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7470B1 -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470B1
KR101427470B1 KR1020120096261A KR20120096261A KR101427470B1 KR 101427470 B1 KR101427470 B1 KR 101427470B1 KR 1020120096261 A KR1020120096261 A KR 1020120096261A KR 20120096261 A KR20120096261 A KR 20120096261A KR 101427470 B1 KR101427470 B1 KR 101427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eparating
wrapping paper
sheet
wrap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900A (ko
Inventor
안병준
Original Assignee
안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준 filed Critical 안병준
Priority to KR102012009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4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4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44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the portion of the wall being a narrow strip, e.g. between lines of wea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김밥에 사용되는 밥과 김을 분리시키는 분리시트와, 상기 김을 보호하기 위한 겉포장지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시트의 일 측에는 분리시트를 밥으로부터 분리하여 빼내기 위한 접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겉포장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가 떨어지게 하기 위한 개봉선이 형성됨과 아울러 겉포장지를 개봉하기 위한 다수의 절단선을 형성하여 취식자가 용이하게 포장을 개봉할 수 있게 구성되는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WRAPPER FOR RICE COVERED LA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김밥에 사용되는 밥과 김을 분리시키는 분리시트와, 상기 김을 보호하기 위한 겉포장지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시트의 일 측에는 분리시트를 밥으로부터 분리하여 빼내기 위한 접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겉포장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가 떨어지게 하기 위한 개봉선이 형성됨과 아울러 겉포장지를 개봉하기 위한 다수의 절단선을 형성하여 취식자가 용이하게 포장을 개봉할 수 있게 구성되는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밥은 김밥 전문점 등에서는 판매자가 원기둥 형상으로 말린 김밥을 미리 만들어 놓거나 즉석에서 만들어 판매를 하고 있으며, 구매자가 매장 내에서 취식을 하지 않고 포장을 원할 경우에는 별도의 포장지를 이용해 포장을 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와 같은 김밥 전문점 외에 편의점에서도 최근 포장 김밥이 판매되고 있는데, 편의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포장김밥은 미리 만들어진 김밥을 다양한 포장지로 감싼 후 스티커 등으로 부착 고정시킨 후,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 김밥은 시트 형상의 김에 밥을 놓고 말아 놓은 것이어서, 일정시간이 지나면 김이 눅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김과 밥이 접촉되어 있어 김에 습기가 전해져 건조상태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포장 김밥은 포장을 벗겨 취식하고자 하는 경우 김밥을 직접 손으로 잡아야 했기 때문에 비위생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손에 기름 등이 묻어 더렵혀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김이 눅눅해지는 점을 방지하기 위해 김과 밥 사이에 별도의 내부필름을 추가하여 김과 밥을 분리시켜 포장되도록 김밥 포장지도 있으나 이는 김밥의 포장을 벗겨내어 취식하고자 하는 경우 김밥이 손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없고 그 개봉 작업도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중앙에 절개선이 형성되며, 외부필름과 내부필름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김이 삽입된 포장시트의 내부필름 상측에 양념된 주먹밥을 올려 놓은 후, 정해진 순서에 따라 포장시트를 접고나서 접혀진 마무리 부위에 스티커를 붙여서 밀봉하여 포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포장된 즉석 김밥은 포장된 포장시트의 양측을 잡아 당겨서 포장 시트만을 벗겨 낸 다음 김에 쌓여진 주먹밥을 먹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즉석 김밥은 포장시트를 벗겨내면 주먹밥에 싸여진 김의 일부가 벗겨내는 포장시트를 따라 딸려나오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포장시트를 한번에 벗겨내지 못하고 김이 딸려나오지 않도록 포장시트를 살살 잡아당겨서 벗겨내야 하거나 포장시트를 벗겨 낸 후, 소비자가 다시 김을 주먹밥에 싸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김을 완벽하게 밀봉시킴으로써 제품의 유통기간을 연장시키고 김의 눅눅해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밥맛의 변질을 방지하면서 취식자가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는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김밥에 사용되는 밥과 김을 분리시키는 분리시트와, 상기 김을 보호하기 위한 겉포장지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시트의 일 측에는 분리시트를 밥으로부터 분리하여 빼내기 위한 접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겉포장지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가 떨어지게 하기 위한 개봉선이 형성됨과 아울러 겉포장지를 개봉하기 위한 다수의 절단선을 형성하여 취식자가 용이하게 포장을 개봉할 수 있게 구성되는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김밥 포장지의 내부에 배치된 김을 외부 공기로부터 완전밀봉시킴으로써 제품의 