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8932B1 -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932B1
KR101428932B1 KR1020130077166A KR20130077166A KR101428932B1 KR 101428932 B1 KR101428932 B1 KR 101428932B1 KR 1020130077166 A KR1020130077166 A KR 1020130077166A KR 20130077166 A KR20130077166 A KR 20130077166A KR 101428932 B1 KR101428932 B1 KR 10142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fastening body
vent body
fastening
c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성수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07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9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6Axle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액슬 하우징에 장착되는 체결 바디; 일단부가 상기 체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벤트 바디; 상기 체결 바디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캡; 상기 캡에 수용되어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벤트 바디를 통하여 유증기의 열은 배출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은 차단하는 고어텍스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유증기의 직접적인 배출은 막고 열기만 배출시키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VENT PLUG OF REAR AX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증기의 직접적인 배출은 막고 열기만 배출시키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승용차의 리어 액슬에는 체크 밸브 방식으로 작동되는 벤트 플러그가 장착된다.
이러한 벤트 플러그는 내부 압력으로 인하여 스프링에 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개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벤트 플러그는 밸브가 오픈될 경우, 유증기 또한 동시에 배출됨으로써 리어 액슬의 케이스에 유증기가 묻게 되므로, 정비 과정에서 누유로 인한 결함이라고 오인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증기의 직접적인 배출은 막고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은 차단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1207호 일본공개특허 특개2012-2651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증기의 직접적인 배출은 막고 열기만 배출시키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액슬 하우징에 장착되는 체결 바디; 일단부가 상기 체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벤트 바디; 상기 체결 바디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캡; 상기 캡에 수용되어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벤트 바디를 통하여 유증기의 열은 배출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은 차단하는 고어텍스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액슬의 벤트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과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 사이에는 고무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어텍스 막은 단면이 상기 스프링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벤트 바디와 상기 체결 바디는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연통되는 연통홀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캡의 가장자리는 상기 체결 바디에 코킹 처리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벤트 바디는, 상기 체결 바디와 결합되는 상기 일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착 리브를 형성하는 제1 머리부와, 상기 스프링과 접촉되는 상기 타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머리부까지 연결되는 연통홀이 중심부에 관통되는 제2 머리부와, 상기 제2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머리부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머리부로부터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기 연통홀이 관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와 상기 체결 바디가 밀착되는 상호 연결 부위에는 링 형상의 씰링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머리부와 상기 체결 바디가 밀착되는 상호 연결 부위에는 링 형상의 씰링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벤트 바디의 타단부에 구비된 고어텍스 막에 의하여 밸브가 개방되더라도 유증기의 직접적인 배출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은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증기가 직접 배출됨으로 인하여 차량용 리어 액슬의 케이스에 묻은 유증기로 인하여 누유로 오인하여 불필요한 정비를 수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바디(100)와 벤트 바디(200)와 캡(300)과 스프링(400)과 고어텍스 막(5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체결 바디(100)는 차량용 리어 액슬 하우징(700)에 장착되는 것이다.
벤트 바디(200)는 일단부가 체결 바디(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캡(300)은 체결 바디(100)와 고정 결합되며, 벤트 바디(200)의 타단부를 수용하면서 벤트 바디(200)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공간부(301)를 형성하는 것이다.
스프링(400)은 캡(300)에 수용되어 벤트 바디(200)의 타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이다.
고어텍스 막(500)은 벤트 바디(200)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벤트 바디(200)를 통하여 유증기의 열은 배출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은 차단하는 것으로, 내열성과 내유성 및 내충격성이 강한 섬유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차량용 리어 액슬 하우징(700)의 내부 압력으로 인하여 스프링(400)에 압력이 걸려 밸브가 개방되면 벤트 바디(200)는 유증기의 열만 배출하고 유증기는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외부로부터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누유로 오인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정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스프링(400)과 벤트 바디(200)의 타단부 사이에는 벤트 바디(200)에 스프링(400)의 압력 변화에 따른 탄성 변형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 분산시킬 수 있도록 고무 플레이트(60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어텍스 막(500)은 단면이 스프링(400)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이 되도록 하여 차량용 리어 액슬 하우징(700)의 내부 압력이 스프링(400)측으로 향하는 것에 대하여 대응하고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벤트 바디(200)와 체결 바디(100)는 유증기의 열 배출을 위하여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연통되는 연통홀(h)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캡(300)의 가장자리는 체결 바디(100)를 통한 내부 압력에 견딜 수 있으면서도 견고한 체결력 유지를 위하여 체결 바디(100)에 코킹부(302)를 형성하고 코킹 처리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벤트 바디(200)는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머리부(210)와 제2 머리부(220)가 연결부(230)로 상호 연결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머리부(210)는 체결 바디(100)와 결합되는 일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착 리브(211)를 형성하는 것이다.
제2 머리부(220)는 스프링(400)과 접촉되는 타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1 머리부(210)까지 연결되는 연통홀(h)이 중심부에 관통되는 것이다.
제2 머리부(220)에 고무 플레이트(600)가 안착되어 스프링(400)의 단부를 지지한다.
연결부(230)는 제2 머리부(220)로부터 연장되어 제1 머리부(210)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제2 머리부(220)로부터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며 중심부에 연통홀(h)이 관통되는 것이다.
연결부(230)의 점차 넓어지는 형상은 차량용 리어 액슬 하우징(700)의 내부 압력이 스프링(400)측으로 향하는 것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벤트 바디(200)의 타단부와 체결 바디(100)가 밀착되는 상호 연결 부위에는 기밀 유지를 위하여 링 형상의 씰링 부재(8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씰링 부재(800)는 제2 머리부(220)와 체결 바디(100)가 밀착되는 상호 연결 부위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유증기의 직접적인 배출은 막고 열기만 배출시키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체결 바디
200...벤트 바디
210...제1 머리부
211...밀착 리브
220...제2 머리부
230...연결부
300...캡
301...공간부
302...코킹부
400...스프링
500...고어텍스 막
600...고무 플레이트
700...차량용 리어 액슬 하우징
800...씰링 부재
h...연통홀

