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6749B1 - Tv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Tv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749B1
KR101416749B1 KR1020120145627A KR20120145627A KR101416749B1 KR 101416749 B1 KR101416749 B1 KR 101416749B1 KR 1020120145627 A KR1020120145627 A KR 1020120145627A KR 20120145627 A KR20120145627 A KR 20120145627A KR 101416749 B1 KR101416749 B1 KR 101416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lock
image
vertical bar
horizontal
m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985A (ko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4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749B1/ko
Priority to US14/104,247 priority patent/US20140173481A1/en
Publication of KR20140076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74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V 재생 장치가 제공되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1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이미지의 가로축과 평행한 수평바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2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세로축과 평행한 수직바 블록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평바 블록과 수직바 블록의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수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TV 재생 장치 및 방법{TV REPRESE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OF USER}
본 발명은 TV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PTV 서비스 및 스마트 TV가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IPTV 및 스마트 TV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검색하는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검색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리모컨의 색상 키, 문자 키 또는 숫자 키 등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IPTV 및 스마트 TV에서 브라우저의 포커스를 이동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1-0138698호에는 화면을 일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부여된 번호를 이용하여 화면의 일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브라우저에서 포커스를 이동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화면의 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 매칭된 숫자키를 이용하여 화면의 일정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수평바 또는 수직바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직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크로스 바(Cross Bar)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특정 항목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TV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1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이미지의 가로축과 평행한 수평바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2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세로축과 평행한 수직바 블록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평바 블록과 수직바 블록의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수행부를 포함하는 TV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1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이미지의 가로축과 평행한 수평바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2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세로축과 평행한 수직바 블록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평바 블록과 수직바 블록의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재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크로스 바(Cross Bar)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특정 항목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V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장치가 지도에서 구현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장치가 웹 페이지에서 구현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TV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TV 재생 시스템(1)은 사용자 디바이스(100), TV 재생 장치(200), TV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TV 재생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TV 재생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TV 디바이스(3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0)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 TV 재생 장치(200), TV 디바이스(300)는 도 1에 도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4 방향 선택 버튼(110)을 가진 레거시(Legacy) 리모컨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TV 재생 장치(20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기기일 수 있고,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TV 재생 장치(200)로 사용자의 입력을 전송할 수 있다.
TV 재생 장치(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입력에 기초하여, TV 디바이스(300)에서 특정한 위치에 있는 항목, 예를 들어 지도상의 POI(Point-Of-Interest)를 선택하거나 웹 페이지 상의 특정 하이퍼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TV 재생 장치(200)는 선택된 POI 또는 특정 하이퍼링크를 TV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는 TV 재생 장치(200)와 TV 디바이스(300)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TV 재생 장치(200)는 TV 디바이스(300) 내에 내장되는 형식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TV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TV일 수 있다.
TV 디바이스(300)는 TV 재생 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와 특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할 수 있다. 이때, TV 디바이스(30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0)와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일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V 디바이스(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TV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정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TV 디바이스(300)가 컴퓨터나 무선 통신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TV 재생 장치(200)는 TV 디바이스(3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TV 재생 장치(200)의 기능이 TV 디바이스(300)에 프로그램화되어 탑재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TV 재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TV 재생 장치(200)는 이미지 표시부(210), 제 1 이동부(220a), 제 2 이동부(220b), 수행부(230)를 포함한다. 이때, TV 재생 장치(200)는 관심 영역 표시부(240), 제어부(250), 제 1 이미지 이동부(260a), 제 2 이미지 이동부(260b), 제 1 블록 이동부(270a), 제 2 블록 이동부(270b), 비표시부(280), 중첩 영역 선택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표시부(210)는 TV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 1 이동부(220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1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이미지의 가로축과 평행한 수평바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때, 수평바 블록은 이미지의 가로축 길이와 동일한 제 1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2 이동부(220b)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2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세로축과 평행한 수직바 블록을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때, 수직바 블록은 이미지의 세로축 길이와 동일한 제 2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평바 블록 및 수직바 블록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수행부(2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평바 블록과 수직바 블록의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은 수평바 블록 또는 수직바 블록을 일정 길이 단위로 이동시키는 동작일 수 있다. 즉, TV 재생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수평바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수직바 블록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TV 재생 장치(200)는 수평바 블록 또는 수직바 블록의 이동 간격을 수평바 블록 또는 수직바 블록의 폭에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고, 수평바 블록 또는 수직바 블록의 넓이에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행부(230)는 수평바 블록 또는 수직바 블록을 일정 길이 단위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일정 길이 단위는 다양하게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수행부(23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중첩 영역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지도를 예를 들면, 중첩 영역이 관심 영역 이외의 지역이거나, 일정 건물이나 정보가 없는 장소이거나, 연계된 사이트 등이 존재하지 않는 장소인 경우, 수행부(230)는 해당 영역과 관련된 부가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수행부(230)는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중첩 영역에 매핑된 링크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은,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0)에서 4 방향 선택 버튼(110)의 중심에 위치한 OK 버튼을 누름으로 가능할 수 있다.
