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223B1 - A camera module having the AF and the OIS function - Google Patents
A camera module having the AF and the OIS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1223B1 KR101421223B1 KR1020140034600A KR20140034600A KR101421223B1 KR 101421223 B1 KR101421223 B1 KR 101421223B1 KR 1020140034600 A KR1020140034600 A KR 1020140034600A KR 20140034600 A KR20140034600 A KR 20140034600A KR 101421223 B1 KR101421223 B1 KR 1014212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magnet
- optical axis
- base
- le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과 마그네트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동시에, 수평방향으로도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광축방향(z축)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자동초점기능(AF)을 수행하고, 광축(z축)과 수직인 평면(x-y평면)상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손떨림 보정기능(OIS)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로서, 바닥면의 각 모서리 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고, 각 측면이 개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고, x-y 평면상으로 권취된 OIS코일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안치되고 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커버와; 외주면을 따라 AF코일부재가 권취되고, 내부에 렌즈모듈이 삽입되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커버의 상기 공간부에 배치된 케리어와; 상기 커버의 개방된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다른 극성이 착자된 마그네트; 및 상기 커버의 상면으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베이스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후크형상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되,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OIS코일부재는 서로 광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의 광축방향으로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커버와 상기 케리어를 x-y평면상으로 구동시켜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capable of correcting camera shake by moving a lens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by an interaction between a coil and a magnet to adjust a focus of a subject and moving the lens in a horizontal direction, (OIS) by driving the lens on a plane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z axis) by driving the lens with the lens A base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in each of the corner directions and each side surface being open; An OIS coil member insert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base and wound on an x-y plane; A cover which is seated in the base and whose side is opened and in which a space is formed; A carrier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F coil member, the carrier being inserted in the lens module and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magnet attached to the open side of the cover and magnetized to have different polarities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ver; And a hook-shaped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ver to the base; Wherein the magnet and the OIS coil member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drive the cover and the carrier on an xy plane by a magne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f the magnet to perform an anti- .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일과 마그네트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동시에, 수평방향으로도 이동시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capable of correcting camera shake by moving a lens in the direction of an optical axis by an interaction between a coil and a magnet to adjust a focus of the subject and moving the lens in a horizontal direction.
통상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PDA(portable degital assistance), 모니터 삽입용 카메라, 자동차의 후면감시 카메라 또는 인터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Typically, the camera module has an image sensor, which is widely used in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 computers, portable degassing assistance, cameras for inserting monitors, rear surveillance cameras of automobiles, or intercoms.
게다가 최근의 카메라 모듈은 매우 높은 화소를 가지고 소형화 및 경량화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촬영된 이미지가 외란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한다.In addition, recent camera modules tend to be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with very high pixels, resulting in image distortion due to the sensitivity of the photographed images to disturbance.
이러한 이미지의 왜곡을 보상하여 선명한 촬영을 하기 위해 자동초점(AF, Auto Focusing)기능 및 손떨림 보상(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기능을 하는 카메라 모듈이 최근 개발되어 상용화되어 있다.Recently, a camera module having an auto focus (AF) function and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function has been rec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tortion of such an image to obtain clear images.
일반적으로 자동초점기능은 렌즈가 수납된 경통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발휘되고, 손떨림 보상기능은 광축방향과 수직한 평면상에서 수평이동신키는 것에 의해 발휘된다.Generally, the auto focus function is exerted by moving the lens barrel accommodating the lens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the camera shake compensation function is exerted by horizontally moving and pressing the key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특히, 손떨림 보상기능과 관련하여, 광축방향과 수직한 평면(x-y평면)상에서의 단순한 평행이동이 아니라 광축방향(z축)으로의 변위를 가함으로써 더욱더 정밀한 손떨림 보상기능을 갖도록 한 카메라 모듈도 있다.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camera shake compensation function, there is a camera module which has a more accurate camera shake compensation function by applying a displacemen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 axis) instead of a simple parallel movement on a plane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
이 중, 특허문헌 1은 자동초점기능에 관련된 마그네트와 손떨림 보정기능과 관련된 마그네트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동일한 마그네트에 의해 위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카메라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Among thes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amera module that performs the above two functions by using the same magnet without separately providing a magnet related to the auto-focus function and a magnet associated with the camera-shake correction function.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카메라 모듈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코일부재에 형성된 삽입공에 자동초점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2코일부재가 삽입되어 동일한 마그네트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시켜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제1코일부재에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극부와 제2코일부재에 자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극성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마그네트의 길이가 길고 하나의 마그네트에 여러개의 극성을 부여해야 하는 제조상의 단점이 있으며, 제1코일부재와 제2코일부재에 작용하는 자기장이 서로 중첩되거나 상쇄되어 렌즈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동력이 커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camera modul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 1, a second coil member for performing an auto-focus function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first coil member for performing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However, since the polarity for forming the magnetic field in the first coil member and the polarity for forming the magnetic field in the second coil member must be separately provid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magnetic field acting on the first coil member and the second coil member are overlapped or cancel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ovement of the le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required for the power source can be increased.
