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7010B1 -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010B1
KR101417010B1 KR1020070099492A KR20070099492A KR101417010B1 KR 101417010 B1 KR101417010 B1 KR 101417010B1 KR 1020070099492 A KR1020070099492 A KR 1020070099492A KR 20070099492 A KR20070099492 A KR 20070099492A KR 101417010 B1 KR101417010 B1 KR 10141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ual port
port ram
flash memory
nand flas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225A (ko
Inventor
홍승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01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01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06F12/0246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in block erasable memory, e.g. 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3Processor initia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부팅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낸드 플래쉬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램으로 복사함과 동시에 태스크 초기화를 수행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와;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로부터 로딩되는 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듀얼 포트 램(20)과;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와 상기 듀얼 포트 램(20)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듀얼 포트 램(20)에 복사하는 인터페이스부(30)와; 상기 듀얼 포트 램(2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운용하는 시스템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낸드 플래쉬 메모리(NAND Flash memory), 듀얼 포트 램(Dual Port RAM), 부팅, 태스크(Task)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booting thereof}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단말기의 부팅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낸드 플래쉬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램으로 복사함과 동시에 태스크 초기화를 수행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영체계가 탑재된 휴대단말기의 부팅은 전원이 인가된 시점부터 초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시점까지 이루어진다. 부팅 과정에서는 휴대단말기 내에 구비되는 각종 모듈 등의 하드웨어가 초기화되고,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운영체계에서의 각각의 태스크가 초기화된다.
태스크를 초기화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의 각 운영체계 코드를 중앙처리장치 등의 프로세서에서 실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운영체계 코드에 접근하여야 하는데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매체로서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가 구비되고, 플래쉬 메모리에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상기 플래쉬 메모리에는 낸드(NAND) 방식과 노어(NOR) 방식의 플래쉬 메모리가 있는데, 최근에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노어 플래시 메모리보다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쓰기 속도가 빠르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노어 플래시 메모리 보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다만,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서는 직접 코드를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램(RAM)으로 복사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램으로 모두 복사되면, 프로세서는 램에 액세스하여 운영체계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각각의 태스크를 초기화한다.
이때,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의 구현을 위한 운영체계 코드가 모두 저장되어 있고, 이를 모두 램에 복사한 후에 태스크 초기화 동작에 돌입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모든 운영체계 코드를 램에 복사한 후에야 태스크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므로 휴대단말기의 부팅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낸드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램에 복사하는 도중에 태스크 초기화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램에 데이터를 쓰는 메모리 컨트롤러와 데이터를 읽는 프로세서가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와;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로부터 로딩되는 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듀얼 포트 램과;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와 상기 듀얼 포트 램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듀얼 포트 램에 복사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듀얼 포트 램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운용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시스템 부팅시에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듀얼 포트 램에 복사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듀얼 포트 램에 우선 복사된 데이터부터 엑세스하여 태스크 초기화 동 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태스크 초기화 동작 수행과 병행하여,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듀얼 포트 램으로의 복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데이터를 필수데이터와 응용데이터로 구분하여, 상기 필수데이터가 상기 응용데이터에 우선하여 복사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수데이터는, 하드웨어 운영체계 코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체계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데이터는, 상기 필수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는, 수 개의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데이터를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각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류기준은, 상기 데이터가 시스템 구동에 필수적인 하드웨어 운영체계 코드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체계 코드에 해당하는지 여부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각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각 데이터 저장 영역별로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듀얼 포트 램으로 복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듀얼 포트 램은, 상기 데이터 저장 영역에 대응하는 수의 데이터 복사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각 데 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복사 영역에 각각 복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의 복사가 완료된 상기 데이터 저장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액세스하여 태스크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가 상기 듀얼 포트 램의 동일 영역에 동시에 액세스함이 감지되면 상기 듀얼 포트 램으로의 액세스를 일정시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낸드 플래쉬 메모리로부터 필수데이터를 듀얼 포트 램에 복사하는 단계와;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로부터 응용데이터를 상기 듀얼 포트 램에 복사하는 동작과 병행하여, 시스템 제어부가 상기 듀얼 포트 램에 액세스하여 필수 태스크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응용데이터의 복사와 상기 필수 태스크 초기화가 모두 종료되면, 응용 태스크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수데이터는, 하드웨어 운영체계 코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체계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데이터는, 상기 필수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는, 다수의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필수데이터와 상기 응용데이터는 각각 다른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듀얼 포트 램은, 다수의 데이터 복사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필수데이터와 상기 응용데이터는 각각 다른 데이터 복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제어부가 상기 시스템제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듀얼 포트 램의 동일 영역에 동시에 액세스함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제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듀얼 포트 램의 동일 영역에 동시에 액세스함이 감지되면, 상기 시스템제어부가 일정시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PC를 구비한 디지털 텔레비젼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휴대단말기의 부팅 수행시, 낸드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램에 복사하는 도중에 태스크 초기화 동작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부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부팅시간 감소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NAND Flash Memory; 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사 전,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플레이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시스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데이터를 보존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운용을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부트코드와, 하드웨어 운영체계 코드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체계 코드 등의 시스템 동작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데이터인 필수데이터와, 그 외에 시스템의 부가기능을 위한 데이터인 응용데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터가 복사되는 듀얼 포트 램(Dual Port RAM; 20)이 구비된다.