관심 영역 표시부(240)는 사용자의 관심 영역을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지도이고, 사용자가 반포동 맛집을 검색하는 경우, 관심 영역은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TV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관심 영역 표시부(240)에서 사용자의 관심 영역을 이미지에 표시한 경우, 수행부(230)는 수평바 블록 또는 수직바 블록의 이동 간격을 관심 영역 단위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가로 길이가 10이고, 관심 영역이 가로축을 중심으로 1, 4, 6, 10의 위치에 위치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수직바 블록은 사용자 디바이스(100)에서 좌측 방향 키패드를 한 번씩 누를 때마다, 1, 4, 6, 10의 좌표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체 세로 길이가 7이고, 관심 영역이 세로축을 중심으로 1, 2, 6에 위치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수평바 블록은 사용자의 디바이스(100)에서 하측 방향 키패드를 한 번씩 누를 때마다, 1, 2, 6의 좌표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관심 영역 표시부(240)는 TV 재생 장치(200)가 위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관심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관심 영역 표시부(240)는 수직바 블록 및 수평바 블록의 중첩 영역을 TV 재생 장치(200)가 위치한 지점과 가장 근접한 부근의 관심 영역에 위치하도록 디폴트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이미지에 사용자의 복수의 관심 영역이 표시되는 경우, 복수의 관심 영역의 밀집도에 기초하여 이미지에 대한 줌 아웃 또는 줌 인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지도이고 관심 영역이 맛집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한 화면에 일정 개수의 관심 영역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50)는 이미지를 줌 아웃(Zoom Out)시켜 한 화면에 일정 개수의 관심 영역이 표시되도록 한다. 반대로, 한 화면에 일정 개수를 초과한 관심 영역이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250)는 이지미를 줌 인(Zoom In)시켜 한 화면에 일정 개수의 관심 영역이 표시되도록 한다.
그 이유는, 한 화면에 일정 개수 이하의 관심 영역이 표시되는 경우, 예를 들어, TV 디바이스(300)의 화면에 1 개의 관심 영역만이 표시되는 경우, 다른 관심 영역을 찾기 위하여 다시 이미지를 이동시키거나 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의 경우, TV 디바이스(100)의 화면에 예를 들어, 20개 이상의 관심 영역이 표시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모두 찾아보기에는 번거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관심 영역의 개수가 설정되면, 해당 개수에 맞도록 이미지의 줌 인 또는 줌 아웃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 이미지 이동부(260a)는 수평바 블록이 디스플레이의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 수평바 블록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바 블록이 TV 디바이스(300)의 화면의 하단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수평바 블록을 아래로 내린다는 것은 직관적으로 하단 경계선 밑에 있는 영역을 보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이미지 이동부(260a)는 수평바 블록이 디스플레이의 하단 경계선에 도달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하측 방향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이미지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하단 경계선을 기준으로 하부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또한, 제 2 이미지 이동부(260b)는 수직바 블록이 디스플레이의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 수직바 블록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미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바 블록이 TV 디바이스(300)의 화면의 좌측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수직바 블록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는 것은, 직관적으로 좌측 경계선 좌측에 있는 영역을 보고자 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이미지 이동부(260b)는 수직바 블록이 디스플레이의 좌측 경계선에 도달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좌측 방향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이미지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좌측 경계선을 기준으로 좌측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제 1 블록 이동부(270a)는 수평바 블록이 디스플레이의 수평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 수평바 블록을 수평 경계선과 대응되는 수평 경계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웹 페이지인 경우, 좌측 수평 경계선에 수평바 블록이 도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좌측 이동 키패드를 누른 경우는, 우측 수평 경계선으로 수평바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블록 이동부(270b)는 수직바 블록이 디스플레이의 수직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 수직바 블록을 수직 경계선과 대응되는 수직 경계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비표시부(280)는 수직바 블록 또는 수평바 블록이 