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269B1 - 정전분무노즐과 이를 이용한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방법 - Google Patents
정전분무노즐과 이를 이용한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0269B1 KR101400269B1 KR1020120073703A KR20120073703A KR101400269B1 KR 101400269 B1 KR101400269 B1 KR 101400269B1 KR 1020120073703 A KR1020120073703 A KR 1020120073703A KR 20120073703 A KR20120073703 A KR 20120073703A KR 101400269 B1 KR101400269 B1 KR 1014002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fluid channel
- fluid
- electrostatic
- nozzle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7590 electrostatic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89 atom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8—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05D1/04—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involving the use of an electrostatic field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노즐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노즐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노즐의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장치에 의한 정전분무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노즐의 각 유체 채널의 팁에서 생성된 액적들의 평균입경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노즐에 의해 생성된 액적의 평균입경, 기하표준편차와 본 발명의 노즐로부터 발생된 콘젯과 멀티젯 모드에 의해 생성된 액적의 평균입경, 기하표준편차를 비교한 그래프.
111 : 유로 112 : 노즐공
120 : 유체 채널 121 : 유체 채널의 팁
210 : 유체공급장치 220 : 전압인가장치
230 : 전극판
Claims (10)
- 원기둥 형태의 노즐 몸체부; 및
상기 노즐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된 복수의 유체 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 채널은 노즐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파여진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 채널은 노즐 몸체부의 일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유체 채널의 상부에는 노즐공이 구비되며,
상기 유체 채널 하단의 양 모서리가 유체 채널의 팁을 이루며, 상기 유체 채널의 팁에서 정전분무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노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채널은 상기 유체 채널은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노즐 몸체부의 하단을 향한 측부도 개구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노즐.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부의 내부에 유체 이동 공간인 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유체 채널의 노즐공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노즐.
- 정전분무 대상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
유체를 멀티젯 형태로 정전분무하는 정전분무노즐;
상기 정전분무노즐에 (+) 또는 (-)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유체를 (+) 또는 (-)로 하전시킴과 함께 유체가 정전분무되도록 전기장을 인가하는 전압인가장치; 및
상기 정전분무노즐 하부의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접지 상태를 이루어 특정 극성으로 하전된 정전분무 액적에 정전기 인력을 인가하는 전극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정전분무노즐은,
원기둥 형태의 노즐 몸체부과, 상기 노즐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된 복수의 유체 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 채널은 노즐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파여진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 채널은 노즐 몸체부의 일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유체 채널의 상부에는 노즐공이 구비되며,
상기 유체 채널 하단의 양 모서리가 유체 채널의 팁을 이루며, 상기 유체 채널의 팁에서 정전분무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채널은 상기 유체 채널은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노즐 몸체부의 하단을 향한 측부도 개구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장치.
- 삭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부의 내부에 유체 이동 공간인 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유체 채널의 노즐공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장치.
- 정전분무노즐을 이용한 정전분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전분무노즐은,
원기둥 형태의 노즐 몸체부과, 상기 노즐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된 복수의 유체 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체 채널은 노즐 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파여진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 채널은 노즐 몸체부의 일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유체 채널의 상부에는 노즐공이 구비되며,
전압인가장치에 의해 정전분무노즐에 (+) 또는 (-)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유체가 정전분무노즐에 공급되면 유체가 (+) 또는 (-)의 단극으로 하전되는 단계; 및
(+) 또는 (-)로 하전된 유체가 노즐공을 통해 유체 채널로 공급되며, 유체는 유체 채널을 따라 노즐 하부로 이동되며, 전기장의 구배가 가장 큰 유체 채널의 팁에서 액주 형태로 정전분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나의 유체 채널에 2개의 팁이 구비되며, 각각의 팁에서 정전분무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3703A KR101400269B1 (ko) | 2012-07-06 | 2012-07-06 | 정전분무노즐과 이를 이용한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3703A KR101400269B1 (ko) | 2012-07-06 | 2012-07-06 | 정전분무노즐과 이를 이용한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6530A KR20140006530A (ko) | 2014-01-16 |
KR101400269B1 true KR101400269B1 (ko) | 2014-05-28 |
Family
ID=5014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370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0269B1 (ko) | 2012-07-06 | 2012-07-06 | 정전분무노즐과 이를 이용한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026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88463B (zh) * | 2020-12-14 | 2025-05-13 | 江苏大学 | 一种基于电场增强结构的静电雾化喷嘴及其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090B1 (ko) * | 2004-05-24 | 2006-09-20 | 박종수 | 나노구조체 제조용 밸브형 정전분무장치 |
KR20090103406A (ko) * | 2008-03-28 | 2009-10-01 | 한국과학기술원 | 비전도체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 방법 |
-
2012
- 2012-07-06 KR KR1020120073703A patent/KR10140026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6090B1 (ko) * | 2004-05-24 | 2006-09-20 | 박종수 | 나노구조체 제조용 밸브형 정전분무장치 |
KR20090103406A (ko) * | 2008-03-28 | 2009-10-01 | 한국과학기술원 | 비전도체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6530A (ko) | 2014-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73365B2 (en) | Spray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for polymer spray deposition device | |
KR102458213B1 (ko) | 코팅될 표면에 코팅 제품을 적용하기 위한 적용 헤드 | |
JP2018094552A5 (ko) | ||
JP5933654B2 (ja) | 静電気力を用いる噴霧およびパターニング装置 | |
KR101305768B1 (ko) | 정전 분무 인쇄 장치 | |
WO2017082279A1 (ja) | 静電噴霧装置及び静電噴霧方法 | |
JP6589280B2 (ja) | 静電噴霧装置 | |
JP6473629B2 (ja) | 静電噴霧装置 | |
WO2017082278A1 (ja) | 静電噴霧装置 | |
KR100947028B1 (ko) | 비전도체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 방법 | |
KR101400269B1 (ko) | 정전분무노즐과 이를 이용한 정전분무장치 및 정전분무방법 | |
CN104487172B (zh) | 静电喷雾装置 | |
US11077454B2 (en) | Spray plume shaping system and method | |
KR20090104404A (ko) | 독립전위 추출판을 갖는 다중 홈 노즐 정전분무장치 및정전 분무방법 | |
KR101263591B1 (ko) | 콘젯 모드 정전기 스프레이 장치 | |
JP6672575B2 (ja) | 静電噴霧装置 | |
JP2019058862A (ja) | 静電噴霧方法及びそのための静電噴霧装置 | |
JP6743345B2 (ja) | 静電噴霧装置及び静電噴霧方法 | |
KR20180014536A (ko) | 스프레이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코팅 시스템 | |
KR102195027B1 (ko) | 고유량 정전분무를 위한 추출판이 결합된 정전분무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정전분무 방법 | |
JP5833781B1 (ja) | 静電噴霧装置 | |
JP6494095B2 (ja) | 静電噴霧装置 | |
US20230053695A1 (en) | Array of electrified wicks for production of aqueous droplets | |
JP2008238075A (ja) | 静電塗装用スプレーガン | |
JP2017074541A (ja) | 液体塗着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静電噴霧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