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00757B1 -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757B1
KR101400757B1 KR1020120078930A KR20120078930A KR101400757B1 KR 101400757 B1 KR101400757 B1 KR 101400757B1 KR 1020120078930 A KR1020120078930 A KR 1020120078930A KR 20120078930 A KR20120078930 A KR 20120078930A KR 101400757 B1 KR101400757 B1 KR 101400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image
camera
lens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2339A (ko
Inventor
임쌍근
강민구
유준호
이현민
Original Assignee
(주) 인텍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텍플러스 filed Critical (주) 인텍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7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75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7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4Slit arrangements slit adjus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7Control of working procedures of a spectrometer; Failure detection; Bandwidth calc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0Measuring the intensity of spectral lines by determining density of a photograph of the spectrum; Spectr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화 추세에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보다 신속한 검사속도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의 전 화면을 균일하면서도 세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면 형태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면 형태의 이미지를 입사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에서 출력된 면 형태의 이미지를 라인 형태의 이미지로 통과시키는 슬릿과, 상기 슬릿에서 출력된 라인형태 이미지의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분광기와, 상기 분광기를 통해 생성된 면 형태의 스펙트럼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가 동축상에 배치된 검사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스펙트럼 영상으로 파장별 강도를 파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여부를 검출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Display panel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화 추세에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보다 신속한 검사속도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의 전 화면을 균일하면서도 세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칩은 육면체의 형상으로 각기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종적으로 전극 패드(pad)를 생성함으로써 제품이 완성된다. 칩의 제조과정 중에는 표면에 이물질이 침착되거나 스크래치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전극 패드부의 형상 불량이나 에칭공정 불량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불량들은 외관검사를 통해 검출해 내게 되는데, 그 일례로,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Area scan camera)를 통해 영상을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을 검출해 내는 비전시스템 형태의 외관 검사장치가 있다. 이때, 영상의 연속적인 입력을 받기 위해 구동부의 움직임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그에 따라 카메라가 또렷한 영상을 입력 받기 위한 대기시간도 필요하게 되었다.
근래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화 추세이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도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져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발광층의 형성 물질이 유기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휘도, 구동 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가진다.
이러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그 박막트랜지스터에 의해 발광 구동되는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기본적으로 양극층과 유기막층 및 음극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박막트랜지스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양극층과 음극층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적당한 에너지의 차이가 유기막층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유기막층에 포함된 발광층에서 빛으로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각 층은 통상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데, 이때 성막되는 두께가 정확하지 않으면 발광되는 빛의 특성이 설계치와 달라질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원하는 정확한 색상을 구현하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유기발광소자의 증착 공정을 모두 마치고 밀봉을 위한 봉지기판까지 다 설치한 다음에, 발광시험을 실시하여 제품의 양부를 판별하였다. 따라서, 만일 불량이 발견되면 그때까지 증착 공정이 진행되고 있던 패널들은 모두 불량이 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불량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유기발광소자의 불량 여부를 미리 알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보다 신속한 검사속도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의 전 화면을 균일하면서도 세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면 형태의 이미지를 입사하는 렌즈와, 상기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에서 출력된 면 형태의 이미지를 라인 형태의 이미지로 통과시키는 슬릿과, 상기 슬릿에서 출력된 라인형태 이미지의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분광기와, 상기 분광기를 통해 생성된 면 형태의 스펙트럼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가 동축상에 배치된 검사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스펙트럼 영상으로 파장별 강도를 파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여부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사유닛을 장착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면적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통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화상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에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반사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투과한 영상이 입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는 라인 스캔 카메라(line scan camera) 또는 영역 스캔 카메라(Area scan camera)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에 따르면, 대형화 추세에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보다 신속한 검사속도를 제공한다.
또한, 라인단위로 스펙트럼 영상을 획득하고 파장별 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전 화면을 균일하면서도 세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유닛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는 면 형태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출력되는 면 형태의 이미지를 입사하는 렌즈(110)와, 상기 렌즈(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110)에서 출력된 면 형태의 이미지를 라인 형태의 이미지로 통과시키는 슬릿(120)과, 상기 슬릿(120)에서 출력된 라인형태 이미지의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분광기(130)와, 상기 분광기(130)를 통해 생성된 면 형태의 스펙트럼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40)가 동축상에 배치된 검사유닛(150)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140)에서 획득한 스펙트럼 영상으로 파장별 강도를 파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불량여부를 검출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를 비롯하여 공지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110)는 면 형태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전체 또는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마주보며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출력되는 면 형태의 이미지를 입사한다.