또한, 특허문헌 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보빈의 외주면에 배치된 4개의 마그네트들을 포함하는 가동자에서 인접하는 2개의 마그네트들과 각각 마주하는 오토포커스용 코일블럭과, 나머지 인접하는 2개의 마그네트들과 각각 마주하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블럭을 포함하는 고정자를 가지고 있으며, 오토포커스용 코일블럭은 마그네트의 자기력으로 인해 렌즈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손떨림 보정용 코일블럭은 마그네트의 자기력으로 인해 렌즈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위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되어 있지만, 4면에 있는 코일블럭들을 단순히 오토포커싱용 및 손떨림 보정용으로 구분지어 사용하기 때문에 구동력이 적고, 필요한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코일의 권선수 또는 자기력이 큰 마그네트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As shown in Fig. 2,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n autofocus coil block that faces two adjacent magnets in a mover including four magnets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bobbin, The coil block for autofocus causes the lens to move up and down due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The coil block for the shake correction causes the magnetic flux of the lens to move up and down due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However, since the coil blocks on the four sides are simply classified as auto focusing and shake correction, the driving force is small, and in order to give the required driving force You can use a coil or a magnet with a large magnetic force. There is no problem 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그네트의 수를 줄이면서도 자동초점기능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module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an auto focus function and a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magne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x-y 평면상에서의 수평방향으로의 렌즈 움직임을 간단한 기계적 구조로 z축 방향으로의 변위까지 유도함으로써, 미세하고 정확한 손떨림 보정기능을 가진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module having a fine and accurate camera shake correcting function by guiding the lens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x-y plane to a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with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광축방향(z축)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자동초점기능(AF)을 수행하고, 광축(z축)과 수직인 평면(x-y평면)상으로 렌즈를 구동시켜 손떨림 보정기능(OIS)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로서, 바닥면의 각 모서리 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고, 각 측면이 개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고, x-y 평면상으로 권취된 OIS코일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안치되고 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커버와; 외주면을 따라 AF코일부재가 권취되고, 내부에 렌즈모듈이 삽입되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커버의 상기 공간부에 배치된 케리어와; 상기 커버의 개방된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다른 극성이 착자된 마그네트; 및 상기 커버의 상면으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베이스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후크형상의 탄성부재; 를 포함하되,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OIS코일부재는 서로 광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의 광축방향으로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커버와 상기 케리어를 x-y평면상으로 구동시켜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configured to drive the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 axis) to perform an autofocus function (AF), and to project the image on a plane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 camera module having a base on which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and each side surface is opened; An OIS coil member insert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base and wound on an x-y plane; A cover which is seated in the base and whose side is opened and in which a space is formed; A carrier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F coil member, the carrier being inserted in the lens module and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magnet attached to the open side of the cover and magnetized to have different polarities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ver; And a hook-shaped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ver to the base; Wherein the magnet and the OIS coil member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drive the cover and the carrier on an xy plane by a magne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f the magnet to perform an anti- .
더하여,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판상의 상부 스프링이 결합되고, 상기 케리어의 하면에는 판상의 하부 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ate-shaped upper spring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a plate-shaped lower spring can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arrier.
