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6088B1 - 이동통신단말, 이동통신 제어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 이동통신 제어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088B1
KR101406088B1 KR1020127010931A KR20127010931A KR101406088B1 KR 101406088 B1 KR101406088 B1 KR 101406088B1 KR 1020127010931 A KR1020127010931 A KR 1020127010931A KR 20127010931 A KR20127010931 A KR 20127010931A KR 101406088 B1 KR101406088 B1 KR 101406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427A (ko
Inventor
케니치로 아오야기
미키오 이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07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0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단말장치(10)는,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에,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제1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통신시스템은,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이라도,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 이동통신 제어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통신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遷移)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 이동통신 제어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등의 제1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아이들(idle) 상태 또는 커넥트(connect) 상태의 이동통신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알려지는 정보에 따라,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이나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특표 2009-501471호 공보
여기서,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이동통신단말이 천이하는 경우에, 제1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리소스의 해방을 검출하기까지,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된 채로 된다. 또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통신 리소스의 해방이 요구되기까지,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된 채로 된다.
즉,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이동통신단말이 천이하는 경우에,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용장(冗長)하게 잔존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용장하게 잔존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단말, 이동통신 제어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在圈)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이라도 상기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도록 상기 제1 통신시스템을 동작시킨다.
제2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은,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대해, 상기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는 지시를 송신하도록 상기 제2 통신시스템을 동작시킨다.
제3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제어장치는,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이라 설정되는 무선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통신 리소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동통신 제어장치는,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마련된다. 이동통신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와, 상기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이라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4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제어장치는,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이라 설정되는 무선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통신 리소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동통신 제어장치는, 상기 제2 통신시스템에 마련된다. 이동통신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대해, 상기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는 지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구비한다.
제5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제1 통신시스템과, 제2 통신시스템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을 갖는다.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통신시스템은, 상기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이라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도록 구성된다.
제6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제1 통신시스템과, 제2 통신시스템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을 갖는다.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통신시스템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대해, 상기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는 지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7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방식은, 제1 통신시스템과, 제2 통신시스템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된다. 이동통신방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시스템이, 상기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이라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제8의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방법은, 제1 통신시스템과, 제2 통신시스템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된다. 이동통신방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통신시스템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대해, 상기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는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단말장치(10)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제어장치(30)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와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척도의 비율 등은 현실을 것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척도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척도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형태의 개요]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제1 통신시스템과, 제2 통신시스템과,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을 갖는다.
첫째로, 이동통신단말은,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에,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제1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통신시스템은,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이라도,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통신시스템은,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이라도,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한다. 따라서,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용장하게 잔존하는 것이 억제된다.
둘째로, 이동통신단말은,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제2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통신시스템은,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통신시스템에 대해,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는 지시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2 통신시스템은,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통신시스템에 대해,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는 지시를 송신한다. 따라서,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용장하게 잔존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통신시스템으로서, UMTS 및 LTE를 예시하나, 통신시스템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UMTS로부터 LTE로의 천이 및 LTE로부터 UMTS로의 천이의 쌍방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시스템(100)은, 통신단말장치(10)와, 기지국(20A)(이하, NodeB(20A))과, RNC(30A)와, 기지국(30B)(이하, eNodeB(30B))과, SGSN/GGSN(40A)과, MME(40B)와, 코어 네트워크(50)를 갖는다.
여기서, NodeB(20A), RNC(30A) 및 SGSN/GGSN(40A)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 속하는 장치이다. eNodeB(30B) 및 MME(40B)는, LTE(Long Term Evolution)에 속하는 장치이다. 또, SGSN/GGSN(40A) 및 MME(40B)는, 코어 네트워크(50)에 포함되는 장치이다.
통신단말장치(10)는, UMTS 및 LTE 중, 일방의 통신시스템으로부터 타방의 통신시스템으로 천이 가능하게 구성된 장치이다. 예를 들면, 통신단말장치(10)는, NodeB(20A)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음과 함께, eNodeB(30B)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천이'란, 커넥트 상태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가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통신시스템을 전환하는 것이다.
