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152B1 - Electronic type shifter lever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nic type shifter lever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5152B1 KR101415152B1 KR1020140038993A KR20140038993A KR101415152B1 KR 101415152 B1 KR101415152 B1 KR 101415152B1 KR 1020140038993 A KR1020140038993 A KR 1020140038993A KR 20140038993 A KR20140038993 A KR 20140038993A KR 101415152 B1 KR101415152 B1 KR 1014151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gate
- main body
- ball
- magn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floor moun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8—Dashboard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F16H2059/0269—Ball joints or spherical bearings for supporting the lev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5—Selector apparatus with mechanisms to return lever to neutral or datum position, e.g. by return sp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3—Cams or detent arrays for guiding and providing fe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Toy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미션 변속단을 제어가능케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버 조작수단 및 감지수단을 간소화하고, 그 작동 및 감지를 더욱 원활해지도록 함과, AT, MT에 따른 공용 및 게이트(61)의 형상에 따른 본체의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는,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에 있어서, 레버(2)의 하부를 본체(1)에 볼 결합하고, 레버(2)의 하단에 마그넷(4)을 장착하며, 마그넷(4)의 저 부에 홀센서(51)가 배치된 기판(5)을 수평으로 장착함과, 본체(1)의 내부 상/하단을 개방하여 게이트커버(6)와 기판(5)을 본체(1)로부터 교체할 수 있도록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shift lever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transmission shift stage of a vehicle using an electric signal, in particular, to simplify lever operating means and sensing means, to make its operation and detection more smooth, M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ate and the shape of the gate (61).
The electromagnetic shift lever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shift lever devic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2 is ball-engaged with the main body 1, the magnet 4 is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lever 2, The substrate 5 on which the hall sensor 51 is disposed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4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1 are opened to open the gate cover 6 and the substrate 5, (1). ≪ IMAG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미션 변속단을 제어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는, 과거 차량의 변속 레버로부터 미션의 변속단을 변속하는 수단을 와이어를 통한 기계적인 링크구조 대신 기판을 이용한 전기적신호를 통해 미션의 변속단을 제어하는 레버장치를 말한다.The electronic shift lever device refers to a lever device that controls the speed change stage of a mission through an electric signal using a substrate instead of a mechanical link structure through a wire, from a shift lever of a past vehicle to a speed change stage of the mission.
이러한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는, 기계식 변속 레버장치와 달리 사용자가 선택한 변속단의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게 되어 레버장치와 미션 사이의 연결수단을 간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의도하지 않은 레버의 이동에 대한 기어변속을 방지할 수 있다.Unlike the mechanical shift lever device, the electronic shift lever device converts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gear range to an electrical signal, thereby simplifying the connecting means between the lever device and the miss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hifting of the gear with respect to the gear.
최근의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는, 선택된 변속단을 감지하기 위해 마그넷과 홀센서(Hall sensor)를 이용하는 방식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는 마그넷의 자기력을 홀센서가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미션의 변속단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recent electronic shift lever devices, a method of using a magnet and a Hall sensor to detect a selected gear range has been introduced. This is because the Hall sensor sen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So that the speed change stage of the mission can be easily controlled.
공개특허공보 10-2009-0111111호의 "전자식 변속장치"를 참고하면, 종래의 레버조작수단은, 레버의 하단은 받쳐지도록 하고, 그 상부에 X축과 Y축으로 변속을 안내하는 두 개의 가이드를 레버로부터 유기적으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현재까지 이러한 타입의 조작수단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타입의 조작수단은 레버의 하부를 받쳐지게 하고 그 상부에 조작수단을 구성함으로 써, 구성의 수가 많고, 상호 간에 유기적인 결합관계가 복잡함은 물론 각 구성물에 대한 제조 및 조립의 어려움으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관절타입으로 레버가 이동되기 때문에 조작감이 부드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With reference to the "electronic transmission"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11111, the conventional lever operating means has two levers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lever and guiding the shift in the X- And is composed of an organically bonded structure from the lever. Until now, most of these types of operating means. This type of manipulating means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and constitutes the manipulating means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number of constitutions is large, and the organic coupling relation between the manipulators is complicated, and the cost And the operation feeling is not smooth because the lever is moved in the joint type.
