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275A - Lens - Google Patents
Le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2275A KR20200072275A KR1020180160271A KR20180160271A KR20200072275A KR 20200072275 A KR20200072275 A KR 20200072275A KR 1020180160271 A KR1020180160271 A KR 1020180160271A KR 20180160271 A KR20180160271 A KR 20180160271A KR 20200072275 A KR20200072275 A KR 202000722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body
- receiving portion
- lens
- contact lens
- eyeb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087 cornea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89 eye dro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012356 eye drops Drug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744 eyeli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006 Cornea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533 ey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UZPPFZMUPKLLV-UHFFFAOYSA-N methane;hydrate Chemical compound C.O VUZPPFZMUPKLL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오염방지와 제거를 위한 미세채널이 담지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 내부에 미세먼지 방지 층을 형성하여 안과 질환의 치료효과와 예방효과를 높일 수 있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lens carrying a fine channel for preventing and removing fine dust contamination, and more specifically, a contact lens capable of forming a fine dust prevention layer inside the lens to increase the treatment effect and prevention effect of ophthalmic diseases. It is abou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물이 담지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 내부에 미세먼지를 방출할 수 있는 미세채널을 형성하여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약물이 담긴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ct lens carrying a dru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ct lens containing a drug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fine dust by forming a fine channel capable of emitting fine dust inside the len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효과적인 미세먼지 제거를 촉진하는 미세 채널을 구비 하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a contact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ct lens having a fine channel that promotes effective fine dust removal.
미세먼지는 각막의 합병증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fine dust can induce complications of the cornea.
각막은 능동 신진 대사를 가지는 살아있는 조직이다. 이런 신진 대사에 의해 생성된 유산(lactic acid), 이산화탄소 및 물 등의 노폐물은 물론 황산염이나 질산염으로 구성된 미세먼지는 각막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콘택트 렌즈 착용은 이런 노폐물, 죽은 상피 세포 및 렌즈-안구 계면에서 포획되는, 안구에서 통상 제거되는 다른 물질 등의 찌꺼기를 야기한다. 이런 찌꺼기는 안구 안에 축적되어 잔류하게 되면, 안구 및/또는 렌즈 착용자의 일반적인 안구 건강에 자극 및/또는 다른 해로움을 야기하는 등의 안구를 해롭게 할 수 있다. The cornea is a living tissue with active metabolism. Fine dust composed of sulfate or nitrate, as well as waste products such as lactic acid, carbon dioxide, and water generated by metabolism must be discharged from the cornea. Wearing contact lenses causes debris such as waste products, dead epithelial cells, and other substances that are normally removed from the eye, captured at the lens-eye interface. When these residues accumulate and remain in the eye, they can harm the eye, such as causing irritation and/or other harm to the general eye health of the eye and/or lens wearer.
각종 오염물질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점안액 또는 점안제를 이용해 세척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러한 점안액 또는 점안제의 경우 치료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일정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주 투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눈꺼풀의 깜빡임에 의해 약물이 안구에서 씻겨나가게 됨에 따라 유효한 치료농도의 유지시간이 짧다는 점, 약물의 농도가 낮은 상태가 장시간 계속되면서 치료효과를 반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It is most common to wash with eye drops or eye drops to protect the eyes from various contaminants. In the case of such eye drops or eye drops, there is a discomfort that must be frequently administered in order to maintain a certain concentration capable of maintaining the therapeutic effect, and the maintenance time of the effective therapeutic concentration is short as the drug is washed off the eyeball by blinking of the eyelid, the dru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w concentration of the drug continues to halve the treatment effect for a long tim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손을 잘 씻고 이물질을 충분히 제거 하는 것이 강조되었으며, 항생물질이 함유된 세척제 등을 이용하는 것도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항생효과를 자체적으로 지닌 렌즈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emphasized to wash hands well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sufficiently, and it is also helpful to use a detergent containing antibiotics. However, there is no lens with its own antibiotic effect.
본 발명은 미세채널을 렌즈 내부에 삽입하여 미세먼지 방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안과질환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미세채널이 담지된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ct lens carrying a fine channel capable of enhanc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ophthalmic diseases by continuously inserting a fine channel into the lens to release fine dust.
안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면을 갖는 렌즈본체와;A lens body having a spherical surface for wearing on an eyeball;
안구에 접촉하는 상기 렌즈 본체의 내촉면에 외촉을 향해 인입되도록 형성된 수용부와;A receiving portion formed to be drawn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ody contacting the eyeball;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렌즈본체의 착용시 안구에 미세먼지를 방출하는 오염방지층;을 구비하고, I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microparticles when wearing the lens body;
상기 수용부는 상기 렌즈본체의 내촉면 중앙부에 소정 직경의 원형의 인입홈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오염 방지 콘택트렌즈.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inlet groov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ody, the contact lens for preventing micro-dust pollu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채널을 렌즈 내부에 삽입함으로서 안구로부터 미세먼지 방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안과 질환의 예방효과와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a micro-channel into the len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release fine dust from the eyeball, thereby improving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effect of ophthalmic diseases.
