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7311B1 - 펠리타이저 - Google Patents

펠리타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311B1
KR101427311B1 KR1020130006585A KR20130006585A KR101427311B1 KR 101427311 B1 KR101427311 B1 KR 101427311B1 KR 1020130006585 A KR1020130006585 A KR 1020130006585A KR 20130006585 A KR20130006585 A KR 20130006585A KR 101427311 B1 KR101427311 B1 KR 101427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collecting
drum
coupled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720A (ko
Inventor
전서현
권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림산업
Priority to KR102013000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311B1/ko
Priority to CN201310721736.3A priority patent/CN103937967B/zh
Publication of KR2014009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31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C22B1/2406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pellet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4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 B65G69/0458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with rotating means, e.g. tables, arm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7Conditions of the cokes or characterised by the coke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26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upwards or horizontally
    • B65G2814/0328Picking-up means
    • B65G2814/0343Rotating discs, drums or gathering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분탄 등의 제철 원료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립할 수 있는 펠리타이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리타이저는, 프레임;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속되는 판이 수직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부 측으로 제철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 하나 이상의 노즐을 가지고, 상기 드럼부 측으로 결합제를 공급하는 결합제 공급부; 및 상기 제철 원료로부터 조립되는 펠릿 덩어리를 포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포집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펠리타이저{PELLITIZER}
본 발명은, 펠리타이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 원료를 펠릿으로 조립하기 위한 펠리타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 조업은 소결광, 코크스를 고로 상부에서 장입시키고 고로 하부의 열풍로 설비에서 보내온 고온의 열풍을 고로 내부에 송풍하여 철광석의 환원 및 용융 반응을 일으켜 용선을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고로 조업은 고로 내부의 가스 흐름 즉, 통기성이 전체적으로 양호한 상태에서 철광석이 환원 및 용융되어야 고로의 경제적 조업수행이 가능함과 동시에 생산성도 높고 고로의 수명도 연장된다.
그러나, 최근 고로의 경제적 조업을 위해 값비싼 코크스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미분탄의 사용비를 점차적으로 늘려가면서, 고로 내부의 통기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즉, 고로 내 미분탄 취입비율의 증대로 고로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긍정적인 점은 있으나, 장입되는 입도가 작은 미분탄의 비율이 높아 고로 내부의 환원가스가 흘러가는 통로인 코크스층이 얇아져 통기성이 나빠지는 것이다.
또한, 제철소의 소결 공정에 있어서 소결광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에는 분철광석과 이보다 입도가 작은 석회석, 생석회 등의 CaO 함유 원료 및 규석, 사문암 등의 SiO2 함유 원료, 그리고 코크스나 무연탄 등의 고체연료가 포함된다. 이들 원료들의 배합 비율은 소결광의 품질 및 조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배합 비율이 결정된 후에는 이러한 배합 비율에 따라 각 원료를 펠리타이저에서 적당량의 수분을 가하여 혼합 조립되는데, 원료가 유동하면서 입자가 점차 성장하여 조립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소결광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입도가 작은 소결광이 많이 생성되는 경우에 마찬가지로 고로 내부의 통기성이 나빠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로 내부의 통기성이 악화되는 경우에 고로 내 상황(이하, '노황'이라 함)의 불안정이 야기되고, 결국 생산량 저하 및 각종 조업 불안정이 일어나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형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다.
미분탄이나 소결광 등의 제철 원료를 뭉쳐 조립한 것을 펠릿이라 하는데, 펠릿은 상기 원료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하여 수분의 표면장력에 의해 구형으로 작게 뭉친 것이고, 이러한 펠릿을 제조하는 장치를 펠리타이저라 한다.
도 1은 종래의 펠리타이저의 사시도로서, 하부가 막힌 원통형의 드럼(10)이 소정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한다. 드럼(10)의 상부에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되는 담수 공급부(20)가 위치하여 드럼(10)의 내부로 담수를 공급한다. 드럼(10)의 상부에는 원료 투입부(30)가 위치하여 드럼(10) 내부로 미분탄 등의 원료를 공급한다. 회전하는 드럼(10) 내부로 원료가 공급되고, 담수 공급부(30)에 의해 담수가 공급되면,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분의 표면 장력에 의해 원료가 뭉쳐 조립되어 펠릿이 형성된다. 조립된 펠릿은 드럼(10)을 넘쳐흐르는데, 드럼(10) 하부에는 호퍼(40)가 위치하여 드럼(10)으로부터 배출되는 펠릿을 포집한다.