또한, 상기 마그네트의 저면과 상기 OIS코일부재는 상기 하부 스프링과 상기 OIS코일부재 사이에 개재된 IR캡에 의해 소정간극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ottom surface of the magnet and the OIS coil member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gap by an IR cap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spring and the OIS coil member.
한편, 상기 IR캡의 상면 둘레부에는 상기 하부 스프링을 지지하여 상기 하부 스프링 중앙부의 탄성확보를 위한 지지용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상부 스프링에 형성된 제1관통공을 통해 상기 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스프링에 형성된 제3관통공을 통해 상기 IR캡에 형성된 제4관통공까지 관통되어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고정된다.Meanwhile, a support protrusion for securing the elasticity of the lower spring central portion by supporting the lower spring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R cap, and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spring Through the fourth through hole formed in the IR cap through a third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cond sprin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ase And is fixed to the coupling hole formed on the surface.
또한, 상기 케리어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상부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스프링에는 상기 상부 돌기와 대응되는 상부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돌기가 상기 상부 결합홈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커버가 수평이동할 때 상부 스프링도 함께 이동하면서 탄성복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upper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and an upper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roj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spring, so that the upper projection is fit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elastic restoration can be carried out while moving together.
또한, 상기 마그네트는 광축방향으로의 극성은 동일하며, 상기 커버의 내측이 N극이며, 외측이 S극으로 착자됨으로써 AF용 코일부재에 의해 커버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자동초점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 has the same polarity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the inside of the cover is N-pole and the outside is magnetized to the S-pole so that the cover moves upward by the coil member for AF Do.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동일한 마그네트를 사용하여 자동초점기능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마그네트로부터의 z축방향으로의 자기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마그네트의 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y 평면상에서의 수평방향으로의 렌즈 움직임을 간단한 기계적 구조로 인하여 z축 방향으로의 변위까지 유도함으로써, 미세하고 정확한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automatic focusing function and the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using the same magnet and the magnetic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is used from the magnet, And the movement of the le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xy plane is induced to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due to the simple mechanical structure, so that the fine and accurate correction of the camera shake can be performed.
도 1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또다른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자동초점기능을 수행하는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하는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amera modul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camera modul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chanism for performing an autofocus func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chanism for performing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shaking motion correction function is performed.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module of FIG.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 5의 분해사시도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explanations,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나머지의 구성들이 수납되는 형태를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remaining structures are hou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베이스(100)는 평면(x-y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적인 사각형태이며, 상면의 각 모서리방향으로 하기 설명할 OIS코일부재(200) 및 OIS코일부재가 권취되는 보빈이 함께 실장될 수 있도록 끼움홈(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모퉁이 부근에는 프레임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대가 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The OIS
위 지지대의 높이는 대략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전체높이와 같다.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 i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overall height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IS코일부재(200)는 집속체로서의 막대형상으로 된 보빈에 권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부인 위 OIS코일부재(200)는 x-y평면상에 존재하는 루프에서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OIS
