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14530B1 - Transporting vehicle system - Google Patents

Transporting vehicl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530B1
KR101414530B1 KR1020100112589A KR20100112589A KR101414530B1 KR 101414530 B1 KR101414530 B1 KR 101414530B1 KR 1020100112589 A KR1020100112589 A KR 1020100112589A KR 20100112589 A KR20100112589 A KR 20100112589A KR 101414530 B1 KR101414530 B1 KR 101414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loops
buffer
article
convey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5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7599A (en
Inventor
마사토미 카와구치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5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53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76Production flow monitoring,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 general scheme of a conveying path within a fa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과제] 반송차 시스템에 있어서 물품의 반송 효율을 높인다.
[해결 수단] 반송차 시스템(1)은 복수의 처리 장치(2)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차 시스템이고, 궤도(3)와, 반송차(5)와, 버퍼(9)를 구비하고 있다. 궤도(3)는 복수의 처리 장치(2)에 인접하는 복수의 루프(11,13,15)를 갖는다. 반송차(5)는 복수의 루프[예를 들면 제 1 루프(11), 제 2 루프(13), 제 3 루프(15)]를 일방 주행으로 주행함으로써 물품을 반송한다. 버퍼(9)는 루프의 내측에 있어서 루프의 양측 부분에 근접해서 배치되고, 루프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제 1 적재대(85) 및 제 2 적재대(86)를 갖고 있다. 제 1 적재대(85) 및 제 2 적재대(86)는 루프의 양측 부분의 한쪽을 향해서 개방된 제 1 개구부(85a) 및 루프의 양측부분의 반대측을 향해서 개방된 제 2 개구부(86a)를 각각 갖는다.
[PROBLEMS] To improve the conveying efficiency of an article in a conveyer system.
A conveyance system (1) is a conveyance system for conveying articles between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2) and is provided with a trajectory (3), a conveyance car (5) and a buffer have. The track (3) has a plurality of loops (11, 13, 15)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2). The carriage 5 carries the articles by running a plurality of loops (for example, the first loop 11, the second loop 13, and the third loop 15) by one-way running. The buffer 9 has a first stacking table 85 and a second stacking table 86 arranged in a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op and arranged close to both sides of the loop in the inside of the loop. The first loading stage 85 and the second loading stage 86 are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85a opened toward one side of the loop and a second opening 86a open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both sides of the loop Respectively.

Description

반송차 시스템{TRANSPORTING VEHICLE SYSTEM}[0001] TRANSPORTING VEHICLE SYSTEM [0002]

본 발명은 반송차 시스템, 특히 복수의 처리 장치 사이를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반송차를 갖는 반송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an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ance system having a conveyance vehicle traveling along an orbit between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종래, 미리 정해진 경로와, 경로 상에 설치된 복수의 스테이션과, 경로를 따라 주행해서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차를 갖는 반송차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반송차 시스템에서는 스테이션과 반송차 사이에서는 화물 잡기(반송차에 스테이션으로부터 물품이 실리는 것) 또는 화물 내리기(반송차로부터 스테이션에 물품이 실려 출하되는 것)가 행하여진다. Conventionally, there is known a conveyance car system having a predetermined route, a plurality of stations provided on a route, and a plurality of carriage cars traveling along the route to carry the articles. In the carriage system, cargo catching (carrying the article from the station to the carriage) or cargo unloading (carriing the article to the station from the carriage carriage) is performed between the station and the carriage carriage.

반송차 시스템의 대표예로서는 반도체 공장의 반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천정 반송차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천정 반송차 시스템은 천정에 설치된 궤도와, 궤도를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천정 반송차로 구성되어 있다. 천정 반송차는 주로 궤도에 맞물리는 주행부와, 반도체 웨이퍼가 실린 FOUP를 유지할 수 있는 유지부와, 유지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를 갖고 있다.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conveying car system, a ceiling conveying car system used in a conveying system of a semiconductor factory is known. The ceiling conveyance system consists of a track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a ceiling carriage that can travel along the track.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mainly has a traveling sec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track, a holding section capable of holding the FOUP loaded with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holding section up and down.

또한, 최근 천정 반송차는 화물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로 방향 이동 기구를 갖고 있다. 반송차 시스템은 가로 방향 이동용의 일시 보관 포트를 채용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종래의 스토커에 비하여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일시 보관 운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In addition, recently, the overhead traveling carriage has a transverse moving mechanism for moving the cargo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transporter system employs a transient storage port for transverse movemen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erform a temporary storage operation in a simple and quick manner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stocker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2005-206371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206371

상기 반송차 시스템에서는 경로의 측방에 일시 보관 포트가 채용되어 있지만, 조건에 따라서는 반송차 시스템 전체의 반송 효율을 높이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In the above conveyance system, although the temporary storage port is employed at the side of the path, there are cases in which it is not sufficient to increase the conveyance efficiency of the entire conveyance system.

본 발명의 과제는 반송차 시스템에 있어서 물품의 반송 효율을 높이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yance efficiency of an article in a conveyance system.

본 발명에 의한 반송차 시스템은 복수의 처리 장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차 시스템으로서, 궤도와, 반송차와, 적재대를 구비하고 있다. 궤도는 복수의 처리 장치에 인접하는 복수의 루프를 갖는다. 반송차는 복수의 루프를 일방 통행으로 주행함으로써 물품을 반송한다. 적재대는 루프의 내측에 있어서 루프의 양측 부분에 근접해서 배치되고, 루프의 길이 방향으로 1렬로 나란히 배치된 제 1 적재대 및 제 2 적재대를 갖고 있다. 제 1 적재대 및 제 2 적재대는 루프의 양측 부분의 한쪽을 향해서 개방된 제 1 개구부 및 루프의 양측 부분의 반대측을 향해서 개방된 제 2 개구부를 각각 갖는다. A convey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yance system for conveying an article among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and is provided with a track, a conveyance carriage, and a loading stand. The trajectory has a plurality of loops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The conveyer car travels a plurality of loops in a one-way passage to convey the articles. The stacking pod has a first stacking pile and a second stacking pile which are arranged close to both sides of the loop on the inside of the loop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op. The first stacking stage and the second stacking stage each have a first opening opened toward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loop and a second opening open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loop.

이 시스템에서는 적재대가 루프 내에 있어서 양측의 궤도를 향해서 각각 개방된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를 갖고 있으므로 물품의 임시 적치시에 목적으로 하는 처리 장치의 근방에 있고 또한 상기 처리 장치를 향해서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적재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물품의 반송 효율이 향상된다.In this system, since the stacking unit has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which are respectively opened toward the trajectories on both sides in the loop, the opening of the opening in the vicinity of the target processing apparatus at the time of temporary provision of the article, Can be selected. As a result, the conveying efficiency of the article is improved.

제 1 적재대 및 제 2 적재대는 루프 내에서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The first stacking unit and the second stacking unit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loop.

이 시스템에서는 루프의 폭을 최소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this system, the width of the loop can be set to a minimum.

반송차 시스템은 복수의 루프에 접속되고, 복수의 루프 사이에서 물품의 이동을 중계할 수 있는 자동 창고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The carriag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warehous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oops and capable of relaying movement of the articles between the plurality of loops.

이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루프 사이에서 물품을 자동 창고에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생산 스케줄에서 제외된 물품을 적재대에 둘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자동 창고는 경로 이상시의 우회로로서 기능한다. In this system, the goods can be stored in an automatic warehouse between a plurality of loops. Thus, for example,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place articles excluded from the production schedule in the loading zone. Also, the automatic warehouse functions as a detour when the path is abnormal.

궤도는 바닥면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The orbit may be disposed below the floor surface.

이 시스템에서는 궤도가 바닥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궤도를 넘어서 이동할 때에 궤도가 장해가 되지 않는다. In this system, the trajectory does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o that the trajectory does not interfere when the operator moves beyond the trajectory.

반송차 시스템은 궤도를 피복하고,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호 커버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The conveyance ca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over which covers the orbit and which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이 시스템에서는 보호 커버에 의해 바닥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으므로 작업 차가 궤도를 넘어서 이동할 때에 궤도를 파손할 우려가 없다. In this system, since the bottom surface is made flat by the protective cover, there is no possibility of damaging the track when the work vehicle moves beyond the track.

처리 장치는 물품을 직접 이동시킬 수 있게 연결된 제 1 처리 장치 및 제 2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루프는 제 1 처리 장치의 입구 및 제 2 처리 장치의 출구에 각각 배치된 입구측 루프 및 출구측 루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 first processing apparatus and a second processing apparatus connected so as to move the article directly. The plurality of loops may include an inlet side loop and an outlet side loop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outlet of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respectively.

이 시스템에서는 물품은 입구측 루프에 있는 반송차로부터 제 1 처리 장치로 이동되고, 또한 제 2 처리 장치로 직접 이동된다. 최후에, 물품은 제 2 처리 장치로부터 출구측 루프에 있는 반송차로 이동된다. 이렇게 복수의 처리 장치끼리를 접속시킴으로써 반송차 시스템 전체에 있어서의 반송 횟수가 적어진다. In this system, the article is mov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in the inlet side loop to the first processing device and also directly to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Finally, the article is moved from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to the conveying vehicle in the exit side loop.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in this way, the number of conveyance in the entire conveying system is reduced.