다음으로, 종래의 감지수단을 살펴보면, 두 개의 가이드 중 하나의 가이드 일 측 끝단에 마그넷을 장치하고, 홀센서를 가진 기판을 마그넷과 마주보도록 레버의 측면에 수직으로 새운 채 장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감지수단은 레버의 측면에 마그넷과 홀센서가 위치됨으로써 변속단의 이동 격차가 상당이 좁아 감지오류가 잦은 문제점이 있다. 이는 선행기술문헌의 도2, 도3을 참고하면 +단과 R단, M단과 N단, -단과 D단의 경우 동일한 쉬프트방향에서 미세한 격차로 셀렉트가 결정되기 홀센서에서는 이 차이를 읽어들이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감지수단은 선행기술문헌에서 제시된 게이트형태가 아닌 쉬프트방향에서 셀렉트가 겹쳐지는 게이트형태의 경우 사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마그넷과 홀센서가 멀어지는 변속단의 경우 변속단을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선행기술문헌의 도2, 도3을 참고하면 D단, R단, N단의 경우 마그넷과 홀센서 간의 거리가 상당히 멀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자력의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다른 예로 두 개의 기판을 레버의 측면에 수직으로 각각 장착한 구성도 있다. 이는 구성의 수가 많아짐은 물론 두 개의 기판에 대한 감지의 조합으로 변속단을 읽어들임으로 써, 추가적인 회로의 구성 및 컨트롤러를 필요하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마그넷과 홀센서가 멀어지는 사각지대가 여전히 발생하여 감지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Next, a conventional sensing means is constituted such that a magnet is provided at one end of one of two guides, and the substrate having the hall sensor is mounted vertically on the side of the lever so as to face the magnet. Such a sensing means is disadvantageous in that detection errors are frequent due to the fact that the magnet and the hall sensor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lever and the shift gap of the gear position is considerably narrow. 2 and 3 of the prior art document, in the + stage and the R stage, in the M stage and the N stage, in the stage of the stage D and the stage of the stage D, the selection is determined with a slight difference in the same shifting direction. . Such a sensing means is not usable in the case of a gate type in which the select is overlapped in the shift direction rather than the gate type shown in the prior art documen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eed change stage can not be detected in the case of the speed change stage where the magnet and the hall sens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2 and 3 of the prior art docu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Hall sensor in the case of the D-stage, the R-stage, and the N-stage is considerably distant, which causes the magnetic force to weaken. Another example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wo substrates are mounted vertically on the sides of the lever, respectively. This increases the number of configurations, as well as the configuration of additional circuitry and the controller, by reading the gear stage with a combination of sensing on two boards, and a blind spot where the magnet and hall sens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till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tection ability is poor.
다음으로, 선행기술문헌의 도2를 참고하여 본체와 게이트커버의 구조를 살펴보면, 본체의 상부에 게이트홈을 형성하고, 게이트커버에도 게이트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조사에 따라 선호하는 게이트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게이트 형상이 변경될 때, 레버 변속장치 전체를 교체 또는 새롭게 제조해야 하 함은 물론 본체의 호환사용이 불가능하고, AT와 MT의 공용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2 of the prior art document, a structure of a main body and a gate cover will be described. A gate groov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gate groove is formed in the gate cover. Such a structure differs in shape of the preferred gate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Therefore, when the gate shape is changed,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eplace or newly manufacture the entire lever transmission device, but also to use the main body in a compatible manner, There is a problem.
공개특허공보 10-2009-0111111호.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111111.
본 발명은 종래를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레버 조작수단 및 감지수단을 간소화하고, 그 작동 및 감지를 더욱 원활해지도록 함과, AT, MT에 따른 공용 및 게이트의 형상에 따른 본체의 호환이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plify the lever operating means and the sensing means, to make the operation and detection more smooth, The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식 레버 변속장치에 있어, 레버의 하부를 본체에 볼 결합하고, 상기 레버의 하단에 마그넷을 장착하며, 상기 마그넷의 저부에 홀센서가 배치된 기판을 수평으로 장착함과, 본체의 내부 상/하단을 개방하여 게이트커버와 기판을 본체로부터 교체할 수 있도록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lever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a lower portion of a lever to be ball-coupled to a main body; a magnet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lever; And the gate cover and the substrate can be replaced from the main body by opening the inner upper / lower ends of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볼 결합타입의 레버 작동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관절타입의 조작수단에 대한 구성을 현저히 간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레버의 변위가 자유롭고, 조작감이 부드러운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joint type operating means by providing the lever operating means of the ball-engaging type, and the lever can be displaced freely and the operation feeling is smooth.
그리고 저 부 인식형 감지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측면 배치형 감지수단 및 복수형 감지수단에 대한 구성을 현저히 간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감지의 정확성, 감지불능현상의 방지, 다양한 게이트 형상에 따른 호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By providing the low recognition type sensing means,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side placement type sensing means and the plural type sensing means, and also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tection, prevention of detection incapability, and compatibility with various gate shapes There is an effect.
