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20642B1 -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642B1
KR101420642B1 KR1020130098005A KR20130098005A KR101420642B1 KR 101420642 B1 KR101420642 B1 KR 101420642B1 KR 1020130098005 A KR1020130098005 A KR 1020130098005A KR 20130098005 A KR20130098005 A KR 20130098005A KR 101420642 B1 KR101420642 B1 KR 101420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cket
ring
screw cap
faste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균묵
조산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강리메텍
Priority to KR102013009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6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관상의 소켓과; 상기 소켓 내면의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소켓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에 체결되는 오링과; 상기 소켓의 단부에 안착되며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편이 구비된 그랩링과; 상기 파이프가 상기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오링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편의 경사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내측 둘레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을 구비한 스크류캡; 및 상기 오링와 상기 그랩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캡을 상기 소켓에 체결시에 상기 탄성편이 상기 파이프의 외면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밀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시에 그랩링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파이프와 파이프가 연결되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PIPE COUPLER HAVING ADHESION PART}
본 발명은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물이나 유류와 같은 유체나 가스와 같은 유체를 수송하는데 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파이프는 운반이나 취급상의 제약에 의해 일정규격으로 제조되어 발매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의 규격 길이보다 긴 길이로 파이프를 설치한다든가 일정 각도 절곡되어 파이프를 설치하여야 할 경우에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를 사용하거나 파이프를 서로 연결 용접하여야만 한다.
수도나 난방 등을 위한 배관에 사용되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특히 그랩링(20)을 이용하여 본체(10) 내에 삽입된 파이프(1)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된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가 연결작업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종래부터 주로 실내 배관에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 연결구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탄성편을 구비한 그랩링(20)과 오링(30)을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하여 본체(10) 끝단부에 캡(40)을 결합하거나(도 1 참고), 본체(10)의 끝단부를 절곡하였다(도 2 참고).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는, 그랩링(20)에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탄성편의 경사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별도의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연결된 파이프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시에 파이프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1)의 연결을 위하여 파이프(1)를 파이프 연결구의 본체(10) 내부로 삽입시에 파이프(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파이프(1)의 외면과 그랩링(20)의 상기 탄성편 사이의 접촉력이 크도록 그랩링(20)을 형성하게 되므로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구에 초기 삽입시에 그랩링(20)과 파이프 외면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파이프를 삽입하는 작업에 많은 힘이 필요하여 시공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시에 작은 힘으로도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구에 초기 삽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관상의 소켓과; 상기 소켓 내면의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소켓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에 체결되는 오링과; 상기 소켓의 단부에 안착되며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편이 구비된 그랩링과; 상기 파이프가 상기 소켓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오링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편의 경사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내측 둘레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을 구비한 스크류캡; 및 상기 오링와 상기 그랩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캡을 상기 소켓에 체결시에 상기 탄성편이 상기 파이프의 외면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밀착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재는 중심에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공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편과 접촉되는 상기 파이프공의 주연부에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링형상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소켓에 상기 스크류캡을 체결시에 상기 그랩링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그랩링이 상기 소켓의 단부면 측으로 압착되도록 상기 밀착부재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캡의 내면에는 상기 소켓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캡의 내면에는 상기 그랩링의 탄성편과 탄성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그랩링의 자유 회전을 방지하는 복수의 회전방지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상기 탄성편과 탄성편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단부는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의 내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 삽입되어 상기 밀착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유동방지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켓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소켓에 체결되는 상기 스크류캡의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링형상의 회전제한부재가 상기 소켓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캡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회전제한부재의 일측면은 상기 소켓에 상기 스크류캡이 체결되는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캡의 내면에는 상기 소켓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크랩링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스크류캡이 상기 소켓에 체결시에 상기 크랩링을 상기 소켓 측으로 압착시킬 수 있는 단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시에 사용되는 파이프 연결구의 내부에 별도의 그랩링과 그랩링을 압착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된 밀착부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구에 초기 삽입시에 큰 힘이 들지 않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에 별도의 스크류캡을 체결시킴으로써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의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스크류캡의 내부 둘레면에 지지턱을 구비하여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에 스크류캡을 체결시에 상기 지지턱이 그랩링의 탄성편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에 연결한 파이프가 임의로 이탈됨을 방지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밀착부재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밀착부재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는, 내면에 걸림턱(110)이 형성되고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관상의 소켓(100)과, 소켓(100) 내면의 상기 걸림턱(110)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소켓(100)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에 체결되는 오링(200)과, 소켓(100)의 단부에 안착되며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편(310)이 