-01 | 1997-11-18 | Mitsubishi Constr Co Ltd | 地盤改良装置 |
KR100708825B1 (ko) * | 2005-11-08 | 2007-04-18 |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 굴착날개를 구비하는 강관파일 |
KR20080067732A (ko) * | 2007-01-17 | 2008-07-22 | 박재만 | 지반보강공법 |
KR100795850B1 (ko) * | 2007-04-16 | 2008-01-21 | 주식회사 오륙개발 | 앵커ㆍ네일용 확공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8209B1 (ko) * | 2020-05-25 | 2021-08-10 | 지피이엔씨(주) | 복합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 방법, 이에 의해 시공된 복합 파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8778A (ko) | 2013-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9634B1 (ko) | 그라우팅 보강 나선형 강관파일 | |
KR101441929B1 (ko) | 복합 파일을 형성하는 기초 공법 | |
JP4099199B2 (ja) | 先端開放型既製杭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掘削ヘッド | |
KR20160025180A (ko) |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 |
JP5062442B2 (ja) | 砂杭造成装置 | |
CN103061341A (zh) | 中掘沉桩施工方法 | |
KR102029424B1 (ko) | 고결된 연약지반 표층의 천공 및 하부 연약지반의 교반이 동시에 가능한 연약지반용 원위치 지반교반 장치 | |
KR101500087B1 (ko) | 기존 건물과 일체 거동을 위한 기초슬래브의 보강 공법 및 보강 구조 | |
KR101416869B1 (ko) | 복합 파일 형성용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공법 | |
KR101950192B1 (ko) | 상부 및 하부 토출 기능을 갖는 심층혼합처리장비 및 공법 | |
KR101785476B1 (ko) | 삼중관 구조 더블 오거 방식의 지반 개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 지반 개량 공법 | |
KR101861120B1 (ko) | 기초보강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기초보강방법 | |
KR20150079070A (ko) | 지반보강공법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반보강장치 | |
JP4697814B2 (ja) | 地盤改良装置及び地盤改良工法 | |
KR102314261B1 (ko) | 가변형 회전 날개가 구비된 그라우팅 주입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지반침하 방지용 그라우팅 충전공법 | |
KR101031603B1 (ko) | 연약지반 개량용 천공로드의 배출방법 및 장치 | |
JP2017155414A (ja) | アースアンカーの定着方法 | |
JP5414838B2 (ja) | 鋼管杭、複合杭及び複合杭の製造方法 | |
KR101254189B1 (ko) | 지향성 그라우팅 공법 및 장치 | |
JP2008075336A (ja) | 既製杭の施工方法 | |
JP3748024B2 (ja) | 合成鋼管杭の排土低減施工方法 | |
KR101166873B1 (ko) | 두부 케이싱에 의한 강제 비배토 지반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지반보강방법 | |
KR20150131995A (ko) | 선단 확장형 말뚝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865075B1 (ko) | 마이크로 파일의 파형 그라우팅 구근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 | |
KR101733558B1 (ko) | 천공홀 확공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