유통기한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김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취식자는 손쉽게 김밥 포장지를 분리할 수 있으면서 밥에 김이 말려진 상태로 포장되므로 포장시트를 벗겨낼시 밥에 김이 딸려오는 불편함이 없이 간편하게 포장시트를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김밥 포장지의 일 실시예의 전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김밥 포장지를 이용하여 밥을 싸는 과정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의 (a)(b)(c)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김밥에 사용되는 주먹밥(10)과 김(13)을 분리시키는 분리시트(11)와, 상기 김(13)을 보호하기 위한 겉포장지(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시트(11)의 일 측에는 분리시트(11)를 주먹밥(10)으로부터 분리하여 빼내기 위한 접이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접이부(12)를 갖는 분리시트(11)는 김(13)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한편, 겉포장지(14)에는 상기 분리시트(11)의 접이부(12)와 일체로 밀착되는 접이부(15)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접이부(15)를 분리시키기 위한 개봉선(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겉포장지(14)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선(18,19,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겉포장지(14)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절단선(18,19,20)은 취식자가 용이하게 포장을 개봉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겉포장지(14)를 개봉하기 위한 절단선(18,19,20)을 겉포장지(14) 위에 개봉선(17)에 수직되게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상호 평행되게 형성하여 취식자가 용이하게 포장을 개봉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도 1과 같이 주먹밥(10)과 김(13) 사이에는 분리시트(11) 부분이 끼워지게 됨과 함께 상기 김(13)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겉포장지(14)를 씌워 포장하게 된다.
여기서, 분리시트(11)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상기 분리시트(11)의 일 측에 접이부(12)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접이부(12)는 겉포장지(14)에 형성된 접이부(15)와 일체로 밀착된 후, 고정핀(22)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취식자는 도 4의 (a)와 같이 개봉선(17)을 잡고 벗겨낼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4의 (b)와 같이 겉포장지(14)의 접이부(15)를 잡아당기면 분리시트(11) 부분이 외부 빠져나오게 되는 구성이다.
다음, 도 4의 (c)와 같이 겉포장지(14)의 절단선(18,19,20)을 분리하게 되면서 개봉되어 취식자가 용이하게 먹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김밥 포장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먼저, 분리시트(11) 표면에 접이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접이부(12)에 의해 분리시트(11)의 일측은 김(13)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제작하는 단계;
상기 분리시트(11)의 접이부(12)와 겉포장지(14)의 접이부(15)를 일체로 밀착시키는 단계;
겉포장지(14)의 개봉을 단계적으로 하기 위한 절단선(18,19,20)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분리시트(11)와 겉포장지(14)의 사이에 김(13)을 삽입한 후, 밥을 싸서 김밥으로 포장하는 단계;
상기 김밥을 포장한 겉포장지(14)에 형성된 개봉선(17)를 절취한 다음 접이부(12)(15)를 잡아당겨 분리시트(11)를 겉포장지(14)에서 분리하는 단계;
상기 겉포장지(14)에 형성되는 절단선(18,19,20)을 절취하여 개봉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분리시트(11)의 접이부(12)와 겉포장지(14)의 접이부(15)를 일체로 형성시킨 후, 취식자의 엄지 손가락을 위치시킨 다음 겉포장지(15)의 접이부(12)를 잡아 외부로 빼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취식자는 손쉽게 김밥 포장지를 분리할 수 있으면서 밥에 김이 말려진 상태로 포장되므로 포장시트를 벗겨낼시 밥에 김이 딸려오는 불편함이 없이 간편하게 포장시트를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김밥 포장지의 내부에 배치된 김을 외부 공기로부터 완전 밀봉시킴으로써 제품의 유통기한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김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주먹밥 11. 분리시트
12. 접이부 13. 김
14. 겉포장지 15,16.접이부
17. 개봉선 18,19,20. 절단선
21. 접착부 22. 고정핀

Claims (3)

  1. 롤 형태로 길게 말려진 김밥 포장지에 절개띠가 형성된 롤형 김밥에 있어서,
    김밥에 사용되는 밥과 김(13)을 분리시키는 분리시트(11)와,
    상기 김(13)을 보호하기 위한 겉포장지(14)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시트(11)의 일 측에는 분리시트(11)를 밥으로부터 분리하여 빼내기 위한 손잡이부 기능을 갖는 접이부(12)가 형성되고, 겉포장지(14)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접이부(15)와 상기 접이부(15)가 떨어지게 하기 위한 개봉선(17)이 형성됨과 아울러 겉포장지(14)를 개봉하기 위한 절단선(18,19,20)을 겉포장지(14) 위에 개봉선(17)에 수직되게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상호 평행되게 형성하여 취식자가 용이하게 포장을 개봉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된 롤형 김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시트(11)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시트(11)의 일 측에 접이부(12)를 형성하게 됨과 함께 상기 접이부(12)는 겉포장지(14)에 형성된 접이부(15)와 일체로 밀착된 후, 고정핀(2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된 롤형 김밥.