NodeB(20A)는, 에어리어(25A)를 관리하고 있으며, 에어리어(25A)에 재권하는 통신단말장치(1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장치(NodeB)이다.
RNC(30A)는, NodeB(20A)와 접속되어 있으며, 에어리어(25A)에 재권하는 통신단말장치(10)와 무선접속을 설정하는 장치(Radio Network Controller)이다. 구체적으로는, RNC(30A)는, UMTS에 있어서의 통신 리소스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통신단말장치(10)와 RNC(30A)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무선접속(예를 들면, RRC Connection)을 설정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 혹은, SGSN/GGSN(40A), NodeB(20A) 등의 장치 간의 회선 리소스, RNC(30A)의 메모리 사용률 등의 장치 리소스를 제어한다. 즉, 통신 리소스는, 상술한 무선 리소스, 회선 리소스, 장치 리소스 등이다.
eNodeB(30B)는, 에어리어(25B)를 관리하고 있으며, 에어리어(25B)에 재권하는 통신단말장치(1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장치(evolved NodeB)이다. 또, eNodeB(30B)는, 에어리어(25B)에 재권하는 통신단말장치(10)와 무선접속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eNodeB(30B)는, LTE에 있어서의 통신 리소스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eNodeB(30B)는, 통신단말장치(10)와 eNodeB(30B)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무선접속(예를 들면, RRC Connection)을 설정하기 위한 통신 리소스를 제어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RNC(30A) 및 eNodeB(30B)는, 통신단말장치(10)라 설정하는 무선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통신 리소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 제어장치의 일 예이다.
SGSN/GGSN(40A)은, 패킷 교환 도메인에 있어서 패킷 교환을 수행하는 장치(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혹은,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생략하고 있으나, 회선 교환 도메인에 있어서 회선 교환을 수행하는 장치(Mobile Switching Center)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MME(40B)는, eNodeB(30B)와 접속되어 있으며, eNodeB(30B)와 무선접속을 설정하고 있는 통신단말장치(1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장치(Mobility Management Entity)이다.
(이동통신단말의 구성)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단말장치(10)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단말장치(10)는, 통신부(11)와, 제어부(12)를 갖는다.
통신부(11)는, NodeB(20A)를 통해 RNC(30A)라 설정되는 무선접속을 이용하여 UMTS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 통신부(11)는, eNodeB(30B)라 설정되는 무선접속을 이용하여 LTE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11)는, RNC(30A) 또는 eNodeB(30B)라 설정되는 무선접속(예를 들면, RRC Connection)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통신부(11)는, RNC(30A) 또는 eNodeB(30B)라 설정되는 무선접속(예를 들면, RRC Connection)을 해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제어부(12)는, 통신단말장치(10)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2)는, 무선접속(예를 들면, RRC Connection)의 설정 또는 해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1)를 제어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2)는,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에,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제1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1)를 제어한다.
또한,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의 희망'은, 제2 통신시스템의 특정한 통신 셀로의 천이의 희망이어도 좋다. 특정한 통신 셀은, 예를 들면, HeNB: Home eNodeB가 관리하는 셀, 펨토셀, 접속이 허용되는 유저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 등이다. 혹은,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의 희망'은, 통신단말장치(10)가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케이스에 있어서의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의 희망이어도 좋다.
여기서,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송신할 때에, 통신단말장치(10)가 천이를 희망하는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셀의 에어리어 근방 혹은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는 것을 통신단말장치(10) 또는 제1 통신시스템이 파악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CPICH)의 수신품질을 통신단말장치(10)가 사전에 측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통신단말장치(10)가 사전에 접속한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셀의 위치나 주파수를 통신단말장치(10)가 기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inger Print). 또, 통신단말장치(10)는, 통신 셀의 위치나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신호에 포함시켜도 좋다.
