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068B1 - Steering angle senso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teering angle sensor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7068B1 KR101417068B1 KR1020080038295A KR20080038295A KR101417068B1 KR 101417068 B1 KR101417068 B1 KR 101417068B1 KR 1020080038295 A KR1020080038295 A KR 1020080038295A KR 20080038295 A KR20080038295 A KR 20080038295A KR 101417068 B1 KR101417068 B1 KR 101417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rmanent magnet
- steering
- steering angle
- hall element
- angle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4—Other means for 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without directly measuring it, e.g. deriving from wheel speeds on different sides of the c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10—Transducer, e.g. piezoelectric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0—Magnetic or electromagnetic sensors
- B60W2420/503—Hall effect or magnetoresistive, i.e. active wheel 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각 센서에 관한 것으로, 영구자석(11)과 홀소자(13)만으로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검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구성의 단순화를 통해 조향각 센서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대폭적인 원가 절감을 통해 차량 가격이 싼 소형차에서도 장착이 가능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ngle sensor for a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using only the permanent magnet (11) and the Hall element (13), thereby realizing compactness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it in a small car with a low price through cost reduction.
스티어링 휠, 조향각, 센서, 영구자석, 홀센서 Steering wheel, steering angle, sensor, permanent magnet, hall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각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가이면서 보다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각 센서에 관한 기술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스티어링 시스템은 운전석에 설치된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따라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력이 랙과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스티어링 기어로 전달됨으로써 차량의 진행방향을 전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a steering system provided in a vehicle is configured to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ering shaft to a steering gear composed of a rack and a pinion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a steering wheel installed in a driver's seat.
이와 같은, 스티어링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주행중인 차량에서 직진 위치를 기준으로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이나 회전 각 속도에 관한 정보를 얻어, 이를 컨트롤러(ECU)에서 롤(roll) 제어나 선회 제어 등을 위한 정보로서 사용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해 스티어링 시스템에는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측정하는 조향각 센서가 장착된다.Such a steering system typically obtains information about the steering angle and the rotational angle of the steering wheel on the basis of the straight forward position in a vehicle under running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for roll control and turning control The steering system is equipped with a steering angle sensor for measuring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상기 조향각 센서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실제적인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산출하게 되는데, 일례로 조향각 센서는 스티어링 휠과 컬럼하우징 사이에 장착하면서 컨트롤러(ECU) 등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스 티어링 휠의 회전 정도를 알 수 있는 기어 열이 내장되며, 상기 기어 열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 량에 따른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컨트롤러 등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회로를 갖는 PCB 기판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The steering angle sensor calculates an actual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For example, the steering angle sensor may be mounted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column housing while an electrical connector is connected And a gear train for recogniz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while being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built in. The rotation of the gear train is detected and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mount And a PCB substrate having a circuit for transmitting signals to a controller or the lik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조향각 센서는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원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eering angle sensor as described above is not only complicated in construction but also expensive in cost.
이에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비교적 원가가 저렴한 차량용 조향각 센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ring angle sensor for a vehicle which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relatively inexpensive.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향각 센서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바깥 둘레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대해 경사지게 장착된 영구자석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영구자석과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컬럼하우징에 고정 장착되면서 상기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전류를 발생하여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홀소자;를 포함하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eering angl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ermanent magnet integrall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steering shaft so as to protrude along a radial direction, and being slantly mounted on the steering shaft; And a Hall element that is fixedly mounted on a column housing spaced apart from the permanent magn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ring shaft, detects a strength of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ermanent magnet, generates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field, .