IR캡(900)은 중앙부가 뚫려 있고 판상이다. 상면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지지용 돌기(910)가 형성되어 있고, 각 꼭지점 부분은 외측으로 다소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된 부분에는 제4관통공(950)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탄성부재(600)의 일단부는 위 제4관통공(950)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후술할 커버(300)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IR캡(900) 위로 하부 스프링(800)이 안치된다. 이때, 하부 스프링(800) 또한 판 스프링이며, 위 IR캡(900)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용 돌기(910)에 의해 지지되므로 하부 스프링(800)은 IR캡(900)의 상면으로부터 떠있게 되고, 그로인해 하부 스프링(800)은 IR캡(900)에 안치된 상태에서도 광축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해 탄성복귀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또한, 위 IR캡의 두께에 의해 후술할 마그네트(500)의 저면과 위 OIS코일부재(200)의 상면이 서로 일정간극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부 스프링(800)의 각 모퉁이 부분에는 제3관통공(8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후술할 탄성부재(600)의 일단이 상기 제4관통공(950)까지 연결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위 하부스프링(800)의 상면에 케리어(400)가 안착되어 고정된다.The
케리어(400)는 렌즈모듈(L)이 삽입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 중앙부에는 띠형상으로 AF용 코일부재(450)가 권취되어 있다. The
도 5는 렌즈모듈(L)과 케리어의 프레임은 서로 나사결합되어 일체로 이동하지만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된 상태로 도시하였다. 5, the lens module L and the frame of the carrier are screwed together and move integrally, but are shown in a separated stat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케리어(400)의 프레임 상면 원주면에는 후술할 상부 스프링과의 결합을 위한 4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결국은 케리어(400), 상부스프링(700) 및 하부스프링(800)은 서로 고정되어 일체로 동작한다. The
커버(300)는 평면상으로 볼 때, 대략적인 사각형상을 하고 있으며, 각 꼭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4개의 레그가 형성되어 측면 및 상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위 케리어(400)가 수납되는 공간이 있다.The
또한, 커버(300)의 상면 꼭지점 부근에는 후술할 탄성부재(6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4개의 제2관통공(350)이 커버의 레그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Four second through-
커버(300)의 개방된 4개의 측면에는 각각 마그네트(500)가 부착되어 있고, 마그네트(500)의 외측면에는 집속체로서의 판상의 요크가 부착되어 있다.A
커버(300)의 상면에는 상부스프링(700)이 안치되고, 커버(300)의 저면에는 하부스프링(800)이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부스프링(700),케리어(300)와 하부스프링(800)만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을 뿐이고, 커버(300)는 단지 탄성부재(600)에 의해서만 상부스프링(700) 및 하부스프링(800)과 연결되어 있다.The
마그네트(500)는 x축 및 y축방향으로만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500)는 커버(300)의 어느 한측면을 기준으로 볼 때, 반드시 하나의 자석이 될 필요는 없지만, z축방향으로는 항상 동일한 극성이 부여되도록 배치된다.The
또한, 마그네트(500)는 커버(300)의 레그에 부착고정되며, 각 마그네트(500)의 저면에 착자된 극성이 위 OIS코일부재(200)의 각 단면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The
상부스프링(700)은 위 케리어(400)에 형성된 상부돌기(410)가 끼워질 수 있게 그에 대응하도록 상부결합홈(710)이 형성되어 있어 케리어(40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커버(300)의 상면에 안치되는 높이로 설치된다.The
또한, 상부스프링(700)의 각 꼭지점 부근에도 제1관통공(750)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할 탄성부재(600)의 일단이 제일 처음 삽입되는 구멍이 된다.Also, a first through
상부스프링(700) 또한 하부스프링(800)과 마찬가지로 중앙부가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판상의 스프링이므로 케리어(4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한 후 그 복원력으로 인해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케리어(400)의 상방향 및 하방향의 변위폭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Since the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600)는 후크형상을 하고 있다. 탄성부재(600)의 일단은 상부스프링(700)의 제1관통공(750), 커버(300)의 제2관통공(350), 하부스프링(800)의 제3관통공(850) 및 IR캡(900)의 제4관통공(950)까지 차례로 관통하여 상부스프링(700), 커버(300), 하부스프링(800)및 IR캡(900)을 연결하고 있으며, 타단은 직접 베이스(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공(150)에 삽입고정되어 있다.
Next, as shown in Fig. 5, the
이하, 각 구성들간의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1. AF(자동초점기능)의 작용1. The function of AF (Auto Focus function)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자동초점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6 illustrates a process of performing an auto focus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커버(300)의 측면에 부착되는 4개의 마그네트(500) 중 하나의 마그네트(500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광축방향 중 상방향이 z축 양의 방향, 광축과 수직인 평면을 x-y 평면으로 하고, 도면에서 좌측방향이 x축 양의 방향, 우측방향을 y축 양의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The plane in which the upward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i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 axis and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s the xy plane and the left direction in the drawing is defined a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x axis and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y axis is defined as positive direction.
커버(300)의 내부를 중심으로 하여, 마그네트(500a)는 y축 양의 방향으로 N극과 S극으로 착자되어 있다. 마그네트(500a)의 N극 표면으로부터 자기력선이 나오므로 자기력의 방향은 y축 음의 방향으로 향하고, 케리어(400)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된 AF용 코일부재(450)로는 x축 음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부(미도시)에서 전압을 인가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z축 양의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케리어(40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초점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With the inside of the
2. OIS(손떨림 보상기능)의 작용2. The function of OIS (hand shake compensation function)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동일한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자동초점과 동시에 손떨림 보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고, 동일한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 중 z축 방향으로 발생하는 자기력을 이용해 OIS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이다.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autofocus us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same magnet, and the OIS function is performed us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z axis direction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same magnet .
