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2868B1 -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868B1
KR101392868B1 KR1020120075462A KR20120075462A KR101392868B1 KR 101392868 B1 KR101392868 B1 KR 101392868B1 KR 1020120075462 A KR1020120075462 A KR 1020120075462A KR 20120075462 A KR20120075462 A KR 20120075462A KR 101392868 B1 KR101392868 B1 KR 101392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platform
service
user
appl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667A (ko
Inventor
김재호
원광호
이상신
안일엽
송민환
윤재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868B1/ko
Priority to PCT/KR2012/008418 priority patent/WO2014010784A1/ko
Priority to US14/414,023 priority patent/US9967343B2/en
Priority to EP12880825.0A priority patent/EP2874068B1/en
Publication of KR2014000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8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D-플랫폼, P-플랫폼, M-플랫폼 및 S-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개방형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IoT 서비스 개발자는 개발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IoT 서비스 이용자는 IoT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통합 접근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물에 대해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는 1998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Auto-ID 랩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후 2005년 ITU-T에서 `The Internet of Things`라는 연차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사물 인터넷은 미래 정보기술(IT) 산업 혁명의 모든 구조를 담는 가장 기본틀이 될 것임을 예고한 바 있다. 보고서는 사물 인터넷을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사물(things)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라고 정의했다. 즉, 사물 인터넷은 명실상부한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공간은 특정 기능이 내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환경과 사물에 심어져 환경이나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부터 시작된다.
사물 인터넷 서비스는 우리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다양한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업체는 차세대 모바일 서비스로 떠오를 사물 인터넷 지원용 단말과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사물 인터넷은 현재 초기 단계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모델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된 개방형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해 IoT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수많은 개발자가 쉽게 IoT 서비스 제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수많은 IoT 디바이스를 쉽게 검색하고 연결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기능적인 구분을 바탕으로 네 가지 플랫폼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개방형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개방형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시켜 주기 위한 D-플랫폼, 글로벌 환경에서 IoT 장치 등록 및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P-플랫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IoT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환경을 위한 앱스토어 플랫폼인 S-플랫폼, 다양한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M-플랫폼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은,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실행된 브라우저가 P-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P-플랫폼이 상기 브라우저에 IoT 장치들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가 IoT 장치들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IoT 장치들 중 이용자가 선택한 IoT 장치의 IoT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기기가 S-플랫폼으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가 Io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IoT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Io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M-플랫폼을 통해 IoT 장치와 정보를 주고 받거나, IoT 장치와의 직접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Io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이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IoT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가 Io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M-플랫폼에 접속하여 IoT 장치와 관련한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 단계는, 상기 브라우저가 표시된 IoT 장치들 중 이용자가 선택한 IoT 장치에 대한 정보를 S-플랫폼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S-플랫폼이 이용자가 선택한 IoT 장치의 IoT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가 IoT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우저가 이용자가 선택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S-플랫폼에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oT 장치 표시단계는, 상기 브라우저가 IoT 장치들을 지도상에 아이콘 형태로 나열하거나, 텍스트 리스트로 나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P-플랫폼이 상기 이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P-플랫폼이 상기 브라우저에 IoT 장치들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가 IoT 장치의 제어를 위한 IoT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IoT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D-플랫폼, P-플랫폼, M-플랫폼 및 S-플랫폼을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IoT 서비스 개발자는 개발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IoT 서비스 이용자는 IoT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통합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이용자가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IoT 매쉬업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이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가 적용된 자동 판매기 및 스마트 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초로 한 IoT 서비스의 프레임워크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생태계를 종래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은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D-플랫폼(110)은 IoT 장치(115) 측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나타내고,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은 서버 컴퓨터 측에 각각 또는 함께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나타낸다.
D-플랫폼(110)은 Device 플랫폼의 약자로, IoT 장치(115)에 직접 설치되거나 IoT 장치(115)에 장착되는 IoT 어댑터(adapter)에 설치되어, P-플랫폼(120) 및 M-플랫폼(130)과 연동하고, IoT 애플리케이션 및 IoT 웹사이트를 통해 스마트 기기와 연동한다.
여기서, IoT 장치(115)는 IoT가 적용된 일반적인 사물들(예를 들어, TV, 휴대폰, 냉장고, 청소기, 세탁기, 자동 판매기 등)을 나타낸다.
