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6462B1 - 케이블 릴 - Google Patents

케이블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462B1
KR101426462B1 KR1020130129108A KR20130129108A KR101426462B1 KR 101426462 B1 KR101426462 B1 KR 101426462B1 KR 1020130129108 A KR1020130129108 A KR 1020130129108A KR 20130129108 A KR20130129108 A KR 20130129108A KR 101426462 B1 KR101426462 B1 KR 101426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pace
side wall
drum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운
백효현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4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02Guiding arrangements to control paying-out and re-storing of the material
    • B65H75/4405Traversing devices; means for orderly arranging the material on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베이스판; 상기 원형 베이스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권취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드럼측벽;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안쪽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공간을 외측풀림공간과 내측풀림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외측풀림공간과 상기 내측풀림공간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둘레를 따라 4개 영역이 동일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부드럼측벽;및 상기 권취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풀림공간에는 케이블의 어느 한 측 단부가 최외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케이블의 어느 한 쪽 영역이 적층되어 감기고, 상기 내측풀림공간에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한 측 단부가 최외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드럼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케이블의 다른 쪽 영역이 적층되어 감기는 케이블 릴을 제공하여, 전체 케이블을 풀지 않고 케이블의 양 단부를 바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릴{Cable reel}
본 발명은 케이블 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 하중의 군용 케이블을 보관하는 케이블 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릴이란, 케이블을 감아 수용하는 릴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케이블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케이블 릴에 감아 보관하거나 운반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5656호(2004.03.10. 공고,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전선 권취용 릴을 기재하고 있다. 본 문헌의 전선 권취용 릴은 릴이 고정대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릴의 양단에 원판이 설치된다. 릴에는 단부에 플러그가 형성된 전선이 감긴다. 그리고 원판에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선 권취용 릴을 사용하는 경우, 작업장에서 전선을 용이하게 운반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본 문헌의 기재된 이러한 전선 권취용 릴과 같은 케이블 릴은 감긴 케이블이 외부에 개방된 상태이다. 그러나 군사용으로 쓰이는 케이블은 험지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케이블을 외부로 개방한 상태로 험지에서 운반하는 경우,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가 상하거나 피복이 손상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위험이 크다. 특히, 군용 케이블의 경우, 대체로 무게가 무겁고 길이가 길기 때문에 이를 설치하고 보관하며 회수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군용 케이블의 경우 정밀한 군사장비에 연결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구조가 복잡하고 정교하여 험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이 크다.
그리고, 케이블 릴에 감긴 케이블을 풀기 위해서는 어느 한 측 단부를 빼어내어 푸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다른 측 단부에 있는 커넥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릴에 감긴 전체 케이블을 모두 풀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군용 케이블이 무게가 무거운 것을 고려할 때 이는 큰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군사 작전 시. 신속히 군사장비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 작전수행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때문에 군용 케이블에 적합한 케이블 릴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케이블을 풀지 않고 케이블의 양 단부를 바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릴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케이블을 야전 상황에서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케이블 릴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 베이스판과, 상기 원형 베이스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권취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드럼측벽과,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안쪽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공간을 외측풀림공간과 내측풀림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외측풀림공간과 상기 내측풀림공간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둘레를 따라 4개 영역이 동일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부드럼측벽 및 상기 권취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풀림공간에는 케이블의 어느 한 측 단부가 최외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케이블의 어느 한 쪽 영역이 적층되어 감기고, 상기 