본 발명에 의한 조향각 센서는, 영구자석과 홀소자만으로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검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구성의 단순화를 통해 조향각 센서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대폭적인 원가 절감을 통해 차량 가격이 싼 소형차에 서도 장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steering angl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only by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solenoid, thereby realizing compactness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through simplification of the structure, It can be mounted on a cheap compact c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용 스티어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는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과 함께 회전하면서 이 회전력을 스티어링 기어로 전달하는 스티어링 샤프트(1)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를 감싸서 보호하는 컬럼하우징(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steering wheel rotated by an operation of a driver, a
한편,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조향각 센서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에 구비되는 영구자석(11)과, 상기 컬럼하우징(3)에 구비되는 홀소자(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eering angl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상기 영구자석(11)은 원판모양으로 형성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는 상기 영구자석(11)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영구자석(11)과 일체로 결합된다.The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11)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의 바깥 둘레면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결합된 구성을 갖추게 된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영구자석(11)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에 대해 한쪽 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로서 장착된다.Further, the
그리고, 상기 홀소자(13)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기 영구자석(11)과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컬럼하우징(3)에 고정 장착된다.The
상기 홀소자(13)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와 함께 상기 영구자석(11)이 회전을 하면 상기 영구자석(1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고, 상기 자기장의 세기에 상응하는 전류를 발생하여 컨트롤러(21)로 전달한다.The
한편, 상기 홀소자(13)는 상기 영구자석(11)과 일직선으로 떨어진 거리(L1)가 도 1과 같이 최단 거리를 유지하고 있을 때, 가장 큰 세기의 자기장을 감지하게 되고, 아울러 보다 많은 전류를 발생하게 되는 바, 이때의 상황은 스티어링 휠의 조타가 없는 중립 상태이고, 또한 차량은 직진 주행을 하는 상황으로서, 이때를 기준으로 설정한다.Meanwhile, when the distance L1 between the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휠이 중립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 및 상기 영구자석(11)도 함께 회전을 하고, 이때 상기 홀소자(13)와 상기 영구자석(11)과의 떨어진 거리(L1)가 점차 멀어짐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가 점차 감소하며, 아울러 발생하는 전류도 점차 감소하게 된다.The
상기 홀소자(13)와 상기 영구자석(11)과의 떨어진 거리(L1)가 최대인 지점은 상기 스티어링 휠이 중립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180도(°) 회전한 상태인 바, 이때의 자기장 세기와 전류는 최소값이 된다.The point at which the distance L1 between the
또한, 상기 스티어링 휠이 중립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면, 상기 홀소자(13)와 상기 영구자석(11)과의 떨어진 거리(L1)는 재차 최소가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홀소자(13)는 가장 큰 세기의 자기장을 감지하고, 아울러 보다 많은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360 degrees in either direction in the neutral state, the distance L1 between the
상기 컨트롤러(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소자(13)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치를 이에 상응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변환부(21a)와, 상기 전압변환부(21a)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을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영구자석(11)과 상기 홀소자(13)와의 간격을 판단하는 비교판단부(21b)와, 상기 비교판단부(21b)의 결과치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2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he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재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과 같이 스티어링 휠의 조타가 없는 중립 상태이면, 홀소자(13)와 영구자석(11)과의 떨어진 거리(L1)는 최소가 된다.1, the distance L1 between the
이때, 상기 홀소자(13)는 가장 큰 세기의 자기장을 감지하게 되고, 아울러 보다 많은 전류를 발생하게 되는 바, 이때를 기준상태로 설정한다.At this time, the
콘트롤러(21)의 전압변환부(21a)는 상기 홀소자(13)로부터 전류치를 인가받아 이에 상응하는 전압으로 변환하고, 비교판단부(21b)는 상기 전압변환부(21a)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을 기준레벨과 비교하여 상기 영구자석(11)과 상기 홀소자(13)와의 간격을 판단하게 된다.The
여기서, 전압변환부(21a)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은 최대의 레벨이 되므로 상기 비교판단부(21b)는 상기 전압변환부(21a)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이 기준레벨과 동일한지를 판단하게 되며, 출력부(21c)는 이때의 결과치를 전기신호로 출력하게 된다.Here, since the level of the voltage applied from the
한편, 스티어링 휠이 중립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1) 및 상기 영구자석(11)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홀소 자(13)와 상기 영구자석(11)과의 떨어진 거리(L1)는 점차 멀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홀소자(13)는 점차 감소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게 되고, 아울러 점차 감소하는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The
이와 같이, 상기 홀소자(13)에서 발생하는 전류치가 상기 스티어링 휠이 중립 상태인 기준상태일 때보다 감소하면, 상기 컨트롤러(21)는 기준상태일 때의 전압 레벨과 이때의 전압 레벨을 비교 판단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출력부(21c)를 통해 전기신호로서 출력하게 된다.When the current value generated in the
예를 들어, 상기 스티어링 휠이 중립 상태일 때와 상기 스티어링 휠이 중립 상태에서 회전을 한 상태일 때, 상기 컨트롤러(21)는 비교판단부(21b)에서 상기 두 상태의 전압 레벨을 비교 판단하게 되는 바, 이때 비교 판단한 전압 레벨의 차이가 가장 크면 상기 컨트롤러(21)는 상기 스티어링 휠이 중립 상태에서 180도(°)로 회전한 상태로 판단하게 되고, 계속된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의해 전압 레벨의 차이가 가장 큰 상태에서 점차 차이가 줄어들다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중립 상태일 때의 전압 레벨과 동일해지면 상기 컨트롤러(21)는 상기 스티어링 휠이 중립 상태에서 360도(°)로 회전한 상태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steering wheel is in the neutral state and the steering wheel is in the neutral state, the