또한, 상/하단 개방형 결합수단을 제공함으로써, 게이트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 및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AT와 MT의 공용화가 가능하고, 본체의 호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Further, by providing the upper / lower opening type coupling means, the shape of the gate can be freely changed and replaced, the AT and the MT can be shared, and the main body can be compatible.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1의 게이트 변속단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1에서 게이트커버와 기판으로 교체한 예시도
도 6은 도 5의 게이트 변속단를 나타낸 예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3 is a cross-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gate shift stages of Fig. 1
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the gate cover and the substrate replaced with the substrate in FIG.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gate shift stages of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 등으로 대체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and disclosed techniques may be omitted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레버(2)의 하부를 본체(1)에 볼 결합하고, 레버(2)의 하단에 마그넷(4)을 장착하며, 마그넷(4)의 저 부에 홀센서(51)가 배치된 기판(5)을 수평으로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wer portion of a
상기의 볼 결합은, 본체(1)의 내부 중간에 수평으로 지지판(12)을 구비하고, 그 지지판(12)의 수직상 중간에 구체형 껍질형태로 되는 볼수용부(13)를 구비하며, 레버(2)는 하부에 볼(23)을 구성하여서, 상기 본체(1)의 볼수용부(13)에 레버(2)의 볼(23)을 결합한다.The above ball coupling is provided with a
상기의 볼 결합수단은, 볼수용부(13)의 상단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14)을 형성하여 볼(23)을 강제삽입하거나, 도시하진 않았지만 다른 예로는, 지지판(12)을 중심으로 볼수용부(13)의 상부을 수평으로 절개한 다음, 볼(23)을 안착한 후, 볼수용부(13)의 상부를 지지판(12)에 장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장착수단은 리벳, 용접, 끼움, 걸림, 등을 들 수 있다.
The ball engaging means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상기에서 레버(2)의 하단에 마그넷(4)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마그넷홀더(3)가 구비됨을 포함한다.And a
상기 마그넷홀더(3)는 마그넷(4)의 안정적인 장착, 교체의 용이성, 마그넷(4)과 홀센서(51)와의 거리조정, 등을 도모할 수 있다.The
상기 마그넷홀더(3)는, 상단이 레버(2)의 하단에 나사결합되고, 몸체의 하단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걸림돌기(31)를 형성하며, 그 걸림돌기(31)의 내부에 마그넷(4)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2)을 마련하여 끼움 삽입으로 장착함을 포함한다.
The upper end of the
본 발명은 본체(1)의 상/하단을 개방하여 게이트커버(6)와 기판(5)을 교체가능토록 결합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pening the upper / lower end of the
상기는 게이트(61)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AT와 MT의 공용화가 가능하며, 본체(1)의 호환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above can freely change the shape of the
상기 게이트커버(6)와 본체(1)의 결합은, 게이트커버(6)의 하단부가 본체(1)의 상단에 씌워지도록 하고, 그 하단부와 본체(1) 사이를 리벳, 끼움, 걸림 등으로 결합하면 된다.The
상기 기판(5)과 본체(1)의 결합은, 본체(1)의 내부 양측에 걸림턱(15)을 구비하고, 그 걸림턱(15)으로부터 기판(5)을 리벳, 끼움, 걸림, 등으로 결합하면 된다.The
첨부도면을 참고하면, 도2는 AT타입으로써, MT타입 또는 다른 게이트(61) 형태의 AT타입으로 변경시 도5와 같이 게이트커버(6)와 기판(5)을 본체(1)로부터 교체하면 된다.
