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778B1 - Variable upper garment - Google Patents
Variable upper gar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2778B1 KR101412778B1 KR1020140017319A KR20140017319A KR101412778B1 KR 101412778 B1 KR101412778 B1 KR 101412778B1 KR 1020140017319 A KR1020140017319 A KR 1020140017319A KR 20140017319 A KR20140017319 A KR 20140017319A KR 101412778 B1 KR101412778 B1 KR 101412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lar
- incision
- waist
- present
- front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3746 feather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122315 Polit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감물염색된 직물로 제작되는 앞여밈 형태의 상의로서, 목둘레 부분에, 전방측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고 깃을 세운 채로 착용 가능한 스탠딩 칼라 형태의 깃을 구비하며, 상기 깃의 후방 중앙지점이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1/3 ~ 2/3가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물염색 직물을 이용한 가변형 상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in the form of a front opening made of a garment dyed fabric having a collar in the form of a standing collar which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ich can be worn in a collar, And the rear center point is cut from 1/3 to 2/3 from the edge toward the in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감물을 들인 직물을 이용하여, 하절기에 몸에 잘 들어붙지 않으면서도 변형에 의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상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shee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sheet tha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by deforming the topsheet without attaching to the body during the summer.
감물염색은 풋감을 찧거나 눌러짜서 즙을 낸 것에 천을 담가 균일하게 염착이 되도록 한 후에, 직사일광으로 건조시키면서 발색을 시켜 황적색계의 갈색물을 들이는 것으로,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에서 많이 이용되어 온 염색방법이다.It is used in the Jeju Island and other southern regions. It is used in the southern region including Jeju Island. It is used for dyeing and dyeing. It is an onion dyeing method.
최근에는 인견과 같은 하절기용 직물소재에 감물염색을 이용하여 염색한 직물을 사용하여 하복과 하절기용 침구나 액세서리용 소재로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In recent years, it has been widely used as a bedding material for bedding and accessories for summer and winter, using dyed fabrics by using dyed dyeing on fabric materials for summer season such as human eyes.
그런데, 이러한 감물염색을 한 옷은 전통미를 살린 개량 한복 등의 형태로 주로 제작되는 등 그 형태가 한정된 측면이 있었고,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지 않아 수요자층의 확대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such clothes with dyed clothes are mainly made in the form of modified hanbok, which utilizes traditional beauty, and the form thereof is limited, and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consumer floor because it is not developed in various forms.
한편, 의복 착용자들은 기후 등의 자연환경이나 상대방 등의 사회적 환경에 맞추어 적합한 의복을 착용할 필요가 있는데, 개인의 취향에 맞추어 옷을 입다보면 환경이나 분위기에 맞지 않은 경우가 있어 종종 문제가 된다.On the other hand, clothes wearers need to wear suitable clothes accord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climate or the social environment such as the other party's. It is often a problem when clothes are put on the clothes according to individual taste.
예컨대, 깃을 세운 의복은 세련되고 권위가 있어보이기도 하지만, 사회적 지위가 높거나 연장자에게 예의바르지 않다는 인상을 주기도 하므로, 자연적 또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 옷을 변형시켜 입을 수 있는 의복이 필요하기도 하다.For example, clothes with feathers appear to be sophisticated and prestigious, but they also give the impression that they are high in social status or are not polite to the elderly, so they need clothing that can be dressed according to natural or social circumstances.
이러한 필요에 의해 종래에도 하나의 의복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량된 의류가 개발되었는데,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 제0987889호에는 재킷의 상부와 하부가 분할가능하거나 칼라가 착탈가능하거나, 소매부위가 착탈되도록 그 사이에 체결수단이 장착된 형태의 다변형 의류에 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0987889 discloses an improved garment which can divid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jacket, or can be detached from the col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branched garment in which a fastening means is mounted therebetween.
