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392B1 - Therapeutic contact lens - Google Patents
Therapeutic contact le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7392B1 KR101427392B1 KR1020130161910A KR20130161910A KR101427392B1 KR 101427392 B1 KR101427392 B1 KR 101427392B1 KR 1020130161910 A KR1020130161910 A KR 1020130161910A KR 20130161910 A KR20130161910 A KR 20130161910A KR 101427392 B1 KR101427392 B1 KR 1014273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eyeball
- drug
- contact lens
- wor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61—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0—Placenta; Placental stem cells; Amniotic fluid; Amnion; Amniotic stem cell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63—Reti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ell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yeglas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와 렌즈 사이에 치료를 위한 약물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눈의 치료효과 및 치료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치료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콘택트렌즈는 안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면을 갖는 렌즈본체와, 안구에 접촉하는 상기 렌즈본체의 내측면에 외측을 향해 인입되도록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렌즈본체의 착용시 안구에 약재성분을 전달하는 약재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렌즈본체의 내측면 중앙부에 소정 직경의 원형의 인입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렌즈본체의 중앙에는 착용자가 전방을 볼 수 있도록 투광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투광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apeutic contact lens capable of increasing the treatment effect and treatment speed of the eye by allowing a medicine for treatment to be accommodated between the eyeball and the lens.
The contact lens for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ens body having a spherical surface to be worn on the eyeball, a receiving portion formed to be pulled out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ody contacting the eyeball, And a medicament part for transferring the medicinal ingredient to the eyeball when the lens main body is worn.
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insertion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ody.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ens body so that a wearer can see the front of the lens body. Or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ed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료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구와 렌즈 사이에 치료를 위한 약물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눈의 치료효과 및 치료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치료용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apeutic contact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erapeutic contact lens capable of increasing the therapeutic effect and treatment speed of the eye by allowing a medicine for treatment to be received between the eyeball and the lens.
각종 안질환이나 각막 손상과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약물을 안구에 투입하는 방법으로 현재로서는 점안액 또는 점안제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In order to solve problems such as various eye diseases or corneal injury, it is most common to use an eye drop or an eye drop as a method of injecting a drug into the eye.
이러한 점안액 또는 점안제의 경우 치료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일정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주 투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눈꺼풀의 깜빡임에 의해 약물이 안구에서 씻겨나가게 됨에 따라 유효한 치료 농도의 유지시간이 짧다는 점, 약물의 농도가 낮은 상태가 장시간 계속되면서 치료효과를 반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such eye drops or eyedrops, it is inconvenient to frequently administer to maintain a certain concentration to maintain the therapeutic effect, and since the drug is washed out from the eye due to blinking of the eyelid, the effective treatment concentration is maintained for a short time , The state of low concentration of the drug is continued for a long time, and the treatment effect is reduced by half.
이러한 점안제를 대신하는 방법으로 점성의 반고체 제제인 안과용 연고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연고 형태의 약물은 점안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구에서의 접촉시간이 길기 때문에 약물의 흡수 기회가 커지지만 연고를 바른 후에는 시인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안구전체와 눈 주변에 연고에 의한 이물감이 남아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Ophthalmic ointments, which are viscous semi-solid preparations, are often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se eye drops. The ointment type drug has a relatively longer time of contact with the eyeball than the eye drop, which increases the chance of absorption of the drug. However, after applying the ointment, the visibility deteriorates remarkably. As a result, .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약물을 수용하는 콘택트렌즈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511395호에는 콘택트렌즈 약물 송달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의 콘택트렌즈는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 방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데, 콘택트렌즈의 내부에 약물 방출 재료가 삽입되도록 렌즈를 제조하고, 렌즈가 약물 용출성 콘택트 렌즈이므로 약물 방출 재료로부터 약물 성분이 방출되어 안구에 작용하도록 된 것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development of a contact lens accommodating a drug has been advanc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11395 discloses a contact lens drug delivery device. The conventional contact lens includes a drug releasing material containing a drug. The contact lens includes a drug releasing material, And since the lens is a drug-releasing contact lens, the drug component is released from the drug releasing material to act on the eyeball.