복수의 루프는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1의 루프와, 복수의 제 1의 루프의 제 1 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 2의 루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제 1의 루프의 제 2 단부측에는 루프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The plurality of loops may have a plurality of first loops arranged in parallel and a second loop arrang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loops. A loop may not be provided on the second end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loops.

이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제 1의 루프의 제 2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루프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복수의 제 1의 루프 사이로 장치를 반입하는 것 또는 복수의 제 1의 루프 사이로부터 장치를 반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In this system, since there is no loop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loops, it is easy to carry the apparatus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loops or to take the apparatus out of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loops It becomes.

복수의 루프는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1의 루프와, 복수의 제 1의 루프의 제 1 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 2의 루프와, 복수의 제 1의 루프의 제 2 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 3의 루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 3의 루프를 구성하는 궤도는 바닥면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A plurality of loops are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loops, a second loop arrang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loops, and a second loop arranged between the second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loops And may have a third loop arranged to connect. The trajectory constituting the third loop may be disposed below the bottom surface.

이 시스템에서는 제 3의 루프를 구성하는 궤도가 바닥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궤도를 넘어서 이동할 때에 궤도가 장해가 되지 않는다. In this system, the trajectory constituting the third loop does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o that the trajectory is not obstructed when the operator moves beyond the trajectory.

반송차 시스템은 제 3의 루프를 구성하는 궤도를 피복하고,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호 커버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The convey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over which covers an orbit constituting the third loop and which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이 시스템에서는 보호 커버에 의해 바닥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제 1의 루프 사이로 장치를 반입하는 것 또는 복수의 제 1의 루프 사이로부터 장치를 반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In this system, since the bottom surface is flat by the protective cover, it is easy to carry the apparatus between the first loops or to take the apparatus out of the plurality of first loops.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반송차 시스템에서는 적재대가 루프 내에서 루프의 양측 부분을 향해서 각각 개방된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를 갖고 있으므로 물품의 반송 효율이 향상된다. In the convey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acking unit has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which are respectively opened toward both sides of the loop in the loop, the conveying efficiency of the article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가 채용된 반송차 시스템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반송차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궤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모식 평면도이다.
도 6은 반송차 시스템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반송차 내의 콘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레일 상에 보호 커버를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가 채용된 반송차 시스템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채용된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적재대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18은 적재대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9는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onveyer system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rrier system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conveyance car.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5 is a partial schematic plan view of a carrier syste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rajectory.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the conveyance system.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in the conveyance carriag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yance car system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rrier system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rrier system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rrier system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yance car system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rrier system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yer system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ve cover is provided on a rail. Fig.
1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onveyer system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rrier system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Fig. 17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loading platform. Fig.
18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stand.
1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yance car system.

(1) 반송차 시스템 (1) Car carrier system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송차 시스템(1)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가 채용된 반송차 시스템의 모식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반송차 시스템(1)은 대형 액정을 제조하는 액정 제조 공장에 채용되어 있다. 액정 제조 공장에는 복수의 처리 장치(2) 및 검사 장치(4)가 배치되어 있다. 1, a conveyance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conveyer system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In this embodiment, the carriage system 1 is employed in a liquid crystal manufacturing factory for manufacturing a large-sized liquid crystal.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2 and inspection apparatuses 4 are arranged in a liquid crystal manufacturing factory.

반송차 시스템(1)은 복수의 처리 장치(2) 사이에서 물품(예를 들면 복수의 기판을 수용한 카세트)을 반송하는 시스템이고, 궤도(3)와, 반송차(5)와, 자동 창고(7)와, 복수의 버퍼(9)를 갖고 있다. 반송차 시스템(1)에서는 궤도(3)는 복수의 루프[주회로(周回路)]를 갖고 있고, 반송차(5)는 각 루프를 일방 통행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The conveyance system 1 is a system for conveying an article (for example, a cassette contain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between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2 and includes a trajectory 3, a conveyance car 5, (7), and a plurality of buffers (9). In the carriage system 1, the trajectory 3 has a plurality of loops (a main circuit), and the carriage 5 is configured to run the loops one-way.

궤도(3)는 제 1~제 4 루프(11,13,15,17)를 갖고 있다. 제 1~제 3 루프(11,13,15)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그 때문에 직선 형상의 양측 부분과 양 끝에 있는 커브를 갖고 있다. 제 1~제 3 루프(11,13,15)는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연장되어 있다. 제 4 루프(17)는 제 1~제 3 루프(11,13,15)의 한쪽 끝 사이를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제 3 루프(11,13,15)의 제 4 루프(17)와 반대측에는 궤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 1~제 4 루프(11,13,15,17) 사이로 장치를 반입하는 것 또는 그들 사이로부터 장치를 반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The orbit 3 has first to fourth loops 11, 13, 15, and 17. The first to third loops (11, 13, 15) extend long in one direction, and therefore have both straight portions and curves at both ends. The first to third loops (11, 13, 15) exten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fourth loop 17 is disposed so as to extend between one ends of the first to third loops 11, In this embodiment, no tracks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first loop 17 of the first to third loops 11, 13, and 15. Therefore, it is easy to carry the device between the first to fourth loops 11, 13, 15, 17 or to move the device therebetween.

제 1 루프(11)는 복수의 제 1 지름길(shortcut)용 연결부(19)를 설치함으로써 제 1 소루프(11a), 제 2 소루프(11b), 제 3 소루프(11c)를 실현하고 있다. 제 2 루프(13)는 복수의 제 2 지름길용 연결부(21)를 설치함으로써 제 4 소루프(13a), 제 5 소루프(13b), 제 6 소루프(13c)를 실현하고 있다. 제 3 루프(15)는 복수의 제 3 지름길용 연결부(23)를 설치함으로써 제 7 소루프(15a), 제 8 소루프(15b), 제 9 소루프(15c)를 실현하고 있다. The first loop 11 realizes the first small loop 11a, the second small loop 11b and the third small loop 11c by providing a plurality of first shortcut connecting portions 19 . The second loop 13 realizes the fourth small loop 13a, the fifth small loop 13b and the sixth small loop 13c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econd short-path connecting portions 21. [ The third loop 15 realizes the seventh small loop 15a, the eighth small loop 15b and the ninth small loop 15c by providing a plurality of third short-path connecting portions 23. [

제 4 루프(17)는 제 4 지름길용 연결부(25)를 설치함으로써 제 10 소루프(17a), 제 11 소루프(17b)를 실현하고 있다. 제 10 소루프(17a)는 복수의 연결부(27)에 의해 제 1 루프(11) 및 제 2 루프(13)에 연결되어 있다. 제 11 소루프(17b)는 연결부(28)에 의해 제 3 루프(15)에 연결되어 있다. The fourth loop 17 realizes the tenth small loop 17a and the eleventh small loop 17b by providing the fourth short-path connecting portion 25. [ The tenth small loop 17a is connected to the first loop 11 and the second loop 13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27. [ The eleventh small loop 17b is connected to the third loop 15 by a connecting portion 28. [

복수의 처리 장치(2)는 제 1~제 4 루프(11,13,15,17)의 외측에 다수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처리 장치(2)의 구성 및 종류는 공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2 ar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to fourth loops 11, 13, 15, 17 in parallel. Since the configuration and kind of the processing apparatus 2 are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복수의 처리 장치(2)의 한 종류로서 각 루프 사이에 연속해서 배치된 연속 처리 장치(29)가 설치되어 있다. 연속 처리 장치(29)는 제 1 루프(11)와 제 2 루프(13) 사이, 및 제 2 루프(13)와 제 3 루프(1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속 처리 장치(29)는 물품을 직접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배치된 제 1 처리 장치(29a) 및 제 2 처리 장치(29b)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 1 처리 장치(29a)는 에칭 장치이고, 제 2 처리 장치(29b)는 박리 장치이다. 따라서, 물품은 제 1 루프(11)에 있는 반송차(5)로부터 제 1 처리 장치(29a)의 입구 스테이션(36)으로 반입·처리되고, 이어서 제 2 처리 장치(29b)로 반입·처리되며, 최후에 제 2 루프(13)의 출구 스테이션(38)에 있는 반송차(5)로 반출된다.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처리 장치(2) 사이에 반송 궤도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반송차 시스템(1) 전체에서의 반송 공정수가 적어진다. As one type of the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2, there is provided a continuous processing apparatus 29 continuously disposed between loops. The continuous processing device 29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oop 11 and the second loop 13 and between the second loop 13 and the third loop 15. [ The continuous processing device 29 includes a first processing device 29a and a second processing device 29b which are arranged so as to directly move the articles. For example, the first processing device 29a is an etching device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29b is a peeling device. Thus, the articles are transported from the transporting carriage 5 in the first loop 11 to the inlet station 36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29a, and then transported to and processed by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29b , And finally to the transport vehicle 5 at the exit station 38 of the second loop 13.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veying trajectory is not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2, the number of conveying steps in the entire conveying system 1 is reduced.