2, when the
이하,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 및 그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전체적 구성은, 크게 본체(1), 레버(2), 마그넷홀더(3), 마그넷(4), 기판(5), 게이트커버(6)로 구성된다.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stituted by a
상기 본체(1)는, 자체에 장착되어 후술 될 구성물들이 장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대략 사각형태로 되어 차체에 결합가능하도록 외부에 브라켓(11)이 구비되고, 내부의 상/하단은 개방되며, 내부 중간에 수평으로 지지판(12)이 구비되고, 그 지지판(12)의 수직상 중간에 구체형 껍질형태로 되는 볼수용부(13)가 구비되며, 상기 볼수용부(13)의 상/하단은 절개형성되되, 상단은 볼의 강제삽입이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14)이 형성된다.The
다음으로, 상기 레버(2)는, 본체(1)의 내부에 장치되고 상단이 후술 될 게이트커버(6)의 상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게이트커버(6)의 게이트(61)를 따라 원하는 변속단(62)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막대기 형태의 축부(21) 상단에 손잡이(22)가 결합되고, 하부에 볼(23)이 구비되며, 하단에 마그넷홀더(3)가 결합된다.Next, the
상기에서 본체(1)와 레버(2)의 결합은, 본체(1)의 볼수용부(13)에 레버(2)의 볼(23)이 볼 결합되고, 그 결합수단은 볼수용부(13) 상부로부터 볼(23)을 하방으로 끼움 삽입하여 결합된다.The combination of the
다음으로, 상기 마그넷홀더(3)는, 마그넷(4)을 장착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상단에 레버(2) 결합부가 구비되고, 하단은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걸림돌기(31)가 형성되며, 그 걸림돌기(31)의 내 상부에 마그넷(4)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2)이 마련된다.The
상기에서 레버(2)와 마그넷홀더(3)의 결합은, 레버(2)의 하단과 마그넷홀더(3)의 상단에 각각 나사를 형성하여 나사결합된다.The engagement between the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결합수단의 다른 예로는, 접착, 끼움, 걸림, 등을 들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other examples of the coupling means include bonding, fitting, engaging, and the like.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마그넷(4)은 마그넷홀더(3)를 구비하지 않고 레버(2)의 하단에 직결장착할 수도 있다. 그 장착수단은 접착, 끼움 등을 들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다음으로, 상기 마그넷(4)은, 레버(2)의 조작에 의해 결정된 변속단(62)을 후술 될 기판(5)의 홀센서(51)에 인식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레버(2)의 하단 마그넷홀더(3)에 결합된다.The
상기에서 마그넷홀더(3)와 마그넷(4)의 결합은, 마그넷홀더(3)의 저 부에서 마그넷(4)을 걸림돌기(31)의 수용홈(32)의 내부로 승강시켜 끼움 삽입하여 결합하면 된다.The combination of the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마그넷홀더(3)에 마그넷(4)의 결합은 걸림수단 외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끼움, 등을 들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upling of the
다음으로, 상기 기판(5)은, 레버(2)의 조작에 의해 결정된 변속단(62)을 감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되고, 마그넷(4)의 저 부에 해당하는 본체(1)의 내 하부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후술 될 게이트커버(6)의 게이트(61) 변속단(62)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센서(51)가 배치되고, 상기 홀센서(51)는 레버(2)의 볼(23) 중심으로부터 레버(2)의 상부가 변속되는 위치에 따라 레버(2) 하단의 마그넷(4)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Next, the
상기에서 본체(1)에 기판(5)의 장착은, 본체(1)의 내부 양측에 걸림턱(15)을 구비하고, 그 걸림턱(15)으로부터 기판(5)을 장착하면 된다, 그 장착수단은 리벳, 끼움, 걸림, 등을 들 수 있다.The mounting of the
다음으로, 상기 게이트커버(6)는, 본체(1)의 상단을 폐쇄함과, 레버(2)의 변속단(62)을 안내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본체(1)의 상단에 장착되며, 표면에는 레버(2)의 변속을 안내하는 게이트(61)를 가진 변속단(62)이 구비된다.The
상기 변속단(62)의 게이트(61) 형태는 AT(AT: Automatic Transmission)타입(도4 참고) 또는 MT(MT: Menual Transmission)타입(도6 참고)일 수도 있고, AT타입일 경우 직선형, "H"형, 굴곡형(도4 참고),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상기에서 본체(1)와 게이트커버(6)의 결합은, 본체(1)의 상단을 개방하고, 그 상단에 게이트커버(6)의 하부가 씌워지도록 하여 결합하며, 결합수단은 리벳, 끼움, 걸림, 등을 들 수 있다.