디스플레이의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 수직바 블록 또는 수평바 블록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웹 페이지에서 스크롤을 하는 경우, 수평바 블록을 계속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제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에는 수직바 블록은 거의 사용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표시부(280)는 수직바 블록 또는 수평바 블록이 디스플레이의 경계에 도달한 경우, 경계에 도달한 수직바 블록 또는 수평바 블록을 기능 해제 또는 비표시하고, 나머지 하나의 블록만을 구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중첩 영역 선택부(290)는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해당 중첩 영역을 고정시키고, 수평바 블록 및 수평바 블록을 고정된 중첩 영역 내에서만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레이아웃이 설정된 웹 페이지의 경우에는, 해당 수직바 블록과 수평바 블록이 중첩된 중첩 영역 내에 다수의 하이퍼링크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하이퍼링크 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당 중첩 영역 내에서만 수평바 블록 또는 수직바 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된 중첩 영역을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컴퓨터의 ESC와 같은 나가기 키패드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4 방향 선택 버튼(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첩 영역을 선택하거나, 다양한 하이퍼링크, 관심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고정된 중첩 영역을 해제하거나 상위 뎁스(Depth)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장치가 지도에서 구현된 화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이미지가 지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지도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복수의 관심 항목이 오버레이된 상태이다. 이때, 지도상에 수직바 블록과 수평바 블록이 오버레이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4 방향 선택 버튼(110)(▲,▼,◀,▶)을 이용하여 수직바 블록을 좌우로, 수평바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수평바 블록 및 수평바 블록의 중첩 영역이 관심 항목에 위치한 경우, 4 방향 선택 버튼(110)의 중앙에 위치한 OK 버튼을 누르면, 그 관심 항목이 선택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b는 도 3a의 화면에서 수평바 블록 또는 수평바 블록이 이동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a)의 상태에서 수직바 블록이 이동되기 위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선택 버튼(◀,▶)을 이용한다. 이때, (a)의 상태에서 선택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일정 거리만큼 절대치 기준의 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방향의 관심 항목이 있는 위치로 바로 이동(Jump)할 수 있다.
또한, (b)의 상태에서 선택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일정 거리만큼 절대치 기준의 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방향의 관심 항목이 있는 위치로 바로 이동(Jump)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도 3a와 도 3b와는 달리, 관심 항목이 표시되지 않은 지도 화면을 도시한다. 이때, (a) 상태에서 선택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b)와 같이 이동될 수 있고, (b) 상태에서 선택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c)와 같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수직바 블록 또는 수평바 블록은 일정한 절대값, 예를 들어, 수직바 블록의 넓이에 해당하는 단위를 기준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a)는 관심 항목이 오버레이된 경우의 지도 화면이고, (b)는 관심 항목이 오버레이되지 않은 경우의 지도 화면이다. 이때, (a)의 경우, 즉 중첩 영역에 관심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OK 버튼을 누르면, 해당 항목에 매핑된 링크를 연결하거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b)의 경우, 즉 중첩 영역에 관심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OK 버튼을 누르면, 해당 항목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KT 연구 개발 센터 내에 관심 항목이 몇 개가 존재하는지, 즉 동일한 축적의 화면상에 관심 항목이 몇 개가 존재하는지에 따라 축적이 달라진 것을 비교한 화면이다.
(a)는 KT 연구 개발 센터 내에 관심 항목이 1 개만 있고, 다른 관심 항목은 KT 연구 개발 센터 근방에 넓은 분포로 퍼져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다른 관심 항목도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줌 아웃 뷰를 제공한다. 즉, 현재 실행중인 서비스의 성격, 관심 항목의 개수, 관심 항목의 분포에 따라 지도의 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b)는, KT 연구 개발 센터 내에 관심 항목이 5 개나 위치한다. 이때, 일정 개수의 관심 항목이 존재하므로, KT 연구 개발 센터를 집중적으로 보여주는 줌 인 뷰를 제공한다.
도 3f를 참조하면, 지도가 자동 이동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즉, 수직바 또는 수평바 블록이 경계선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수평바 블록의 이동 반대 방향으로 지도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 조작만으로도 다른 영역을 볼 수 있다.