한편, 도 4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 변화에 따라 컨트롤러(21)에서 출력되는 전압(V)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the intensity of the voltage (V) output from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V)은 스티어링 휠이 중립 상태일 때 최대이고, 180도(°)로 회전한 상태일 때 최소이며, 이후 180도(°) 간격마다 최대와 최소를 반복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the voltage V is maximum when the steering wheel is in a neutral state, minimum when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at 180 degrees, and then repeats the maximum and minimum at 180 degree intervals Able to know.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영구자석(11)과 홀소자(13)만으로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의 단순화를 이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조향각 센서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can be detected by only the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조향각 센서는 대폭적인 원가 절감을 통해 차량 가격이 싼 소형차에서도 장착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steering angle sens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it can be mounted even in a small-sized vehicle with a low cost through a considerable cost reduction.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조향각 센서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teering angl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이 180도(°) 회전한 상태의 도면,Fig. 2 is a view of the steering wheel rotated 180 degrees in the state of Fig. 1,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도와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선도이다.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al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volt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 스티어링 샤프트 3 - 컬럼하우징1 - Steering shaft 3 - Column housing
11 - 영구자석 13 - 홀소자11 - Permanent magnet 13 - Hall element
21 - 컨트롤러21 - Controlle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295A KR101417068B1 (en) | 2008-04-24 | 2008-04-24 | Steering angle senso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295A KR101417068B1 (en) | 2008-04-24 | 2008-04-24 | Steering angle sensor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2413A KR20090112413A (en) | 2009-10-28 |
KR101417068B1 true KR101417068B1 (en) | 2014-07-08 |
Family
ID=4155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82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7068B1 (en) | 2008-04-24 | 2008-04-24 | Steering angle sensor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706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8337B1 (en) * | 2010-06-17 | 2013-10-04 |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 Steering angle detection device in vehic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48999A (en) | 2001-11-08 | 2003-05-21 | Ntn Corp | Rotation detection device and bearing with rotation detection device |
JP2004037133A (en) | 2002-07-01 | 2004-02-05 | Ntn Corp | Rotation detector and bearing with rotation detector |
KR20040023951A (en) * | 2002-09-12 | 2004-03-20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detection apparatus for steering angle in vehicle |
JP2006234530A (en) * | 2005-02-24 | 2006-09-07 | Ntn Corp | Rotation detection device and bearing equipped therewith |
-
2008
- 2008-04-24 KR KR1020080038295A patent/KR10141706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48999A (en) | 2001-11-08 | 2003-05-21 | Ntn Corp | Rotation detection device and bearing with rotation detection device |
JP2004037133A (en) | 2002-07-01 | 2004-02-05 | Ntn Corp | Rotation detector and bearing with rotation detector |
KR20040023951A (en) * | 2002-09-12 | 2004-03-20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detection apparatus for steering angle in vehicle |
JP2006234530A (en) * | 2005-02-24 | 2006-09-07 | Ntn Corp | Rotation detection device and bearing equipped therewi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2413A (en) | 2009-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6386B1 (en) | Electric steering with steering angle sensor | |
JP5580427B2 (en) | Steering torque and steering angle measuring device and vehicle steer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 |
US6909282B2 (en) | Rotation angle detector | |
WO2011010593A1 (en) | Vehicle control device and rotation detection device used in same | |
EP3566929B1 (en) | Angle computing device and computing device | |
CN110733562B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eer-by-wire system | |
JP4027339B2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2010511163A (en) | Optical steering angle sensor for measuring the absolute value of steering angle | |
KR101650457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steering torque and steering angle of vehicle | |
JP2009192248A (en) | Torque detector | |
US7010955B2 (en) | Throttle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 |
US20090319120A1 (en) | Vehicle steering angle sensor | |
KR101417068B1 (en) | Steering angle sensor for vehicle | |
KR101675531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steering torque and steering angle of vehicle | |
US20080245600A1 (en)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JP2015071356A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KR102064570B1 (en) | Detecting Method For Steering Angle,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teering Angle Operated Thereby | |
US20240063743A1 (en) | Motor position detection device | |
JP5242122B2 (en) | Drive shaft axial torque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 |
JP2010112848A (en) | Rotation angle detection device | |
JP5566060B2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JP2006162272A (en) | Torque detection apparatus | |
JP5453718B2 (en) | State quantity measuring device for rolling bearing units | |
KR20060007552A (en) | Hub Bearing-mounted Wheel Speed Sensors | |
WO2017150530A1 (en) | Roll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4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