자동 창고(7)는 제 1 루프(11)와 제 2 루프(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자동 창고(7)는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복수의 선반과, 크레인을 갖고 있다. 자동 창고(7)의 구성은 공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자동 창고(7)는 제 1 루프(11)와 제 2 루프(13)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제 1 루프(11)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스테이션(31)과, 제 2 루프(13)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스테이션(33)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자동 창고(7)는 제 1 루프(11) 또는 제 2 루프(13)를 주행하는 반송차(5)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출납할 수 있다. The automatic warehouse 7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oop 11 and the second loop 13. The automatic warehouse (7) has a plurality of shelves capable of loading articles and a cran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warehouse 7 is known,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The automatic warehouse 7 has a first station 31 extending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op 11 and the second loop 13 extend and a first station 31 extending toward the first loop 11, 13) side. Thereby, the automatic warehouse 7 can deliver and receive articles between the first loop 11 and the conveyance carriage 5 running on the second loop 13.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검사 장치(4)는 자동 창고(7)에 접속되는 형태로 자동 창고(7)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단, 검사 장치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inspection apparatuses 4 are arranged around the automatic warehouse 7 in such a manner as to be connected to the automatic warehouse 7. However, the position of the inspection apparatu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복수의 버퍼(9)는 물품을 처리 장치(2) 사이에서 반송할 때의 임시 적치 장소로서 기능하는 적재대이다. 복수의 버퍼(9)는 제 1~제 4 루프(11~17) 내,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소루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버퍼(9)는 루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가 형성된 복수의 수납부를 갖고 있다. 제 1~제 9 소루프(11a,11b,11c,13a,13b,13c,15a,15b,15c) 내에는 각각 4개의 버퍼(9)가 배치되어 있다. 제 10 소루프(17a) 내에는 6개의 버퍼(9)가 배치되어 있다. 제 11 소루프(17b) 내에는 4개의 버퍼(9)가 일렬로 또한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buffers 9 are stacked tables that serve as temporary temporary storage locations when the articles are transported between the processing apparatuses 2. The plurality of buffers 9 are arranged in the first to fourth loops 11 to 17, more specifically in each small loop. The buffer 9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op, and has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formed with openings as will be described later. Four buffers 9 are arranged in the first to ninth small loops 11a, 11b, 11c, 13a, 13b, 13c, 15a, 15b, 15c. Six buffers 9 are arranged in the tenth small loop 17a. In the eleventh small loop 17b, four buffers 9 are arranged in a line and in a straight line.

본 발명에서 루프는 대향하는 일방과 타방을 가지며, 제 1 적재대는 상기 루프의 일방을 향해서 개방된 제 1 개구부를 구비하고, 제 2 적재대는 상기 루프의 타방을 향해서 개방된 제 2 개구부를 구비한다. 도 4를 이용하여 제 1 버퍼(9A)와 제 2 버퍼(9B)의 배치 및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각 소루프 내에서는 제 1 버퍼(9A)와 제 2 버퍼(9B)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버퍼(9A)와 제 2 버퍼(9B)는 기본적인 구조는 같지만, 개구부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소루프(11a) 내에 있어서 제 1 버퍼(9A)는 3대의 제 1 단위 버퍼(85)를 갖고 있다. 제 1 단위 버퍼(85)는 인접하는 궤도, 구체적으로는 제 1 소루프(11a)의 한쪽의 직선 부분을 향한 제 1 개구부(85a)를 갖고 있다. 제 2 버퍼(9B)는 3대의 제 2 단위 버퍼(86)를 갖고 있다. 제 2 단위 버퍼(86)는 인접하는 궤도, 구체적으로는 제 1 소루프(11a)의 다른쪽의 직선 부분을 향한 제 2 개구부(86a)를 갖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제 1 버퍼(9A)의 제 1 개구부(85a)와 제 2 버퍼(9B)의 제 2 개구부(86a)는 제 1 소루프(11a) 내에서 반대측을 향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 제 1 버퍼(9A)에 대하여는 제 1 소루프(11a)의 제 1 사이드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하고, 제 2 버퍼(9B)에 대하여는 제 1 소루프(11a)의 제 2 사이드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소루프의 어느 사이드로부터나 접근 가능한 버퍼가 1개의 소루프 내에 확보되어 있으므로 반송차(5)와 버퍼(9) 사이에서의 이송이 단시간에 실행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ops have one and the other facing each other, the first stacking frame has a first opening portion opened toward one of the loops, and the second stacking portion has a second opening portion opened toward the other of the loops .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first buffer 9A and the second buffer 9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In each small loop, the first buffer 9A and the second buffer 9B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basic structure of the first buffer 9A and the second buffer 9B is the same, but the directions of the openings are reversed. As shown in Fig. 4, in the first small loop 11a, the first buffer 9A has three first unit buffers 85. In Fig. The first unit buffer 85 has a first opening 85a directed to an adjacent track, specifically, a linear portion of one of the first small loops 11a. The second buffer 9B has three second unit buffers 86. [ The second unit buffer 86 has a second opening 86a directed to an adjacent track, specifically, the other linear portion of the first small loop 11a. The first opening 85a of the first buffer 9A and the second opening 86a of the second buffer 9B ar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first small loop 11a. As a result, the first buffer 9A can be accessed from the first side of the first small loop 11a while the second buffer 9B can be accessed from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small loop 11a Access is possible. Since a buffer accessible from either side of the small loop is secured in one small loop, the transfer between the transport vehicle 5 and the buffer 9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이상의 구성에 의해 각 처리 장치(2)에 인접하는 루프 내에 버퍼(9)가 있고, 특히 루프의 양측 부분을 향해서 각각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버퍼(9)가 있게 된다. 따라서, 2개의 처리 장치(2)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할 때에는 통상은 2개의 커맨드로 반송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커맨드에 의해 반송차(5)가 출발지인 처리 장치(2)로부터 물품을 반출하고, 목적지인 처리 장치(2) 근방의 버퍼(9)로 반송한다. 제 2 커맨드에 의해 반송차(5)가 물품을 버퍼(9)로부터 목적지인 처리 장치(2)로 반송한다. 이렇게 반송차(5)의 2회의 동작에 의해 물품의 반송이 완료되므로 반송차 시스템(1)에 있어서의 물품의 반송 처리량이 향상된다. With the above arrangement, there is a buffer 9 in a loop adjacent to each processing apparatus 2, and in particular, a buffer 9 having an opening that opens toward both side portions of the loop. Therefore, when an article is transported between the two processing apparatuses 2, it is usually possible to realize transport by two commands. Concretely, the first command transfers the article from the processing apparatus 2, which is the origin of the transport vehicle 5, to the buffer 9 in the vicinity of the processing apparatus 2 which is the destination. The transport vehicle 5 carries the article from the buffer 9 to the destination processing apparatus 2 by the second command. Thus, since the conveyance of the articles is completed by the two operations of the conveyance carriage 5, the conveyance throughput of the articles in the conveyance carriage system 1 is improved.

도 5를 이용하여 반송차 시스템(1)의 변형예로서 정지 장소를 확보한 레이아웃을 설명한다. 도 5는 궤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모식 평면도이다. A layout in which a stopping position is ensured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carriage car system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partial schematic plan view of a carrier syste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rajectory.

도 5에서는 처리 장치(2)의 일부가 제거되고, 그 개소에 제 7 소루프(15a)로부터 연장되는 바이패스(89)가 배치되어 있다. 바이패스(89)는 양 끝이 제 7 소루프(15a)에 접속되어 있고, 그 중간부가 소정 길이의 직선 형상으로 되어서 제 7 소루프(15a)의 직선 부분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어 있다. 바이패스(89)에는 복수대의 반송차(5)가 정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바이패스(89)의 배치 위치, 형상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바이패스(89)의 정차 가능 대수는 1대이어도 된다. In Fig. 5, a par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2 is removed, and a bypass 89 extending from the seventh small loop 15a is disposed at the portion. The bypass 89 is connected at its both ends to the seventh small loop 15a,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is linear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parallel to the linear portion of the seventh small loop 15a. A plurality of conveyance carriages (5) can be stopped in the bypass (89).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shape of the bypass 89 are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Further, the number of possible stops of the bypass 89 may be one.

점검 또는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반송차(5)는 바이패스(89)에 들어가고, 직선 부분에서 정지한다. 그 상태에서 작업자가 반송차(5)를 점검 또는 메인터넌스한다. 이상으로부터 점검 또는 메인터넌스 작업에 의해 처리 장치(2) 사이를 반송하는 반송차(5)의 작업을 정지시키는 일이 없다. 즉, 반송차 시스템(1)에 있어서의 다운 타임을 저감 또는 없앨 수 있다.The conveyance carriage 5 requiring inspection or maintenance enters the bypass 89 and stops at the straight portion. In this state, the operator checks or carries out the conveyance carriage 5. As a result, the work of the conveyance carriage 5 for conveying between the processing apparatuses 2 is not stopped by the inspection or maintenance operati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or eliminate the downtime in the conveyance system 1.

(2) 반송차(2)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반송차(5)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반송차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는 지면 직교 방향이 반송차(5)의 반송 방향이고, 지면 좌우 방향이 물품의 이송 방향이다. 도 3에 있어서는 지면 상하 방향이 반송차(5)의 반송 방향이고, 지면 좌우 방향이 물품의 이송 방향이다. The structure of the carriage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rrier system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conveyance car. In Fig. 2,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aper i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ance carriage 5, and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aper i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article. 3,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is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port vehicle 5,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aper is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article.