내측풀림공간에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한 측 단부가 최외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드럼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케이블의 다른 쪽 영역이 적층되어 감기는 케이블 릴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에 인접한 상기 내부드럼측벽의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외측풀림공간에서 상기 내측풀림공간을 향하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케이블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외측풀림공간과 연통하는 제1 홀과 상기 내측풀림공간과 연통하는 제 2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의 어느 한 측 단부는 상기 제1 홀을 통해 상기 덮개부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케이블의 다른 한 측 단부는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덮개부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케이블의 어느 한 쪽 영역 단부를 거치하여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제1 케이블단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드럼측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측 영역 단부를 거치하여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제2 케이블단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의 양단이 각각 최외층에 위치하도록, 케이블의 일부를 외측풀림공간에 감기도록 구성하고, 케이블의 다른 일부를 내측풀림공간에 감기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체 케이블을 풀지 않고 케이블의 양 단부를 바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된 케이블을 외부와 차단하는 덮개부를 구비함으로써, 케이블을 야전 상황에서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보관 및 운반하여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풀림공간과 내측풀림공간을 연결하는 4개의 연결부를 구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하나의 케이블을 2개의 영역으로 분리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외측풀림공간과 내측플림공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연결부의 케이블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외부드럼측벽의 내측면과 내부드럼측벽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케이블단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덮개부의 제1 홀 및 제2 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외측풀림공간과 내측풀림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릴(10)은 원형 베이스판(100)과, 외부드럼측벽(200)과, 내부드럼측벽(300)과 덮개부(400)를 포함한다.
원형 베이스판(100)의 둘레를 따라 환형의 외부드럼측벽(200)이 형성되어 개방면이 형성된 원통형 부재를 이룰 수 있다. 이 원통형 부재의 내부에 케이블(20)의 권취공간이 형성된다.
외부드럼측벽(200)의 높이는 수용되는 케이블(20)의 길이 및 직경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내부드럼측벽(300)은 외부드럼측벽(200)의 안쪽에 형성된다. 환형의 내부드럼측벽(300)은 권취공간을 외측풀림공간(A)과 내측풀림공간(B)으로 구획한다. 외측풀림공간(A)은 내부드럼측벽(300)의 바깥 쪽에 위치하며, 내측풀림공간(B)은 내부드럼측벽(300)의 안 쪽에 위치한다. 외측풀림공간(A)에는 케이블(20)의 어느 한 쪽 영역이 감겨 수용되며, 내측풀림공간(B)에는 케이블(20)의 다른 측 영역이 감겨 수용된다.
케이블(20)은 외부드럼측벽(200)의 내측면 또는 내부드럼측벽(30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에서 위로 적층되도록 감겨 수용됨으로써, 수용이 완료되면, 케이블(20)의 양 단부(21,22)가 최외층에 위치하게 된다.
내부드럼측벽(300)에는 4개의 연결부(310)가 등 간격으로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10)는 외측풀림공간(A)과 내측풀림공간(B)이 통하도록 내부드럼측벽(3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310)를 통해 일부 영역이 외측풀림공간(A)에 감긴 케이블(20)의 다른 영역이 내측풀림공간(B)에 진입할 수 있다.
도 3은 연결부의 케이블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310)에 인접한 내부드럼측벽(300)의 하단 모서리에는 케이블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케이블홀(320)은 외측풀림공간(A)에서 내측풀림공간(B)을 향하여 관통하는 케이블(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블홀(320)은 외측풀림공간(A)의 케이블(20)의 수용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고 내측풀림공간(B)의 케이블(20)을 감거나 풀 수 있게 한다.
도 4는 외부드럼측벽의 내측면과 내부드럼측벽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케이블단 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드럼측벽(200)의 내측면에는 케이블(20)의 어느 한 측 단부(21)를 거치하여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제1 케이블단 가이드(2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드럼측벽(300)의 내측면에도 케이블(20)의 다른 측 단부(22)를 거치하여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제2 케이블단 가이드(330)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400)는 외부드럼측벽(20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외측풀림공간(A) 및 내측풀림공간(B)에 감긴 케이블(20)을 외부와 차단시킨다. 이러한. 덮개부(400)는 외부드럼측벽(200)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덮개부의 제1 홀 및 제2 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덮개부(400)에는 외측풀림공간(A)과 연통하는 제1 홀(410)과 내측풀림공간(B)과 연통하는 제 2홀(420)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20)의 어느 한 측 단부(21)는 제1 홀(410)을 통해 덮개부(40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20)의 다른 한 측 단부(22)는 제2 홀(420)을 통해 덮개부(40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릴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케이블 릴
20: 케이블
21,22: 케이블의 단부
100: 원형 베이스판
200: 외부드럼측벽
300: 내부드럼측벽
310: 연결부
400: 덮개부
A: 외측풀림공간
B: 내측풀림공간