여기서, 제1 통신시스템이 UMTS이며, 제2 통신시스템이 LTE여도 좋은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는, 제1 통신시스템이 LTE이며, 제2 통신시스템이 UMTS여도 좋은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동통신 제어장치의 구성)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제어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 제어장치(30)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제어장치(30)는, 통신부(31)와, 제어부(32)를 갖는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 통신단말장치(10)가 천이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제1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리소스를 제어하는 장치가 이동통신 제어장치(3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RNC(30A) 및 eNodeB(30B)는, 이동통신 제어장치(30)의 일 예이다. 따라서, UMTS가 제1 통신시스템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제어장치(30)는 RNC(30A)이다. 또는, LTE가 제1 통신시스템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제어장치(30)는 eNodeB(30B)이다.
통신부(31)는, 통신단말장치(10)라 설정되는 무선접속을 이용하여 통신단말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31)는, 통신단말장치(10)라 설정되는 무선접속(예를 들면, RRC Connection)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통신단말장치(10)라 설정되는 무선접속(예를 들면, RRC Connection)을 해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부(31)는, 통신단말장치(10)가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에,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통신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32)는, 이동통신 제어장치(30)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2)는, 무선접속(예를 들면, RRC Connection)의 설정 또는 해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31)를 제어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32)는,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이라도,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한다.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첫째로, UMTS로부터 LTE로 통신단말장치(10)가 천이하는 케이스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도 4에서는, UMTS가 제1 통신시스템이며, LTE가 제2 통신시스템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10A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UMTS에 있어서 커넥트 상태이다. 단계 10B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LTE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이다.
단계 11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LTE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Preferred to LTE)를 RNC(30A)로 송신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LTE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12에 있어서, RNC(30A)는, UMTS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한다.
단계 13에 있어서, RNC(30A)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해방(RRC Connection Release)을 통신단말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14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해방 완료(RRC Connection Release Complete)를 RNC(30A)로 송신한다.
단계 15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UMTS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로 천이한다. 즉, 단계 12∼단계 14의 처리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는, UMTS에 있어서, 커넥트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천이한다.
단계 16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설정 요구(RRC Connection Request)를 eNodeB(30B)로 송신한다.
또한, 단계 16의 처리에 대해서는, Redirection 수순이나 재접속 수순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가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는, 단계 16의 처리에 있어서, NAS(Non Access Stratum) Recovery 수순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가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예를 들면, 3GPP TS25.331 v9.0.0).
단계 17에 있어서, eNodeB(30B)는, LTE의 통신 리소스를 설정한다.
단계 18에 있어서, eNodeB(30B)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셋업(RRC Connection Setup)을 통신단말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19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를 eNodeB(30B)로 송신한다.
단계 20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LTE에 있어서 커넥트 상태로 천이한다. 즉, 단계 16∼단계 19의 처리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는, LTE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로부터 커넥트 상태로 천이한다.
둘째로, LTE로부터 UMTS로 통신단말장치(10)가 천이하는 케이스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도 5에서는, LTE가 제1 통신시스템이며, UMTS가 제2 통신시스템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110A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UMTS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이다. 단계 110B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LTE에 있어서 커넥트 상태이다.
단계 111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UMTS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Preferred to UMTS)를 eNodeB(30B)로 송신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UMTS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112에 있어서, eNodeB(30B)는, LTE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한다.
단계 113에 있어서, eNodeB(30B)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해방(RRC Connection Release)을 통신단말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114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해방 완료(RRC Connection Release Complete)를 eNodeB(30B)로 송신한다.
단계 115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LTE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로 천이한다. 즉, 단계 112∼단계 114의 처리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는, LTE에 있어서, 커넥트 상태로부터 아이들 상태로 천이한다.
단계 116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설정 요구(RRC Connection Request)를 RNC(30A)로 송신한다.