제철 과정에서 입도가 균일하지 않은 펠릿을 사용하는 경우에 고로 내부의 통기성이 악화되어 고로 내 상황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 제품 생산량 저하 및 각종 조업 불안정이 일어나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형 사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펠릿의 크기를 균일하게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펠리타이저는 펠릿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의도되지 않은 크기 이상의 펠릿 덩어리들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거대 펠릿 덩어리들은 분쇄되지 않고 머물면서 펠릿의 원활한 제조를 방해한다. 따라서, 제조되는 펠릿의 입도가 상이해져 입도 크기 불량이 발생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펠릿화 과정에서 미분탄이 결합제와 혼합되면 찰기가 생겨 드럼에 엉겨 붙어 입도 크기의 불량이 발생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요구 조건에 따라 따라서 미분탄 등의 제철 원료의 입도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종래의 펠리타이저는 생산되는 펠릿의 입도 조절을 위한 수단이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펠릿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립할 수 있는 펠리타이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펠리타이저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펠릿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생산할 수 있는 펠리타이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리타이저는, 프레임;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속되는 판이 수직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판 측으로 제철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 하나 이상의 노즐을 가지고, 상기 드럼부 측으로 결합제를 공급하는 결합제 공급부; 및 상기 제철 원료로부터 조립되는 펠릿 덩어리를 포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포집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 배출부는, 상기 펠릿 덩어리를 포집할 수 있는 포집부; 상기 펠릿 덩어리를 운반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 및 상기 포집부가 결합되고, 상기 포집부를 상기 배출부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드럼부 상측에 위치하는 이송빔; 및 이송 장치는 이송빔에 결합되는데, 이송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빔에 결합되고, 내부의 구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일단이 이송부 일측에 배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 장치에 결합되는 포집 갈퀴를 가지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이송빔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집 갈퀴에 포집되는 상기 펠릿 덩어리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드럼부 상측에 위치하는 이송빔; 및 이송 장치는 이송빔에 결합되는데, 이송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빔에 결합되고, 내부의 구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일단이 이송부 일측에 배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 장치에 결합되는 포집망을 가지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이송빔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집망에 포집되는 상기 펠릿 덩어리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드럼부 상측에 위치하는 이송빔; 및 이송 장치는 이송빔에 결합되는데, 이송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빔에 결합되고, 내부의 구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일단이 이송부 일측에 배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 장치에 결합되는 로봇암과 상기 로봇암에 결합되는 로봇핸드를 가지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이송빔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로봇핸드에 포집되는 상기 펠릿 덩어리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집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판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드럼판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블레이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를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수단은, 일측이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판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및 임의의 각도에서 상기 회전축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는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그리고 시계 방향으로 45° 내지 90°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블레이드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거판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리타이저는, 펠릿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립되는 펠릿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 및 양질의 펠릿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펠리타이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포집 갈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제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포집부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포집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구성도, 및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포집 갈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는 드럼부(100), 포집 배출부, 및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드럼부(100)는 원형의 판형상을 가지고 후면 중앙에 중심축이 형성되는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속되는 판이 수직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드럼부(100)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지면으로부터 기울도록 배치되는데, 드럼부(100)의 중심축은 프레임(6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동부는 모터와 감속부를 포함하는데, 구동부에 의해 중심축이 회전되어 드럼부(100)의 회전이 가능하다.
포집 배출부는 포집부, 이송부, 및 배출부를 포함한다. 포집부는 포집 갈퀴(810)를 포함하는데, 포집 갈퀴(810)는 복수의 갈고리가 일렬로 고정 배치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송부는 이송빔(821) 및 이송 장치(820)를 포함하는데, 이송빔(821)은 막대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드럼부(100) 상측에 위치한다. 이송 장치(820)는 이송빔(821)에 결합되는데, 이송빔(8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내부의 구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포집 갈퀴(810)는 이동 장치에 결합되는데, 구동 장치에 의해 상하 이동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배출부는 컨베이어 벨트(830)를 포함하고, 컨베이어 벨트(830)의 일단이 이송부 일측에 배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드럼부(100)의 상측에는 결합제 공급부가 위치한다. 결합제 공급부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노즐에 연결되는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결합제는 노즐을 통하여 드럼부(100)로 분사되는데, 결합제는 담수 또는 결합 바인더 등일 수 있다. 또한, 원료 공급부(400)는 드럼부(100) 상부에 위치하여 드럼부(100) 내부로 제철 원료를 공급한다.