즉, 상기 렌즈(11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구비하며, 하나의 렌즈(110)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커버하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하나의 렌즈(110)가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집광하는 집광렌즈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검사유닛(150)에서 검사가 진행되도록 이미징하는 이미징 렌즈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유닛을 보인 구성도이다. 검사유닛(150)은 슬릿(120)과 분광기(130) 및 카메라(140)를 포함하되, 상기 각 요소들이 동축상에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먼저, 슬릿(120)은 상기 렌즈(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110)에서 출력된 면 형태의 이미지를 라인 형태의 이미지로 통과시킨다. 상기 슬릿(120)은 협소한 틈새를 형성하여 면형태의 이미지를 입력 받고, 상기 틈새를 통해 라인형태의 이미지로 출력하고, 나머지 주변의 이미지는 차단한다.
분광기(130)는 상기 슬릿(120)에서 출력된 라인형태 이미지의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여기서 분광기(130)는 회절을 일으키는 소자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회절 소자는 회절격자, 프리즘 또는 AOTF(Acousto-Optic Tunable Filter)와 같은 가변형 필터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광기(130)에는 ICCD(131)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ICCD(131) 센서는 슬릿(120)에서 출력된 이미지로부터 이미지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즉, 상기 스펙트럼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출력된 이미지의 한 점당 색에 따른 고유 파장을 파악하고, 그 파장의 세기를 검출하여 색좌표를 확인하고 비교하는 방식으로 검사가 진행되어 보다 정확하고 섬세한 검사자 진행될 수 있다.
카메라(140)는 상기 분광기(130)를 통해 생성된 면 형태의 스펙트럼 영상을 획득한다. 상기 카메라(140)는 컬러카메라일 수 있고,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40)에서 획득한 스펙트럼 영상으로 파장별 강도를 파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불량여부를 검출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40)에 획득한 스펙트럼 영상을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컴퓨터(18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180)는 기 설정된 기준 스펙트럼과 실질적으로 검사가 진행되면서 수광된 스펙트럼을 비교하며, 상기 스펙트럼 중 피크파장의 위치 변화, 최저 반사율 크기 변화 및, 반치폭 크기 변화 등을 비교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불량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사유닛(150)을 장착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16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체 면적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슬릿(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출력된 면형태의 이미지를 협소 간격으로 통과시켜 라인 형태의 이미지로 생성하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 전체 또는 일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검사유닛(150)은 상기 이송수단(160)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 전체에 걸쳐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통전되고, 상기 렌즈(1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가 입사된다. 상기의 경우, 백라이트, 액정패널, 편광필터 또는 컬러필터 및 글래스 기판이 모두 조립된 후 출고 전 단계의 완성품을 검사하는 데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통전된 후 중심화소와 주변 영역에 위치된 주변화소들과의 편차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불량화소를 검출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불량화소가 검출되면 검출된 불량화소에 대하여 보정을 수행하는 보정수단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110)에는 상기 광원(170)에서 조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반사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투과한 영상이 입사된다. 상기 광원(17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향해 라인형태의 빔 또는 면형태의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완제품이 아니므로 전원을 가하지 않아도 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글래스 기판을 비롯한 각종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표면 결함을 검출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140)는 라인 스캔 카메라(line scan camera) 또는 영역 스캔 카메라(Area scan camera)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광기(130)에서 출력된 면형태의 스펙트럼을 검사하기 위해 영역 스캔 카메라(Area scan camera)를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에 따르면, 대형화 추세에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보다 신속한 검사속도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의 전 화면을 균일하면서도 세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디스플레이 패널
110 : 렌즈
120 : 슬릿
130 : 분광기
140 : 카메라
150 : 검사유닛
160 : 이송수단
170 : 광원

Claims (5)

  1. 면 형태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을 검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면 형태의 이미지를 입사하는 렌즈;
    상기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에서 출력된 면 형태의 이미지를 라인 형태의 이미지로 통과시키는 슬릿과, 상기 슬릿에서 출력된 라인형태 이미지의 스펙트럼을 생성하는 분광기와, 상기 분광기를 통해 생성된 면 형태의 스펙트럼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가 동축상에 배치된 검사유닛;
    상기 검사유닛을 장착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통전되고, 상기 렌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가 입사되며,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스펙트럼 영상으로 파장별 강도를 파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여부를 검출하되, 상기 검사유닛이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면적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에는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반사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투과한 영상이 입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라인 스캔 카메라(line scan camera) 또는 영역 스캔 카메라(Area scan camera)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KR1020120078930A 2012-07-19 2012-07-19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Active KR101400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930A KR101400757B1 (ko) 2012-07-19 2012-07-19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930A KR101400757B1 (ko) 2012-07-19 2012-07-19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339A KR20140012339A (ko) 2014-02-03