도 2에는 바닥면(32)과 천정면(34)이 나타내어지고, 또한 반송차(5), 버퍼(9), 처리 장치(2)의 스테이션(2a)이 나타내어져 있다. 반송차(5), 버퍼(9), 처리 장치(2)의 스테이션(2a)의 상면은 대략 같은 높이이고, 천정면(34)에 근접하고 있다.2 shows the bottom surface 32 and the ceiling surface 34 and also shows the carriage 5, the buffer 9 and the station 2a of the processing apparatus 2. In FIG. The top surface of the carriage 5, the buffer 9 and the station 2a of the processing apparatus 2 are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nd close to the ceiling surface 34. [

반송차(5)는 처리 장치(2)의 스테이션 사이에서 유리 기판 또는 카세트 등의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이다. 반송차(5)는 본체(35)와, 주행부(37)와, 롤러 컨베이어(39)와, 푸시풀 이송 장치(41)와, 미니인바이런먼트(minienvironment) 기구(43)를 갖고 있다. The conveying carriage 5 is a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an article such as a glass substrate or a cassette between the stations of the processing apparatus 2. [ The conveying carriage 5 has a main body 35, a running portion 37, a roller conveyor 39, a push-pull conveying device 41, and a mini-inference mechanism 43.

본체(35)는 대략 상자형 형상을 갖고 있다. The main body 35 has a substantially box-like shape.

주행부(37)는 본체(35)의 좌우 전후에 설치된 차륜(45)과, 차륜(45)에 접속된 주행 모터(131)(도 7)와, 주행 모터(131)에 설치된 인코더(139)(도 7)를 갖고 있다. 차륜(45)이 주행하는 레일(47)은 도 2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32)에 형성된 오목부(32a) 내에 배치되어 있고, 바닥면(32)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The traveling section 37 includes a wheel 45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35, a traveling motor 131 (Fig. 7) connected to the wheel 45, an encoder 139 provided on the traveling motor 131, (Fig. 7). The rail 47 on which the wheel 45 travels is arranged in the concave portion 32a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32 and is disposed below the bottom surface 32 as is clearly shown in Fig.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차(5)가 주행하지 않는 개소의 레일(47) 상에는 보호 커버(70)를 설치할 수 있다. 보호 커버(70)는 레일(47)을 피복하고, 바닥면(32)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보호 커버(70)에 의해 바닥면(32)이 평탄하게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레일(47)을 넘어서 이동할 때에 레일(47)을 파손할 우려가 없다.As shown in Fig. 14, the protective cover 70 can be provided on the rail 47 where the conveyance carriage 5 does not run. The protective cover 70 covers the rail 47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32. There is no fear that the rail 47 will be damaged when the operator moves beyond the rail 47 because the bottom surface 32 is flat by the protective cover 70. [

롤러 컨베이어(39)는 본체(35)의 상면에 전동(轉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반송차(5)의 지지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컨베이어(39)의 롤러(39a)는 주행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이 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롤러 컨베이어(39)는 주행 방향으로 이격된 1쌍의 롤러열로 구성되어 있다. 롤러 컨베이어(39)의 롤러(39a)는 전부 프리롤러(자립적으로는 구동하지 않는 롤러)이고, 롤러의 열은 단순히 물품의 가이드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물품을 이송할 때의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중량이 있는 물품의 이송에 적합하다. 이렇게 반송차(5)의 지지면은 전동 가능한 롤러로 이루어지는 롤러 컨베이어(39)이므로 물품의 이송시에 마모분의 발생이 억제된다. The roller conveyor 39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5 so as to be able to roll, and constitutes a supporting surface of the conveyance carriage 5. [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rollers 39a of the roller conveyor 39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unning direction, whereby the article can be easily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roller conveyor 39 is constituted by a pair of roller rows spaced apart in the running direction. The rollers 39a of the roller conveyor 39 are all free rollers (rollers that do not drive independently), and the rows of rollers simply constitute the guide members of the articles. Therefore, the resistance at the time of transporting the article can be reduced, and it is suitable for transporting the heavy article. Thus, the support surface of the conveyance carriage 5 is a roller conveyor 39 made of rollable rollers, so that the occurrence of abrasion is suppressed during conveyance of the article.

푸시풀 이송 장치(41)는 롤러 컨베이어(39)의 롤러열 상의 물품을 밀고 당겨서 이동시키는 진퇴 장치이다. 푸시풀 이송 장치(41)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암 기구(51)와, 암 기구(51)에 설치된 훅 부재(53)와, 암 기구(51)를 상하·좌우·진퇴시키는 푸시풀 구동 기구(133)(도 7)를 갖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푸시풀 이송 장치(41)는 롤러 컨베이어(39)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푸시풀 이송 장치(41)는 물품의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이 간단하다. 따라서, 반송차(5)의 경량화가 실현된다.The push-pull conveying device 41 is a retractable device that pushes and pulls the article on the roller row of the roller conveyor 39 to move. The push-pull conveying apparatus 41 includes an arm mechanism 51 that is extendable and retractable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hook member 53 provided on the arm mechanism 51, and a push- (Fig. 7). In the state shown in Fig. 2, the push-pull conveying device 41 is disposed below the roller conveyor 39. Further, the push-pull transfer device 41 does not ne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article, so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 Therefore, the weight of the conveyance carriage 5 is realized.

훅 부재(53)는 암 기구(51)의 최상단의 암으로부터 좌우 방향 양측으로 더 연장되는 제 1부분(53a)과, 제 1 부분(53b)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53b)을 갖고 있다. 제 2 부분(53b)끼리의 좌우 방향 거리는 물품의 좌우 방향길이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다. The hook member 53 includes a first portion 53a extending further to both s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uppermost arm of the arm mechanism 51 and a second portion 53b extending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first portion 53b. Lt; / RTI >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rtions 53b is slightly longer than the lateral length of the article.

미니인바이런먼트 기구(43)는 하우징(55)과, 1쌍의 셔터(57)와, FFU(Fan Filter Unit)(59)를 갖고 있다. 미니인바이런먼트 기구(43)는 반송차(5)에 있어서 물품 주위 환경의 청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하우징(55)은 본체(35)의 상부 및 전후에 설치되고, 소정의 공간을 차폐하고 있다. 하우징(55)의 좌우 양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에는 1쌍의 셔터(57)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57)는 셔터 구동 모터(135)(도 7)에 의해 개폐 동작이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1쌍의 셔터(57)는 하우징(55) 내의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폐하고 있다. FFU(59)는 하우징(55) 내에 클린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고, FFU 구동 모터(137)(도 7)에 의해 구동된다. The mini inverting mechanism 43 has a housing 55, a pair of shutters 57, and an FFU (Fan Filter Unit) 59. The mini-inhaler mechanism 43 is a mechanism for improving the cleanliness of the article circumstance in the conveyance carriage 5. [ The housing 55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nd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35, and shields a predetermined space. Openings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55, and a pair of shutters 57 are provided in the opening. The shutter 57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hutter drive motor 135 (Fig. 7). In the state shown in Fig. 2, the pair of shutters 57 shields the space in the housing 55 from the outside. The FFU 59 is a device for supplying clean air into the housing 55 and is driven by the FFU driving motor 137 (Fig. 7).

(3) 버퍼(3) Buffers

도 2를 이용하여 버퍼(9)[도 4의 제 1 단위 버퍼(85), 제 2 단위 버퍼(86)에 상당]의 구조를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buffer 9 (corresponding to the first unit buffer 85 and the second unit buffer 86 in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버퍼(9)는, 예를 들면 제 1 소루프(11a)의 내측에 있어서 양측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버퍼(9)는 적재대(61)와, 롤러 컨베이어(63)와, 미니인바이런먼트 기구(65)를 갖고 있다.The buffer 9 is disposed, for example, close to both side portions inside the first small loop 11a. The buffer 9 has a loading table 61, a roller conveyor 63, and a mini-inhaler mechanism 65.

적재대(61)는 대략 상자형 형상을 갖고 있다. 롤러 컨베이어(63)는 적재대(61)의 상면에 전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버퍼(9)의 적재면을 구성하고 있다. 롤러 컨베이어(63)는 반송차(5)의 롤러 컨베이어(39)와 동일 높이이다. 롤러 컨베이어(63)의 롤러는 주행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이 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롤러 컨베이어(63)는 주행 방향으로 이격된 1쌍의 롤러열로 구성되어 있다. 롤러 컨베이어(63)의 롤러는 전부 프리롤러이다. 이렇게 버퍼(9)의 적재면은 전동 가능한 롤러로 이루어지는 롤러 컨베이어(63)이므로 물품의 이송시에 마모분의 발생이 억제된다. The pallet 61 has a substantially box-like shape. The roller conveyor 6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ading table 61 so as to be able to rotate, and constitutes a loading surface of the buffer 9. The roller conveyor 63 is flush with the roller conveyor 39 of the conveyance carriage 5. The rollers of the roller conveyor 63 are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running direction, whereby the articles can be easily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oller conveyor 63 is composed of a pair of roller rows spaced apart in the running direction. The rollers of the roller conveyor 63 are all free rollers. Thus, since the loading surface of the buffer 9 is the roller conveyor 63 made of rollable rollers, the generation of abrasion is suppressed at the time of conveyance of the article.