Claims (8)

  1. 차량용 리어 액슬 하우징에 장착되는 체결 바디;
    일단부가 상기 체결 바디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벤트 바디;
    상기 체결 바디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캡;
    상기 캡에 수용되어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벤트 바디를 통하여 유증기를 배출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유입은 차단하는 고어텍스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액슬의 벤트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과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 사이에는 고무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액슬의 벤트 플러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어텍스 막은 단면이 상기 스프링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액슬의 벤트 플러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 바디와 상기 체결 바디는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상호 연통되는 연통홀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액슬의 벤트 플러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의 가장자리는 상기 체결 바디에 코킹 처리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액슬의 벤트 플러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 바디는,
    상기 체결 바디와 결합되는 상기 일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착 리브를 형성하는 제1 머리부와,
    상기 스프링과 접촉되는 상기 타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머리부까지 연결되는 연통홀이 중심부에 관통되는 제2 머리부와,
    상기 제2 머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머리부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머리부로부터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기 연통홀이 관통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액슬의 벤트 플러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벤트 바디의 타단부와 상기 체결 바디가 밀착되는 상호 연결 부위에는 링 형상의 씰링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액슬의 벤트 플러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머리부와 상기 체결 바디가 밀착되는 상호 연결 부위에는 링 형상의 씰링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 액슬의 벤트 플러그.
KR1020130077166A 2013-07-02 2013-07-02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 Active KR10142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166A KR101428932B1 (ko) 2013-07-02 2013-07-02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166A KR101428932B1 (ko) 2013-07-02 2013-07-02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932B1 true KR101428932B1 (ko) 2014-08-11

Family

ID=5175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166A Active KR101428932B1 (ko) 2013-07-02 2013-07-02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9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139A (ko) * 1996-06-04 1998-03-30 김영귀 트랜스 액슬용 에어 호흡장치
KR19990061284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
JP2005226803A (ja) 2004-02-16 2005-08-25 Toyota Motor Corp ブリーザ装置
KR20130061787A (ko) * 2011-12-02 2013-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브리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139A (ko) * 1996-06-04 1998-03-30 김영귀 트랜스 액슬용 에어 호흡장치
KR19990061284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
JP2005226803A (ja) 2004-02-16 2005-08-25 Toyota Motor Corp ブリーザ装置
KR20130061787A (ko) * 2011-12-02 2013-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브리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2953B2 (ja) タイヤバルブユニット
JP2017538125A (ja) センサ装置、特に自動車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センサ装置
KR20190100281A (ko) 밸브
JP6203205B2 (ja) 弁装置
CN109664750B (zh) 燃料箱用阀装置
CN115823306A (zh) 用于压力控制阀的交换膜
US8945742B2 (en) Valve plug
JP2017096309A (ja) チェックバルブ
US20210302005A1 (en) Air permeable cap for vehicle
US20060225785A1 (en) Sealing structure of float valve
KR101428932B1 (ko) 차량용 리어 액슬의 벤트 플러그
JP2010242823A (ja) 密封装置
CN110770453B (zh) 蓄能器
TWI722272B (zh) 切換閥
KR102189371B1 (ko) 밸브
US10794447B2 (en) Bump stopper and shock absorber
KR20100025398A (ko) 라디에이터 캡
CN105551887B (zh) 起动机的电磁开关以及起动机
WO2020129367A1 (ja) 液封ブッシュ
KR101063384B1 (ko) 티피엠에스용 센서 유닛
CN106687699B (zh) 密封构造及控制线缆单元
JP6577835B2 (ja) 防振装置
KR20080016084A (ko) 오일압력 스위치구조
CN209014188U (zh) 压力传感器组件
JP3204289U (ja)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