또한, 단계 116의 처리에 대해서는, Redirection 수순이나 재접속 수순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가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는, 단계 116의 처리에 있어서, NAS(Non Access Stratum) Recovery 수순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가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117에 있어서, RNC(30A)는, UMTS의 통신 리소스를 설정한다.
단계 118에 있어서, RNC(30A)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셋업(RRC Connection Setup)을 통신단말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119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를 RNC(30A)로 송신한다.
단계 120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UMTS에 있어서 커넥트 상태로 천이한다. 즉, 단계 116∼단계 119의 처리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는, UMTS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로부터 커넥트 상태로 천이한다.
(작용 및 효과)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통신시스템은,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이라도,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한다. 따라서,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용장하게 잔존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에 있어서 통신의 순단(瞬斷)이 발생하지만, Redirection 수순, 재접속 수순, NAS Recovery 수순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와 제2 통신시스템과의 사이의 무선접속이 설정되기 때문에, 통신이 계속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을 때에,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에,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제1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제1 통신시스템(이동통신 제어장치(30))은, 제2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확보되기 전이라도,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희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한다.
이에 대해, 제2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단말장치(10)는,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제2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제2 통신시스템(이동통신 제어장치(30))은,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통신시스템에 대해,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는 지시를 송신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 통신단말장치(10)가 천이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제2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리소스를 제어하는 장치가 이동통신 제어장치(3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RNC(30A) 및 eNodeB(30B)는, 이동통신 제어장치(30)의 일 예이다. 따라서, UMTS가 제2 통신시스템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제어장치(30)는 RNC(30A)이다. 또는, LTE가 제2 통신시스템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제어장치(30)는 eNodeB(30B)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이하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첫째로, UMTS로부터 LTE로 통신단말장치(10)가 천이하는 케이스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도 6에서는, UMTS가 제1 통신시스템이며, LTE가 제2 통신시스템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210A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UMTS에 있어서 커넥트 상태이다. 단계 210B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LTE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이다.
단계 211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설정 요구(RRC Connection Request)를 eNodeB(30B)로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단말장치(10)는, LTE로 천이하기 전에, UMTS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RRC 커넥션 설정 요구와 함께 eNodeB(30B)로 송신한다.
단계 212에 있어서, eNodeB(30B)는, LTE의 통신 리소스를 설정한다.
단계 213에 있어서, eNodeB(30B)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셋업(RRC Connection Setup)을 통신단말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214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를 eNodeB(30B)로 송신한다.
단계 215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LTE에 있어서 커넥트 상태로 천이한다. 즉, 단계 211∼단계 214의 처리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는, LTE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로부터 커넥트 상태로 천이한다.
단계 216에 있어서, eNodeB(30B)는, RNC(30A)에 대해, UMTS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는 지시(통신 리소스 해방 지시)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 리소스 해방 지시는, 코어 네트워크(50)를 경유하여, eNodeB(30B)로부터 RNC(30A)로 송신된다.
단계 217에 있어서, RNC(30A)는, UMTS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한다.
단계 218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UMTS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이다. 상세히는, 통신단말장치(10)는, 단계 211의 처리에 의해, UMTS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둘째로, LTE로부터 UMTS로 통신단말장치(10)가 천이하는 케이스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도 7에서는, LTE가 제1 통신시스템이며, UMTS가 제2 통신시스템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310A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UMTS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이다. 단계 S310B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LTE에 있어서 커넥트 상태이다.
단계 311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설정 요구(RRC Connection Request)를 RNC(30A)로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단말장치(10)는, UMTS로 천이하기 전에, LTE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RRC 커넥션 설정 요구와 함께 RNC(30A)로 송신한다.
단계 312에 있어서, RNC(30A)는, UMTS의 통신 리소스를 설정한다.
단계 313에 있어서, RNC(30A)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셋업(RRC Connection Setup)을 통신단말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314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RRC 레이어(레이어 3)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RRC 커넥션 셋업 완료(RRC Connection Setup Complete)를 RNC(30A)로 송신한다.