IoT 어댑터는 IoT 장치(115)에 장착되어 사물이 IoT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IoT 어댑터는 근거리 무선통신, 와이파이(Wi-fi), 이더넷(Ethernet), 3G, LT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고, IoT 어댑터에 설치된 D-플랫폼(110)은 IoT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P-플랫폼(120)은 Planet 플랫폼의 약자로, IoT 장치(115) 관리, 이용자 관리, IoT 장치(115) 모니터링, IoT 장치(115)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P-플랫폼(120)은 IoT 서비스 제공자(10)로부터 IoT 장치(115)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IoT 장치(115)를 등록한다. 이때, IoT 장치(115)에 대한 정보는 장치 ID, 장치명, 모델명, 제조사, 위치정보, 장치상태정보 등을 포함하고, IoT 장치(115)에 대한 연결시 필요한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 MSISDN 등)가 포함된다.
그리고, P-플랫폼(120)은 IoT 서비스를 위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등록 및 다운로드 하기 위해 S-플랫폼(130)에 접근하는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용자 인증을 위해 P-플랫폼(120)은 이용자의 ID/PW, 전화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P-플랫폼(120)은 IoT 관련 매쉬업(Mash-up) 서비스를 개발하여 등록하는 개발자나 매쉬업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서비스/개발자 인증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P-플랫폼(120)은 스마트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IoT 서비스 이용자의 IoT 서비스 접속을 인증한다.
M-플랫폼(130)은 Mash-up 플랫폼의 약자로, D-플랫폼(110)과 통신하여 IoT 애플리케이션이나 IoT 웹페이지를 통한 서비스 이용자의 제어 명령을 IoT 장치(115)에 전달한다.
또한, M-플랫폼(130)은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60)에 의해 개발된 IoT 매쉬업 서비스를 등록받는다. 즉,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60)는 IoT 매쉬업 서비스를 개발하여 M-플랫폼(130)에 등록하게 된다. 이때,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60)는 오픈 API 서버(150)로부터 제공된 IoT 오픈 API를 이용하여 IoT 매쉬업 서비스를 개발할 수도 있다.
IoT 장치들(115)은 M-플랫폼(130)에 자신들이 생성한 데이터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이에 M-플랫폼(130)은 IoT 장치(115)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로그로 저장함으로서 다양한 IoT 매쉬업 서비스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이용한다.
또한, M-플랫폼(130)은 IoT 매쉬업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며, IoT 장치들(115)에 대한 간략한 정보(예를 들어, ID, IP 주소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S-플랫폼(140)은 Store 플랫폼의 약자로, IoT 서비스를 위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S-플랫폼(140)은 애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S-플랫폼(140)은 IoT 장치(115)의 ID를 기준으로 해당 IoT 장치(115)의 IoT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IoT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해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S-플랫폼(140)은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자(50)에 의해 개발된 IoT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한다.
오픈 API 서버(150)는 IoT 서비스에 관련된 오픈 API를 관리 및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IoT 장치(115)의 개발사는 IoT 장치(115)를 제조할 때 해당 IoT 장치(115)에 대한 오픈 API를 함께 개발하여, 관련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150)에 등록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러면, 오픈 API 서버(150)는 이와 같이 다양한 개발사들에 의해 개발된 IoT 장치(115) 각각에 대한 다양한 오픈 API를 등록 및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오픈 API 서버(150)는 저장된 오픈 API를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를 개발하고자하는 개발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오픈 API 서버(150)로부터 관련 오픈 API를 제공받아, 제공된 오픈 API를 이용한 IoT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IoT 장치 제조사가 IoT 장치(115)에 대한 상태 정보(예를 들어, 고장 여부)를 제공하는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150)에 등록한 경우, 개발자는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150)에서 검색 및 이용하여 IoT 장치(115)의 상태를 조회하는 기능을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IoT 애플리케이션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IoT 서비스 이용자는 모바일 기기의 일종인 스마트 기기(40)에 다운로드된 IoT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직접 IoT 장치(115)에 접근하여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IoT 장치(115)는 스마트 기기(40)와 M-플랫폼(130)의 중계를 통해 연결되거나 P2P(Peer to Peer) 통신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IoT 장치(115)의 D-플랫폼(110)은 스마트 기기(40)의 IoT 애플리케이션과 M-플랫폼(130)의 중계를 통해 간접 통신하거나 P2P 통신을 이용하여 직접 통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은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이 서로 연동되어 다양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115)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장치(115)는 장치 본체(210), IoT 어댑터(220)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210)는 IoT 장치(115)의 본연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본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IoT 장치(115)가 휴대폰인 경우는 장치 본체(210)는 휴대폰 본체를 나타낸다. 그리고, IoT 장치(115)가 전등인 경우 장치 본체(210)는 전등 본체를 나타낸다.
