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290B1 -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9290B1 KR101409290B1 KR1020120069105A KR20120069105A KR101409290B1 KR 101409290 B1 KR101409290 B1 KR 101409290B1 KR 1020120069105 A KR1020120069105 A KR 1020120069105A KR 20120069105 A KR20120069105 A KR 20120069105A KR 101409290 B1 KR101409290 B1 KR 101409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
- unit
- passage portion
- air volume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n airbourne struc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Wind spee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는 도 1에 따른 풍선형 풍력 발전기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구 개폐 장치가 설치된 풍력 발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방법의 유입구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 은 도 8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방법의 유입구 개방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200 : 개폐 장치 210 : 통로부
220 : 바이패스 통로부 221 : 바이패스 유입공
230 : 유입부 230a : 제 1 프레임
230b : 제 2 프레임 230c : 제 3 프레임
230d : 제 4 프레임 231 : 덮개부
232 : 회동부 233 : 연결부
300 : 개폐부 310 : 풍량 센서부
311 : 각도 센서부 320 : 제어부
330 : 액추에이터 331 : 링크부
340 : 발전부
Claims (9)
- 밀폐된 공간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수납하여 부양력을 제공하는 부양체와, 상기 부양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바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부로 유입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발전부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로서,
상기 부양체와 통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부로 안내되는 바람이 임의의 경로를 따라 바이패스되도록 안내하는 바이패스 통로부;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의 입구에 깔대기 형상으로 배치되어 바람이 상기 통로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거나 또는 개폐부의 제어에 따라 회동하여 상기 통로부로 안내되는 바람을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로 바이패스하는 유입부; 및
상기 통로부를 통과하는 바람의 풍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입부를 따라 공급되는 바람이 상기 통로부 및 바이패스 통로부로 분산되도록 상기 유입부의 프레임 위치를 제어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개폐 장치는 상기 유입부의 프레임이 회동하는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의 프레임은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한 프레임 몸체;
상기 프레임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경사지게 일정길이 연장하여 형성된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프레임이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와 회전축으로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통로부를 통과하는 바람의 풍량 정보를 검출하는 풍량 센서부;
상기 풍량 센서부가 검출한 풍량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발전 판단용 풍량 정보와 비교하여 결과에 따라 상기 유입부의 프레임 위치 제어 신호와 상기 발전부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프레임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유입부의 프레임들을 각각 임의의 각도로 회동시키거나 상기 유입부 프레임들이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풍속에 따라 상기 유입부의 프레임이 임의의 각도로 회동하도록 개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는 일측에 상기 유입구의 회동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바이패스 유입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 밀폐된 공간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수납하여 부양력을 제공하는 부양체와, 상기 부양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바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발전부와, 상기 부양체와 통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부로 안내되는 바람이 임의의 경로를 따라 바이패스되도록 안내하는 바이패스 통로부와,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의 입구에 깔대기 형상으로 배치되어 바람을 통로부로 안내하거나 또는 바이패스 통로부로 바이패스 시키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프레임을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방법으로서,