구비된 그랩링(300)과, 상기 파이프가 소켓(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100)의 외면에 결합되어 오링(2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탄성편(310)의 경사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내측 둘레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410)을 구비한 스크류캡(400), 및 오링(200)와 그랩링(300) 사이에 배치되어 스크류캡(400)을 소켓(100)에 체결시에 탄성편(310)이 상기 파이프의 외면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면(510)이 형성된 밀착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소켓(100)은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을 위하여 일측이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가 삽입되어 그 내부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소켓(100)은 내부에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관상의 부재로서 그 외면에는 스크류캡(400)이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벽면 하측에는 오링(200)이 안착될 수 있는 걸림턱(11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100)의 외면 일측에는 소켓(100)에 체결되는 스크류캡(400)의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링형상의 회전제한부재(120)가 소켓(10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캡(400)의 단부와 접촉되는 이러한 회전제한부재(120)의 일측면은 소켓(100)에 스크류캡(400)이 체결되는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소켓(100)의 단부에서 회전제한부재(120) 사이의 길이가 소켓(100)의 외면에 체결되는 스크류캡(400)의 내벽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더라도 스크류캡(400)이 소켓(100)측으로 완전히 밀착되어 소켓(100)의 단부에 스냅링(3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소켓(100)의 걸림턱(110)에 안착되는 오링(200)은 탄성재질로 형성된 부재로서 소켓(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외면에 체결되어 연결된 파이프와의 이음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오링(200)이 파이프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오링(200)의 직경은 연결되는 파이프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되는 파이프가 소켓(100)의 내부로 삽입시에 오링(200)의 표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부드럽게 파이프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링(200)은 원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랩링(300)은 소켓(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오링(2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과 긴밀하게 접촉되어 소켓(100)의 내부로 삽입된 파이프가 임의로 소켓(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파이프의 외면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그랩링(300)의 중심에는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의 내면에는 파이프가 삽입시에 파이프의 외면과 접촉되는 복수의 탄성편(310)이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배치되어 있다.
탄성편(310)은 그랩링(300)의 상기 삽입공으로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파이프의 삽입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되, 삽입된 파이프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탄성편(310)은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스크류캡(400)의 내면에 돌출되게 구비된 회전방지부재(420)가 탄성편(310)과 탄성편(31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탄성편(310)의 개수는 복수로 형성된다면 몇 개던지 무방하나, 다만 파이프의 외면과 접촉되어 파이프를 지지시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도록 짝수개로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스크류캡(400)은 소켓(100)의 외면에 결합시에 탄성편(310)의 일측과 접촉되어 탄성편(310)의 경사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내측 둘레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41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류캡(400)의 내면에는 소켓(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101)과 체결되는 나사산(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는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류캡(400)의 저면에는 그랩링(300)의 탄성편(310)의 경사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크류캡(400)을 소켓(100)의 외면에 체결시에 탄성편(310)과 접촉되는 지지턱(410)이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 단부에는 그랩링(300)을 소켓(100)의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소켓(100)의 외면에 체결시에 그랩링(300)의 외면과 접촉되는 단턱부(4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캡(400)의 내면에는 그랩링(300)의 탄성편(310)과 탄성편 (310)사이에 삽입되어 그랩링(300)의 자유 회전을 방지하는 복수의 회전방지부재(42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크류캡(400)을 회전시키면서 소켓(100)의 외면에 체결시키기 위하여 스크류캡(400)의 단부를 소켓(100)의 단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그랩링(300)의 탄성편(310)과 탄성편(310) 사이에 회전방지부재(420)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그랩링(3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러한 그랩링(300)의 파손을 방지하고 회전방지부재(420)가 탄성편(310)과 탄성편(31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으로 회전방지부재(420)의 단부를 굴곡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밀착부재(500)는 오링(200)과 그랩링(300) 사이에 배치되어 스크류캡(400)을 소켓(100)에 체결시에 밀착부재(500)의 일측면이 그랩링(300)의 일측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밀착부재(500)가 그랩링(300)의 일측면과 밀착이 이루어지면 밀착부재(500)에 형성된 경사면(520)이 그랩링(300)의 탄성편(310)과 밀착되면서 경사지게 배치된 탄성편(310)이 일정 각도 펼쳐지도록 하여 파이프의 외면에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밀착부재(500)는 중심에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공(520)이 구비되고, 탄성편(310)과 접촉되는 파이프공(520)의 주연부에 상기 경사면(510)이 형성된 링형상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밀착부재(500)의 외면에는 소켓(100)에 스크류캡(400)을 체결시에 그랩링(30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그랩링(300)이 소켓(100)의 단부면 측으로 압착되도록 밀착부재(50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확장부(5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밀착부재(500)의 내면에는 스크류캡(400)에 형성된 회전방지부재(420)가 삽입되어 밀착부재(500)의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유동방지홈(530)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유동방지홈(530)의 개수는 스크류캡(400)에 형성된 회전방지부재(4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짝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를 이용하여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를 파이프의 일측에 고정 경합되도록 한 후에,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소켓(1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파이프의 삽입은 파이프의 단부가 소켓(100) 내부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에 접촉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파이프의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파이프의 외면에는 오링(200)이 견고하게 삽입됨으로써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그랩링(300)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탄성편(310)이 소켓(100)의 내부로 삽입된 파이프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탄성편(310)은 파이프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소켓(100)의 내부공간으로 파이프의 삽입이 완료되면 파이프의 외면에 삽입된 상태로 존재하던 스크류캡(400)을 소켓(100) 측으로 밀어서 스크류캡(400)의 단부가 소켓(100)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 후, 스크류캡(400)을 회전 구동시키면 스크류캡(40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401)과 소켓(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101)이 상호 맞물리어 체결되면서 스크류캡(400)이 소켓(100)의 외면에 서서히 삽입되게 된다.