상기 듀얼 포트 램(20)은 복수의 프로세스가 단일 램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입출력포트가 한 쌍으로 되어 있는 메모리소자이다.
따라서 한 쌍의 입출력포트 중 일측이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 측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듀얼 포트 램(20)을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와 연결하고,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고, 읽어 온 데이터를 상기 듀얼 포트 램(20)으로 쓰는 역할을 하며, 데이터를 읽고 쓰는 순서, 위치 등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에는 시스템 제어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er)로서, 명령어의 해석과 자료의 연산, 비교 등의 처리를 제어하고, 다양한 입력장치로부터 자료를 받아서 처리한 후 그 결과를 출력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일을 수행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상기 듀얼 포트 램(20)에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여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시스템 제어부(40) 내에 메모리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기 시스템 제어부(40)와 상기 듀얼 포트 램(20) 사이에 메모리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0)와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입출력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부(30)의 데이터 읽고 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터는 시스템 부팅시 상기 인터페이스부(30)에 의하여 상기 듀얼 포트 램(20)에 복사된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우선순위에 의하여 상기 듀얼 포트 램(20)으로 복사하게 된다.
상기 우선순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를 여러 분류로 구분하고, 각 분류별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수데이터와 상기 응용데이터로 분류하고, 그 중 상기 필수데이터를 상기 응용데이터에 앞서 상기 듀얼 포트 램(20)으로 복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를 수개의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필수데이터와 상기 응용데이터가 서로 다른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30)가 데이터의 입출력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듀얼 포트 램(20)도 수개의 데이터 복사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필수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부터 읽어 온 상기 필수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복사 영역과, 상기 응용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부터 읽어 온 상기 응용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복사 영역이 서로 구별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30)가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는 제 1 저장 영역과 제 2 저장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수데이터는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의 상기 제 1 저장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응용데이터는 상기 제 2 저장 영역에 저장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30)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듀얼 포트 램(20)은 제 1 복사 영역과 제 2 복사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필수데이터를 상기 듀얼 포트 램(20)의 상기 제 1 복사 영역에 복사하고, 상기 응용데이터를 상기 제 2 복사 영역에 복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제 1 저장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우선 적으로 상기 제 1 복사 영역으로 복사하고, 상기 제 1 저장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상기 듀얼 포트 램(20)으로의 복사가 완료되면 상기 제 2 저장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 2 복사 영역으로 복사한다.
그러나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와 상기 듀얼 포트 램(20)은 위에 예로 든 바와 달리 하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영역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3개 이상의 영역으로 세분화되는 경우, 데이터의 구분도 더 세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부팅 수행시,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와 상기 듀얼 포트 램(20) 사이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30)가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 데이터를 복사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상기 듀얼 포트 램(20)에 액세스하여 시스템의 동작에 요구되는 각 태스크(task)를 초기화한다.
이때 상기 태스크(task)는 시스템 활동의 기본이 되는 루틴 또는 시스템의 수행내용이다. 상기 태스크는 주제어(Main Control) 태스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태스크, 임베디드 파일시스템(Embeded File System) 태스크 등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각종 태스크를 포함한다.