(a)를 기준으로, (b)와 같이 수직바 블록이 경계선에 도달하는 경우, (c)와 같이 수직바 블록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지도가 이동한다. 이때, 이동하는 거리는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바의 이동 거리만큼 지도가 이동할 수도 있고, 페이지 전환 수준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장치(200)는 지도상에서 십자형 크로스 바를 표시하고, 리모컨의 4 방향 선택 버튼 중 상하좌우 버튼을 이용하여 수직바 블록 또는 수평바 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특정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장치(200)는 POI나 핫 스팟(HotSpot)과 같은 관심 항목이 지도에 별도로 표기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가 리모컨의 4 방향 선택 버튼 조작시 수평바 블록 및 수직바 블록이 관심 항목에서 관심 항목으로 점프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수평바 블록과 수직바 블록이 겹쳐지는 중첩 영역이 특정 위치나 관심 항목 상에 위치하는 경우, 리모컨의 OK 버튼을 누르면 선택 결과에 대한 내용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장치(200)는 수직바 블록 또는 수평바 블록이 경계선에 도달하면, 해당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지도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일정 거리는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장치가 웹 페이지에서 구현된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이미지가 웹 페이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수평바 블록 및 수직바 블록이 오버레이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4 방향 선택 버튼(110)(▲,▼,◀,▶)을 이용하여 수직바 블록을 좌우로, 수평바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의 상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에서 OK 버튼을 누르면, 중첩 영역이 선택되고, 중첩 영역이 고정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도 4b의 상태에서 중첩 영역은 클릭 가능한 첫 아이템에 포커스(선택 영역)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첫 아이템의 포커스는 최상단 및 가장 왼쪽 아이템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4 방향 선택 버튼(110)(▲,▼,◀,▶)을 이용하여 고정된 중첩 영역 내에서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도 4c의 상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에서 선택 버튼(▼)을 눌러 사용자가 목표하는 하이퍼링크까지 포커스를 이동시킨 화면을 도시한다. 이때, 해당 포커스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OK 버튼을 누르면 해당 하이퍼링크를 클릭한 것과 동일한 액션이 취해질 수 있다. 즉, 다른 페이지로 전환되는 등 액션에 대한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포커스는 중첩 영역(고정 영역)내에서만 이동될 수 있고, 그 단위는 하이퍼링크일 수 있다(Jump Highlight 방식). 이때, 중첩 영역에서 포커스가 경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반대쪽으로 순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커스가 가장 하단에 있는 "최근 스마트폰 시장, 장단점 분석"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포커스는 가장 상단의 "핫 이슈"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a)는 중첩 영역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중첩된 영역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다. 즉, (a)의 상태는 포커스가 이동하는 영역이 중첩 영역 내에 고정된 상태이고, 이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나가기(BACK, EXIT) 버튼 등을 통하여 (b)와 같은 상태로 중첩 영역이 해제될 수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a)는 수직바 블록과 수평바 블록이 모두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수직바가 비활성화 또는 비표시되어 수평바만이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다.
(a)의 상태에서 수직바를 비활성화 또는 비표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수직바를 경계선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a) 화면은 (b) 화면과 같이 표시되는데, (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OK 버튼을 누르면, 수평바 블록의 전체 영역이 포커스의 이동가능 영역으로 결정된다.
또한, 그 역도 가능하며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도 4g는 수평바 블록 이동을 통한 페이지 스크롤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이때, (a) 수직바 블록을 비활성화시킨 상태, 즉 도 4f의 상태에서 (b) 사용자가 수평바 블록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수평바 블록이 브라우저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해당 방향으로 웹 페이지의 수직 스크롤이 될 수 있다.
이때, 페이지가 마지막 또는 처음에 도달하여 더 이상 스크롤할 것이 없는 경우, 수평바는 경계선상에 계속 머무르게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TV 재생 장치(200)는 웹 페이지에서 특정 영역으로 포커스가 움직이는 범위를 제한시켜 하이퍼링크를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TV 재생 장치(200)는 웹 페이지가 수직 스크롤이 많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수직바 블록을 좌우로 이동시켜 비활성화(Disable)시키고, 수평바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켜 영역 고정과 함께 수직 스크롤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TV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본원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때, 도 1 내지 도 4에서 수평바 블록, 수직바 블록으로 기재한 것은 도 5에서는 지면 관계상 수평바, 수직바로 표현한다. 따라서, 수평바 블록과 수평바는 동일한 것을 지칭하고, 수직바 블록과 수직바는 동일한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TV 재생 장치(200)는 TV 디바이스(300)의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고(S5100),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수평바 블록 또는 수직바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을 받는다(S5210). 이때,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입력을 TV 재생 장치(200)로 전송한다(S5230).