KR101400757B1 true KR101400757B1 (ko) 2014-05-27

Family

ID=5026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930A Active KR101400757B1 (ko) 2012-07-19 2012-07-19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7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5790B2 (en) 2018-12-31 2021-06-15 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WO2021261802A1 (ko) * 2020-06-22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781B1 (ko) * 2014-09-16 2019-07-25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초분광영상화 기법을 이용한 글라스(Glass) 결함 검출 장치
KR101898217B1 (ko) * 2016-12-29 2018-09-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검사장비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102773497B1 (ko) * 2020-02-25 2025-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방법
KR102355462B1 (ko) * 2020-03-27 2022-01-26 하이버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시스템
CN112649091B (zh) * 2020-12-28 2022-03-25 武汉精测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led拼接显示屏校准的色度测量方法及装置
KR102474125B1 (ko) * 2022-04-11 2022-12-05 주식회사 머신앤비전 퀀텀닷 디스플레이용 휘도 얼룩 고속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845A (ja) * 1995-03-14 1996-09-27 Hioki Ee Corp 分光光度計
KR20070034830A (ko) * 2005-09-26 200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용 탭부착검사시스템
KR100801438B1 (ko) * 2006-10-10 2008-02-11 주식회사 디이엔티 액정표시소자 패널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100884475B1 (ko) * 2007-10-10 2009-02-20 유명자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845A (ja) * 1995-03-14 1996-09-27 Hioki Ee Corp 分光光度計
KR20070034830A (ko) * 2005-09-26 200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용 탭부착검사시스템
KR100801438B1 (ko) * 2006-10-10 2008-02-11 주식회사 디이엔티 액정표시소자 패널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100884475B1 (ko) * 2007-10-10 2009-02-20 유명자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5790B2 (en) 2018-12-31 2021-06-15 Industrial Cooperation Found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WO2021261802A1 (ko) * 2020-06-22 2021-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검사 장치
US11867612B2 (en) 2020-06-22 2024-01-09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inspe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339A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75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
KR102790344B1 (ko)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JP5419304B2 (ja) 発光素子検査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CN101051619B (zh) 基板检查装置及使用其的基板检查方法
US10495584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0885821B2 (en)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for array substrate
US11703700B2 (en) Laser irradiation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6323032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ディバイスの欠陥画素リペア装置及びその欠陥画素リペア方法
KR20130066647A (ko)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수정 설비 및 수정 방법
KR20130051796A (ko) 기판 검사장치
JP2007256106A (ja) 表示パネル検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パネル検査方法
US20130052902A1 (en) Method of repairing a display pan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2004172127A (ja) Oledデバイスの欠陥を測定する方法
KR101955466B1 (ko) 실링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 장치의 실링 검사 방법
TW201403056A (zh) 顯示面板之製造方法、其檢查裝置及檢查方法
KR102145960B1 (ko) 실링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080076152A (ko) 평판 표시 장치의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JP2011257257A (ja) 検査装置、検査方法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画像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30051874A (ko) 기판 검사장치
KR102063680B1 (ko)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US12360055B2 (en)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10018783A (ko)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표시 패널 검사 방법
JP2009075044A (ja) 有機elパネル基板の導電性ポリマー層の膜厚不良検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膜厚不良検査方法
KR101880398B1 (ko) 기판의 얼룩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2284293B1 (ko) 불투명 영역을 포함하는 대상물의 불량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7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9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2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9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