상기 태스크 초기화는 각종 운영체계를 초기화하고, 각종 설정값을 적용하여 상기 태스크를 실행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상기 듀얼 포트 램(20)에 우선적으로 복사된 상기 필수데이터에 먼저 액세스한다. 즉, 위에서 예로 든 바와 같이, 제 1 복사 영역에 상기 필수데이터를 복사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상기 필수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상기 태스크 초기화 과정을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40)의 상기 태스크 초기화 과정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의 상기 제 2 저장 영역으로부터 상기 응용데이터를 읽어와서, 상기 듀얼 포트 램(20)의 상기 제 2 복사 영역으로 복사하는 동작을 병행한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로부터 모든 데이터가 상기 듀얼 포트 램(20)으로 복사될 때까지 데이터의 읽고, 쓰기 동작을 지속하고, 다만 그러한 과정 중에, 상기 필수데이터의 복사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는 상기 시스템 제어부(40)의 태스크 초기화 동작과 상기 인터페이스부(30)의 데이터 복사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시스템 제어부(40)가 상기 인터페이스부(30)가 데이터 복사를 수행중인 상기 듀얼 포트 램(20)의 영역과 동일한 영역에 동시에 액세스하게 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이를 감지하고 일정시간 동안 해당 영역으로의 액세스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수데이터의 복사가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그에 대한 태스크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상기 필수데이터는 상기 하드웨어 운영체계 코드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체계 코드 등의 시스템 동작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고 하였으므로, 상기 필수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초기화하는 태스크는 시스템의 기본 동작과 관련된 태스크가 된다. 여기서 상기 필수데이터에 대한 태스크를 필수태스크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상기 필수태스크는 송신 태스크와 수신 태스크, 사운드 태스크 등이 될 수 있다. 그 외에 UI(User Interface)태스크나 주 제어(Main Control) 태스크 등도 시스템의 기본 동작과 관련된 태스크로써 상기 필수태스크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분류는 상기 필수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설정에 의하므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부(30)가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로부터 상기 응용데이터를 상기 듀얼 포트 램(20)으로 복사하는 동작을 완료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상기 응용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상기 응용데이터와 관련된 태스크를 초기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응용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수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가 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면 무선랜 운영체제 또는 디지털 카메라 운영체계 코드, MP3 플레이어 운영체계 코드 등이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된 태스크를 응용태스크라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듀얼 포트 램(20)으로 복사함과 동시에 태스크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므로 부팅시간이 절약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는 데이터 복사가 모두 완료되면 태스크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총 부팅 시간은 데이터 복사에 소요되는 시간 t1 과 태스크 초기화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 t2 를 더한 t3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 복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상기 필수데이터가 복사되는 시간 tc와, 상기 응용데이터가 복사되는 시간 td의 합이 되고, 이는 상기 시간 t1과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태스크 초기화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 중 상기 필수태스크가 초기화되는데 소요되는 시간 ta는 상기 응용데이터가 복사되는 동작과 동시에 일어나므로 상기 시간 tc와 상기 시간 td의 합인 시간 t1이 경과한 후에는 상기 응용태스크의 초기화 동작만 남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복사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 t1과 응용태스크 초기화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 tb가 경과하면, 부팅과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에서는 데이터 복사 및 태스크 초기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시간 t1 + tb가 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에서보다 시간 t를 절약할 수 있고, 이는 상기 필수태스크를 초기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a와 같다.
이때, 상기 데이터를 분류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수데이터와 상기 응용데이터로 분류하는 방법 외에도 더 세분화하여 분류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단축되는 시간도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부팅방법의 구체 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와 상기 듀얼 포트 램(20), 그리고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와 상기 듀얼 포트 램(20) 사이에 구비되어 데이터의 읽고 쓰기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30)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시스템 전원 키가 입력되거나, 리셋 신호가 입력되면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S100)되면서 부팅동작이 수행된다.
상기 제 100단계에서 시스템의 부팅이 시작되면 시스템의 제어권은 일반적으로 부트 시퀀서(boot sequenser) 등과 같은 부팅 제어기가 갖는다. 한편, 상기 시스템 제어부(40)가 상기 부팅 제어기로부터 제어권을 넘겨받기 전에 상기 시스템 제어부(40)의 초기화(S200)가 이루어지고, 기본적인 입출력 시스템의 초기화도 함께 이루어진다.
