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543B1 -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3543B1 KR101423543B1 KR1020120157974A KR20120157974A KR101423543B1 KR 101423543 B1 KR101423543 B1 KR 101423543B1 KR 1020120157974 A KR1020120157974 A KR 1020120157974A KR 20120157974 A KR20120157974 A KR 20120157974A KR 101423543 B1 KR101423543 B1 KR 1014235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ject
- medium
- contact
- conveyance
- convey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2—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faulty articles from the main stream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젝트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젝트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젝트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리젝트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젝트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리젝트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170: 매체 회수 모듈
200: 박스 수납부
210: 박스 본체
220: 셔터
230: 연동 부재
240: 시큐리티 부재
250: 간섭 부재
Claims (11)
- 비정상 상태로 판별된 리젝트 매체를 고객에게 반송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젝트 매체가 유입되는 입구부;
상기 리젝트 매체가 상기 고객에게 반송되는 출구부;
상기 리젝트 매체를 상기 입구부에서 상기 출구부로 이송하는 리젝트 이송부; 및
상기 리젝트 매체와 접촉함에 따라 접히는 일단부를 구비하는 접촉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젝트 매체에 추가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력 제공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력 제공 기구는, 상기 리젝트 매체가 상기 출구부 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접촉 시트의 상기 일단부가 상기 리젝트 매체와 멀어져 상기 리젝트 매체와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배치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에 제공되며, 상기 리젝트 매체의 이송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리젝트 매체의 선단을 정렬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력 제공 기구는,
제1 추력 샤프트;
제2 추력 샤프트;
상기 제1 추력 샤프트에 구비된 제1 추력 풀리;
상기 제2 추력 샤프트에 구비된 제2 추력 풀리; 및
상기 제1 추력 풀리와 상기 제2 추력 풀리에 연결되고, 상기 리젝트 매체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시트 벨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촉 시트는, 상기 시트 벨트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젝트 매체에 접촉하여 상기 일단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시트 벨트의 구동에 따라 상기 리젝트 매체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해 상기 리젝트 매체에 상기 추가 이송력을 제공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젝트 이송부는, 상기 리젝트 매체의 일면과 밀착되어 상기 리젝트 매체를 이송하는 이송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벨트는 상기 이송 벨트에 대하여 상기 입구부 측에서 상기 출구부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며,
상기 접촉 시트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접촉 시트가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입구부 측 단부에 위치할 때 상기 리젝트 매체에 접촉하여 접히고, 상기 접촉 시트가 상기 시트 벨트의 중간부에 위치할 때에도 상기 리젝트 매체에 접촉하여 접하되 상기 접촉 시트가 상기 입구부 측에서 상기 출구부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접히는 길이가 감소하며, 상기 접촉 시트가 상기 시트 벨트의 상기 출구부 측 단부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리젝트 매체와 접촉하지 않아 접히지 않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벨트는, 상기 리젝트 이송부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거나,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리젝트 매체의 이송 방향 또는 상기 리젝트 매체의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시트는 상기 시트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시트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리젝트 이송부의 바닥면과 간섭되는 길이로 길게 돌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력 제공 기구는,
추력 샤프트; 및
상기 추력 샤프트에 연결되고,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접촉 시트가 구비되는 시트 롤러;
를 구비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롤러는 상기 리젝트 매체의 이송 방향 또는 상기 리젝트 매체의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시트는 상기 시트 롤러의 외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방사형으로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시트는 고무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리젝트 이송부의 바닥면과 간섭되는 길이로 길게 돌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7974A KR101423543B1 (ko) | 2012-12-31 | 2012-12-31 |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7974A KR101423543B1 (ko) | 2012-12-31 | 2012-12-31 |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7547A KR20140087547A (ko) | 2014-07-09 |
KR101423543B1 true KR101423543B1 (ko) | 2014-07-25 |
Family
ID=5173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7974A Active KR101423543B1 (ko) | 2012-12-31 | 2012-12-31 |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354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27002A (ja) * | 1996-02-22 | 1997-09-02 | Shibaura Eng Works Co Ltd | 紙葉処理装置 |
JPH11189222A (ja) * | 1997-12-25 | 1999-07-13 | Mitsubishi Heavy Ind Ltd | 不良シート排出装置 |
JP2010173759A (ja) * | 2009-01-27 | 2010-08-12 | Oki Electric Ind Co Ltd | 紙葉類分離集積機構 |
KR20110028535A (ko) * | 2008-07-07 | 2011-03-18 |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 매체 반송 장치 및 지폐 자동 입출금기 |
-
2012
- 2012-12-31 KR KR1020120157974A patent/KR10142354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27002A (ja) * | 1996-02-22 | 1997-09-02 | Shibaura Eng Works Co Ltd | 紙葉処理装置 |
JPH11189222A (ja) * | 1997-12-25 | 1999-07-13 | Mitsubishi Heavy Ind Ltd | 不良シート排出装置 |
KR20110028535A (ko) * | 2008-07-07 | 2011-03-18 |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 매체 반송 장치 및 지폐 자동 입출금기 |
JP2010173759A (ja) * | 2009-01-27 | 2010-08-12 | Oki Electric Ind Co Ltd | 紙葉類分離集積機構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7547A (ko) | 2014-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49448B1 (en) | BIll and cheque acceptor | |
KR102112615B1 (ko) | 횡방향 입출금 방식이 적용된 환류형 지폐/수표 입출금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지폐/수표 처리방법 | |
KR20140088946A (ko) | 수표 입출금용 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 |
EP3721419B1 (en) | Open banknote path system | |
KR101183980B1 (ko) |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의 풀링 장치 | |
US20140001105A1 (en) | Device for handling notes of value, comprising a stack merging unit | |
KR20090112890A (ko) |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 |
KR100961575B1 (ko) | 종이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 |
KR20130023914A (ko) |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의 리트랙트 박스 | |
KR101508338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 |
KR101888572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 |
KR101423543B1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 |
JP2009151703A (ja) | 紙幣処理装置 | |
KR101781686B1 (ko) |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 |
KR100990113B1 (ko) |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 |
KR20140057124A (ko) | 지엽류 속출 장치, 지엽류 처리 장치 | |
KR20130138510A (ko) | 환류식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지폐 입출금장치 및 그 운영방법 | |
KR20140084742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기구 | |
KR101437207B1 (ko) | 매체 수납 조출 장치 | |
JP5176739B2 (ja) | 紙幣処理装置及び金銭処理機 | |
KR20220000295A (ko) | 매체 입금기의 얼라인모듈 | |
KR101709093B1 (ko) | 수표 및 지폐 입출금장치 | |
US9990793B2 (en) | Media item separation | |
KR20110035389A (ko) | 지폐처리장치 | |
KR101556328B1 (ko) |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