호퍼(미도시)는 드럼부(100) 하측에 배치되고, 드럼부(100)로부터 배출되는 펠릿이 호퍼에 포집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레임(600)에 구비되는 각도 조절부에 의해 드럼부(100)의 용이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작동을, 제철 원료 중의 한가지인 미분탄을 이용하는 경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럼부(100)는 구동부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결합제 공급부의 노즐을 통하여 담수가 공급되며, 원료 공급부(400)를 통하여 미분탄이 드럼부(100)로 투입된다. 드럼부(100) 내부로 투입된 미분탄은 드럼부(1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담수와 혼합되면서 소정 입도를 가지고 조립되어 펠릿화되며, 생산되는 펠릿은 호퍼로 배출된다.
이때, 의도되지 않은 크기 이상으로 조립되는 거대 펠릿 덩어리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들의 제거를 위하여 이송 장치(820)가 거대 펠릿이 위치하는 곳으로 이송빔(821)을 따라서 이동하고, 포집 갈퀴(810)가 하강하여 이들을 포집할 수 있다. 이들을 포집한 포집 갈퀴(810)는 상승하고, 이송 장치(820)는 이송빔(821)을 따라 컨베이어 벨트(830) 상으로 이동한다. 포집 갈퀴(810)가 컨베이어 벨트(830) 상에 위치하면, 포집 갈퀴(810)가 기울어져 거대 펠릿이 컨베이어 벨트(830)로 추락하고, 컨베이어 벨트(830)의 구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서로 이웃하는 갈고리 사이의 거리에 의해 포집되는 거대 펠릿 덩어리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조절하여 포집하고자 하는 펠릿 덩어리를 선별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드럼부(100)의 내부에는 블레이드(200)가 구비되는데, 블레이드(200)는 판형상을 가지고, 드럼부(100)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어 배치된다. 블레이드(200)는 드럼부(100)의 중심부에 고정되는데, 드럼부(100)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고정축(210)에 고정된다. 고정축(210)은 드럼부(100)의 회전과 무관하게 고정되므로 블레이드(200)는 드럼부(100)가 회전하는 동안 드럼부(100)의 내부 상측에서 고정되어 위치한다. 블레이드(200)는 드럼부(100)의 회전에 의해 드럼부(100)의 상측으로 이동한 원료를 저지하고, 이를 드럼부(100)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블레이드(200)는 고정축(210)에 의해 각도 변화가 가능하고, 고정 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배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데, 이때 블레이드(200)의 배치 각도에 따라 조립되는 펠릿의 입도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4b를 참조하면, 수평선을 기준으로 각도α가 클수록 생산되는 펠릿의 입도가 작아진다. 즉, 예를 들어 각도α가 45°인 경우에 조립되는 펠릿의 입도는, 각도α가 90°인 경우에 조립되는 펠릿의 입도보다 크다. 생산되는 펠릿의 입도는 공급되는 담수의 양, 드럼부(100)의 회전속도, 및 드럼부(100)의 경사각도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블레이드(200)에 의해 매우 효과적이고 간단하게 펠릿의 입도가 조절될 수 있다. 블레이드(200)의 각도α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조절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200)의 각도 α는 45°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일반적인 제철 원료의 경우에 상기 각도 범위에서 입도 조절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펠리타이저가 작동하는 경우에, 드럼부(1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미분탄은 블레이드(200)에 의해 저지되고, 블레이드(200)를 따라 드럼부(100)의 하측으로 하강 이동한다. 이때, 요구되는 펠릿 입도에 따라 블레이드(2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생산되는 펠릿은 호퍼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제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펠릿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미분탄은 상부에서 제공되는 수분과 혼합되어 입도화가 진행되는데, 입도화 과정에서 습기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블레이드(200)에 엉겨붙기 쉽다. 이 경우에 엉겨붙은 미분탄으로 일해 펠릿 제조가 원활하지 못하고, 균일한 입도 형성이 어려워 펠릿 제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데, 제거부(30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거부(300)는 단부에 형성되는 판형상의 제거판(310)을 포함하고, 제거판(310)이 블레이드(200)의 일면에 접촉한 상태로 블레이드(200)를 따라 왕복 이동함으로써 블레이드(200)에 엉겨붙는 미분탄을 즉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제거부(300)의 이동은 작동부(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포집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포집 갈퀴(810) 대신에 포집망(840)을 이용하여 펠릿을 포집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선 사이의 거리, 즉 그물코의 크기에 따라 특정 크기 이상의 펠릿 덩어리가 포집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펠리타이저의 포집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포집부는 로봇핸드(851)가 구비되는 로봇암(850)을 포함하고, 이를 제어하여 특정 펠릿 덩어리를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제철 과정에서 입도가 균일하지 않은 펠릿을 사용하는 경우에 고로 내부의 통기성이 악화되어 고로 노내 상황이 불안정해질 수 있고, 제품 생산량 저하 및 각종 조업 불안정이 일어나며, 경우에 따라서는 대형 사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펠릿의 크기를 균일하게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펠리타이저에 의하면, 펠릿화 과정에서 미분탄이 결합제와 혼합되면 찰기가 생겨 의도되지 않은 크기의 거대 펠릿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거대 펠릿 덩어리들은 분쇄되지 않고 머물면서 펠릿의 원할한 제조를 방해한다. 