도 7은 OIS기능을 수행하는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the OIS func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의 마그네트는 도 6의 마그네트(500a)와는 달리 저면이 잘 보이는 마그네트(500b)와 이에 대향배치된 OIS코일부재(200a)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magnet of FIG.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마그네트(500b)의 저면 또한 y축 음의 방향으로 N극과 S극으로 착자되어 있고 자기력선은 마그네트(500b)의 저면과 수직한 방향 즉, z축 음의 방향으로 나온다.The bottom surface of the
이때, 본 실시예의 OIS코일부재(200)는 x-y평면상에서 권취되어 있고, 전류가 x-y평면상의 시계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부(미도시)에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OIS코일부재(200a)의 내측 부재(200a')로는 x축 양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외측 부재(200a")로는 x축 음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될 것이다.At this time, the
또한, OIS코일부재(200a)의 내측 부재(200a')의 상면은 마그네트(500b)의 N극과 대향되고, OIS코일부재(200a)의 외측 부재(200a")의 상면은 마그네트(500b)의 S극과 대향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그러면, OIS코일부재(200a)의 내측 부재(200a')로는 z축 음의 방향으로 자기력이 작용하게 되고, OIS코일부재(200a)의 외측 부재(200a")로는 S극으로 향하는, 즉, z축 양의 방향으로 자기력이 작용하므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전자기력은 y축 양의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Then, a 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따라서, 마그네트(500)을 포함하여 케리어(400)가 수납된 상태의 커버(300)이 전체적으로 y축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메카니즘에 의해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is performed by a mechanism in which the
이는, 전류의 방향과 극성의 방향에 따라 x축 양의 방향, y축 양의 방향, x축 음의 방향 또는 y축 음의 방향으로 전자기력이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결국, 마그네트(500)들이 z축 방향으로의 극성은 동일하게 배치되고 OIS코일부재(200)가 x-y평면상으로 권취되면 광축(z축)과 수직한 평면상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뜻한다. It can be seen that electromagnetic force can act in the direction of positive x-axis, positive y-axis direction, negative x-axis direction or y-axis negative direction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current and polarity, ) Are arranged in the same z-axis direction and the
이때, 탄성부재(600)의 일단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부스프링(700)의 제1관통공(750), 커버(300)의 제2관통공(350), 하부스프링(800)의 제3관통공(850) 및 IR캡(900)의 제4관통공(950)까지 차례로 관통하여 상부스프링(700), 커버(300), 하부스프링(800)및 IR캡(900)을 연결하고 있으며, 타단은 직접 베이스(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공(150)에만 삽입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100)는 고정된 상태로 나머지 구성인 커버(300), 케리어(400), 상부스프링(700), 하부스프링(800) 및 IR캡(900)이 모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하는 것이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또한, 도 8은 본 실시예에 카메라 모듈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단순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만으로 손떨림을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탄성부재(600)로 인해 베이스(100)는 고정되고 이에 실장되는 나머지 모든 구성들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단순한 x-y평면상으로의 선형운동이 아니라 수직방향으로의 운동성분의 합성성분으로 손떨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8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path of the camera module in this embodiment. That is,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correct the camera-shake only by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이상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지 실시예 및 도면에 기재된 사항으로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나 변형이 가능하고 그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있음은 당연하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마그네트(500)의 극성이 내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N극 및 S극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z축 방향으로의 극성의 변화가 없는 한 극성이 바뀔 수 있고, 커버(300)의 각 측면에 부착된 마그네트의 수 또한 1이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although the polarity of the
100: 베이스 200:OIS코일부재
300:커버 400:캐리어
500:마그네트 600:탄성부재
700:상부스프링 800:하부스프링
900:IR캡 L:렌즈모듈
110:끼움홈 150:결합홈
750:제1관통공 350:제2관통공
850:제3관통공 950:제4관통공
450:AF용 코일부재 710:상부결합홈
410:상부돌기 910:지지용돌기100: Base 200: OIS coil member
300: Cover 400: Carrier
500: Magnet 600: Elastic member
700: upper spring 800: lower spring
900: IR cap L: Lens module
110: fitting groove 150: engaging groove
750: first through hole 350: second through hole
850: Third through hole 950: Fourth through hole
450: AF coil member 710: upper coupling groove
410: Upper projection 910: Support projection
Claims (7)
바닥면의 각 모서리 방향으로 끼움홈(110)이 형성되고, 각 측면이 개방된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기 끼움홈(110)에 삽입되고, x-y 평면상으로 권취된 OIS코일부재(200)와;
상기 베이스(100)에 안치되고 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커버(300)와;
외주면을 따라 AF코일부재(450)가 권취되고, 내부에 렌즈모듈(L)이 삽입되어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커버(300)의 상기 공간부에 배치된 케리어(400)와;
상기 커버(300)의 개방된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버(300)의 내측과 외측으로 각각 다른 극성이 착자된 마그네트(500); 및
상기 커버(300)의 상면으로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100)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300)를 상기 베이스(100)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후크형상의 탄성부재(600); 및