상기 종래의 콘택트렌즈는 약물 방출 재료를 봉입한 상태로 콘택트렌즈를 성형해야 하므로 콘택트렌즈의 성형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밖에 없으며, 약물성분이 렌즈를 뚫고 나와야 하므로 약물의 원활한 공급이 어려울 수 있으며, 안구에 작용하는 약물의 농도를 높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conventional contact lens has to mold the contact lens in a state in which the drug releasing material is encapsulated, the molding cost of the contact lens is inevitably increased, and since the drug ingredient must penetrate through the lens, smooth supply of the drug may be difficult,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drug acting on the eyeball.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안구의 표면에 작용하는 약물이 안구 표면에 장시간 머무를 수 있으며, 눈물이나 눈의 깜빡임에 의해 씻겨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약물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ug delivery device that can prevent a drug acting on the surface of the eyeballs from staying on the eyeball surface for a long time and being washed down by tears or eye flicker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apeutic contact le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콘택트렌즈는 안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면을 갖는 렌즈본체와, 안구에 접촉하는 상기 렌즈본체의 내측면에 외측을 향해 인입되도록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렌즈본체의 착용시 안구에 약재성분을 전달하는 약재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ct lens for treatment comprising: a lens body having a spherical surface to be worn on an eyeball; a receiving portion formed to be pulled outwar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ens body, And a medicament portio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delivering the medicinal component to the eyeball when the lens main body is worn.
상기 수용부는 상기 렌즈본체의 내측면 중앙부에 소정 직경의 원형의 인입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렌즈본체의 중앙에는 착용자가 전방을 볼 수 있도록 투광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투광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insertion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ody.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ens body so that a wearer can see the front of the lens body. Or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edge.
아울러 상기 렌즈본체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약재부의 약물성분이 상기 렌즈본체의 외측으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렌즈본체의 외측면으로 관통된 약물배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body may be provided with a drug discharge hole penetrat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ody so that the drug component of the medicament portio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ens body.
그리고 상기 약재부는 약물성분을 포함하는 약물시트 또는 치료성분이 포함된 양막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dicament part is preferably formed of a drug sheet containing a drug component or a amniotic membrane containing a therapeutic component.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콘택트렌즈는 약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연고형태의 약물이나 약물시트를 수용시킨 상태로 안구에 착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물이 씻겨내려가지 않고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treatment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drug is accommodated, it can be worn on the eye in a state in which the ointment-type drug or the drug sheet is accommodated, and thus the drug is not washed awa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reatment effect can be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착용하는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치료용 콘택트렌즈가 안구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치료용 콘랙트렌즈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치료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콘택트렌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치료용 콘택트렌즈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콘택트렌즈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치료용 콘택트렌즈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치료용 콘택트렌즈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치료용 콘택트렌즈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wearing a therapeutic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n eye,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herapeutic contact lens of FIG. 1 is worn on an eyeball;
FIG.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therapeutic contrast lens of FIG.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erapeutic contact lens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therapeutic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erapeutic contact lens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therapeutic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erapeutic contact lens of FIG. 7,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therapeutic contact lens,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therapeutic contact le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reatment contact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는 치료용 콘택트렌즈(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일반적인 콘택트렌즈와 마찬가지로 안구에 직접 착용할 수 있게 된 것이며, 여러가지 안질환이나 각막손상과 같은 병변에 대하여 약재부(140)의 약물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1 to 3 show a first embodiment of a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안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면을 갖는 렌즈본체(110)와, 상기 렌즈본체(110)에 형성되어 약물을 수용하는 수용부(130)와, 상기 수용부(130)에 장착되는 약재부(140)를 구비한다.The
렌즈본체(110)는 통상적인 콘택트렌즈와 마찬가지로 안구에 착용이 가능한 구면 형태로 형성된다. The
상기 수용부(130)는 렌즈본체(1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렌즈본체(110)의 내측면은 안구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며 렌즈본체(110)의 내측면 일측에 외측을 향해 소정깊이 인입된 인입홈의 형태로 수용부(130)가 형성된다.The
수용부(130)는 약재부(14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본체(110)의 내측 중앙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수용부(130)의 깊이나 직경은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약재부(140)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depth and the diameter of the
