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534B1 - 신규 구조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신규 구조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3534B1 KR101393534B1 KR1020120063785A KR20120063785A KR101393534B1 KR 101393534 B1 KR101393534 B1 KR 101393534B1 KR 1020120063785 A KR1020120063785 A KR 1020120063785A KR 20120063785 A KR20120063785 A KR 20120063785A KR 101393534 B1 KR101393534 B1 KR 1013935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electrode assembly
- phase
- electrolyte
- gro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26)
-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층이 상호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분리층은, (a) 액상 성분과 폴리머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2상(two-phase) 전해질, 및 (b) 액상 성분과 고상 성분 및 폴리머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3상(three-phase) 전해질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분리층의 폴리머 매트릭스는 양극 또는 음극과 결합되어 있고,
전극조립체의 제작 과정에서 분리층의 액상 성분이 전극으로 일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상 전해질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전극조립체의 제작 과정에서 분리층으로부터 전극으로 일부 유입되어 전극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액상 성분; 및
상기 액상 성분에 대해 친화성을 가지며 양극과 음극에 대한 결착력을 제공하는 폴리머 매트릭스;
를 포함하는 2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상 전해질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고, 전극조립체의 제작 과정에서 분리층으로부터 전극으로 일부 유입되어 전극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액상 성분;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분리층의 3상 전해질을 지지하는 고상 성분; 및
상기 액상 성분에 대해 친화성을 가지며 양극과 음극에 대한 결착력을 제공하는 폴리머 매트릭스;
를 포함하는 3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의 액상 성분이 전극으로 일부 유입되는 것은 가압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는 옥사이드계 비가교 고분자, 극성 비가교 고분자, 및 삼차원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가교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옥사이드계 비가교 고분자는 Poly(ethylene oxide), Poly(propylene oxide), Poly(oxymethylene) 및 Poly(dimethyl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비가교 고분자는 Polyacrylonitril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oly(ethylene imine) 및 Poly(p-phenylene terephthal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고분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1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트리메티롤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디비닐벤젠, 폴리에스테르 디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에테르, 트리메티롤프로판(trimethylolpropane), 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및 에톡시레이티드 비스 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ethoxylated bis phenol A di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극성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비닐클로라이드, 및 비닐플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성분은 이온성 염을 포함하는 전해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염은 리튬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비닐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감마부티로락톤, 설포레인, 메틸아세테이트 및 메틸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상 성분은 이온 전도성 세라믹, 또는 리튬 이온과 반응성이 없는 고체 화합물, 또는 세라믹 및 리튬 이온과 반응성이 없는 고체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화합물은 리튬 이온과 반응성이 없는 산화물, 질화물 및 탄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온과 반응성이 없는 산화물은 MgO, TiO2(Rutile) 및 Al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은 2상 전해질 및 3상 전해질의 2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은 2상 전해질/3상 전해질/2상 전해질의 3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층은 3상 전해질/2상 전해질/3상 전해질의 3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
- 제 1 항에 따른 일체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으로서,
(1) 선형 고분자, 가교 고분자용 단량체, 이온성 염을 포함하는 액상 성분, 중합 개시제 및 선택적으로 고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2상 또는 3상 전해질용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
(2) 상기 2상 또는 3상 혼합물을 하나의 전극 위에 코팅하는 과정;
(3) UV 조사 또는 열의 인가에 의해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2상 또는 3상 전해질 층을 형성하는 과정;
(4) 상기 2상 또는 3상 전해질 층 위에 과정(2) 및 과정(3)을 반복하여 실시하여 다수의 전해질 층으로 이루어진 분리층을 형성하는 과정; 및
(5) 상기 분리층 위에 대응 전극을 탑재하고 가압하는 과정;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일체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 제 22 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23 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64273 | 2011-06-30 | ||
KR1020110064273 | 2011-06-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4084A KR20130004084A (ko) | 2013-01-09 |
KR101393534B1 true KR101393534B1 (ko) | 2014-05-09 |
Family
ID=4783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3785A Active KR101393534B1 (ko) | 2011-06-30 | 2012-06-14 | 신규 구조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353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04867A1 (ko) * | 2015-12-17 | 2017-06-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US10236490B2 (en) | 2015-03-27 | 2019-03-19 | Samsung Sdi Co., Ltd. | Separato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7406B1 (ko) * | 2015-03-18 | 2019-06-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일체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KR20210091597A (ko) | 2020-01-14 | 2021-07-2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고상-액상 하이브리드 전해질 막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의 제조방법 및 고상-액상 하이브리드 전해질 막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0642B1 (ko) | 2002-09-30 | 2005-05-1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다층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KR100772565B1 (ko) | 2000-09-29 | 2007-11-02 |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 리튬 이차전지 |
-
2012
- 2012-06-14 KR KR1020120063785A patent/KR10139353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2565B1 (ko) | 2000-09-29 | 2007-11-02 |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 리튬 이차전지 |
KR100490642B1 (ko) | 2002-09-30 | 2005-05-1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다층 구조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36490B2 (en) | 2015-03-27 | 2019-03-19 | Samsung Sdi Co., Ltd. | Separato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
WO2017104867A1 (ko) * | 2015-12-17 | 2017-06-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US10633492B2 (en) | 2015-12-17 | 2020-04-28 | Lg Chem, Ltd. | Lithium secondary battery an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4084A (ko) | 2013-0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9900B1 (ko) | 신규한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US8993174B2 (en) | Electrode assembly having novel structur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 |
EP2874207B1 (en) |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
KR101355836B1 (ko) | 일체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
CN108780926B (zh) | 制备二次电池的方法 | |
WO2015104935A1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 |
KR101283331B1 (ko) | 일체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
KR101393534B1 (ko) | 신규 구조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
JP5359131B2 (ja) | 二次電池用正極 | |
KR101323153B1 (ko) | 신규 구조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
KR102302258B1 (ko) |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용 전극 | |
KR20130030724A (ko) | 기능성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
KR20170050507A (ko) | 리튬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