The
이하, 본 발명의 요부 및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레버(2)에 볼(23)을 구비하고 본체(1)에 볼수용부(13)를 구비하여 상호 간에 결합한 볼 결합방식의 조작수단은, 레버(2)가 볼(23)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낳는다. 이는 종래 두 개의 가이드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레버조작수단에 비해 레버의 변위가 자유롭고, 조작감이 부드러우며, 구성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다음으로, 볼(23)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레버(2)의 하단에 마그넷(4)을 구성하고, 그 저 부에 홀센서(51)를 가진 기판(5)을 수평으로 장착시켜 변속단(62)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감지수단은, 레버(2)의 변속단(62)을 평면상에서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낳는다. 이는 종래에 비해 변속단(62)의 격차가 확연하여 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됨은 물론 마그넷(4)과 홀센서(51)의 거리가 멀어지는 편차기 심하지 않아 감지불능현상이 적고, 기판의 수 및 구성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게이트(61)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호환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Next, the
다음으로, 본체(1)의 상단을 개방하여 게이트커버(6)를 결합한 장착구조는, 게이트커버(6)의 게이트(61)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 및 다른 게이트커버(6)로 교체할 수 있는 작용을 낳는다. 이는 종래에 비해 AT와 MT의 공용화가 가능하고, AT의 경우 제조사에서 선호하는 게이트(61) 형상으로 변경하여 기존 게이트커버(6)와 기판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본체(1)의 호환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Next, the mounting structure in which the top of the
이하 본 발명을 기초로 한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게이트커버(6)의 게이트(61)를 통해 먼지 또는 이물질이 본체(1)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드가 구성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e configured to prevent dust or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into the interior of the
상기 슬라이드는, 게이트커버(6)의 상면에 게이트커버(61)의 게이트(61)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레버(2)의 일 측 방향과 타 측 방향으로 이송을 안내하는 제1슬라이더(71) 및 제2슬라이더(72)를 겹쳐 구성하고, 그 상면에 제1슬라이더(71) 및 제2슬라이더(72) 이송방향이 각각 개방형성되고, 게이트커버(6)에 이격된 채 걸림결합되는 덮개(8)로 구성된다.The slide is configured to cover the
더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커버(6)와 덮개(8)의 결합은 게이트커버(6)의 양 측면 좌우에 걸림돌기(63)를 구성하고, 덮개(8)의 양 측면 좌우에는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편(81)을 구성하여 그 연장편(81)에 걸림홈(82)을 구성하여서, 상기 걸림돌기(63)가 걸림홈(82)에 결합되며, 상기 제1슬라이더(71)는 폭이 좁은 형태로 구성하여 중간에 레버(2)의 축부(21)가 관통삽입되는 중심공(7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72)는 게이트(61)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넓은 형태로 구성하여 제1슬라이더(71)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안내홈(721)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8)는 케이트커버(6)의 게이트(61)와 동일한 게이트(83)가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engagement of the
본 발명은 의도하지 않는 레버의 조작을 방지함과 레버의 조작감을 향상하기 위한 탄성걸림수단이 구성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 engagement means for preventing unintended operation of the lever and improving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lever.
상기 탄성걸림수단은, 볼(23)의 일 측에 돌출봉(24)을 구성하고, 상기 돌출봉(24)의 일 측에 레버(2)의 작동 변속단(62)과 대응되는 걸림홈(251)이 형성된 걸림판(25)을 장착하여서, 상기 돌출봉(24)을 걸림홈(251)에 탄성 구성한다.The elastic engaging means includes a protruding
더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봉(24)은 볼(23)의 일 측에 축관(231)을 돌출하고, 그 축관(231)의 내부에 스프링(232)을 탄설하여 축관(231)의 끝단으로부터 돌출봉(24)이 탄성 돌출하며, 상기 걸림판(25)은 레버(2)의 작동 변속단(62)과 대응되는 걸림홈(251)과 레버(2)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홈(252)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251)은 안내홈(252) 보다 더 깊게 형성하며, 상기 돌출봉(24)의 작동범위만큼 본체(1) 내의 볼수용부(13) 및 지지판(12)의 일 측을 절개(121,131)한다.
More specifically, the protruding
본 발명은 마그넷(4)이 홀센서(51)에 근접된 채 수평이동을 가능케 하는 수평이동수단이 구성됨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ly moving means constituting a magnet which allows the magnet (4) to move horizontally while being close to the hall sensor (51).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레버(2)의 하단에 작동볼(26)을 구성하고, 상기 작동볼(26)의 저 부에 내 상부가 삽입되어 레버(2)의 작동에 따라 수평으로 끌고 다닐 수 있는 하단에 마그넷(4)이 장착된 작동구(27)를 구성하며, 상기 작동구(27)의 저 부에 게이트(281)가 형성된 이송안내판(28)과, 그 저 부에 받침판(29)과, 그 저 부에 홀센서(51)가 배치된 기판(5)을 구성하여서, 상기 작동구(27)의 받침판(29)의 상면에서 이송안내판(28)의 게이트(281)를 따라 수평이송되도록 구성한다.The horizontal moving means constitutes an operating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구(27)는 하부에 상부로부터 확장되는 확장부(271)를 구성하여 이송안내판(28)의 게이트(281)에 상부로 이탈되지 못하고, 이송안내판(28)과 받침판(29) 사이에서 수평이동하게 되며, 상기 마그넷(4)은 확장부(271) 내부에 저 부로부터 끼움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이송안내판(28), 받침판(29), 기판(5)은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28a)를 구성하여 그 내부 및 상면에 장착하며, 상기 케이스(28a)는 본체(1)에 장착한다.