스크류캡(400)의 회전 구동이 진행되어 스크류캡(400)의 단부가 소켓(100)의 외면에 구비된 회전제한부재(120)의 단부에 접촉되면 단턱부(430)는 밀착부재(500)와 그랩링(300)을 소켓(100)의 단부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이때, 밀착부재(500)에 형성된 경사면이 그랩링(300)의 탄성편(310)과 밀착되면서 경사지게 배치된 탄성편(310)이 일정 각도 펼쳐지도록 하면서 삽입된 파이프의 외면과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시공성이 향상된다.
즉, 파이프를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에 초기 삽입시에는 그랩링(300)의 탄성편(310)과 압착되지 않으므로 파이프를 용이하게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로 삽입이 가능하며, 파이프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스크류캡(400)을 소켓(100)에 체결함으로써 그랩링(300)의 탄성편(310)이 파이프의 외면과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크류캡(400)의 지지턱(410)이 탄성편(310)의 일측면과 접촉됨으로써 탄성편(310)이 경사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소켓(100)의 내부로 삽입된 파이프가 임의로 소켓(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연결이 완료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파이프 100 : 소켓
101 : 나사산 110 : 걸림턱
120 : 회전제한부재 200 : 오링
300 : 그랩링 310 : 탄성편
400 : 스크류캡 401 : 나사산
410 : 지지턱 420 : 회전방지부재
430 : 단턱부 500 : 밀착부재
510 : 경사면 520 : 파이프공
530 : 유동방지홈 540 : 확장부

Claims (10)

  1. 내면에 걸림턱(110)이 형성되고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관상의 소켓(100)과;
    상기 소켓(100) 내면의 상기 걸림턱(110)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소켓으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면에 체결되는 오링(200)과;
    상기 소켓(100)의 단부에 안착되며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탄성편(310)이 구비된 그랩링(300)과;
    상기 파이프가 상기 소켓(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100)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오링(2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편(310)의 경사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그 내측 둘레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턱(410)을 구비한 스크류캡(400); 및
    상기 오링(200)와 상기 그랩링(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캡(400)을 상기 소켓(100)에 체결시에 상기 탄성편(310)이 상기 파이프의 외면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경사면(510)이 형성된 밀착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캡(400)의 내면에는 상기 그랩링(300)의 탄성편(310)과 탄성편 (310)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그랩링(300)의 자유 회전을 방지하는 복수의 회전방지부재(42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500)는 중심에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공(520)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편(310)과 접촉되는 상기 파이프공(520)의 주연부에 상기 경사면(510)이 형성된 링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500)의 외면에는 상기 소켓(100)에 상기 스크류캡(400)을 체결시에 상기 그랩링(30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그랩링(300)이 상기 소켓(100)의 단부면 측으로 압착되도록 상기 밀착부재(50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0)의 외면에는 나사산(101)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캡(400)의 내면에는 상기 소켓(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101)과 체결되는 나사산(4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420)가 상기 탄성편(310)과 탄성편(31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방지부재(420)의 단부는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500)의 내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420)가 삽입되어 상기 밀착부재(500)의 유동을 방지하는 복수의 유동방지홈(530)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소켓(100)에 체결되는 상기 스크류캡(400)의 체결 깊이를 제한하는 링형상의 회전제한부재(120)가 상기 소켓(100)의 직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캡(400)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회전제한부재(120)의 일측면은 상기 소켓(100)에 상기 스크류캡(400)이 체결되는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10.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캡(400)의 내면에는 상기 소켓(100)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크랩링(300)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스크류캡(400)이 상기 소켓(100)에 체결시에 상기 크랩링(300)을 상기 소켓(100) 측으로 압착시킬 수 있는 단턱부(4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KR1020130098005A 2013-08-19 2013-08-19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Active KR101420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005A KR101420642B1 (ko) 2013-08-19 2013-08-19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005A KR101420642B1 (ko) 2013-08-19 2013-08-19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642B1 true KR101420642B1 (ko) 2014-07-17