상기 케리어(400)의 하면에 결합된 판상의 하부 스프링(800); 을 포함하여,
상기 마그네트(500)와 상기 OIS코일부재(200)는 서로 광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500)의 광축방향으로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커버(300)와 상기 케리어(400)를 x-y평면상으로 구동시켜 손떨림 보정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마그네트(500)의 저면과 상기 OIS코일부재(200)의 상면은, 상기 하부 스프링(800)과 상기 OIS코일부재(200) 사이에 개재된 IR캡(900)에 의해 소정간극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기능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모듈. A camera that performs the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OIS) by driving the lens on the optical axis (z axis) and the lens on the plane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z axis) In the module,
A base 100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110 in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n open side;
An OIS coil member 200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0 of the base 100 and wound on an xy plane;
A cover 300 which is placed in the base 100 and has a side surface opened and a space formed therein;
A carrier 40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F coil member 450 and disposed in the space of the cover 300 so as to be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the lens module L inserted therein;
A magnet 500 attached to the open side surface of the cover 300 and magnetiz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ver 300 with different polarities; And
A hook-shaped elastic member 600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00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base 100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ver 300 to the base 100, ; And
A plate-shaped lower spring 800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arrier 400; Including,
The magnet 500 and the OIS coil member 2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o that the cover 300 and the carrier 400 are moved in the xy plane direction by the magne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f the magnet 500 To perform the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gnet 5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IS coil member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gap by an IR cap 900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pring 800 and the OIS coil member 200 Camera module with auto focus function and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판상의 상부 스프링(700)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자동초점기능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ate-shaped upper spring 700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The camera module has an auto focus function and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상기 IR캡(900)의 상면 둘레부에는 상기 하부 스프링(800)을 지지하여 상기 하부 스프링(800) 중앙부의 탄성확보를 위한 지지용 돌기(9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기능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모듈.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upport protrusion 910 for securing the elasticity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pring 800 by supporting the lower spring 8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R cap 900. [ A camera module having a function.
상기 탄성부재(600)의 일단은 상기 상부 스프링(700)에 형성된 제1관통공(750)을 통해 상기 커버(300)의 상면에 형성된 제2관통공(350)으로 삽입되어 상기 하부 스프링(800)에 형성된 제3관통공(850)을 관통하여 상기 IR캡(900)의 제4관통공(950)까지 관통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600)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공(15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기능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모듈.5. The method of claim 4,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6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35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0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750 formed in the upper spring 700,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600 is connected to the fourth through hole 950 of the IR cap 900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850 formed in the base 100, And the camera module is fixed to the coupling hole (1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케리어(40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상부 돌기(4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스프링(700)에는 상기 상부 돌기(410)와 대응되는 상부 결합홈(71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돌기(410)가 상기 상부 결합홈(710)에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기능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모듈.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lurality of upper protrusions 41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400 and an upper coupling groove 7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protrusions 410 is formed in the upper spring 700, Is fitted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710).