상기 약재부(140)는 수용부(130)에 수용되어 착용된 후 안구에 약재성분을 공급하는 것으로 연고나 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약재성분을 함유하는 시트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줄기세포나 생체조직인 양막과 같은 치료성분이 포함된 물질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약재부(140)가 시트부재에 약재성분이 함침되어 있는 약물시트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수용부(130)에 약물시트를 수용시킨 후 렌즈본체(110)를 안구에 착용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이렇게 형성된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약물시트가 안구와 직접 적촉하여 약재성분이 안구에 직접 작용하게 되며, 눈을 깜빡이더라도 약재성분이 씻겨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은 농도의 약제로 일정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손상된 각막의 치유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렌즈본체(110)가 손상된 부분을 보호함과 동시에 약재성분이 손상된 부분에 오랜시간 머무르면서 약재성분을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치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medical treatment
도 5 및 도 6에는 치료용 콘택트렌즈(1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ures 5 and 6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본 실시예의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도 렌즈본체(110)와, 렌즈본체(110)에 형성된 수용부(130)와, 수용부(130)에 장착되는 약재부(140)를 구비한다.The
본 실시예의 렌즈본체(110)는 중앙에 투광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본체(11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착용자가 투광부(120)를 통해 보다 나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용부(130)는 상기 투광부(120)를 중심으로 그 둘레를 감싸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앞선 실시예처럼 외측면을 향해 인입된 인입홈의 형태를 취한다.The
본 실시예의 경우 약재부(140)를 연고나 겔 형태로 형성하여 수용부(130)에 충진시킨 후 렌즈본체(110)를 안구에 착용하게 할 수도 있고, 수용부(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상의 약물시트로 약재부(140)를 형성하여 수용부(130)에 수용시켜 착용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제1 실시예의 경우에도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약물시트를 얇거나 투명하게 만들면 착용후에도 어느정도의 시야 확보는 가능하다. 하지만 약물시트가 다소 두껍게 형성되거나, 불투명한 약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시야의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중앙에 투광부(120)를 형성해 두었으며, 약물의 종류나 형태에 상관없이 본 실시예의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투광부(120)를 통해 전방 시야가 확보되므로 착용 후에도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각막윤부(limbal area)에 선택적인 약물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Even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if the drug sheet accommodated in the
아울러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도 7 및 도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수용부(130)가 렌즈본체(110)의 내측면 어느 일측에 소정의 모양이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안구 표면의 국소 부위에만 약재가 접촉해도 되는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렌즈 본체의 중심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소정 직경의 인입홈을 형성하여 수용부(130)를 만들고, 상기 수용부(130)에 약물을 주입하거나 약물시트를 장착해 안구에 착용하게 할 수 있다. 7 and 7, the
도 9 및 도 10에는 치료용 콘택트렌즈(100)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s. 9 and 10 show a fourth embodiment and a fifth embodiment of the
도 9에 도시된 제4 실시예의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전체적인 구성이 제1 실시예와 유사하도록 렌즈본체(110)의 중앙부에 약물시트를 내장할 수 있는 수용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며, 도 10에 도시된 제5 실시예의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중앙에 투광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투광부(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용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The
제4 실시예와 제5 실시예의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모두 수용부(130)로부터 렌즈본체(110)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약물배출구멍(111)들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약물배출구멍(111)은 약물시트의 약물성분이 렌즈본체(110)의 외측으로 공급되어 눈꺼풀의 내측면에 염증이 생기거나 병변이 발생할 때, 해당부위에 약물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본 실시예의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약물배출구멍(111)을 통해 약물이 렌즈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되므로 눈을 깜빡일때마다 눈꺼풀의 내측으로 약물이 공급되어 눈꺼풀 내측의 병변에 대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Since the dru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상기 렌즈본체에 형성되는 약물배출구멍(111)은 약물의 종류나 공급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약물배출구멍(111)의 개수 역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약재부(140)가 안구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약재 성분의 투입이 용이하고, 수용부(130)에 약재부(140)가 수용된 상태이므로 약재부(140)가 안구에 접촉된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Since the
100; 치료용 콘택트렌즈
110; 렌즈본체
111; 약물배출구멍 120; 투광부
130; 수용부
140; 약재부100; Therapeutic contact lenses
110; Lens body
111; A
130; Receiving portion
140; Medicinal part
Claims (3)
안구에 접촉하는 상기 렌즈본체의 내측면에 외측을 향해 인입된 인입홈 형태로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렌즈본체의 착용시 안구에 약재성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연고 또는 겔 형태의 약물로 형성된 약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콘택트렌즈.A lens body having a spherical surface to be worn on the eyeball;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a shape of a lead-in groove drawn outwardly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lens main body in contact with the eyeball;
And a medicament portion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is made of an ointment or gel-shaped drug so that the medicinal ingredient can be delivered to the eyeball when the lens main body is worn.
안구에 접촉하는 상기 렌즈본체의 내측면에 외측을 향해 인입된 인입홈 형태로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렌즈본체의 착용시 안구에 약재성분을 전달하는 약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재부는 시트부재에 약재성분을 함유시킨 약물시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콘택트렌즈.A lens body having a spherical surface to be worn on the eyeball;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a shape of a lead-in groove drawn outwardly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lens main body in contact with the eyeball;
And a medicament portion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delivering a medicinal ingredient to the eyeball when the lens main body is worn,
Wherein the medicament portion is formed of a drug sheet containing a medicinal component in a sheet member.