More specifically, the actuat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제시한 도면은 예시도로 써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도법에는 맞지 않을 수 있고 요지를 흐릴 수 있는 부분은 편의상 일부 삭제하였다. 이에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lly appreciated and that various applications can be made based thereon.
본체(1) 브라켓(11)
지지판(12) 볼수용부(13)
절개홈(14) 절개(121,131)
레버(2) 축부(21)
손잡이(22) 볼(23)
축관(231) 스프링(232)
돌출봉(24) 걸림판(25)
걸림홈(251) 안내홈(252)
작동볼(26) 작동구(27)
이송안내판(28) 게이트(281)
케이스(28a) 받침판(29)
마그넷홀더(3) 걸림돌기(31)
수용홈(32) 마그넷(4)
기판(5) 홀센서(51)
게이트커버(6) 게이트(61)
변속단(62) 걸림돌기(63)
제1슬라이더(71) 중심공(711)
제2슬라이더(72) 이송안내홈(721)
덮개(8) 연장편(81)
걸림홈(82) 게이트(83) Body (1) Bracket (11)
The support plate (12)
The incision groove (14) incision (121, 131)
The lever (2) shaft portion (21)
The handle (22) and the ball (23)
The
The protruding rods (24)
The latching
The operation ball (26)
The
The
The magnet holder (3)
Receiving groove (32) magnet (4)
Substrate (5) Hall sensor (51)
Gate covers (6) Gates (61)
The gear position of the speed change stage 62 (63)
The
The
The lid (8) extension (81)
The latching
Claims (5)
레버(2)의 하부에 볼(23)을 구성하고, 본체(1)의 내부 중간에 수평으로 되는 지지판(12)을 구성시켜 그 지지판(12)의 수직상 중간에 구체형 껍질형태로 되는 볼수용부(13)를 구성하여 볼수용부(13) 내에 볼(13)이 위치되도록 결합하며, 그 레버(2)의 하단에 마그넷(4)을 장착하고, 그 마그넷(4)의 저 부에 홀센서(51)가 배치된 기판(5)을 본체(1)에 수평으로 장착하며, 본체(1)의 내부 상/하단을 개방하여 게이트커버(6)와 기판(5)을 본체(1)로부터 교체할 수 있도록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
In the electronic shift lever device,
A ball 23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ever 2 and a support plate 12 which is horizontally formed in the middle of the main body 1 is formed so that a spherical shell- A magnet 4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lever 2 and a hole sensor 13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agnet 4. The ball 13 is connected to the ball 13, The substrate 5 on which the substrate 5 is placed is horizontally mounted on the main body 1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1 are opened to replace the gate cover 6 and the substrate 5 from the main body 1 Wherein the shift lever unit is coupled to the shift lever unit.
상기 볼수용부(13) 내에 볼(13)이 위치되도록 결합하는 수단은, 볼수용부(13)의 상단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14)을 형성하여서, 레버(2)의 볼(23)을 본체(1)의 볼수용부(13)에 강제로 끼움 삽입하여 결합함을 포함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ans for engaging the ball 13 i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3 is such that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14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13 so that the balls 23 of the lever 2 (13) of the main body (1) by inserting the main body (1) into the main body (1).
상기 게이트커버(6)의 상면에 게이트커버(61)의 게이트(61)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레버(2)의 일 측 방향과 타 측 방향으로 이송을 안내하는 제1슬라이더(71) 및 제2슬라이더(72)를 겹쳐 구성하고, 그 상면에 제1슬라이더(71) 및 제2슬라이더(72) 이송방향이 각각 개방형성되고, 게이트커버(6)에 이격된 채 걸림결합되는 덮개(8)를 구성함을 포함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lider 71 configured to cover the gate 61 of the gate cover 6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te cover 6 and to guide the transfer of the lever 2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nd a lid 8 which is engaged with the gate cover 6 while spaced apart from the gate cover 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lider 71 and the second slider 7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lider 71 and the second slider 72 are fed. Wherein the shift lever device comprises:
상기 볼(23)의 일 측에 돌출봉(24)을 구성하고, 상기 돌출봉(24)의 일 측에 레버(2)의 작동 변속단(62)과 대응되는 걸림홈(251)이 형성된 걸림판(25)을 장착하여서, 상기 돌출봉(24)을 걸림홈(251)에 탄성 구성함을 포함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otruding rod 2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ll 23 and a latching groove 251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peed change end 62 of the lever 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rod 24 And the plate (25) is mounted on the engaging groove (251) to elastically configure the projecting rod (24) in the engaging groove (251).