  3. 롤 형태로 길게 말려진 김밥 포장지에 절개띠가 형성된 롤형 김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분리시트(11) 표면에 접이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접이부(12)에 의해 분리시트(11)의 일측은 김(13)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제작하는 단계;
    상기 분리시트(11)의 접이부(12)와 겉포장지(14)의 접이부(15)를 일체로 밀착시키는 단계;
    겉포장지(14)의 개봉을 단계적으로 하기 위한 절단선(18,19,20)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분리시트(11)와 겉포장지(14)의 사이에 김(13)을 삽입한 후, 밥을 싸서 김밥으로 포장하는 단계;
    상기 김밥을 포장한 겉포장지(14)에 형성된 개봉선(17)를 절취한 다음 접이부(12)(15)를 잡아당겨 분리시트(11)를 겉포장지(14)에서 분리하는 단계;
    상기 겉포장지(14)에 형성되는 절단선(18,19,20)을 절취하여 개봉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된 롤형 김밥의 제조방법.
KR1020120096261A 2012-08-30 2012-08-30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1427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261A KR101427470B1 (ko) 2012-08-30 2012-08-30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261A KR101427470B1 (ko) 2012-08-30 2012-08-30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900A KR20140028900A (ko) 2014-03-10
KR101427470B1 true KR101427470B1 (ko) 2014-08-07

Family

ID=5064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261A Active KR101427470B1 (ko) 2012-08-30 2012-08-30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873A (ko) 2021-10-25 2023-05-03 정선영 이중 구조를 가진 김밥 포장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527B1 (ko) * 2003-03-06 2005-07-07 삼해야마코 주식회사 즉석김밥 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527B1 (ko) * 2003-03-06 2005-07-07 삼해야마코 주식회사 즉석김밥 포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873A (ko) 2021-10-25 2023-05-03 정선영 이중 구조를 가진 김밥 포장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900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01258A (ja) おにぎり用包装材
KR101142090B1 (ko) 김밥 포장지
KR101427470B1 (ko) 포장된 롤형 김밥 및 이의 제조방법
US4251552A (en) Rice-ball rolled in laver
JP2010013160A (ja) 棒状食品包装体
JP6103488B2 (ja) 板状物品用の包装構造
KR20090096584A (ko) 햄버거용 포장지
KR200456366Y1 (ko) 김밥 포장지
KR101333411B1 (ko) 포장된 롤형 김밥의 제조방법
KR100454037B1 (ko) 주먹밥용 포장재
JP6483589B2 (ja) 調味料・具材を同梱する食料品包装用具、調味料・具材を同梱する食料品の包装方法、調味料・具材を同梱する食料品
JP3207380U (ja) 食品包装体
JP3880570B2 (ja) 米飯加工食品用包装材
KR200346995Y1 (ko) 일회용 김밥 포장시트
KR102645158B1 (ko) 이중 구조를 가진 김밥 포장지
JP3002970B2 (ja) 海苔付餅食品
KR100787781B1 (ko) 김밥 포장지
US20060003056A1 (en) Flexible packaging material with weakness line
JP3152605U (ja) 副食付き包装飯塊
JP3323855B2 (ja) 棒状米飯加工食品の包装シート及びその包装シートを用いた棒状米飯加工食品入り包装体
JP2008054524A (ja) 密封食品包装体
KR200354799Y1 (ko) 김밥 포장 시트
JP6101392B1 (ja) 包装シート、包装飯塊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JP4247438B2 (ja) 米飯加工食品の包装方法
JP2000210038A (ja) 手巻寿司または手巻寿司巻包体の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