그리고 부팅 제어기는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로부터 부트코드를 시스템 내부에 구비되는 SRAM(Static RAM)에 복사하여 실행한다(S300).
상기 부트코드가 상기 SRAM에 복사되면 상기 부팅 제어기는 부팅 동작에서 자유로워지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40)가 상기 SRAM의 해당 영역에 액세스하여 부트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부트코드를 실행하여 본격적인 부팅 수행에 돌입하게 되는데, 우선 상기 듀얼 포트 램(20)을 초기화하여,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에 있는 데이터가 복사될 수 있도록 한다(S400).
다만, 상기 부트코드가 상기 SRAM이 아닌 상기 듀얼 포트 램(20)에 복사되 고, 실행되는 경우, 상기 듀얼 포트 램(20)의 초기화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400단계에서 상기 듀얼 포트 램(20)이 초기화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에 저장된 데이터의 복사를 시작하는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필수데이터와 상기 응용데이터로 분류하고, 이 중 상기 필수데이터부터 상기 듀얼 포트 램(20)으로 복사한다(S500).
상기 필수데이터와 상기 응용데이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데이터를 상기 필수데이터와 상기 응용데이터로 구분하는 외에 더욱 세분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의 구분을 위하여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와 상기 듀얼 포트 램(20)은 다수의 데이터 저장 영역과 다수의 데이터 복사 영역으로 영역이 나뉘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수데이터가 복사되는 상기 제 500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4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0)가 동시에 각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후술할 제600단계 내지 제630단계 및 제800단계는 상기 시스템 제어부(40)에서 수행되고, 제700단계 내지 제720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0)에서 수행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40)에서는 상기 듀얼 포트 램(20)에 복사된 상기 필수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상기 필수태스크를 초기화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우선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상기 듀얼 포트 램(20)에 상기 필수데이터가 복사되는 동작이 완료됨을 감지하면, 상기 듀얼 포트 램(20)에 액세스한다(S600).
그리고 상기 필수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본적인 동작에 요구되는 상기 필수태스크를 초기화한다(S610).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제 610단계가 완료되면(S620), 상기 인터페이스부(30)가 상기 듀얼 포트 램(20)으로 상기 응용데이터 복사를 완료하였는지 판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30)의 상기 응용데이터 복사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0)가 상기 응용데이터의 복사를 완료할 때까지 대기한다(S640).
한편, 상기 시스템 제어부(4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필수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상기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필수데이터의 복사가 완료됨과 동시에 상기 응용데이터를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에서 읽어와 상기 듀얼 포트 램(20)으로 복사하는 동작에 착수한다(S700).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제 700단계의 수행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10), 완료됨이 감지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로 이를 알려준다(S720). 이때 상기 제 700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로 전달된 정보는 상기 제 630단계에서의 판단 내용을 결정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상기 제 630단계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30)가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10)로부터 상기 응용데이터의 복사를 완료하였다고 판단하면, 상기 듀얼 포트 램(20)에 상기 응용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에 액세스하여 상기 응용태스크를 초기화한다(S800).
그리고 위와 같은 동작과 함께 각종 하드웨어 초기화 및 각종 설정의 적용 등 부팅에 필요한 모든 절차가 완료되면 부팅 동작이 완료된다.
위에서 상기 필수태스크와 상기 응용태스크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에서의 상기 필수태스크와 상기 응용태스크와 같다.