단계 315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UMTS에 있어서 커넥트 상태로 천이한다. 즉, 단계 311∼단계 314의 처리에 의해, 통신단말장치(10)는, UMTS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로부터 커넥트 상태로 천이한다.
단계 316에 있어서, RNC(30A)는, eNodeB(30B)에 대해, LTE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는 지시(통신 리소스 해방 지시)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 리소스 해방 지시는, 코어 네트워크(50)를 경유하여, RNC(30A)로부터 eNodeB(30B)로 송신된다.
단계 317에 있어서, eNodeB(30B)는, LTE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한다.
단계 318에 있어서, 통신단말장치(10)는, LTE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이다. 상세히는, 통신단말장치(10)는, 단계 311의 처리에 의해, LTE에 있어서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작용 및 효과)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2 통신시스템은,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1 통신시스템에 대해,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를 해방하는 지시를 송신한다. 따라서,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용장하게 잔존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했으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 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통신시스템으로서, UMTS 및 LTE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통신시스템은, 다른 통신시스템(예를 들면, GSM)이어도 좋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9-241908호(2009년 10월 20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이동통신단말이 천이하는 경우에, 제1 통신시스템의 통신 리소스가 용장하게 잔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통신 등에 있어서 유용하다.
10…통신단말장치, 11…통신부, 12…제어부, 20A…NodeB, 25A…에어리어, 25B…에어리어, 30…이동통신 제어장치, 30A…RNC, 30B…eNodeB, 31…통신부, 32…제어부, 40A…SGSN/GGSN, 40B…MME, 50…코어 네트워크, 100…이동통신시스템

Claims (8)

  1. 제1 통신시스템과의 커넥트 상태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과의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를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
  2. 제1 통신시스템과의 커넥트 상태로부터 제2 통신시스템과의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과 설정된 무선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통신 리소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통신시스템에 마련된 이동통신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제어장치.
  3. 제1 통신시스템과, 제2 통신시스템과, 상기 제1 통신시스템과의 커넥트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통신시스템과의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4. 제1 통신시스템과, 제2 통신시스템과, 상기 제1 통신시스템과의 커넥트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통신시스템과의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이동통신단말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의 천이를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천이하기 전에 상기 제1 통신시스템에 재권하고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 통신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7010931A 2009-10-20 2010-10-20 이동통신단말, 이동통신 제어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통신방법 Active KR101406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1908 2009-10-20
JP2009241908A JP5150601B2 (ja) 2009-10-20 2009-10-20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PCT/JP2010/068484 WO2011049129A1 (ja) 2009-10-20 2010-10-20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427A KR20120076427A (ko) 2012-07-09
KR101406088B1 true KR101406088B1 (ko) 2014-06-11

Family

ID=4390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931A Active KR101406088B1 (ko) 2009-10-20 2010-10-20 이동통신단말, 이동통신 제어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통신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252456A1 (ko)
EP (1) EP2493242B1 (ko)
JP (1) JP5150601B2 (ko)
KR (1) KR101406088B1 (ko)
CN (1) CN102598788B (ko)
CA (1) CA2778282A1 (ko)
RU (1) RU2526532C2 (ko)
WO (1) WO2011049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6488A1 (ja) * 2011-09-27 2013-04-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及び制御装置、並びにこれらの通信制御方法
US20130244655A1 (en) * 2012-02-29 2013-09-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fast cell reselection at call rele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0296A (ja) 2007-08-30 2009-03-19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US20090111468A1 (en) 2007-10-29 2009-04-30 Burgess John K Hand-off trigger at access technology border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89751B (en) * 1999-05-28 2004-02-25 Nec Corp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FI109071B (fi) * 2000-01-17 2002-05-15 Nokia Corp Signalointimenetelmä