상기 레버(2)의 하단에 마그넷(4)을 장착하는 대신 작동볼(26)을 구성하고, 상기 작동볼(26)의 저 부에 내 상부가 삽입되어 레버(2)의 작동에 따라 수평으로 끌고 다닐 수 있는 하단에 마그넷(4)이 장착된 작동구(27)를 구성하며, 상기 작동구(27)의 저 부에 게이트(281)가 형성된 이송안내판(28)과, 그 저 부에 받침판(29)과, 그 저 부에 홀센서(51)가 배치된 기판(5)을 구성하여서, 상기 작동구(27)의 받침판(29)의 상면에서 이송안내판(28)의 게이트(281)를 따라 수평이송되도록 구성함을 포함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perating ball 26 is formed instead of mounting the magnet 4 at the lower end of the lever 2 and an inner upp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ottom portion of the operating ball 26 so that the lever 2 is horizontally A transfer guide plate 28 constituting an operation hole 27 having a magnet 4 mounted on a lower end thereof and having a gate 281 formed on the bottom of the operation hole 27, And the gate 281 of the transfer guide plate 28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9 of the operating member 27 And is configured to be horizontally convey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8993A KR101415152B1 (en) | 2014-04-02 | 2014-04-02 | Electronic type shifter lever device |
CN201580002379.2A CN105682971B (en) | 2014-04-02 | 2015-03-26 | Electronic type gear change lever apparatus |
PCT/KR2015/002956 WO2015152566A1 (en) | 2014-04-02 | 2015-03-26 | Electronic shift lever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8993A KR101415152B1 (en) | 2014-04-02 | 2014-04-02 | Electronic type shifter lever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5152B1 true KR101415152B1 (en) | 2014-07-04 |
Family
ID=5174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8993A Active KR101415152B1 (en) | 2014-04-02 | 2014-04-02 | Electronic type shifter lever devic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5152B1 (en) |
CN (1) | CN105682971B (en) |
WO (1) | WO2015152566A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21818A (en) * | 2016-08-31 | 2017-01-11 | 合肥邦立电子股份有限公司 | Practical gear sensor |
KR20180000183U (en) | 2016-07-07 | 2018-01-17 | (주)에스엠씨 | Sensing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device |
KR20180064869A (en) * | 2016-12-06 | 2018-06-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hift lever assembly of vehicle |
KR101953184B1 (en) | 2018-08-03 | 2019-03-04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System for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
KR20200013526A (en) * | 2018-07-30 | 2020-0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
KR102084562B1 (en) | 2019-08-21 | 2020-05-29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System for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
KR20210044416A (en) * | 2019-10-15 | 2021-04-23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altime position of gear shifting lever by recognizing driver's intention of gear transition for manual transmission |
KR20240107051A (en) * | 2022-12-29 | 2024-07-08 | 주식회사제우 | Control system of forklif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78608A (en) * | 2016-03-10 | 2017-09-19 | 慈溪三和智能卫浴有限公司 | A kind of automotive gear shifter |
CN106352078A (en) * | 2016-08-31 | 2017-01-25 | 合肥邦立电子股份有限公司 | Gear sensor for vehicle |
DE102016219925A1 (en) * | 2016-10-13 | 2018-04-19 | Zf Friedrichshafen Ag | Circuit housing for receiving a portion of a select lever for a vehicle and circuit assembly |
CN106763710B (en) * | 2016-12-20 | 2019-04-16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gear shift device assembly |
CN106763716A (en) * | 2017-02-14 | 2017-05-31 | 安徽新华学院 | A kind of direct manipulation device for improving gear selecting feel |
KR101941567B1 (en) * | 2017-05-18 | 2019-01-24 | 경창산업주식회사 | Detent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
KR101944364B1 (en) * | 2017-06-20 | 2019-02-01 | 경창산업주식회사 | Transmission control device sensing variation of gear levels and a car having the same |
CN107461489A (en) * | 2017-08-22 | 2017-12-12 | 浙江万里扬股份有限公司 | Manual electronic controlled transmission assembly |
JP7409601B2 (en) * | 2018-01-05 | 2024-01-09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shift device |
CN111322386A (en) * | 2020-02-28 | 2020-06-23 | 威力扬汽车光电(滁州)有限公司 | Triple Hall redundant electronic gear shifter and use method thereof |
CN113803455A (en) * | 2020-06-11 | 2021-12-17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A flat-push shift mechanism and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62664A (en) * | 2005-09-01 | 2007-03-15 | Tokai Rika Co Ltd | Shift device |
CN101637653A (en) | 2009-05-15 | 2010-02-03 | 苏华 | Manual operating lever |
CN101915300A (en) | 2010-08-06 | 2010-12-15 | 南京奥联汽车电子电器有限公司 | Noncontact magnetically inductive AMT shifting handle actuating mechanism |