그러나, 상기 발명은 의복의 일부를 탈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변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체결수단에 의해 의복의 무게가 증가하고, 탈착시에는 체결수단이 노출될 수 있어 외관이 불량해지며, 자연스러운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ach a part of clothes, it is not only troublesome to deform but also increases the weight of the clothes by the fastening means, exposes the fastening means at the time of detachment, There is a disadvantage not achiev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획일적인 형태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면서도, 변형의 전후간의 형태가 모두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어떤 형태로도 자유롭게 착용이 가능하며, 통기성이 뛰어나 하절기용의 의복으로서의 기능성이 높은 감물염색을 이용한 상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pcoat using high-performance dyeing as a garment for the summer seas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물염색 직물을 이용한 가변형 상의는,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variable-phase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damascene dyeing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감물염색된 직물로 제작되는 앞여밈 형태의 상의로서,As a front-opening type topsheet made of a dyed fabric,
목둘레 부분에, 전방측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고 세운 채로 착용 가능한 스탠딩 칼라 형태의 깃을 구비하며,The front end of the collar is provided with a collar in the form of a standing collar that can be worn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깃의 후방 중앙지점이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rear center point of the collar is cut inward from an edge.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의는, 암홀의 겨드랑이 부분에서 옆선의 허리 아래부분까지 이어지는 절개조각을 앞판의 각 앞판부재의 측부에 하나 이상씩 부착하고, 옆선의 허리위치에서 하단부까지 이어지는 삼각형의 절개조각을 뒷판의 양측부에 하나 이상씩 부착하며, 상기 절개조각들의 허리 아래부분에 각각 주름을 형성하여, 허리 아래부분에 항아리 모양의 입체적 형상이 형성되도록 하여, 착용시에 하단부가 몸에 붙지 않도록 구성한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cision piece extending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arm hole to the lower waist portion of the lateral line, and a triangular incision piece extending from the waist position to the lower end of the lateral line One or more wrinkles are formed on the waist lower portion of the incision pieces so that a three-dimensional shape in the shape of a jar is formed in the lower waist portion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is not attached to the body when worn .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스탠딩 형태로 이루어진 깃의 후방이 절개되어 있어, 접었을 때 절개부분이 자연스럽게 벌어지면서 접은 상태로 착용시에도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rear end of a collar, which is basically a stand-up type, is cut so that when the collar is folded, the incision widens naturally and the collar can be smoothly worn when worn.
또한, 옆선에서 앞판 및 뒷판의 측부와 연결되는 절개조각을 부착하여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하단부가 몸에서 이격하도록 함으로써 통기성이 증가하여 하절기에 시원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shape by attaching an incision piece connected to the side plate of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at the side line, the lower end portion is spaced from the body, thereby increasing air permeability.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상의는 감물염색된 직물로 제작되어 전체적으로 풀을 먹인 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때문에, 상기 절개조각을 통해 형성된 입체적인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어 시원한 착용감을 줄 수 있으며, 심을 넣거나 풀을 먹이지 않고도 스탠딩 형태와 접은 형태의 칼라로 자연스럽게 변형이 가능하다.Particularly, since the variable ph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leated dyed fabric and has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grass as a whole, the three-dimensional shape formed through the incision pieces can be maintained as it is and a cool fit can be provided, Without feeding, it can be transformed naturally into a standing and folded colla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물염색 직물을 이용한 가변형 상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상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상의의 깃부분을 세운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상의의 깃부분을 접은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variable-type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damascene dyeing fabr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view of the variable phase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use state in which the feather portion of the variable phase shown in Fig. 1 is set up; Fig.
Fig. 4 is a rear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folding the feather portion of the variable-shape shown in Fig. 1.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물염색을 이용한 가변형 상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상의의 측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가변형 상의의 깃부분을 세운 상태와 접은 상태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배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variable-typ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variable-shaped image shown in FIG. 1, And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old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감물염색 직물을 이용한 가변형 상의(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앞여밈 형태로서, 앞판(10)은 좌우 2개의 앞판부재(11, 12)로 이루어지고, 중간 부분에서 단추와 같은 여밈수단(13)에 의해 여밀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뒷판(20)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variable phas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front plate members (11, 12) on the front plate (10)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by means of an inserting means (13) such as a button, and the back plate (20) is connected together.