미니인바이런먼트 기구(65)는 커버(67)와, FFU(69)를 갖고 있다. 미니인바이런먼트 기구(65)는 버퍼(9)에 있어서 커버(67) 내 즉 물품 주위 환경의 청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커버(67)는 적재대(61)의 상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공간을 차폐하고 있다. 커버(67)의 궤도측에는 개구부(67a)[도 4의 제 1 개구부(85a), 제 2 개구부(86a)에 상당]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는 물품의 상방에만 배치되어 있지만, 커버는 물품의 상방과 좌우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물품의 상방과 좌우와 안쪽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에 셔터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 셔터를 설치해도 된다. FFU(69)는 하우징(55) 내에 클린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적재된 물품 주위의 청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이다. FFU(69)는 FFU 구동 모터(137)(도 7)에 의해 구동된다.The mini inverting mechanism 65 has a cover 67 and an FFU 69. The mini inhalation mechanism 65 is a mechanism for improving the cleanliness of the environment around the article in the cover 67 in the buffer 9. [ The cover 67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table 61 and shields a predetermined space. An opening 67a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85a and the second opening 86a in Fig. 4) is formed on the track side of the cover 67. [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is disposed only above the article, but the cover may be disposed only above an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article, or may be disposed above, right, left, and inside of the article. In this embodiment, the shutter is not provided in the opening portion, but a shutter may be provided if necessary. The FFU 69 is a device for increasing cleanliness around the stacked article by supplying clean air into the housing 55. [ The FFU 69 is driven by the FFU driving motor 137 (Fig. 7).

(4) 스테이션(4) Station

도 2를 이용하여 처리 장치(2)의 스테이션(2a)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테이션(2a)은 적재대(71)와, 롤러 컨베이어(73)를 갖고 있다.The station 2a of the processing apparatus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station 2a has a loading table 71 and a roller conveyor 73. [

적재대(71)는 대략 상자형 형상을 갖고 있다. 롤러 컨베이어(73)는 적재대(71)의 상면에 전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롤러 컨베이어(73)의 롤러는 주행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물품이 좌우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롤러 컨베이어(73)는 주행 방향으로 이격된 1쌍의 롤러열로 구성되어 있다. 롤러 컨베이어(73)의 롤러는 전부 프리롤러이다.The stage 71 has a substantially box-like shape. The roller conveyor 73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71 in a rolling manner. The rollers of the roller conveyor 73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unning direction, whereby the articles can be easily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roller conveyor 73 is constituted by a pair of roller rows spaced apart in the running direction. The rollers of the roller conveyor 73 are all free rollers.

(5) 제어 구성(5) Control configuration

도 6을 이용하여 반송차 시스템(1)의 제어계(120)를 설명한다. 도 6은 반송차 시스템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The control system 120 of the conveyance system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the conveyance system.

제어계(120)는 제조 콘트롤러(121)와, 물류 콘트롤러(123)와, 자동 창고 콘트롤러(125)와, 반송차 콘트롤러(127)를 갖고 있다.The control system 120 has a manufacturing controller 121, a distribution controller 123, an automatic warehouse controller 125, and a transportation car controller 127.

물류 콘트롤러(123)는 자동 창고 콘트롤러(125) 및 반송차 콘트롤러(127)의 상위 콘트롤러이다. 반송차 콘트롤러(127)는 복수의 반송차(5)를 관리하고, 이들에 반송 지령을 할당하는 할당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반송 지령」은 주행에 관한 지령 및, 화물을 잡는 위치와 화물을 내리는 위치에 관한 지령을 포함하고 있다. The logistics controller 123 is a host controller of the automatic warehouse controller 125 and the conveyance car controller 127. The transporting car controller 127 has an allocation function for managing a plurality of transporting vehicles 5 and assigning a transporting instruction to them. The " transportation instruction " includes a command for traveling, and a command for a position for holding the cargo and a position for lowering the cargo.

제조 콘트롤러(121)는 처리 장치(2)와의 사이에서 통신할 수 있다. 처리 장치(2)는 처리가 종료된 물품의 반송 요구(화물 잡기 요구·화물 내리기 요구)를 제조 콘트롤러(121)에 송신한다. The manufacturing controller 121 can communicate with the processing apparatus 2. [ The processing device 2 transmits a transport request (cargo hold request / cargo release request) of the finished product to the manufacturing controller 121.

제조 콘트롤러(121)는 처리 장치(2)로부터의 반송 요구를 물류 콘트롤러(123)로 송신하고, 물류 콘트롤러(123)는 보고를 제조 콘트롤러(121)에 송신한다. The manufacturing controller 121 transmits a transport request from the processing apparatus 2 to the goods distribution controller 123 and the goods distribution controller 123 sends the report to the manufacture controller 121. [

물류 콘트롤러(123)는 제조 콘트롤러(121)로부터 반송 요구를 받으면 자동 창고(7)에서의 입고 또는 출고가 수반되고 있는 경우, 소정의 타이밍으로 입고 또는 출고 지령을 자동 창고 콘트롤러(125)에 송신한다. 그리고, 자동 창고 콘트롤러(125)는 이에 따라 입고 또는 출고 지령을 자동 창고(7)에 송신한다. 물류 콘트롤러(123)는 또한 제조 콘트롤러(121)로부터 반송 요구를 수취하면 그것을 반송 지령으로 변환하고, 반송차(5)에의 반송 지령 할당 동작을 행한다. When receiving a transportation request from the manufacturing controller 121, the goods distribution controller 123 transmits a goods receipt or departure order to the automatic warehouse controller 125 at a predetermined timing when goods receipt or dispatch is carried out in the automatic warehouse 7 . Then, the automatic warehouse controller 125 transmits the goods receipt or departure order to the automatic warehouse 7 accordingly. The distribution controller 123 also receives the transport request from the manufacturing controller 121, converts it into a transport instruction, and carries out a transport instruction allocation operation to the transport vehicle 5. [

반송차 콘트롤러(127)는 반송 지령을 작성하기 위해서 각 반송차(5)와 연속적으로 통신하고, 각 반송차(5)로부터 송신된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그 위치 정보를 얻고 있다.The transporting car controller 127 continuously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transporting vehicles 5 in order to create a transport instruction and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data transmitted from each transporting vehicle 5. [

도 7을 이용하여 반송차(5)의 반송차 내 콘트롤러(12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반송차 내의 콘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The controller 129 in the conveyance carriage 5 of the conveyance carriage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in the conveyance carriage.

반송차 내 콘트롤러(129)는 CPU, RAM, ROM 등으로 이루어지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이다. 반송차 내 콘트롤러(129)의 메모리에는 루트맵이 보존되어 있다. 반송차(5)는 루트맵에 기재된 좌표와 자기(自機)의 내부 좌표[인코더(139)(후술)에 의해 구한 좌표]를 비교하면서 주행을 계속한다. The controller 129 in the carriage car is a computer which is made up of a CPU, a RAM, a ROM and the like and executes a program. A route map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ler 129 in the carriage carriage. The carriage 5 continues the traveling while comparing the coordinates written in the route map with the coordinates of the own (internal coordinates of the own apparatus) (coordinates obtained by the encoder 139 (described later)).

반송차 내 콘트롤러(129)에는 주행 모터(131), 푸시풀 구동 기구(133), 셔터 구동 모터(135), FFU 구동 모터(137), 인코더(139)가 접속되어 있다. A drive motor 131, a push-pull drive mechanism 133, a shutter drive motor 135, an FFU drive motor 137, and an encoder 139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29 in the conveyance.

(6) 반송차 시스템의 동작(6) Operation of the carriage system

도 2 및 도 8~도 13을 이용하여 반송차 시스템(1)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의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의 상태에서는 반송차(5)는 물품(C1)을 적재한 상태로 버퍼(9)와 처리 장치(2)의 스테이션(2a) 사이에 정지하고 있다. 스테이션(2a)에는 물품(C2)이 적재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반송차(5)는 물품(C1)을 버퍼(9)에 내리고, 이어서 물품(C2)을 스테이션(2a)으로부터 싣는다. 이하, 그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veyance system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8 to 13. Fig. 8 to 13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of a conveyance car system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conveying carriage 5 is stopped between the buffer 9 and the station 2a of the processing apparatus 2 in a state in which the article C1 is loaded. An article C2 is loaded on the station 2a. From this state, the carriage 5 drops the article C1 to the buffer 9, and then loads the article C2 from the station 2a. Hereinafter,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의 상태로부터 반송차(5)에 있어서 셔터 구동 모터(135)가 구동됨으로써 버퍼(9)측의 셔터(57)가 개방된다. 또한, 푸시풀 구동 기구(133)의 승강 기구(도시생략)가 구동되어서 암 기구(51)가 상승된다. 그 결과, 훅 부재(53)의 제 2 부분(53b)이 물품(C1)의 좌우 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암 기구(51)의 상승 후의 상태를 도 8에 나타낸다.The shutter 57 on the side of the buffer 9 is opened by driving the shutter drive motor 135 in the conveyance carriage 5 from the state shown in Fig. Further, the elevating mechanism (not shown) of the push-pull driving mechanism 133 is driven, and the arm mechanism 51 is raised. As a result, the second portion 53b of the hook member 53 is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article C1. The state after the arm mechanism 51 is raised is shown in Fig.

도 8의 상태로부터 반송차(5)에 있어서 푸시풀 구동 기구(133)의 슬라이드 기구(도시 생략)가 구동되어서 암 기구(51)가 버퍼(9)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C1)은 훅 부재(53)의 제 2 부분(53b)에 밀려서 반송차(5)로부터 버퍼(9) 내로 반송된다. 구체적으로는 물품(C1)은 롤러 컨베이어(39) 및 롤러 컨베이어(63) 상을 미끄러져 이동한다. 물품(C1)의 이동 후의 상태를 도 9에 나타낸다.The slide mechanism (not shown) of the push-pull drive mechanism 133 is driven in the conveying carriage 5 from the state shown in Fig. 8 so that the arm mechanism 51 is slid toward the buffer 9 side. The article C1 is pushed by the second portion 53b of the hook member 53 and is transported into the buffer 9 from the transporting carriage 5. More specifically, the article C1 slides on the roller conveyor 39 and the roller conveyor 63 to move. The state of the article C1 after movement is shown in Fig.

