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063B1 -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8063B1 KR101418063B1 KR1020120120662A KR20120120662A KR101418063B1 KR 101418063 B1 KR101418063 B1 KR 101418063B1 KR 1020120120662 A KR1020120120662 A KR 1020120120662A KR 20120120662 A KR20120120662 A KR 20120120662A KR 101418063 B1 KR101418063 B1 KR 101418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ula
- carbon atoms
- group
- repeating unit
- hydrog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20—Polysulfones
- C08G75/23—Polyethersulf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6—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2은 실시예 9 내지 12에서 얻어진 폴리설폰계 고분자의 1H-NMR 스펙트럼을 타낸 것이다.
도3은 실시예 16 에서 얻어진 폴리설폰계 고분자의 1H-NMR 스펙트럼을 타낸 것이다.
도 4은 실시예 19에서 제조된 폴리에테르술폰 고분자막 표면의 10,000배 확대 SEM사진(a)과 상기 고분자막 단면 5,000배 확대 SEM사진(b)을 나타낸 것이다.
3,3'-disulfonated-4,4'-dichlorodiphenyl sulfone | 4,4'-dichlorodiphenyl sulfone | Bisphenol-A | |
실시예2 | 0.2 | 0.8 | 1 |
실시예3 | 0.25 | 0.75 | 1 |
실시예4 | 0.3 | 0.7 | 1 |
실시예5 | 0.35 | 0.65 | 1 |
실시예6 | 0.4 | 0.6 | 1 |
3,3'-disulfonated-4,4'-dichlorodiphenyl sulfone | 4,4'-dichlorodiphenyl sulfone | 4,4'-Dihydroxydiphenyl ether | |
실시예8 | 0.1 | 0.9 | 1 |
실시예9 | 0.2 | 0.8 | 1 |
실시예10 | 0.25 | 0.75 | 1 |
실시예11 | 0.3 | 0.7 | 1 |
실시예12 | 0.35 | 0.65 | 1 |
실시예13 | 0.4 | 0.6 | 1 |
실시예14 | 0.45 | 0.55 | 1 |
3,3'-disulfonated-4,4'-dichlorodiphenyl sulfone | 4,4'-dichlorodiphenyl sulfone | 4,4'-Biphenol | |
실시예16 | 0.2 | 0.8 | 1 |
실시예17 | 0.3 | 0.7 | 1 |
실시예18 | 0.4 | 0.6 | 1 |
실시예 | 이온교환용량(IEC) [meqv/g]a |
설폰화도(Mea. DS) (%)b | IV (dL g-1)c |
Mn (g mol-1)c |
Tg (oC)d |
1 | 0.44 | 10 | 0.94 | 58,000 | 208 |
2 | 0.84 | 20 | 1.10 | 54,000 | 220 |
3 | 1.04 | 25 | 0.98 | 44,000 | 225 |
4 | 1.22 | 29 | 1.06 | 46,000 | 230 |
5 | 1.40 | 34 | 0.93 | 41,000 | 234 |
6 | 1.58 | 40 | 1.06 | 39,000 | 238 |
7 | 0.14 | 3 | 0.88 | 52,000 | 182 |
8 | 0.46 | 10 | 0.92 | 48,000 | 187 |
9 | 0.89 | 20 | 1.25 | 43,000 | 200 |
10 | 1.10 | 24 | 1.38 | 40,000 | 203 |
11 | 1.29 | 30 | 1.53 | 45,000 | 210 |
12 | 1.48 | 35 | 1.22 | 43,200 | 215 |
13 | 1.67 | 40 | 1.27 | 49,000 | 225 |
14 | 1.84 | 44 | 1.41 | 38,000 | 228 |
15 | 0.48 | 10 | 1.48 | 49,000 | 232 |
16 | 0.93 | 20 | 1.37 | 51,600 | 246 |
17 | 1.34 | 30 | 1.47 | 40,400 | 260 |
18 | 1.72 | 40 | 1.50 | 41,400 | 271 |
Claims (14)
-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설폰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첨가제:
[화학식1]
상기 화학식1에서, R1내지 R8 중 적어도 하나는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나머지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화학식2]
상기 화학식2에서, R11내지 R18 각각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화학식3]
상기 화학식3에서, Ar은 하기 화학식 5 내지 화학식 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방향족 2가 작용기이고,
[화학식5]
상기 화학식5에서, R51내지 R54 는 각각 수소,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화학식6]
상기 화학식6에서, R61내지 R68 는 각각 수소,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Y는 직접 결합,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 산소, 황,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 -SO-, -SO2-, -CO-, , 또는이고,
상기 Ar1, Ar2 및 Ar3는 각각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이고, 상기 Perf-A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화학식7]
상기 화학식7에서, R71내지 R82 는 각각 수소,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Y1 및 Y2각각은 직접 결합,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기, 산소, 황,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 -SO-, -SO2-, -CO-, , 또는이고,
상기 Ar1, Ar2 및 Ar3는 각각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이고, 상기 Perf-A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설폰계 고분자는 10,000 내지 100,000의 수평균분자량을 갖는, 고분자 첨가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 및 상기 화학식2의 반복 단위의 몰수 총합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의 몰수의 비율이 0.5% 내지 95%인, 고분자 첨가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R1내지 R8 중 적어도 2이상이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나머지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상기 폴리설폰계 고분자 중 화학식 1의 반복 단위 및 상기 화학식2의 반복 단위의 몰수 총합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의 몰수의 비율은 0.5% 내지 70%인, 고분자 첨가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에서, R1내지 R8 중 적어도 3이상이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나머지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상기 폴리설폰계 고분자 중 화학식 1의 반복 단위 및 상기 화학식2의 반복 단위의 몰수 총합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의 몰수의 비율은 0.5% 내지 35%인, 고분자 첨가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설폰계 고분자는 60 ℃에서 0.7 dL/g 내지 1.7 dL/g 의 고유 점도를 갖는, 고분자 첨가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설폰계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1 및 화학식 12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첨가제:
[화학식11]
상기 화학식11에서, R1내지 R8 중 적어도 하나는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나머지는 각각 수소,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Ar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를 포함한 2가의 작용기이며, m은 1 내지 500의 정수이고,
[화학식12]
상기 화학식12에서, R11내지 R18 각각은 수소, 할로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Ar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를 포함한 2가의 작용기이며, n은 1 내지 500의 정수이다.