그리고, 목둘레(N) 부분에는, 상기 여밈수단(13)이 있는 앞여밈 부분에서 전방측의 단부가 서로 이격된 깃(30)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깃(30)은 세운 채로 착용 가능한 스탠딩 칼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다.A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깃(30)의 후방 중앙지점이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1/3 ~ 2/3가 절개되어 절개부(31)를 형성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central point of the
이러한 절개부(31)에 의해 깃(30)을 세운 상태에서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절개부(31)가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통상의 스탠딩 칼라와 같은 형태로 사용되지만, 깃(30)을 접으면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 절개부(31)가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자연스럽게 목둘레(N)를 따라 어깨부위에 안착하여 자연스러운 접은 칼라 연출이 가능하게 된다. 1, the
이와 같은 절개부(31)가 존재하지 않은 종래의 깃은, 스탠딩 칼라 형태의 깃을 접으면, 깃이 목둘레(N)에 안착되지 않고 울거나 다시 서려는 경향을 나타내어 스탠딩 칼라와 접은 칼라의 변형이 자연스럽지 못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후방 중앙부분에 절개부(31)를 형성해 두면, 접을 때에 그 부분이 벌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안착되어 깃의 모양을 기분이나 타인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collar without the cut-out
이러한 절개부(31)의 길이는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깃(30) 폭의 1/3 ~ 2/3가 적당하며, 너무 짧으면 접었을 때 깃(30)의 안착이 자연스럽지 않으며, 너무 길면 접었을 때나 세웠을 때 모두 깃(30)의 형태 안정성이 떨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The length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개부(31)의 내측에 자석(32)을 삽입하여, 깃(30)의 절개부(31) 양측이 서로 맞붙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깃(30)을 세웠을 때에,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자석(32)에 의해 서로 맞붙은 절개부(31)가 잘 보이지 않게 되어 단정한 외모를 유지할 수 있으며, 깃(30)을 접은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자석(32)을 맞붙여 절개부(31)를 숨길 수도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부(31) 양측에 모두 자석(32)을 넣은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한 쪽에는 자석(32)을 넣고 다른 쪽에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조각을 넣어 절개부(31) 양쪽을 서로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상의(1)의 암홀(A)의 겨드랑이 부분(A1)에서 옆선(S)의 허리 아래부분까지 이어지는 절개조각(14, 15)을 하나 이상씩 각 앞판부재(11, 12)의 측부에 부착하고, 옆선(S)의 허리위치에서 하단부까지 이어지는 삼각형의 절개조각(21)을 뒷판(20)의 양측부에 부착하되, 상기 절개조각들(14, 15, 21)의 허리 아래부분에 각각 주름(14a, 15a, 21a)을 형성하며, 허리아래부분에 항아리 모양의 입체적 형상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incision piece extending from the armpit portion A1 of the arm hole A of the phase (1) to the waist- The
이렇게 의복의 허리 아래의 하부가 입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면, 통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착용시에 하단부가 몸에 붙지 않아 쾌적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garment below the waist forms a three-dimensional shape, not only air permeability is improved but also the lower end portion is not attached to the body when worn,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feeling of comfort.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앞판(10)을 구성하는 앞판부재(11, 12)와 뒷판(20), 그리고 깃(30), 그리고 앞판(10)과 뒷판(20)에 부착된 절개조각(14, 15, 21) 등은 모두 감물염색에 의해 염색된 직물로 이루어져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감물염색은 풋감을 찧거나 눌러짜서 즙을 낸 것에 천을 담가 균일하게 염착이 되도록 한 후에 직사일광으로 건조시켜 발색을 시켜 황적색계의 갈색물을 들이는 전통적인 천연염색방법의 하나인데, 감물에 포함된 탄닌성분이 일광과의 작용으로 방부제의 효과를 주어 섬유의 부패를 억제하고, 섬유를 빳빳하게 굳혀서 풀먹일 필요없이 통기성을 좋게 하기 때문에 하절기용 의복 재료로 적합하다. It is one of the traditional methods of natural dyeing, in which the cloth is dipped into a juice made by pressing or pressing a felt, and then dried in direct sunlight to make it uniformly dyed and then colored to give a yellowish reddish brown water. The tannin component is effective as a garment material for the summer because it prevents the decay of the fiber due to the effect of the preservative by the action of sunlight and hardens the fiber so as to improve the air permeability without need of feeding.