도 9의 상태로부터 반송차(5)에 있어서 푸시풀 구동 기구(133)의 승강 기구 (도시 생략)가 구동되어서 암 기구(51)가 하강된다. 그 결과, 훅 부재(53)의 제 2 부분(53b)이 물품(C1)의 좌우 방향 양측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이어서, 푸시풀 구동 기구(133)의 슬라이드 기구(도시 생략)가 구동되어서 암 기구(51)가 반송차(5)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것에 의해, 암 기구(51)가 반송차(5) 내로 복귀한다. 최후에 셔터 구동 모터(135)가 구동되어서 버퍼(9)측의 셔터(57)가 폐쇄된다. 셔터(57)가 폐쇄된 상태를 도 10에 나타낸다.The elevating mechanism (not shown) of the push-pull driving mechanism 133 is driven in the conveying carriage 5 from the state shown in Fig. 9, and the arm mechanism 51 is lowered. As a result, the second portion 53b of the hook member 53 is disposed below both sid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article C1. Then, a slide mechanism (not shown) of the push-pull drive mechanism 133 is driven to slide the arm mechanism 51 toward the conveyance carriage 5 side. As a result, the arm mechanism 51 returns to the carriage 5. Finally, the shutter drive motor 135 is driven to close the shutter 57 on the buffer 9 side. The state in which the shutter 57 is closed is shown in Fi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송차(5)는 버퍼(9)의 측방에 정지하고, 푸시풀 이송 장치(41)에 의해 본체(35)와 버퍼(9) 사이에서 물품을 이동시킨다. 물품은 푸시풀 이송 장치(41)로부터 힘이 작용하면 롤러 컨베이어(39)와 롤러 컨베이어(63) 상을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간단한 구조로 중량물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rriage 5 stops at the side of the buffer 9 and moves the article between the main body 35 and the buffer 9 by the push- The article moves on the roller conveyor 39 and the roller conveyor 63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push-pull conveying device 41. In this way, heavy materials can be conveyed with a simple structure.

도 10의 상태로부터 반송차(5)에 있어서 셔터 구동 모터(135)가 구동됨으로써 스테이션(2a)측의 셔터(57)가 개방된다. 또한, 푸시풀 구동 기구(133)의 슬라이드 기구(도시 생략)가 구동되어서 암 기구(51)가 버퍼(9)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암 기구(51)의 슬라이딩 후의 상태를 도 11에 나타낸다. When the shutter drive motor 135 is driven in the conveyance carriage 5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0, the shutter 57 on the station 2a side is opened. Further, the slide mechanism (not shown) of the push-pull drive mechanism 133 is driven to slide the arm mechanism 51 toward the buffer 9 side. The state after sliding the arm mechanism 51 is shown in Fig.

도 11의 상태로부터 반송차(5)에 있어서 푸시풀 구동 기구(133)의 승강 기구 (도시 생략)가 구동되어서 암 기구(51)가 상승된다. 그 결과, 훅 부재(53)의 제 2 부분(53b)이 물품(C2)의 좌우 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암 기구(51)가 상승한 상태를 도 12에 나타낸다.The elevating mechanism (not shown) of the push-pull driving mechanism 133 is driven in the conveying carriage 5 from the state of Fig. 11, and the arm mechanism 51 is raised. As a result, the second portion 53b of the hook member 53 is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article C2. The state in which the arm mechanism 51 is lifted is shown in Fig.

도 12의 상태로부터 푸시풀 구동 기구(133)의 슬라이드 기구가 구동되어서 암 기구(51)가 반송차(5)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것에 의해, 암 기구(51)가 반송차(5) 내로 복귀한다. 또한, 물품(C2)은 훅 부재(53)의 제 2 부분(53b)에 밀려서 스테이션(2a)으로부터 반송차(5) 내로 반송된다. 구체적으로는 물품(C2)은 롤러 컨베이어(73) 및 롤러 컨베이어(39) 상을 미끄러져 이동한다. 또한, 푸시풀 구동 기구(133)의 승강 기구(도시 생략)가 구동되어서 암 기구(51)가 하강된다. 그 결과, 훅 부재(53)의 제 2 부분(53b)이 물품(C2)의 좌우 방향 양측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최후에, 셔터 구동 모터(135)가 구동되어서 스테이션(2a)측의 셔터(57)가 폐쇄된다. 셔터(57)가 폐쇄된 상태를 도 13에 나타낸다. From the state of Fig. 12, the slide mechanism of the push-pull drive mechanism 133 is driven, and the arm mechanism 51 slides toward the conveyance carriage 5 side. As a result, the arm mechanism 51 returns to the carriage 5. The article C2 is pushed by the second portion 53b of the hook member 53 and is conveyed from the station 2a into the conveyance car 5. [ More specifically, the article C2 slides on the roller conveyor 73 and the roller conveyor 39 to move. Further, the lift mechanism (not shown) of the push-pull drive mechanism 133 is driven, and the arm mechanism 51 is lowered. As a result, the second portion 53b of the hook member 53 is disposed below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rticle C2. Finally, the shutter drive motor 135 is driven to close the shutter 57 on the station 2a side. The state in which the shutter 57 is closed is shown in Fig.

이상에 의해 일련의 이송 동작이 종료된다.As a result, a series of traversing operations is completed.

(7) 기타 실시형태 (7) Other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rbitrarily combined as needed.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측을 향한 개구부를 각각이 복수 갖는 제 1 버퍼(9A)와 제 2 버퍼(9B)가 1개씩 교대로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A)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buffer 9A and the second buffer 9B each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facing to the other side are alternately provided one by 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버퍼는 루프 내에 있어서 루프의 양측 부분을 향해서 각각 개방된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를 갖고 있으면 어떠한 구조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한쪽 종류의 버퍼가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개구부를 1개만 갖고 있는 버퍼가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즉, 버퍼의 형상, 각각의 버퍼의 연속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buffer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has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which are open toward both sides of the loop in the loop. For example, one kind of buffer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Further, a buffer having only one opening may be used. That is, the shape of the buffer and the number of consecutive buffer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이상의 구조에 의해 버퍼가 루프 내에 있어서 루프의 양측 부분을 향해서 각각 개방된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물품을 버퍼(9)에 반입할 때에 목적으로 하는 처리 장치(2)의 근방에 있고 또한 상기 처리 장치(2)를 향해서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버퍼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물품의 반송 효율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buffer has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which are respectively opened toward both sides of the loop in the loop. Therefore, when bringing the article into the buffer 9, it is possible to select a buffer near the processing apparatus 2, which has an opening that is opened toward the processing apparatus 2, As a result, the conveying efficiency of the article is improved.

(B) 루프 내에서 복수의 버퍼(9)는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단, 루프의 폭을 극단적으로 크게 하지 않기 위해서는 복수의 버퍼(9)는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퍼(9)가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루프의 폭을 최소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B) The plurality of buffers 9 in the loop need not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However, in order not to make the width of the loop extremely larg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buffers 9 are arranged in a line. Further, when the buffer 9 is arranged in a linear shape, the width of the loop can be set to a minimum.

(C) 도 15에 나타내는 반송차 시스템에서는 궤도(3)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조에 추가하여 제 1~제 3 루프(11,13,15)의 제 4 루프(17)와 반대측에 제 5 루프(77)를 갖고 있다.(C) In the traction system shown in Fig. 15, the trajectory 3 has,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fifth loop 17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ourth loop 17 of the first to third loops 11, (77).

제 5 루프(77)는 제 5 지름길 연결부(79)를 설치함으로써 제 12 소루프(77a), 제 13 소루프(77b)를 실현하고 있다. 제 12 소루프(77a)는 복수의 연결부(81)에 의해 제 1 루프(11) 및 제 2 루프(13)에 연결되어 있다. 제 13 소루프(77b)는 연결부(83)에 의해 제 3 루프(15)에 연결되어 있다. The fifth loop 77 realizes the twelfth small loop 77a and the thirteenth small loop 77b by providing the fifth short-cut line connecting portion 79. [ The twelfth small loop 77a is connected to the first loop 11 and the second loop 13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81. [ And the thirteenth small loop 77b is connected to the third loop 15 by the connecting portion 83. [

제 1~제 5 루프(11,13,15,17,77)의 레일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면(32)의 오목부(32a)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통상시에는 제 5 루프(77)의 레일 상에 보호 커버를 씌워 둔다. 보호 커버를 배치함으로써 바닥면(32)이 평탄해지므로 제 1~제 4 루프(11,13,15,17) 사이로 장치를 반입하는 것 또는 그들 사이로부터 장치를 반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작업자가 제 5 루프(77)를 넘어서 이동할 때에 레일을 파손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예를 들면 비상시에는 보호 커버를 벗기고 반송차(5)를 제 5 루프(77) 상에서 주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The rails of the first to fifth loops 11, 13, 15, 17, and 77 are accommodated in the concave portion 32a of the bottom surface 32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 protective cover is put on the rails of the fifth loop 77 during normal operation. By arranging the protective cover, the bottom surface 32 becomes flat, so that it is easy to carry the device between the first to fourth loops 11, 13, 15, 17 or to carry the device out of between them. Further, there is no fear that the rail will be damaged when the operator moves beyond the fifth loop 77. [ Then, for exampl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protective cover may be peeled off and the carriage 5 may be caused to run on the fifth loop 77.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5 루프(77) 내에는 버퍼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단, 필요에 따라서 버퍼를 배치해도 된다. In this embodiment, no buffer is provided in the fifth loop 77. However, the buffer may be arranged as required.