도 1 본 발명에 미세먼지 오염방지 콘택트렌즈를 안구에 착용하는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도 3 의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의 제3 실시예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contact len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fine dus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act le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Figure 1,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ct le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FIG.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ct le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Figure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ntact le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contact le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Figure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contact le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contact le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FIG. 7,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act le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는 치료용 콘택트렌즈(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1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일반적인 콘택트렌즈와 마찬가지로 안구에 직접 착용할 수 있게 된 것1 to 3, a first embodiment of a
이며, 여러가지 안질환이나 각막손상과 같은 병변에 대하여 미세채널부(140)의 미세먼지등의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nd, for various eye diseases or lesions such as corneal damage, it is possible to release fine dust, etc. of the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안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면을 갖는 렌즈본체(110)와, 상기 렌즈본체(110)에 형성되어 미세채널을 수용하는 수용부(130)와, 상기 수용부(130)에 장착되는 오염방지층(140)을 구비한다.The
렌즈본체(110)는 통상적인 콘택트렌즈와 마찬가지로 안구에 착용이 가능한 구면 형태로 형성된다.The
상기 수용부(130)는 렌즈본체(1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렌즈본체(110)의 내측면은 안구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며 렌즈본체(110)의 내측면 일측에 외측을 향해 소정깊이 인입된 인입홈의 형태로 수용부(130)가 형성된The
다.All.
수용부(130)는 약재부(14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본체(110)의 내측 중앙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수용부(130)의 깊이나 직경은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오염방지층(140)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depth or diameter of the
상기 오염방지층(140)은 수용부(130)에 수용되어 착용된 후 안구에 미세먼지등을 방출하는 것으로 연고나 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약재성분을 함유하는 시트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염방지층(140)이 시트부재에 미세채널이 함침되어 있는 시트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수용부(130)에 미세채널을 수용시킨 후 렌즈본체(110)를 안구에 착용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이렇게 형성된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1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약물시트가 안구와 직접 적촉하여 미세채널이 안구에 직접 작용하게 되며, 눈을 깜빡이더라도 미세채널부분이 씻겨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 방출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손상된 각막의 치유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렌즈본체(110)가 손상된 부분을 보호함과 동시에 청결한 안구상태를 유지하여치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도 5 및 도 6에는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1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5 and 6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본 실시예의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도 렌즈본체(110)와, 렌즈본체(110)에 형성된 수용부(130)와, 수용부(130)에 장착되는 오염방지층(140)을 구비한다.The
본 실시예의 렌즈본체(110)는 중앙에 투광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본체([0027] 11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착용자가 투광부(120)를 통해 보다 나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용부(130)는 상기 투광부(120)를 중심으로 그 둘레를 감싸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앞선 실시예처럼 외측면을 향해 인입된 인입홈의 형태를 취한다.The
본 실시예의 경우 오염방지층(140)을 연고나 겔 형태로 형성하여 수용부(130)에 충진시킨 후 렌즈본체(110)를 안구에 착용하게 할 수도 있고, 수용부(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상의 시트로 오염방지층(140)을 형성하여 수용부(130)에 수용시켜 착용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fter forming the
제1 실시예의 경우에도 수용부(130)에 수용되는 시트를 얇거나 투명하게 만들면 착용후에도 어느정도의 시야 확보는 가능하다. 하지만 약물시트가 다소 두껍게 형성되거나, 불투명한 약물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시야의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중앙에 투광부(120)를 형성해 두었으며, 미세채널의 종류나 형태에 상관없이 본 실시예의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투광부(120)를 통해 전방 시야가 확보되므로 착용 후에도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Even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if the sheet accommodated in the
아울러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100)는 도 7 및 도7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수용부(130)가 렌즈본체(110)의 내측면 어느 일측에 소정의 모양이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도 9 및 도 10에는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100)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9 and 10 show a fourth embodiment and a fifth embodiment of the
도 9에 도시된 제4 실시예의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100)는 전체적인 구성이 제1 실시예와 유사하도록 렌즈본체(110)의 중앙부에 시트를 내장할 수 있는 수용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며, 도 10에 도시된 제5 실시예의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100)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중앙에 투광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투광부(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용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The
제4 실시예와 제5 실시예의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100)는 모두 수용부(130)로부터 렌즈본체(110)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배출구멍(111)들이 형성되어 있다.The
본 실시예의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약물배출구멍(111)을 통해 약물이 렌즈본체(110)의 외측으로 배출되므로In the
눈을 깜빡일때마다 눈꺼풀의 내측으로 약물이 공급되어 눈꺼풀 내측의 병변에 대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Whenever the eye is blinking, the drug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eyelid, thereby enhancing the therapeutic effect on the lesion inside the eyeli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콘택트렌즈(100)는 오염방지층(140)이 안구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오염물질의 방출이 용이하고, 수용부(130)에 오염방지층(140)이 수용된 상태이므로 오염방지층이(140)가 안구에 접촉된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100; 오염방지용 콘택트렌즈
110; 렌즈본체
120; 투광부
130; 수용부
140; 오염방지층100; Pollution prevention contact lenses
110; Lens body
120; Floodlight
130; Accommodation
140; Pollution prevention layer
Claims (3)
안구에 접촉하는 상기 렌즈 본체의 내촉면에 외촉을 향해 인입되도록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렌즈본체의 착용시 안구에 미세먼지를 방출하는 오염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렌즈본체의 내촉면 중앙부에 소정 직경의 원형의 인입홈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오염 방지 콘택트렌즈.