따라서, 제조되는 펠릿의 입도가 상이해져 입도 크기 불량이 발생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펠릿화 과정에서 미분탄이 결합제와 혼합되면 찰기가 생겨 드럼에 엉겨 붙어 입도 크기 불량이 발생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로의 상태 등의 필요에 따라서 미분탄 등의 제철 원료의 입도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종래의 펠리타이저는 생산되는 펠릿의 입도 조절을 위한 수단이 없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은 펠릿의 크기를 균일하게 조립할 수 있고,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며, 펠릿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생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드럼부 200: 블레이드
210: 고정축 300: 제거부
310: 제거판 400: 원료 공급부
600: 프레임 810: 포집 갈퀴
820: 이송 장치 821: 이송빔
830: 컨베이어 벨트 840: 포집망
850: 로봇암 851: 로봇핸드

Claims (10)

  1. 프레임;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속되는 판이 수직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드럼부;
    상기 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부 측으로 제철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부;
    하나 이상의 노즐을 가지고, 상기 드럼부 측으로 결합제를 공급하는 결합제 공급부; 및
    상기 제철 원료로부터 조립되는 펠릿 덩어리를 포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포집 배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 배출부는,
    상기 펠릿 덩어리를 포집할 수 있는 포집부;
    상기 펠릿 덩어리를 운반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 및
    상기 포집부가 결합되고, 상기 포집부를 상기 배출부로 이송할 수 있는 이송부
    를 포함하는 펠리타이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드럼부 상측에 위치하는 이송빔; 및 이송 장치는 이송빔에 결합되는데, 이송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빔에 결합되고, 내부의 구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일단이 이송부 일측에 배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 장치에 결합되는 포집 갈퀴를 가지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이송빔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집 갈퀴에 포집되는 상기 펠릿 덩어리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타이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드럼부 상측에 위치하는 이송빔; 및 이송 장치는 이송빔에 결합되는데, 이송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빔에 결합되고, 내부의 구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일단이 이송부 일측에 배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 장치에 결합되는 포집망을 가지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이송빔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집망에 포집되는 상기 펠릿 덩어리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타이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양단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드럼부 상측에 위치하는 이송빔; 및 이송 장치는 이송빔에 결합되는데, 이송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빔에 결합되고, 내부의 구동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일단이 이송부 일측에 배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 장치에 결합되는 로봇암과 상기 로봇암에 결합되는 로봇핸드를 가지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이송빔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로봇핸드에 포집되는 상기 펠릿 덩어리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타이저.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타이저.
  7. 제1항에 있어서,
    판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드럼부의 원판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블레이드
    을 더 포함하는 펠리타이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수단은,
    일측이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되고, 상기 드럼부의 원판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펠리타이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그리고 시계 방향으로 45° 내지 90°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리타이저.
  10. 제7항에 있어서,
    판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블레이드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제거판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거부
    를 더 포함하는 펠리타이저.