특히, 풀을 먹인 것과 같이 빳빳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부에 다른 부재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깃(30)이 잘 설 수 있도록 해 줄 뿐만 아니라, 앞판(10)과 뒷판(20)에 부착된 주름이 잡힌 절개조각(14, 15, 21)이 형성하는 항아리 형상과 같은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시켜 주어, 옷이 몸에 들러붙지 않게 하고 통기성을 향상시켜 하절기용 의복으로서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In particular, because of the rigid nature of the grass, it is possible to make the
1: 가변형 상의 10: 앞판
11, 12: 앞판부재 13: 여임수단
14, 15: 절개조각 14a, 15a: 주름
20: 뒷판 21: 절개조각
21a: 주름 30: 깃
31: 절개부 32: 자석1: variable phase 10: front plate
11, 12: front plate member 13: retention means
14, 15:
20: back plate 21: incision piece
21a: wrinkles 30: feathers
31: incising section 32: magnet
Claims (3)
목둘레 부분에, 전방측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고 깃을 세운 채로 착용 가능한 스탠딩 칼라 형태의 깃을 구비하며,
상기 깃의 후방 중앙지점이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물염색 직물을 이용한 가변형 상의.As a front-opening type topsheet made of a dyed fabric,
The front end of the collar is provided with a collar in the form of a standing collar which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an be worn with a colla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center point of the collar is incised inwardly from the ed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7319A KR101412778B1 (en) | 2014-02-14 | 2014-02-14 | Variable upper gar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7319A KR101412778B1 (en) | 2014-02-14 | 2014-02-14 | Variable upper gar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2778B1 true KR101412778B1 (en) | 2014-06-30 |
Family
ID=5113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7319A Active KR101412778B1 (en) | 2014-02-14 | 2014-02-14 | Variable upper gar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277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9770B1 (en) | 2015-12-04 | 2017-04-25 | 박재상 | Winter coat using natural dyed fabric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36406A (en) | 1998-10-30 | 2000-05-16 | Ozaki Shoji | Clothing also useful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
JP2003155607A (en) | 2001-11-14 | 2003-05-30 | Mamieeru:Kk | Pajama |
KR20090109895A (en) * | 2008-04-16 | 2009-10-21 | 허호 | Fabric Dyeing Method |
-
2014
- 2014-02-14 KR KR1020140017319A patent/KR1014127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36406A (en) | 1998-10-30 | 2000-05-16 | Ozaki Shoji | Clothing also useful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
JP2003155607A (en) | 2001-11-14 | 2003-05-30 | Mamieeru:Kk | Pajama |
KR20090109895A (en) * | 2008-04-16 | 2009-10-21 | 허호 | Fabric Dyeing Metho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9770B1 (en) | 2015-12-04 | 2017-04-25 | 박재상 | Winter coat using natural dyed fabric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70236B2 (en) | Detachable apparel collar | |
US1250836A (en) | Lady's garment. | |
WO2005032288A3 (en) | Hosiery-type garments and method of making | |
JP2008527193A (en) | pants | |
US2299232A (en) | Napkin bib | |
US3949426A (en) | Conforming ladies garments having smooth lines | |
KR101412778B1 (en) | Variable upper garment | |
US2087763A (en) | Garment | |
JP3233405U (en) | Adjustable size kimono undergarment and top | |
US20160262471A1 (en) | Detachable / interchangeable / adjustable necktie | |
US2651780A (en) | One-piece bathing suit | |
CN209995394U (en) | trousers with female buttocks shaping function | |
CN202890503U (en) | Size-adjustable garment | |
US1771253A (en) | Garment | |
US1554684A (en) | Lady's wearing apparel | |
US1851826A (en) | Woman's garment | |
US2424600A (en) | Garment | |
JP3213789U (en) | Two-part kimono | |
CN206101664U (en) | Fur clothing that can adjustable length | |
CN206518165U (en) | A kind of johnny easily worn off | |
US1945451A (en) | Garment | |
CN207784321U (en) | A kind of big V necks sleeveless dress | |
JP3911623B2 (en) | How to make a kimono | |
KR20150004505U (en) | Korean clothes with length adjustable extension member | |
CN205233503U (en) | Stealthy brassiere of stay cord formul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3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