A lens body having a spherical surface for wearing on an eyeball;
A receiving portion formed to be drawn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ody contacting the eyeball;
I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micro-emission layer to be worn on the eye when the lens body is wor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inlet groov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ody, the contact lens for preventing micro-dust pollution.
안구에 접촉하는 상기 렌즈 본체의 내촉면에 외촉을 향해 인입되도록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렌즈본체의 착용시 안구에 미세먼지를 방출하는 오염방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본체에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미세채널이 미세먼지가 상기 렌즈 본체의 외촉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촉면으로부터 상기 렌즈본체의 외촉면으로 관통된 미세먼지 방출 채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오염방지 콘택트렌즈
A lens body having a spherical surface for wearing on an eyeball;
A receiving portion formed to be drawn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body contacting the eyeball;
I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o prevent contamination when the lens body is worn to emit fine dust to the eye;
The lens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e channel discharg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ody is formed so that the fine channe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can be discharged to the outer contact of the lens body Contact lense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fine dust
상기 미세먼지 오염방지층은 미세채널을 포함하는 시트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According to claim 2,
The fine dust contamination prevention layer is a contact len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et containing the fine chann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0271A KR20200072275A (en) | 2018-12-12 | 2018-12-12 | Le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0271A KR20200072275A (en) | 2018-12-12 | 2018-12-12 | Len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2275A true KR20200072275A (en) | 2020-06-22 |
Family
ID=7114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0271A Withdrawn KR20200072275A (en) | 2018-12-12 | 2018-12-12 | Le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72275A (en) |
-
2018
- 2018-12-12 KR KR1020180160271A patent/KR20200072275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77127B2 (en) | Therapeutic contact lenses | |
US11076985B2 (en) | Conjunctival cover and methods therefor | |
US9664926B2 (en) | Contact lens for cornea-correction crosslinking | |
RU2537775C2 (en) | Disposable cap for contact lens attachment | |
US20050284774A1 (en) | Ophthalmic lens assembly utilizing replaceable contact element | |
KR20030029792A (en) | Contact lenses with microchannels | |
AR021075A1 (en) | AN INTRAOCULAR LENS, A METHOD OF MANUFACTURE OF THE LENS AND A METHOD OF USE OF SUCH LENS | |
KR20140056126A (en) | Therapeutic contact lens | |
US3409349A (en) | Gonioscopic contact lens device having a flexible scleral flange | |
KR20200072275A (en) | Lens | |
KR200240801Y1 (en) | Shield frame for the face protection | |
JP2007167358A (en) | Intraocular drug administration appliance | |
US9561130B2 (en) | Nasolacrimal plugs | |
JP4030004B2 (en) | A mounting tool for a contact lens fixing ring for vitreous surgery, and a contact lens fixing ring for vitreous surgery | |
US9662244B2 (en) | Medical treatment device | |
JP5726355B1 (en) | Soft contact lens remov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soft contact lens removal device. | |
KR20100051173A (en) | The contact lens which forms the silver screen | |
JP3044011U (en) | Antibacterial goggles | |
Pope | Save your sight: Sounding the alarm on improper contact lens use | |
CN217506292U (en) | Hard corneal contact lens | |
KR20100047023A (en) | The contact lens where the silver screen is formed | |
Daily | Foveolar splinter and macular wisps | |
JP4792292B2 (en) | Corneal protective cover | |
CN108472498A (en) | Protective case for treating skin disease device | |
KR200289006Y1 (en) | nose filter for dust bloc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