Family

ID=5174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005A Active KR101420642B1 (ko) 2013-08-19 2013-08-19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6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115A (ko) * 2015-04-22 2016-11-02 (주)서린수전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
WO2019182192A1 (ko) * 2018-03-21 2019-09-26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파이프 커넥터
KR20200117503A (ko) * 2019-04-04 2020-10-14 이정현 영농형 양면 태양광 모듈 시스템
KR102323500B1 (ko) * 2021-01-14 2021-11-09 주식회사 정산애강 그랩링 모듈부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KR20230068822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피제이 용전 파이프 연결구
KR20230139646A (ko) 2022-03-28 2023-10-05 티케이지애강 주식회사 그랩링 결합부가 형성된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60Y1 (ko) * 2003-05-27 2003-08-27 서원기 원 터치 배관 연결구조
KR200373381Y1 (ko) * 2004-10-22 2005-01-21 박종석 파이프 조인트
KR200391678Y1 (ko) * 2005-03-30 2005-08-08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투명관 이음장치
KR20110005102U (ko) * 2009-11-17 2011-05-25 주식회사 코뿔소 주름파이프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60Y1 (ko) * 2003-05-27 2003-08-27 서원기 원 터치 배관 연결구조
KR200373381Y1 (ko) * 2004-10-22 2005-01-21 박종석 파이프 조인트
KR200391678Y1 (ko) * 2005-03-30 2005-08-08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투명관 이음장치
KR20110005102U (ko) * 2009-11-17 2011-05-25 주식회사 코뿔소 주름파이프의 연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115A (ko) * 2015-04-22 2016-11-02 (주)서린수전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
KR101719294B1 (ko) * 2015-04-22 2017-03-24 (주)서린수전 자동체결이 가능한 팝업 배관용 잠금너트
WO2019182192A1 (ko) * 2018-03-21 2019-09-26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파이프 커넥터
KR20190110793A (ko) * 2018-03-21 2019-10-01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파이프 커넥터
KR102078646B1 (ko) * 2018-03-21 2020-02-19 피피아이평화 주식회사 파이프 커넥터
KR20200117503A (ko) * 2019-04-04 2020-10-14 이정현 영농형 양면 태양광 모듈 시스템
KR102233670B1 (ko) * 2019-04-04 2021-03-29 이정현 영농형 양면 태양광 모듈 시스템
KR102323500B1 (ko) * 2021-01-14 2021-11-09 주식회사 정산애강 그랩링 모듈부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KR20230068822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피제이 용전 파이프 연결구
KR102549182B1 (ko) 2021-11-11 2023-06-30 주식회사 피제이 용전 파이프 연결구
KR20230139646A (ko) 2022-03-28 2023-10-05 티케이지애강 주식회사 그랩링 결합부가 형성된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KR102728338B1 (ko) * 2022-03-28 2024-11-11 티케이지애강 주식회사 그랩링 결합부가 형성된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642B1 (ko)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US8757670B2 (en) Pipe connection consisted on interior of a joint pipe
EP3249276B1 (en) Resin pipe joint structure
RU195324U1 (ru) Гнездовой штуцер соединения, позволяющий вставку штыревого штуцера с уменьшенной силой
US20100253075A1 (en) Sanitary Retainer
KR101195280B1 (ko)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KR101548111B1 (ko) 관 연결 소켓
ES2899039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de tubería de un toque
KR200443803Y1 (ko) 파이프 접속용 그립링
KR101404660B1 (ko)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42064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420641B1 (ko) 파이프 회전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
KR20190024024A (ko) 풀림 및 누설이 방지되는 플랜지
KR100982715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 편수관 연결구조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JP5818855B2 (ja) 管継手
KR102323500B1 (ko) 그랩링 모듈부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KR20190000418A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1638835B1 (ko) 파이프 연결구
JP4724765B2 (ja) 管継手
KR200409053Y1 (ko) 파이프 이음구조
KR102728338B1 (ko) 그랩링 결합부가 형성된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KR101703720B1 (ko) 이탈방지용 삽입형 링조인트 배관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5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6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