TV 재생 장치(200)는 이미지에 관심 영역이 표시된 것인지의 유무를 확인하고(S5310), 이미지에 관심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수평바 블록 또는 수직바 블록을 일정 길이 단위로 이동시키고(S5330), 이미지에 관심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관심 영역의 밀집도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줌 아웃 또는 줌 인을 제어하고(S5350), 수평바 또는 수직바를 관심 영역 단위로 이동시킨다(S5370).
이때, TV 재생 장치(200)는 수평바 또는 수직바가 경계선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수평바 또는 수직바가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 TV 재생 장치(200)는 이미지의 영역 확장이 필요한 제 1 경우, 수평바 또는 수직바가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이미지를 이동시킨다(S5500).
또한, TV 재생 장치(200)는 이미지 내에서의 이동만이 필요한 제 2 경우, 수평바 또는 수직바가 도달한 경계선과 대응되는 경계선으로 수평바 또는 수직바를 이동시킨다(S5600).
또한, TV 재생 장치(200)는 이미지의 수직 이동 또는 수평 이동만이 필요한 제 3 경우, 수평바 또는 수직바를 비활성화시키고 표시하지 않는다(S5700).
사용자 디바이스(100)가 수직바와 수직바의 중첩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S5800), 해당 입력은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TV 재생 장치(200)로 전송된다(S5810).
이때, TV 재생 장치(200)는 중첩 영역 내에 선택 가능한 항목이 복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5900), 선택 가능한 항목이 단수인 경우 중첩 영역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표시하거나 중첩 영역에 매핑된 링크로 연결하며(S5910), 선택 가능한 항목이 복수인 경우, 중첩 영역을 고정시킨 후, 수평바 또는 수직바를 고정된 중첩 영역 내에서만 이동시킨다(S5930).
이와 같은 도 5의 TV 재생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4를 통해 TV 재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단계들(S5100~S593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93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고(S6100),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1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이미지의 가로축과 평행한 수평바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킨다(S6200).
그리고 나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2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세로축과 평행한 수직바 블록을 좌우로 이동시킨다(S6300).
마지막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평바 블록과 수직바 블록의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6400).
이와 같은 도 6의 TV 재생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5를 통해 TV 재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재생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TV 재생 장치에 있어서,
    TV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1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의 가로축과 평행한 수평바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2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세로축과 평행한 수직바 블록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평바 블록과 상기 수직바 블록의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수행부
    를 포함하는 TV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 블록은 상기 이미지의 가로축 길이와 동일한 제 1 길이를 가지고,
    상기 수직바 블록은 상기 이미지의 세로축 길이와 동일한 제 2 길이를 가지는 것인, TV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 블록 및 수직바 블록의 폭은 동일한 것인, TV 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 블록 또는 수직바 블록은 일정 길이 단위로 이동되는 것인, TV 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관심 영역을 상기 이미지에 표시하는 관심 영역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바 블록 또는 수직바 블록은 상기 관심 영역 단위로 이동되는 것인, TV 재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사용자의 복수의 관심 영역이 표시되면, 상기 복수의 관심 영역의 밀집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한 줌 아웃 또는 줌 인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TV 재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는 상기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중첩 영역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TV 재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부는 상기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중첩 영역에 매핑된 링크로 연결하는 것인, TV 재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 블록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 상기 수평바 블록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제 1 이미지 이동부;
    상기 수직바 블록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 상기 수직바 블록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를 이동시키는 제 2 이미지 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TV 재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 블록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수평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 상기 수평바 블록을 상기 수평 경계선과 대응되는 수평 경계선으로 이동시키는 제 1 블록 이동부;
    상기 수직바 블록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수직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 상기 수직바 블록을 상기 수직 경계선과 대응되는 수직 경계선으로 이동시키는 제 2 블록 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TV 재생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 블록 또는 수평바 블록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경계선에 도달한 경우, 상기 수직바 블록 또는 수평바 블록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TV 재생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중첩 영역을 고정시키고, 상기 수평바 블록 및 수직바 블록을 상기 고정된 중첩 영역 내에서만 이동시키는 중첩 영역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TV 재생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4 방향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TV 재생 장치.