한편 위와 같은 단계의 수행 중에 상기 시스템 제어부(4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0)가 상기 듀얼 포트 램(20)의 동일 영역에 동시에 액세스하게 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40)는 상기 듀얼 포트 램(20)의 해당영역으로의 액세스 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중단하고 대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메모리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부팅시간 감소를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부팅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낸드 플래쉬 메모리 20: 듀얼 포트 램
30: 인터페이스부 40: 시스템 제어부

Claims (16)

  1.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와;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로부터 로딩되는 데이터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듀얼 포트 램과;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와 상기 듀얼 포트 램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듀얼 포트 램에 복사하는 인터페이스부; 그리고
    상기 듀얼 포트 램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운용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시스템 부팅 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부트코드와, 하드웨어 운영체계 코드,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체계 코드를 포함하는 필수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듀얼 포트램에 복사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우선 복사된 데이터부터 액세스하여 태스크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태스크 초기화 동작 수행과 병행하여, 인터페이스부는 낸드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데이터를 상기 듀얼 포트 램으로 복사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는 수 개의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구분되어 필수 데이터와 응용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영역에 대응하는 수의 데이터 복사 영역으로 구분되는 휴대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의 복사가 완료된 상기 데이터 저장 영역부터 순차적으로 액세스하여 태스크 초기화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가 상기 듀얼 포트 램의 동일 영역에 동시에 액세스함이 감지되면 상기 듀얼 포트 램으로의 액세스를 일정시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2. 낸드 플래쉬 메모리로부터, 시스템 부팅을 위한 부트코드와, 하드웨어 운영체계 코도,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체계를 포함하는 필수데이터를 듀얼 포트 램에 복사하는 단계와;
    시스템 제어부가 상기 듀얼포트 램에 액세스하여 필수 태스크를 초기화하는 동작과 병형하여, 낸드 플래쉬 메모리로부터 용용 데이터를 듀얼포트 램에 복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응용데이터의 복사와 상기 필수 태스크 초기화가 모두 종료되면, 응용 태스크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부팅방법.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낸드 플래쉬 메모리는 다수의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필수데이터와 상기 응용데이터는 각각 다른 데이터 저장 영역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부팅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포트 램은 다수의 데이터 복사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필수데이터와 상기 응용데이터는 각각 다른 데이터 복사 영역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부팅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시스템제어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듀얼 포트 램의 동일 영역에 동시에 액세스함을 감지하는 단계와;
    시스템제어부와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듀얼 포트 램의 동일 영역에 동시에 액세스함이 감지되면, 시스템제어부가 일정시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부팅방법.
KR1020070099492A 2007-10-02 2007-10-02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1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92A KR101417010B1 (ko) 2007-10-02 2007-10-02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492A KR101417010B1 (ko) 2007-10-02 2007-10-02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225A KR20090034225A (ko) 2009-04-07
KR101417010B1 true KR101417010B1 (ko) 2014-07-08

Family

ID=4076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4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7010B1 (ko) 2007-10-02 2007-10-02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850A (ko) 2014-11-07 201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운용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461A (ko) * 2005-01-07 2006-07-1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부팅 방법
KR100617755B1 (ko) * 2005-04-21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Nand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의 부팅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461A (ko) * 2005-01-07 2006-07-1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부팅 방법
KR100617755B1 (ko) * 2005-04-21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Nand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의 부팅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225A (ko)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93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d-while-write with NAND memory device
US6401198B1 (en) Storing system-level mass storage configuration data in non-volatile memory on each mass storage device to allow for reboot/power-on reconfiguration of all installed mass storage devices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last use
US8458524B2 (en) Firmware recovery system and method
KR100924497B1 (ko) 비-휘발성 어플리케이션 및 화일 저장 디바이스로부터부팅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88157B1 (ko) 메모리 디바이스 구성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메모리 디바이스 구성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US741558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n automatic backup function
US200802887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bortting legacy emulation process
JP2009517742A (ja) 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に基づくフラッシュメモリデジタ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のためのコマンドデコーダ
US71276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with selective option ROM executions
US8327124B2 (en) SD switch box in a cellular handset
GB2463809A (en) Peripheral device operation method, peripheral device and host
US20040049617A1 (en) Method of firmware update by USB interface
US200602125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ctivation method
US20120060023A1 (en) Methods for booting an operating system using non-volatile memory
CN115427939A (zh) 基于操作模式对存储器装置的主机接口进行配置
CN113272785B (zh) 一种挂载文件系统的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7849300B2 (en) Method for changing booting sources of a computer system and a related backup/restore method thereof
US20070006220A1 (en) Computer system, system software installation method, and software installation method of portable computer
TW201112131A (en) Controller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data
KR101417010B1 (ko) 휴대단말기 및 그 부팅방법
US201000175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lugged device
CN111722855A (zh) 一种基于eMMC的固件烧录系统、方法与集成芯片
CN110874333B (zh) 存储设备及存储方法
CN101441575B (zh) 基本输入输出系统设置内定值的调整方法及其主板
US7590767B2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i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7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7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