KR101341131B1 (en) * | 2013-01-16 | 2013-12-13 | 경창산업주식회사 |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400328C (en) * | 2003-10-13 | 2008-07-09 | Ghsp;Jsj股份有限公司之分公司 | Vehicle shifter |
DE102004056800A1 (en) * | 2004-11-24 | 2006-06-01 | Zf Friedrichshafen Ag | Switch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
US8122783B2 (en) * | 2008-02-22 | 2012-02-28 | Sauer-Danfoss Inc. | Joysti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2014
- 2014-04-02 KR KR1020140038993A patent/KR101415152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03-26 CN CN201580002379.2A patent/CN10568297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3-26 WO PCT/KR2015/002956 patent/WO201515256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62664A (en) * | 2005-09-01 | 2007-03-15 | Tokai Rika Co Ltd | Shift device |
CN101637653A (en) | 2009-05-15 | 2010-02-03 | 苏华 | Manual operating lever |
CN101915300A (en) | 2010-08-06 | 2010-12-15 | 南京奥联汽车电子电器有限公司 | Noncontact magnetically inductive AMT shifting handle actuating mechanism |
KR101341131B1 (en) * | 2013-01-16 | 2013-12-13 | 경창산업주식회사 |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assembly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183U (en) | 2016-07-07 | 2018-01-17 | (주)에스엠씨 | Sensing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device |
KR200485678Y1 (en) * | 2016-07-07 | 2018-02-07 | (주)에스엠씨 | Sensing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device |
CN106321818A (en) * | 2016-08-31 | 2017-01-11 | 合肥邦立电子股份有限公司 | Practical gear sensor |
KR20180064869A (en) * | 2016-12-06 | 2018-06-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hift lever assembly of vehicle |
KR102676727B1 (en) | 2016-12-06 | 2024-06-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hift lever assembly of vehicle |
KR102478060B1 (en) | 2018-07-30 | 2022-12-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
KR20200013526A (en) * | 2018-07-30 | 2020-0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hift lever apparatus for vehicle |
KR101953184B1 (en) | 2018-08-03 | 2019-03-04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System for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
KR102084562B1 (en) | 2019-08-21 | 2020-05-29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System for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
KR20210044416A (en) * | 2019-10-15 | 2021-04-23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altime position of gear shifting lever by recognizing driver's intention of gear transition for manual transmission |
KR102292179B1 (en) | 2019-10-15 | 2021-08-23 | 한국과학기술원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altime position of gear shifting lever by recognizing driver's intention of gear transition for manual transmission |
KR20240107051A (en) * | 2022-12-29 | 2024-07-08 | 주식회사제우 | Control system of forklift |
KR102684060B1 (en) * | 2022-12-29 | 2024-07-12 | 주식회사제우 | Control system of forklif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52566A1 (en) | 2015-10-08 |
CN105682971B (en) | 2017-11-14 |
CN105682971A (en) | 2016-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5152B1 (en) | Electronic type shifter lever device | |
EP3413119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US10690934B2 (en) | Compact lens module | |
US8322245B2 (en) | Shift lever apparatus | |
US10088036B2 (en) | Multi-directional operating device and vehicle shift apparatus using the multi-directional operating device | |
US10296038B2 (en) | Remote control | |
US20110262074A1 (en) |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floatable light pipe assembly | |
US20180110135A1 (en) | Display and control module | |
US8395375B2 (en) | Swing type input apparatus | |
US11124065B2 (en) | Lever input device | |
JP2014026756A (en) | Controller | |
JP4826607B2 (en) | Shift position sensor | |
JP2009110862A (en) |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holder of electronic device | |
US20160169373A1 (en) | Automotive transmission | |
EP3493233A1 (en) | Switch | |
JP5374399B2 (en) | Sensor detachable lighting fixture | |
US7448902B1 (en) | Mechanical device showing prior mating | |
JP4739106B2 (en) | Sensor device | |
JP4650796B2 (en) | Range detector | |
EP3467453B1 (en) | Liquid sensor and tube holding member of liquid sensor | |
JP2007073839A (en) | Radio base station housing structure | |
CN103887928B (en) | It is provided with the voice coil motor of position sensor carrier | |
JP4826606B2 (en) | Shift position sensor | |
KR101297598B1 (en) | Connector | |
KR20240160147A (en) | Electronic devices, push-button input devices, and electronic shift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