상기 마그네트(500)는 광축방향(z축방향)으로의 극성은 동일하며, 상기 커버(300)의 내측이 N극이며, 외측이 S극으로 착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초점기능 및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and 5,
Wherein the magnet 500 has the same polarit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the inside of the cover 300 is N-pole and the outside is magnetized S-pole. .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4600A KR101421223B1 (en) | 2014-03-25 | 2014-03-25 | A camera module having the AF and the OIS function |
PCT/KR2014/007528 WO2015147385A1 (en) | 2014-03-25 | 2014-08-13 | Camera module having auto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4600A KR101421223B1 (en) | 2014-03-25 | 2014-03-25 | A camera module having the AF and the OIS fun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1223B1 true KR101421223B1 (en) | 2014-07-22 |
Family
ID=5174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4600A Active KR101421223B1 (en) | 2014-03-25 | 2014-03-25 | A camera module having the AF and the OIS func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1223B1 (en) |
WO (1) | WO2015147385A1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607214A (en) * | 2015-05-28 | 2016-05-25 | 惠州市大亚湾永昶电子工业有限公司 | A lens drive device with a jitter correction function |
KR20160073843A (en) * | 2014-12-17 | 2016-06-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WO2016137081A1 (en) * | 2015-02-23 | 2016-09-01 | 자화전자 주식회사 | Stabilizing device for shaking of camera and camera lens module comprising same |
KR101682178B1 (en) * | 2015-06-12 | 2016-12-02 | 주식회사 엠씨넥스 | Camera module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
WO2017164432A1 (en) * | 2016-03-22 | 2017-09-28 | (주)파트론 | Lens driving device |
WO2018016789A1 (en) * | 2016-07-21 | 2018-01-25 | 엘지이노텍(주)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
WO2018155964A1 (en) * | 2017-02-27 | 2018-08-30 | (주)엠디펄스 | Ois camera module |
CN108535840A (en) * | 2015-04-16 | 2018-09-14 | 核心光电有限公司 | The magazine auto-focusing of compact type folding formula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
KR102322613B1 (en) | 2020-05-29 | 2021-11-08 | 주식회사 옵티맥 | Camera module |
WO2022181854A1 (en) * | 2021-02-26 | 2022-09-01 | 자화전자(주) | Camera lens module driving mechanism |
KR20240158076A (en) | 2023-04-26 | 2024-11-04 | (주)에이피텍 | Ois baffle attach system |
KR20240158074A (en) | 2023-04-26 | 2024-11-04 | (주)에이피텍 | Ois fpcb / vcm attach inline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4090A1 (en) * | 2015-11-20 | 2017-05-26 | 三美电机株式会社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ing device |
CN105573015B (en) * | 2016-02-18 | 2018-05-08 | 河南省皓泽电子有限公司 | A kind of stabilization automatic focusing mechanism |
WO2017206053A1 (en) * | 2016-05-31 | 2017-12-07 | 三美电机株式会社 |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camera holding apparatus |
CN113259567B (en) | 2021-05-20 | 2023-02-07 |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 Optical image stabilization imaging device |
CN113301230B (en) | 2021-05-20 | 2023-03-24 |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 Camera device with image compensation and automatic focusing function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9619B1 (en) * | 2010-06-16 | 2011-10-05 | 주식회사 하이소닉 | Small Image Stabilization Camera Module |
KR101085645B1 (en) * | 2010-10-04 | 2011-11-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Imaging device with image stabilization |
KR20120097122A (en) * | 2011-02-24 | 2012-09-03 | 주식회사 하이소닉 | Autofocus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ing apparutus for camera, and the camera with the same |
KR101273793B1 (en) | 2012-03-20 | 2013-06-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optical image stabiliz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6678A (en) * | 2008-12-10 | 2010-06-18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optical image stabilizer |
KR101204587B1 (en) * | 2010-10-29 | 2012-11-23 | 삼성전기주식회사 | Image photographing device having function for compensation hand vibration |
KR101197077B1 (en) * | 2011-02-24 | 2012-11-07 | 주식회사 하이소닉 | Autofocus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ing apparutus for camera, and the camera with the same |
-
2014