KR1020130006585A 2013-01-21 2013-01-21 펠리타이저 Expired - Fee Related KR101427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85A KR101427311B1 (ko) 2013-01-21 2013-01-21 펠리타이저
CN201310721736.3A CN103937967B (zh) 2013-01-21 2013-12-24 造粒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85A KR101427311B1 (ko) 2013-01-21 2013-01-21 펠리타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720A KR20140094720A (ko) 2014-07-31
KR101427311B1 true KR101427311B1 (ko) 2014-08-07

Family

ID=5118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5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7311B1 (ko) 2013-01-21 2013-01-21 펠리타이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7311B1 (ko)
CN (1) CN1039379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0529A (zh) * 2017-11-30 2018-04-20 江苏安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圆盘造粒机
CN108674741A (zh) * 2018-07-24 2018-10-19 大连百味佳食品有限公司 简易按量拨料装置
CN114150149B (zh) * 2021-12-27 2024-07-12 天津市三特电子有限公司 一种圆盘造球机捞大球装置
KR20250094018A (ko) 2023-12-18 2025-06-25 포스코홀딩스 주식회사 양극재 과립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777A (ko) * 2000-12-20 2002-06-26 이구택 펠레타이징드럼내의 고착산화철 및 불량펠릿 제거장치
KR20120020408A (ko) * 2010-08-30 2012-03-08 주식회사 유림산업 제철 원료 균일 크기 조립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72328A (en) * 1964-09-23 1967-06-14 Eirich Wilhel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clined-dish granulators and classifiers
CN2172675Y (zh) * 1993-06-16 1994-07-27 骆湘平 恒温带粒度控制的造粒机
CN2574770Y (zh) * 2002-10-18 2003-09-24 仵光展 转盘式一步制粒机
BRMU8402689Y1 (pt) * 2004-11-04 2013-09-24 dispositivo eliminador de rainhas em discos de pelotament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777A (ko) * 2000-12-20 2002-06-26 이구택 펠레타이징드럼내의 고착산화철 및 불량펠릿 제거장치
KR20120020408A (ko) * 2010-08-30 2012-03-08 주식회사 유림산업 제철 원료 균일 크기 조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720A (ko) 2014-07-31
CN103937967A (zh) 2014-07-23
CN103937967B (zh) 201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65617B (en) Raw pellets containing oxidized metal for a reduction furnace, a method for production the same, a method for reducing the raw pellets and a reducing apparatus
KR101215061B1 (ko) 소결용 원료 혼합물 제조 방법
KR101427311B1 (ko) 펠리타이저
JP5644955B2 (ja) 焼結原料の造粒方法
KR101194249B1 (ko) 제철 원료 균일 크기 조립 장치
EP2318557B1 (en) Charging device for sinter raw material with elastic deflector mat
KR20150047681A (ko) 개선된 펠렛타이저
JP5165943B2 (ja) 含金属副産物の造粒物整粒設備
EP2264195A1 (en) Process for producing cement-bonded ore agglomerates
JP5910831B2 (ja) 焼結用造粒原料の製造方法
JP3635252B2 (ja) 酸化金属の還元方法
CN1276982C (zh) 烧结用原料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KR101751286B1 (ko) 원료 장입장치
JP5263431B2 (ja) 焼結鉱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設備ならびに粉原料投射装置
JP5020501B2 (ja) 焼結原料の事前処理方法及び焼結鉱の製造方法
KR20060033803A (ko) 미분(fines)을 함유하는 그린 응집체(greenagglomerates)를 포함하는 광석의 생산방법
JP2001347228A (ja) 塊状原料の篩分け装置及びその篩分け処理方法
CN218925333U (zh) 一种生球干燥装置及复合造块系统
JPH10121155A (ja) 焼結原料の装入方法
JP4617689B2 (ja) ベルレス原料装入装置を備えた高炉での原料装入方法
KR101577062B1 (ko) 제철원료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분할형 펠렛 조립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펠렛타이저
JP7024649B2 (ja) 焼結用原料の造粒方法
JP2011174135A (ja) 焼結機への原料供給方法
JP4332081B2 (ja) 回転炉床式焼成還元炉による還元鉄の製造方法
JP2004301368A (ja) 焼結原料装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043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9050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