상기 약재부는 치료성분이 포함된 양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용 콘택트렌즈.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edicament part comprises a amniotic membrane containing a therapeutic compon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1910A KR101427392B1 (en) | 2013-12-23 | 2013-12-23 | Therapeutic contact le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1910A KR101427392B1 (en) | 2013-12-23 | 2013-12-23 | Therapeutic contact len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1406A Division KR101371685B1 (en) | 2012-10-30 | 2012-10-30 | Therapeutic contact lens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6126A KR20140056126A (en) | 2014-05-09 |
KR101427392B1 true KR101427392B1 (en) | 2014-08-07 |
Family
ID=5088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1910A Active KR101427392B1 (en) | 2013-12-23 | 2013-12-23 | Therapeutic contact le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739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1924A (en) * | 2018-11-06 | 2020-05-1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mart contact lens for non-invasive drug delivery |
WO2024189380A1 (en) * | 2023-03-15 | 2024-09-19 | NuVision Biotherapies Limited | Amniotic membrane and uses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8683B1 (en) * | 2015-09-23 | 2017-02-21 |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 Sustained drug release contact lens |
KR101877031B1 (en) * | 2016-12-30 | 2018-07-11 | 주식회사 윈스 | drug-loaded contact lens |
KR101979286B1 (en) * | 2018-05-17 | 2019-05-15 | 경북대학교병원 | Partial-hardening contact lens-type dressing using amniotic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KR102196582B1 (en) * | 2019-03-04 | 2021-01-04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Contact Lens for Intraocular Pressure Monitoring and Therapy |
CN115576118A (en) * | 2021-07-05 | 2023-01-06 | 亮点光学股份有限公司 | Contact lens with multifunctional poi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5025287A1 (en) | 1994-03-14 | 1995-09-21 | Seikagaku Corporation | Material to be worn on the eyeball |
-
2013
- 2013-12-23 KR KR1020130161910A patent/KR10142739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5025287A1 (en) | 1994-03-14 | 1995-09-21 | Seikagaku Corporation | Material to be worn on the eyeball |
KR960702624A (en) * | 1994-03-14 | 1996-04-27 | 야마타니 와타루 | Material to be worn on the eyeball |
JPH09511586A (en) * | 1994-03-14 | 1997-11-18 | 生化学工業株式会社 | Eye material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1924A (en) * | 2018-11-06 | 2020-05-1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mart contact lens for non-invasive drug delivery |
KR102137437B1 (en) | 2018-11-06 | 2020-07-24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mart contact lens for non-invasive drug delivery |
US11510868B2 (en) | 2018-11-06 | 2022-11-29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Smart contact lens for non-invasive drug delivery |
WO2024189380A1 (en) * | 2023-03-15 | 2024-09-19 | NuVision Biotherapies Limited | Amniotic membrane and uses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6126A (en) | 2014-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1685B1 (en) | Therapeutic contact lenses | |
KR101427392B1 (en) | Therapeutic contact lens | |
US10835416B2 (en) | Ocular insert apparatus and methods | |
US11672698B2 (en) | Conjunctival cover and methods therefor | |
US5472436A (en) | Ocular appliance for delivering medication | |
US9907694B2 (en) | Intraocular medicament delivery device | |
ES2236880T3 (en) | DEVICE FOR THE INTRAOCULAR TRANSFER OF ACTIVE PRODUCTS BY IONOPHORESIS. | |
ES2271301T3 (en) | FARMACO OFTALMICO SUPPLY DEVICE. | |
ES2571598T3 (en) | Eye iontophoresis device that reduces irritation | |
US20090220573A1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to the Eye | |
CN102448411A (en) | punctal plug | |
US11510868B2 (en) | Smart contact lens for non-invasive drug delivery | |
CN102448412A (en) | punctal plug | |
CN206515567U (en) | One kind carries property of medicine contact lens | |
US3485244A (en) | Eye applicator | |
JP2007167358A (en) | Intraocular drug administration appliance | |
US9662244B2 (en) | Medical treatment device | |
KR102622048B1 (en) | Structure for eye treatment | |
ES2965054T3 (en) | Device suitable for the intraocular administration of a substance, for example a medication, into a human or animal eye | |
KR20200072275A (en) | Lens | |
TW201618736A (en) | Ocular insert device | |
MXPA99000311A (en) | Device for the intraocular transfer of active products through iontofo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2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2103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201214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