(D) 도 16~도 19를 이용하여 버퍼에 있어서의 물품 수용 능력을 높인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채용된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적재대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18은 적재대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9는 반송차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D)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article storage capacity of the buffer is enhanc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9. Fig.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arrier system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Fig. 17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loading platform. Fig. 18 is a partial side view of the stand. 1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yance car system.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퍼(91)는 롤러 컨베이어(93)와, 지지 기구(95)를 갖고 있다.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buffer 91 has a roller conveyor 93 and a support mechanism 95.

롤러 컨베이어(93)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지만, 각 롤러(93a)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롤러 컨베이어(93)는 롤러(93a)를 지지하는 지지부(93b), 지주(93c), 및 지지봉(93d)을 더 갖고 있다. 지지부(93b)는 롤러(93a)를 직접 지지하는 부분이고, 롤러(93a)가 배열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93b)는 롤러(93a)의 다른 롤러열에 대향하는 측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지주(93c)는 지지부(93b)를 소정 높이로 유지하고 있다. 지지봉(93d)은 지주(93c)로부터 경사져서 연장되고 롤러(93a)의 다른 롤러열과 반대측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즉, 롤러(93a)의 다른 롤러열과 반대측에는 지주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The roller conveyor 93 is the same as the above embodiment, but a predetermined clearance is ensured between the rollers 93a. The roller conveyor 93 further has a support portion 93b for supporting the roller 93a, a support 93c, and a support bar 93d. The support portion 93b directly supports the roller 93a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er 93a is arranged. The support portion 93b rotatably supports the end of the roller 93a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ther roller row. The strut 93c holds the support portion 93b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support rod 93d extends obliquely from the strut 93c and rotatably supports an end of the roller 93a opposite to the other roller row. That is, no support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ther roller row of the roller 93a.

지지 기구(95)는 롤러 컨베이어(93) 상의 물품을 롤러 컨베이어(93)보다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고, 지지 부재(97)와, 구동 기구(99)를 갖고 있다. 지지 부재(97)는 1쌍의 롤러 컨베이어(93)를 상하 방향으로 각각 통과해서 물품을 지지할 수 있는 1쌍의 부재이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1)과, 베이스 프레임(101)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가는 지지부(103)를 갖고 있다. 각 베이스 프레임(101)은 각 롤러 컨베이어(93)의 전후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롤러 컨베이어(93)의 각 롤러(93a)가 배열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부(103)는 롤러 컨베이어(93)의 롤러(93a)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103)의 상면은 평탄한 면이고, 롤러(93a)의 상면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 기구(99)는 지지 부재(97)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이고, 지주(105)와, 승강 모터(도시 생략)와, 체인(도시 생략)을 갖고 있다. 지주(105)는, 예를 들면 네 모퉁이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97)의 베이스 프레임(101)의 양 끝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승강 모터(도시 생략)는 체인(도시 생략)을 통해서 지지 부재(97)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The support mechanism 95 is a mechanism for moving the article on the roller conveyor 93 above the roller conveyor 93 and has a support member 97 and a drive mechanism 99. The support member 97 is a pair of members capable of supporting the article through the pair of roller conveyors 93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7, the base frame 101 and the base frame 101 (Not shown). Each base frame 101 is disposed outside the front and rear of each roller conveyor 93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ers 93a of the roller conveyor 93 are arranged. 16 and 17, the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03 extend between the rollers 93a of the roller conveyor 93. As shown in Fi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03 is a flat surface and is dispos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er 93a. The drive mechanism 99 is a mechanism for driving the support member 97 and has a support 105, a lift motor (not shown), and a chain (not shown). The support posts 105 are provided at, for example, four corners and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01 of the support member 97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s shown in Fig. The elevating motor (not shown) can move the supporting member 97 up and down through a chain (not shown).

이 실시형태에서는 지주(105)가 높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그에 따라 버퍼(91) 커버(67)의 천정부도 높아져 있고, 또한 천정면(34)도 버퍼(91)에 대응하는 부분이 높아져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105 is extended so that the ceiling portion of the buffer 91 cover 67 is higher and the portion of the ceiling surface 34 corresponding to the buffer 91 is higher.

이 반송차 시스템에서는 물품이 롤러 컨베이어(93) 상에 놓여진 후에 승강 모터(도시 생략)가 체인(도시 생략)을 감아올림으써 지지 부재(97)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복수의 지지부(103)가 롤러 컨베이어(93)의 롤러(93a) 사이를 통과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97)의 지지부(103)가 물품(C)을 들어올리고, 그것에 의해 물품(C)이 롤러 컨베이어(93)의 롤러(93a)로부터 이격된다. 최종적으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C)은 버퍼(91) 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서 복수의 지지부(103)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롤러 컨베이어(93) 상에는 다음의 물품을 반입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버퍼(91) 내에 2개의 물품이 반입 가능하다. 즉, 버퍼(91)에 있어서의 물품 수용 능력이 높아져 있다. In this conveying car system, an elevating motor (not shown) rolls up a chain (not shown) to raise the supporting member 97 after the article is placed on the roller conveyor 93. [ Then,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03 pass between the rollers 93a of the roller conveyor 93 and move upward. 18, the support portion 103 of the support member 97 lifts the article C, whereby the article C is separated from the roller 93a of the roller conveyor 93. As shown in Fig. Finally, as shown in Fig. 19, the article C is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s 103 at the highest position in the buffer 91. Fig. In this state, a space is provided on the roller conveyor 93 so that the next item can be carried. As described above, two items can be brought into the buffer 91. That is, the buffer capacity of the buffer 91 is increased.

또한, 물품을 들어올리기 위한 지지 부재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는 예를 들면 사다리 형상이어도 된다. Further, the shape of the support member for lifting the artic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may be,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ladder.

(E) 본체(35)의 롤러 컨베이어(39)와 버퍼(9)의 롤러 컨베이어(63)는 물품(C)의 이송시에 동일 높이이면 된다. 즉,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면이 높이를 변경할 수 있고, 반송차(5)의 주행 중 또는 정지 중에는 양쪽 면의 높이가 달라도 된다. (E) The roller conveyor 39 of the main body 35 and the roller conveyor 63 of the buffer 9 may have the same height at the time of conveyance of the article C. In other words, the height of one or both sides can be changed, and the height of both sides may be different during running or stop of the carriage carriage 5. [

본 발명은 복수의 처리 장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차 시스템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a conveyer system for conveying an article between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1 : 반송차 시스템 2 : 처리 장치
2a : 스테이션 3 : 궤도
4 : 검사 장치 5 : 반송차
7 : 자동 창고 9 : 버퍼
9A : 제 1 버퍼 9B : 제 2 버퍼
11 : 제 1 루프(제 1의 루프) 11a : 제 1 소루프
11b : 제 2 소루프 11c : 제 3 소루프(입구측 루프)
13 : 제 2 루프(제 2의 루프) 13a : 제 4 소루프
13b : 제 5 소루프 13c : 제 6 소루프(출구측 루프)
15 : 제 3 루프(제 1의 루프) 15a : 제 7 소루프
15b : 제 8 소루프 15c : 제 9 소루프
17 : 제 4 루프(제 2의 루프) 17a : 제 10 소루프
17b : 제 11 소루프 19 : 제 1 지름길용 연결부
21 : 제 2 지름길용 연결부 23 : 제 3 지름길용 연결부
25 : 제 4 지름길용 연결부 27 : 연결부
28 : 연결부 29 : 연속 처리 장치
29a : 제 1 처리 장치 29b : 제 2 처리 장치
31 : 제 1 스테이션 32 : 바닥면
32a : 오목부 33 : 제 2 스테이션
34 : 천정면 35 : 본체
37 : 주행부 39 : 롤러 컨베이어
39a : 롤러 41 : 푸시풀 이송 장치
43 : 미니인바이런먼트 기구 45 : 차륜
47 : 레일 51 : 암 기구
53 : 훅 부재 53a : 제 1부분
53b : 제 2 부분 55 : 하우징
57 : 셔터 59 : FFU
61 : 적재대 63 : 롤러 컨베이어
65 : 미니인바이런먼트 기구 67 : 커버
67a : 개구부 69 : FFU
70 : 보호 커버 71 : 적재대
73 : 롤러 컨베이어 77 : 제 5 루프(제 3의 루프)
77a : 제 12 소루프 77b : 제 13 소루프
79 : 제 5 지름길용 연결부 81 : 연결부
83 : 연결부 120 : 제어계
121 : 제조 콘트롤러 123 : 물류 콘트롤러
125 : 자동 창고 콘트롤러 127 : 반송차 콘트롤러
129 : 반송차 내 콘트롤러 131 : 주행 모터
133 : 푸시풀 구동 기구 135 : 셔터 구동 모터
137 : FFU 구동 모터 139 : 인코더
1: Carrier system 2: Processing device
2a: station 3: orbit
4: Inspection device 5:
7: Automatic warehouse 9: Buffer
9A: first buffer 9B: second buffer
11: first loop (first loop) 11a: first small loop
11b: second small loop 11c: third small loop (inlet side loop)
13: second loop (second loop) 13a: fourth loop
13b: fifth small loop 13c: sixth small loop (exit side loop)
15: third loop (first loop) 15a: seventh small loop
15b: the eighth sub-loop 15c: the ninth sub-loop
17: fourth loop (second loop) 17a: tenth small loop
17b: eleventh small loop 19: connection for the first short path
21: connection portion for the second short-circuit route 23: connection portion for the third short-
25: connection part for the fourth shortcut path 27: connection part
28: connection part 29: continuous processing device
29a: first processing device 29b: second processing device
31: first station 32: bottom surface
32a: recess 33: second station
34: cloth front face 35: main body
37: running part 39: roller conveyor
39a: roller 41: push-pull transfer device
43: Mini-in-bypassing mechanism 45: Wheel
47: rail 51: arm mechanism
53: hook member 53a: first portion
53b: second part 55: housing
57: shutter 59: FFU
61: Stacker 63: Roller conveyor
65: Mini-in-bypassing mechanism 67: Cover
67a: opening 69: FFU
70: protective cover 71:
73: roller conveyor 77: fifth loop (third loop)
77a: twelfth small loop 77b: thirteenth small loop
79: connection part for the fifth shortcut path 81: connection part
83: connection part 120: control system
121: Manufacturing controller 123: Logistics controller
125: Automatic warehouse controller 127: Carrying car controller
129: Controller in conveying car 131: Traveling motor
133: push-pull drive mechanism 135: shutter drive motor
137: FFU driving motor 139: Encoder