Claims (7)

  1. 원형 베이스판;
    상기 원형 베이스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권취공간을 형성하는 외부드럼측벽;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안쪽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공간을 외측풀림공간과 내측풀림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외측풀림공간과 상기 내측풀림공간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둘레를 따라 4개 영역이 동일한 간격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내부드럼측벽;및
    상기 권취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풀림공간에는 케이블의 어느 한 측 단부가 최외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케이블의 어느 한 쪽 영역이 적층되어 감기고, 상기 내측풀림공간에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한 측 단부가 최외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드럼측벽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케이블의 다른 쪽 영역이 적층되어 감기고,
    상기 연결부에 인접한 상기 내부드럼측벽의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외측풀림공간에서 상기 내측풀림공간을 향하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케이블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블 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외측풀림공간과 연통하는 제1 홀과 상기 내측풀림공간과 연통하는 제 2홀이 형성되는 케이블 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어느 한 측 단부는 상기 제1 홀을 통해 상기 덮개부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케이블의 다른 한 측 단부는 상기 제2 홀을 통해 상기 덮개부 밖으로 인출되는 케이블 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드럼측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케이블의 어느 한 쪽 영역 단부를 거치하여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제1 케이블단 가이드가 형성되는 케이블 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드럼측벽의 내측면에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측 영역 단부를 거치하여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제2 케이블단 가이드가 형성되는 케이블 릴.
KR1020130129108A 2013-10-29 2013-10-29 케이블 릴 Active KR101426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108A KR101426462B1 (ko) 2013-10-29 2013-10-29 케이블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108A KR101426462B1 (ko) 2013-10-29 2013-10-29 케이블 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462B1 true KR101426462B1 (ko) 2014-08-05

Family

ID=5174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108A Active KR101426462B1 (ko) 2013-10-29 2013-10-29 케이블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5204A (zh) * 2018-03-26 2018-09-04 江明建 一种网络线路管理盒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673A (ja) * 1991-03-15 1993-04-06 Wl Gore & Assoc Gmbh 管、ケーブル又はホース用巻き上げ装置
JPH0752140Y2 (ja) * 1990-06-14 1995-1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ケーブルリール
JPH10341521A (ja) * 1998-06-03 1998-12-22 Alps Electric Co Ltd ケーブルリール
JP3115406U (ja) * 2005-08-03 2005-11-04 学 枦山 コード・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140Y2 (ja) * 1990-06-14 1995-1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ケーブルリール
JPH0585673A (ja) * 1991-03-15 1993-04-06 Wl Gore & Assoc Gmbh 管、ケーブル又はホース用巻き上げ装置
JPH10341521A (ja) * 1998-06-03 1998-12-22 Alps Electric Co Ltd ケーブルリール
JP3115406U (ja) * 2005-08-03 2005-11-04 学 枦山 コード・ケーブル用リー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5204A (zh) * 2018-03-26 2018-09-04 江明建 一种网络线路管理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0831B2 (en) Cable payout cassette with single layer cable storage area
WO2016170171A3 (en) Cable storage arrangement
RU2016101206A (ru) Короб для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монтажа
JP5856492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巻取装置、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配策構造
US1431352A (en) Carton for flexible conduits
KR200471536Y1 (ko) 케이블드럼용 지그
KR101426462B1 (ko) 케이블 릴
MX2018008627A (es) Punto de demarcacion de la fibra y almacenamiento del cable sobrante.
KR101552549B1 (ko) 이중 케이블 릴 장치
KR20100104662A (ko) 전선릴용 전선 보호판
RU2397937C2 (ru) Способ намотки на катушку мотков наматываемого изделия
CN208869092U (zh) 一种外留线头易堆叠的线缆盘
CA280290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derwater cable deployment
KR200458947Y1 (ko) 케이블 롤 거치대
KR101155371B1 (ko) 케이블 수납장치
KR101554682B1 (ko) 와이어 케이스
KR101690307B1 (ko) 적재와 운반이 용이한 케이블 드럼
JP2007210685A (ja) 巻取り具を備えた配線コード収納ボックス
JP5998166B2 (ja) 光ファイバ巻取り用のカバー付きボビン及びボビン巻き光ファイバ
US20150360903A1 (en) Cord Holding Device
KR200498042Y1 (ko) 이원화된 핀홀이 구비된 플라스틱 보빈
KR101917980B1 (ko) 코일 풀림기
KR102793657B1 (ko) 채비포장조립체
US6226381B1 (en) Telephone line box that prevents tangles of the extension and retraction of a cable
CN217458309U (zh) 一种线缆缠绕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