  14. TV 재생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1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의 가로축과 평행한 수평바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 2 이동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세로축과 평행한 수직바 블록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평바 블록과 상기 수직바 블록의 중첩 영역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중첩 영역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TV 재생 방법.
KR1020120145627A 2012-12-13 2012-12-13 Tv 재생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16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627A KR101416749B1 (ko) 2012-12-13 2012-12-13 Tv 재생 장치 및 방법
US14/104,247 US20140173481A1 (en) 2012-12-13 2013-12-12 Highlighting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627A KR101416749B1 (ko) 2012-12-13 2012-12-13 Tv 재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985A KR20140076985A (ko) 2014-06-23
KR101416749B1 true KR101416749B1 (ko) 2014-07-08

Family

ID=5093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6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6749B1 (ko) 2012-12-13 2012-12-13 Tv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73481A1 (ko)
KR (1) KR101416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41240A1 (en) * 2014-02-26 2015-08-27 Honda Motor Co., Ltd. Navigation device having a zoom in and zoom out feature based on a number of waypoints to be viewe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955B1 (ko) * 1999-04-22 2007-02-22 노키아 코포레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스크롤 가능한 크로스 포인트진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68583A (ko) * 2009-12-16 2011-06-22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관심지 주변검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9294A (en) * 1986-06-25 1989-05-09 Hitachi, Ltd. Document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ing multiwindow
US4881179A (en) * 1988-03-11 1989-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security protocols to an electronic calendar
US5369713A (en) * 1992-07-09 1994-11-29 Schwartz; Nira Inspection method using area of interest (AOI) analysis
US6903723B1 (en) * 1995-03-27 2005-06-07 Donald K. Forest Data entry method and apparatus
US5748185A (en) * 1996-07-03 1998-05-05 Stratos Product Development Group Touchpad with scroll and pan regions
US6100898A (en) * 1998-04-08 2000-08-08 Webtv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selecting level of detail in texture mapping
US6411959B1 (en) * 1999-09-29 2002-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updating a computer-implemented table and associated objects
GB9930852D0 (en) * 1999-12-24 2000-02-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450114B2 (en) * 2000-04-14 2008-11-11 Picsel (Research) Limited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and viewing digital documents
AU2001257400A1 (en) * 2000-04-28 2001-11-12 Internet Security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events on a network
GB2380918C3 (en) * 2000-05-11 2016-03-30 Nes Stewart Irvine Zeroclick
US6882350B2 (en) * 2000-08-07 2005-04-1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20070083823A1 (en) * 2001-02-15 2007-04-12 Denny Jaeger Scroll bar for computer display
US7650569B1 (en) * 2001-08-29 2010-01-19 Allen Paul G System and method for focused navigation within a user interface
WO2007109890A1 (en) * 2006-03-29 2007-10-04 Mathieu Audet Multi-dimensional locating system and method
US6910191B2 (en) * 2001-11-02 2005-06-21 Nokia Corporation Program guide data selection device
US8707354B1 (en) * 2002-06-12 2014-04-22 Tvworks, Llc Graphically rich, modular, promotional tile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7107285B2 (en) * 2002-03-16 2006-09-12 Questerra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an improved enterprise spatial system
US7546523B2 (en) * 2002-03-28 2009-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in an electronic spreadsheet for displaying and/or hiding range of cells
US6946715B2 (en) * 2003-02-19 2005-09-20 Micron Technology, Inc. CMOS image sensor and method of fabrication
US8416952B1 (en) * 2003-07-11 2013-04-09 Tvworks, Llc Channel family surf control
US8819734B2 (en) * 2003-09-16 2014-08-26 Tvworks, Llc Contextual navigational control for digital television
DE10360657A1 (de) * 2003-12-23 2005-07-21 Daimlerchrysler Ag Bedien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602004029548D1 (de) * 2004-03-16 2010-11-25 Sap Ag Verfahren, Computerprogrammprodukt und Datenverarbeitungssystem zum Anzeigen einer Mehrzahl von Datenobjekten
JP4325449B2 (ja) * 2004-03-19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
US20050223340A1 (en) * 2004-03-30 2005-10-06 Mikko Repka Method of navigating in application views, electronic devic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05109157A1 (ja) * 2004-05-10 2005-11-1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JP4366592B2 (ja) * 2004-07-12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における表示制御方法およびグラフィッ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プログラム
US7415481B2 (en) * 2004-09-30 2008-08-1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implementation for referencing of dynamic data within spreadsheet formulas
US20060071915A1 (en) * 2004-10-05 2006-04-06 Rehm Peter H Portable computer and method for taking notes with sketches and typed text