Claims (9)

복수의 처리 장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차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처리 장치에 인접하는 복수의 루프를 갖는 궤도;
상기 복수의 루프를 일방 통행으로 주행함으로써 상기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차; 및
상기 루프의 내측에 상기 루프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 제 1 적재대 및 제 2 적재대를 구비하고,
상기 루프는 대향하는 일방과 타방을 가지며,
상기 제 1 적재대는 상기 루프의 일방을 향해서 개방된 제 1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적재대는 상기 루프의 타방을 향해서 개방된 제 2 개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차 시스템.
A conveyance system for conveying an article between a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comprising:
An orbit having a plurality of loops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processing apparatuses;
A conveyance path for conveying the articles by running the plurality of loops in a one-way passage; And
And a first stacking table and a second stacking table arranged in a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op inside the loop,
The loop has one and the other facing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stacking unit has a first opening portion opened toward one of the loops, and the second stacking unit has a second opening portion opened toward the other of the loo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재대 및 상기 제 2 적재대는 상기 루프 내에서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acking unit and the second stacking unit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loo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루프에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루프 사이에서 상기 물품의 이동을 중계할 수 있는 자동 창고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warehous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oops and capable of relaying movement of the articles between the plurality of loo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는 바닥면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jectory is disposed below the bottom surfa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를 피복하고,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호 커버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차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cover which covers the trajectory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물품을 직접 이동시킬 수 있게 배치된 제 1 처리 장치 및 제 2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루프는 상기 제 1 처리 장치의 입구 및 상기 제 2 처리 장치의 출구에 각각 배치된 입구측 루프 및 출구측 루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processing apparatus and a second processing apparatus arranged so as to move the article directly,
Wherein said plurality of loops includes an inlet side loop and an outlet side loop respectively disposed at an inlet of said first processing apparatus and an outlet of said second processing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루프는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1의 루프와, 상기 복수의 제 1의 루프의 제 1 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 2의 루프를 갖고 있고,
상기 복수의 제 1의 루프의 제 2 단부측에는 루프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loops having a plurality of first loops arranged in parallel and a second loop arrang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loops,
And a loop is not provided on the second end side of the plurality of first loop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루프는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 1의 루프와, 상기 복수의 제 1의 루프의 제 1 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 2의 루프와, 상기 복수의 제 1의 루프의 제 2 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 3의 루프를 갖고 있고,
상기 제 3의 루프를 구성하는 궤도는 바닥면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차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loops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loops arranged in parallel and a second loop arrang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loops and a second loop arrang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loops, And a third loop arranged to connect between the end portions,
And the trajectory constituting the third loop is disposed below the bottom surfa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루프를 구성하는 궤도를 피복하고,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호 커버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차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cover which covers a trajectory constituting the third loop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KR1020100112589A 2010-02-24 2010-11-12 Transporting vehicle system Expired - Fee Related KR1014145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8082 2010-02-24
JP2010038082A JP4973747B2 (en) 2010-02-24 2010-02-24 Transport vehicl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599A KR20110097599A (en) 2011-08-31
KR101414530B1 true KR101414530B1 (en) 2014-07-03

Family

ID=4446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5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4530B1 (en) 2010-02-24 2010-11-12 Transporting vehicle system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73747B2 (en)
KR (1) KR101414530B1 (en)
CN (1) CN102161417B (en)
TW (1) TWI46680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8865B2 (en) * 2012-06-18 2015-01-07 株式会社ダイフク Ceiling transport vehicle and goods transport facility
ES2627924T3 (en) * 2013-04-04 2017-08-01 Knapp Ag Storage system with a transport system configured by magnetically driven cars
AT516404B1 (en) * 2015-03-04 2016-05-15 Knapp Ag Shelf warehouse with a roundabout on a closed guideway
WO2018139098A1 (en) * 2017-01-27 2018-08-02 村田機械株式会社 Article transferring device
JP6965646B2 (en) 2017-09-06 2021-11-10 株式会社ダイフク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equipment
JP6874698B2 (en) * 2018-01-10 2021-05-19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storage equipment
JP6644819B2 (en) * 2018-02-09 2020-0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Transfer work equipment
CN111354663A (en) * 2019-05-30 2020-06-30 乐清市芮易经济信息咨询有限公司 Semiconductor wafer cleaning equipment
CN111736540B (en) * 2020-03-20 2021-10-15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Goods sort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25022391A (en) * 2023-08-03 2025-02-14 株式会社ダイフク Container transport equipment
JP2025022392A (en) * 2023-08-03 2025-02-14 株式会社ダイフク Container transport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622B1 (en) 1997-08-08 2001-02-01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Semiconductor wafer cassette transfer device and stocker used in semiconductor wafer cassette transfer device
KR100742410B1 (en) 2001-12-27 2007-07-24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Carriage system of unprocessed object, unmanned carrier system, unmanned transport vehicle and conveyance method of object
KR20090014104A (en) * 2007-08-03 2009-02-06 아시스트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The conveying system and the teaching method in the convey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24237A (en) * 1998-01-23 1999-07-28 日本电气株式会社 Work transfer method and system
JP2000355403A (en) * 1999-06-17 2000-12-26 Murata Mach Ltd Transfer system
JP3991852B2 (en) * 2002-12-09 2007-10-17 村田機械株式会社 Ceiling carrier system
US6990721B2 (en) * 2003-03-21 2006-01-31 Brooks Automation, Inc. Growth model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JP2006290491A (en) * 2005-04-07 2006-10-26 Murata Mach Ltd Carrying vehicle system
JP2007191235A (en) * 2006-01-17 2007-08-02 Murata Mach Ltd Overhead traveling vehicle system
JP4389225B2 (en) * 2006-01-30 2009-12-24 村田機械株式会社 Transport system
JP2009076578A (en) * 2007-09-19 2009-04-09 Nikon Corp Workpiece processing system, workpiece processing method, exposure apparatus, exposure method, coater/developer, coating/developing method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01234677B (en) * 2008-02-19 2010-07-28 姜广峻 Goods sorting and split charg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622B1 (en) 1997-08-08 2001-02-01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Semiconductor wafer cassette transfer device and stocker used in semiconductor wafer cassette transfer device
KR100283596B1 (en) 1997-08-08 2001-04-02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Automatic Carrier Control Method in Semiconductor Wafer Cassette Carrier
KR100742410B1 (en) 2001-12-27 2007-07-24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Carriage system of unprocessed object, unmanned carrier system, unmanned transport vehicle and conveyance method of object
KR20090014104A (en) * 2007-08-03 2009-02-06 아시스트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The conveying system and the teaching method in the convey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599A (en) 2011-08-31
TWI466809B (en) 2015-01-01
JP4973747B2 (en) 2012-07-11
CN102161417B (en) 2015-04-01
TW201139252A (en) 2011-11-16
CN102161417A (en) 2011-08-24
JP2011173673A (en) 201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530B1 (en) Transporting vehicle system
TWI546238B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2405911B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CN102264613B (en) Automated warehouse
TWI531514B (en) Conveyance systems and transport systems
TWI513641B (en) Handling system and handling method
KR20180121953A (en) Temporary storage system
JP2007137599A (en) Stocker
TWI763871B (en)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KR102620121B1 (en) Article transport apparatus and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1398929B1 (en) Transporting vehicle system
US20090022575A1 (en) Article storing apparatus
US7806648B2 (en) Transportation system and transportation method
JP2008019017A (en) Article storage device
CN108290687B (en) Storage device and transport system
JP2019014583A (en) Conveyance vehicle system
TW202210391A (en) Automated warehouse system
KR20210041345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s
JP2002060006A (en) Rail-truck system
JP7323059B2 (en) carrier system
KR20090009529A (en) Goods storage
WO2012101718A1 (en) Automatic warehousing system, and discharge method
KR20250038695A (en) Return vehicle system
JP2009012965A (en) Stocker device
JP2008162795A (en) Automated warehous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9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4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