US7313628B2 (en) * 2001-06-28 2007-12-25 Nokia, Inc. Protocol to determine optimal target access routers for seamless IP-level handover
US7050828B2 (en) * 2002-09-23 2006-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system monitor function
KR100703264B1 (ko) * 2003-08-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억세스망들이 중첩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및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1858270A4 (en) * 2005-03-07 2014-10-15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NNOUNCING A HANDOVER OPERATION
GB0514438D0 (en) 2005-07-15 2005-08-17 Ip Access Ltd Cellular radio tellecommunication handover system
US8260291B2 (en) * 2005-12-26 2012-09-04 Htc Corporation Method for handling periodic PLMN search in RRC connected mode in UMTS system
BRPI0707092A2 (pt) * 2006-03-09 2011-04-19 Interdigital Tech Corp método e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para executar o processo de passagem entre duas tecnologias de acesso por meio de rádio
CN101047977A (zh) * 2006-03-27 2007-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及方法以及在该系统中使用的寻呼方法
CN100456891C (zh) * 2006-07-19 2009-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对激活态接入终端进行切换的方法
JP4916277B2 (ja) * 2006-10-31 2012-04-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ユーザ装置で使用される方法
PL1981300T3 (pl) * 2007-04-12 2012-12-31 Nokia Technologies Oy Sposób zarządzania mobilnością w architekturze systemowej obsługującej mobilność pomiędzy różnymi systemami dostępowymi
WO2009018164A2 (en) * 2007-07-27 2009-02-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obility between non-3gpp to 3gpp networks
EP2079253A1 (en) * 2008-01-09 2009-07-15 Panasonic Corporation Non-3GPP to 3GPP network handover optimizations
US8412230B2 (en) * 2009-01-23 2013-04-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ing relations between cells in different radio access net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0296A (ja) 2007-08-30 2009-03-19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US20090111468A1 (en) 2007-10-29 2009-04-30 Burgess John K Hand-off trigger at access technology borders
WO2009058220A1 (en) 2007-10-29 2009-05-07 Lucent Technologies Inc. Hand-off trigger at access technology b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50601B2 (ja) 2013-02-20
EP2493242A1 (en) 2012-08-29
US20120252456A1 (en) 2012-10-04
CN102598788A (zh) 2012-07-18
EP2493242A4 (en) 2016-12-07
CA2778282A1 (en) 2011-04-28
RU2526532C2 (ru) 2014-08-27
EP2493242B1 (en) 2018-12-12
CN102598788B (zh) 2016-10-12
WO2011049129A1 (ja) 2011-04-28
KR20120076427A (ko) 2012-07-09
JP2011091515A (ja) 2011-05-06
RU2012119264A (ru)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3889B2 (en) Handover apparatus and method
CN111436087B (zh) 一种pdu会话切换方法及其装置
EP3979707B1 (en) Method for initiating user plane path modific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EP1892993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base stations used therefor
EP1911178B1 (en)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between different systems
JP5234297B2 (ja) 接続確立システム及び接続確立方法
EP3637940A1 (en) Path switching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US20070225001A1 (en) Management of cell-specific address information
CN110839267B (zh) 服务节点更新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JP3727539B2 (ja) シグナリング方法
CN110087269B (zh) 用户设备接入网络的方法和接入设备
US8837364B2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406088B1 (ko) 이동통신단말, 이동통신 제어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통신방법
WO2017166291A1 (zh) 一种通信方法、终端、基站和移动性管理设备
EP2637449A1 (en) Mobile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handover control method
US20060002365A1 (en) Support node based management of cell-specific information
KR20130017709A (ko) 데이터 오프로딩 접속을 제어하는 기지국 장치 및 가상화 기지국 시스템
EP4207935A1 (en) Ma pdu deactivation procedure for ma pdu with pdn leg
JP2011205403A (ja) ノード、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15134949A (zh) 信息发送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50134703A (ko) 호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5042883A1 (zh) 上行业务传输方法、下行业务传输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