JP4533791B2 (ja) * 2005-04-19 2010-09-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閲覧装置
US7694234B2 (en) * 2005-08-04 2010-04-06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magnifying glass with on-the fly control functionalities
US20070083908A1 (en) * 2005-10-12 2007-04-12 Sbc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web-related content
JP4536637B2 (ja) * 2005-10-28 2010-09-01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情報散策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EP1840511B1 (en) * 2006-03-31 2016-03-02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map-related data for visually displayed maps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ES2717611T3 (es) * 2006-09-07 2019-06-24 Opentv Inc Método y sistema para buscar contenidos visibles
US8089503B2 (en) * 2006-11-03 2012-01-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message notification and access via a video distribution network
JP4869106B2 (ja) * 2007-02-28 2012-02-0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交差点拡大図表示方法並びに地図情報作成方法
US8472665B2 (en) * 2007-05-04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Camera-based user input for compact devices
US7987484B2 (en) * 2007-06-24 2011-07-26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media content with a self-organizing map
US8374929B1 (en) * 2007-08-06 2013-02-12 Gogrid, LLC System and method for billing for hosted services
US9118869B2 (en) * 2007-12-19 2015-08-25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Vertically oriented program guide for media content access systems and methods
US20090244095A1 (en) * 2008-04-01 2009-10-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Run-time label cache for efficient map labeling
CA3107606C (en) * 2008-04-18 2023-09-12 Tivo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densed representation of long video sequences
US10158823B2 (en) * 2008-12-31 2018-12-18 Tivo Solutions Inc. Methods and techniques for adaptive search
US9578271B2 (en) * 2009-08-18 2017-02-21 Sony Corporation Integrated user interface for internet-enabled TV
US20110078566A1 (en) * 2009-09-30 2011-03-31 Konica Minolta Systems Laboratory, Inc. Systems, methods, tools, and user interface for previewing simulated print output
US8144616B2 (en) * 2009-11-02 2012-03-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nterference
US8441460B2 (en) * 2009-11-24 2013-05-14 Mediatek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ide touch panel as part of man-machine interface (MMI)
JP2011130013A (ja) * 2009-12-15 2011-06-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13977B1 (ko) * 2009-12-18 2013-10-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기를 사용한 iptv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10179376A1 (en) * 2010-01-21 2011-07-21 Sony Corporation Three or higher 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v menu and document navigation
US8832588B1 (en) * 2011-06-30 2014-09-09 Microstrategy Incorporated Context-inclusive magnifying area
US9645723B2 (en) * 2012-05-29 2017-05-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ow and column navig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955B1 (ko) * 1999-04-22 2007-02-22 노키아 코포레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스크롤 가능한 크로스 포인트진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68583A (ko) * 2009-12-16 2011-06-22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관심지 주변검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73481A1 (en) 2014-06-19
KR20140076985A (ko) 201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174B1 (ko) 휴대단말기의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JP4619882B2 (ja) 携帯電話およびその遠隔操作方法
JP5470861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817142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large format data files
US20080214239A1 (en)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display control program and mobile terminal
US20100214321A1 (en) Image object detection browser
JP5093501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US20100138782A1 (en) Item and view specific options
KR20140114645A (ko)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WO2010060502A1 (en) Item and view specific options
JP201323545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27969A (ko)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웹 페이지 디스플레이 방법,및 웹 서버 및 이에 의한 웹 페이지 제공 방법
CN112506416A (zh) 电子设备和用于电子设备的方法
KR101416749B1 (ko) Tv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4014075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JP4922446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
CN105912220A (zh) 一种展示图标的方法及装置
KR101049815B1 (ko) 이동 단말에서 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4146233A (ja) 資料共有プログラム、端末装置、資料共有方法
KR101647359B1 (ko) 단말 장치 및 이에 의한 웹 페이지 표시 방법,및 웹 서버 및 이에 의한 웹 페이지 제공 방법
KR20130120761A (ko)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90833B1 (ko) 웹 브라우저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35210B1 (ko) 모바일 브라우저 상에서 터치 인식률을 증강시키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92321B1 (ko) 네비게이션 기능키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658940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키 네비게이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007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70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