-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의 존재 하에서, 하기 화학식21 내지 화학식 23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첨가제의 제조 방법:
[화학식21]
상기 화학식21에서, R1내지 R8 중 적어도 하나는 설폰산 또는 이의 염이고, 나머지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X1 및 X2각각은 할로겐이며,
[화학식22]
상기 화학식22에서, R11내지 R18 각각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X1 및 X2각각은 할로겐이며,
[화학식23]
상기 화학식23에서, Ar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렌기를 포함한 2가의 작용기이다.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1의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22의 화합물 몰수 총합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1의 화합물의 몰수의 비율이 0.5% 내지 95%인, 고분자 첨가제의 제조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1의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22의 화합물 몰수 총합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3의 화합물의 몰수의 비율이 80% 내지 120%인, 고분자 첨가제의 제조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21 내지 화학식 23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50 내지 300℃에서 이루어지는 고분자 첨가제의 제조 방법.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21 내지 화학식 23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는 비양성자성 극성용매, 양성자성 극성용매 및 공비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의 존재하에 이루어지는 고분자 첨가제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0662A KR101418063B1 (ko) | 2012-10-29 | 2012-10-29 |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0662A KR101418063B1 (ko) | 2012-10-29 | 2012-10-29 |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4765A KR20140054765A (ko) | 2014-05-09 |
KR101418063B1 true KR101418063B1 (ko) | 2014-07-09 |
Family
ID=5088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06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8063B1 (ko) | 2012-10-29 | 2012-10-29 |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80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749A (ko) | 2018-09-05 | 2020-03-13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9020B1 (ko) * | 2015-11-30 | 2017-02-21 | 한국과학기술원 | 한외여과막용 블록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509224A (ja) | 2000-09-20 | 2004-03-25 | バージニア テ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イオン導電性スルホン化重合体材料 |
KR20110066614A (ko) * | 2009-12-11 | 2011-06-17 |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
2012
- 2012-10-29 KR KR1020120120662A patent/KR10141806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509224A (ja) | 2000-09-20 | 2004-03-25 | バージニア テ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イオン導電性スルホン化重合体材料 |
KR20110066614A (ko) * | 2009-12-11 | 2011-06-17 |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 술폰화된 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길승철, 폴리설폰을 이용한 여러 가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0.12 * |
길승철, 폴리설폰을 이용한 여러 가지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0.12*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749A (ko) | 2018-09-05 | 2020-03-13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한외여과막 및 이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4765A (ko) | 2014-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5108B1 (ko) | 4차화된 폴리벤즈이미다졸 | |
KR101418064B1 (ko) |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수지 조성물, 고분자 여과막의 제조 방법 및 고분자 여과막 | |
KR101132731B1 (ko) | 아세틸화 메틸 셀룰로스,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수처리용 분리막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CN109563228B (zh) | 包含芳香族聚合物和氟化聚合物的组合物及其用途 | |
KR101637267B1 (ko) | 양이온 교환기를 갖는 폴리(아릴렌에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 |
US20200157285A1 (en) | Sulfonated polyarylethersulfones and membranes thereof | |
US20180243700A1 (en) | Membrane-forming dope for non-solvent induced phase separation methods,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using the same | |
KR20120006764A (ko) | 양이온 교환기를 갖는 폴리(아릴렌에테르) 공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 |
KR101198644B1 (ko) | 투수성이 개선된 폴리술폰계 내오염성 막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418063B1 (ko) |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823050B1 (ko) | 수처리 분리막용 다공성 지지체, 이를 포함하는 초박형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46370B1 (ko) | 높은 이온전도성을 보이는 술폰산화 멀티블록형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시스템 | |
KR100760452B1 (ko) | 폴리(아릴렌 에테르)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전해질 막 | |
KR20150059984A (ko) |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 제조용 고분자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2020525600A (ja) | 新規な膜ポリマーおよび膜 | |
KR101780012B1 (ko) | 고분자 여과막의 제조 방법 및 고분자 여과막 | |
KR20140141551A (ko) | 나노여과막 활성층 또는 역삼투막 활성층 형성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170109295A (ko)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기반의 양이온 교환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101522256B1 (ko) | 술폰화 고분자 공중합체, 상기 고분자 공중합체 제조방법, 상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상기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 |
KR101187372B1 (ko) | 연료전지 전해질용 복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16188B1 (ko)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계열의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32878B1 (ko)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기반의 음이온 교환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 | |
US20220251300A1 (en) | Bio-based polysulfones and uses thereof | |
KR20140064402A (ko) | 나노여과막 활성층 또는 역삼투막 활성층 형성용 고분자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709020B1 (ko) | 한외여과막용 블록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