a) 풍량 센서부로부터 바람의 풍량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풍량 정보를 미리 설정된 발전 판단용 풍량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b) 상기 비교 결과, 발전 가능 풍량이면 상기 제어부가 유입부의 프레임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프레임 위치 제어 신호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프레임 위치 제어 신호를 액추에이터로 출력하여 유입부의 프레임이 임의의 각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유입부의 프레임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발전부로 발전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발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검출된 풍량이 미리 설정된 발전 허용 최대 풍량을 초과하거나 또는 발전 허용 최소 풍량 미만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제어부는 바이패스 통로부를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프레임 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풍량이 미리 설정된 발전 허용 최대 풍량을 초과하면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프레임 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검출된 풍량이 발전 허용 최소 풍량 미만이면 상기 바이패스 통로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프레임 위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9105A KR101409290B1 (ko) | 2012-06-27 | 2012-06-27 |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9105A KR101409290B1 (ko) | 2012-06-27 | 2012-06-27 |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1472A KR20140001472A (ko) | 2014-01-07 |
KR101409290B1 true KR101409290B1 (ko) | 2014-06-24 |
Family
ID=5013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9105A Active KR101409290B1 (ko) | 2012-06-27 | 2012-06-27 |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929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9595A (ko) * | 2018-05-11 | 2019-11-20 | 윤성현 | 자동차의 보조 발전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67716A (zh) * | 2018-11-23 | 2019-04-23 | 黄伟彬 | 一种基于弹簧特性来调节风口风量风速的风力发电机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24683A (en) * | 1980-03-05 | 1981-09-30 | Hitachi Ltd | Fan-driven generator |
KR100886214B1 (ko) * | 2008-04-21 | 2009-03-10 | 김대봉 | 튜브부양체를 이용한 공중 풍력발전시스템 |
JP2010163955A (ja) * | 2009-01-15 | 2010-07-29 | Sharp Corp | 風力発電機構付き車両 |
KR101074823B1 (ko) * | 2009-06-26 | 2011-10-19 | 홍경택 | 공기 우회경로가 구비된 깔때기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
-
2012
- 2012-06-27 KR KR1020120069105A patent/KR10140929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24683A (en) * | 1980-03-05 | 1981-09-30 | Hitachi Ltd | Fan-driven generator |
KR100886214B1 (ko) * | 2008-04-21 | 2009-03-10 | 김대봉 | 튜브부양체를 이용한 공중 풍력발전시스템 |
JP2010163955A (ja) * | 2009-01-15 | 2010-07-29 | Sharp Corp | 風力発電機構付き車両 |
KR101074823B1 (ko) * | 2009-06-26 | 2011-10-19 | 홍경택 | 공기 우회경로가 구비된 깔때기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9595A (ko) * | 2018-05-11 | 2019-11-20 | 윤성현 | 자동차의 보조 발전장치 |
KR102148071B1 (ko) * | 2018-05-11 | 2020-08-27 | 윤성현 | 자동차의 보조 발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1472A (ko) | 2014-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94740B2 (ja) | 風力発電用ブレードおよび風力発電装置 | |
US20160186718A1 (en) | Wind-energ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s apparatus and method | |
EP1832744B1 (en) | Propeller and horizontal-shaft windmill | |
HK1199295A1 (en) | Intake assemblies for wind-energy conversion systems and methods | |
JP2003049760A (ja) | 風力発電装置 | |
US20090160195A1 (en) | Wind-catcher and accel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ity | |
KR20110103565A (ko) | 소풍력 발전 시스템 | |
KR101003361B1 (ko) | 집풍타워식 풍력발전시스템 | |
KR101409290B1 (ko) | 풍력 발전기의 유입구 개폐 장치 및 방법 | |
TWM279735U (en) | Improved wind-guiding hood structure for wind power generator | |
JP5832068B2 (ja) | 風力発電装置 | |
KR100862319B1 (ko) | 깔때기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 |
CN114198253A (zh) | 风力发电系统 | |
WO2016109766A1 (en) | Wind-energ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s apparatus and method | |
CA2588602C (en) | Wind turbine | |
NO320132B1 (no) | Anordning for a retningsendre luftstrom 90 grader | |
US20160186726A1 (en) | Wind-energ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s apparatus and method | |
KR101074823B1 (ko) | 공기 우회경로가 구비된 깔때기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 |
JP5354297B2 (ja) | 風力発電装置 | |
KR101409297B1 (ko) | 풍력 발전기의 접철식 유입구 개폐 장치 | |
KR101526482B1 (ko) | 풍력 발전 장치 | |
US20070296216A1 (en) | Wind generator | |
US535193A (en) | chapman | |
KR200440431Y1 (ko) | 풍력 발전기 | |
JP4074707B2 (ja) | 風力発電用の垂直風洞装置および風力エネルギー誘導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