- 2014-03-25 KR KR1020140034600A patent/KR101421223B1/en active Active
- 2014-08-13 WO PCT/KR2014/007528 patent/WO201514738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9619B1 (en) * | 2010-06-16 | 2011-10-05 | 주식회사 하이소닉 | Small Image Stabilization Camera Module |
KR101085645B1 (en) * | 2010-10-04 | 2011-11-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Imaging device with image stabilization |
KR20120097122A (en) * | 2011-02-24 | 2012-09-03 | 주식회사 하이소닉 | Autofocus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ing apparutus for camera, and the camera with the same |
KR101273793B1 (en) | 2012-03-20 | 2013-06-11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optical image stabilizer |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25458A (en) * | 2014-12-17 | 2021-10-1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20160073843A (en) * | 2014-12-17 | 2016-06-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2600119B1 (en) | 2014-12-17 | 2023-11-0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20220121756A (en) * | 2014-12-17 | 2022-09-0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2434339B1 (en) | 2014-12-17 | 2022-08-2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KR102311090B1 (en) | 2014-12-17 | 2021-10-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amera module |
WO2016137081A1 (en) * | 2015-02-23 | 2016-09-01 | 자화전자 주식회사 | Stabilizing device for shaking of camera and camera lens module comprising same |
CN108535840A (en) * | 2015-04-16 | 2018-09-14 | 核心光电有限公司 | The magazine auto-focusing of compact type folding formula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
CN105607214A (en) * | 2015-05-28 | 2016-05-25 | 惠州市大亚湾永昶电子工业有限公司 | A lens drive device with a jitter correction function |
KR101682178B1 (en) * | 2015-06-12 | 2016-12-02 | 주식회사 엠씨넥스 | Camera module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
WO2017164432A1 (en) * | 2016-03-22 | 2017-09-28 | (주)파트론 | Lens driving device |
US10935752B2 (en) | 2016-07-21 | 2021-03-02 | Lg Innotek Co., Ltd.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
WO2018016789A1 (en) * | 2016-07-21 | 2018-01-25 | 엘지이노텍(주)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
US11921349B2 (en) | 2016-07-21 | 2024-03-05 | Lg Innotek Co., Ltd.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
WO2018155964A1 (en) * | 2017-02-27 | 2018-08-30 | (주)엠디펄스 | Ois camera module |
KR102322613B1 (en) | 2020-05-29 | 2021-11-08 | 주식회사 옵티맥 | Camera module |
WO2022181854A1 (en) * | 2021-02-26 | 2022-09-01 | 자화전자(주) | Camera lens module driving mechanism |
KR20240158076A (en) | 2023-04-26 | 2024-11-04 | (주)에이피텍 | Ois baffle attach system |
KR20240158074A (en) | 2023-04-26 | 2024-11-04 | (주)에이피텍 | Ois fpcb / vcm attach inline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47385A1 (en) | 2015-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1223B1 (en) | A camera module having the AF and the OIS function | |
KR102132018B1 (en) | Camera module | |
US11885977B2 (en) | Camera module | |
KR102421070B1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1751105B1 (en) | Camera module | |
KR101825731B1 (en) | Camera lens module with structur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 |
JP6602344B2 (en) | Image stabilizer | |
KR101504024B1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CN113568247B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 |
CN105824168B (en) | lens shifter | |
KR101343197B1 (en) | Camera module | |
KR101498356B1 (en) | Lens actuator | |
KR101643160B1 (en) | Tilting type optical image stabilizer camera module | |
KR20160121298A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
KR101730268B1 (en) | Camera module | |
KR20140140329A (en) | Camera module | |
KR101651115B1 (en) | Auto focusing camera module having two lens assemblies | |
KR20160072715A (en) | Camera module | |
KR101470470B1 (en) | Camera actuator with auto focus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er for portable device | |
US20190196138A1 (en) | Camera module | |
KR20170043889A (en) | Camera module | |
US11803099B2 (en) | Camera module | |
KR20160021562A (en) | Lens moving unit | |
KR102522630B1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JP2022541785A (en) | The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