IoT 어댑터(220)는 IoT 장치(115)에 장착되어 IoT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즉, IoT 장치(115)는 IoT 어댑터(220)를 통해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IoT 어댑터(220)는 디지털 I/O(221), 아날로그 I/O(223), D-플랫폼(110) 및 통신모듈(225)를 포함한다.
디지털 I/O(221)는 장치 본체(210)와 IoT 어댑터(220) 사이에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I/O(223)는 장치 본체(210)와 IoT 어댑터(220) 사이에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한다.
D-플랫폼(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어댑터(220)에 설치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IoT 장치(115)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D-플랫폼(110)은 P-플랫폼(120) 및 M-플랫폼(130)과 연동하고 IoT 애플리케이션 및 IoT 웹사이트를 통해 스마트 기기와 연동한다.
통신모듈(225)은 근거리 무선통신, 와이파이, 이더넷, 3G, LT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통신모듈(225)은 나열된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IoT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IoT 장치(115)의 등록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115)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IoT 장치 개발사(20)는 IoT 장치(115) 및 IoT 장치(115) 관련 오픈 API를 각각 제조 및 개발한다(S310). 그리고, IoT 장치 개발사(20)는 개발된 IoT 장치(115) 관련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150)에 등록한다(S320).
IoT 서비스 제공자(10)는 IoT 장치 개발사(20)로부터 IoT 장치(115)를 구입하여 지정된 장소에 IoT 장치(115)를 설치한다(S330).
그리고, IoT 서비스 제공자(10)는 설치된 IoT 장치(115)에 대한 정보를 P-플랫폼(120)에 등록한다(S340). 이때, IoT 장치(115)에 대한 정보는 장치 ID, 장치명, 모델명, 제조사, 위치정보, 장치상태정보 등을 포함하고, IoT 장치(115)에 대한 연결시 필요한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 MSISDN 등)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IoT 장치(115)는 IoT 서비스 대상이 되는 장치로 P-플랫폼(120)에 등록되어, IoT 서비스 대상 장치로 등록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IoT 서비스 이용자(30)가 IoT 매쉬업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이용자(30)가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IoT 매쉬업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단, IoT 서비스 이용자(30)는 IoT 매쉬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해당 IoT 매쉬업 웹사이트에 접속한다(S410). 여기에서, IoT 매쉬업 웹사이트는 IoT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로, 개별적으로 또는 다양한 포탈 사이트(예를 들어, 네이버, 다음, 야후, 구글 등)와 연계하여 IoT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IoT 서비스 이용자(30)에 의해 IoT 매쉬업 웹사이트에서 IoT 매쉬업 서비스에 접근이 시도되면, M-플랫폼(130)은 P-플랫폼(130)에 연계하여 IoT 서비스 이용자(30)가 IoT 매쉬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S420).
그리고, IoT 서비스 이용자(30)가 유효한 이용자인 경우, M-플랫폼(130)은 IoT 매쉬업 서비스를 IoT 서비스 이용자(30)의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제공한다(S43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가 Io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가 스마트 기기(40)를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가 스마트 기기(40)를 이용하여 IoT 브라우저를 실행시키면 IoT 브라우저가 P-플랫폼(120)에 접속하고(S510), P-플랫폼(120)은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가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S520).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가 유효한 이용자인 경우, P-플랫폼(120)은 IoT 브라우저에 나타낼 IoT 장치들에 대한 정보들을 전달하고(S530), IoT 브라우저는 P-플랫폼(120)으로부터 전달받은 IoT 장치들을 나열한다(S540).
S540단계에서의 IoT 장치 나열은, 지도상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거나 텍스트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S540단계에서 나열된 IoT 장치들 중 하나가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IoT 브라우저는 선택된 IoT 장치의 ID를 P-플랫폼(120)에 전달하여 선택된 IoT 장치(115)에 대한 세부 정보를 P-플랫폼(120)으로부터 전달받는다(S550). 전달받은 세부 정보는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의 요청시 IoT 브라우저에 표시가능하다.
또한, IoT 브라우저는 선택된 IoT 장치의 ID를 S-플랫폼(140)에 전달하여 선택된 IoT 장치(115)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S-플랫폼(140)으로부터 전달받아 표시한다(S560). S560단계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선택된 IoT 장치(115)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선택된 IoT 장치(115)에 관련한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다.
다음, S560단계에서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나열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가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IoT 브라우저는 S-플랫폼(140)에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는다(S570).
이후, 스마트 기기(40)는 S570단계에서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IoT 장치(11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580).
구체적으로, 스마트 기기(40)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M-플랫폼(130)을 통해 IoT 장치(115)에 장착된 D-플랫폼(110)에 접속한 후 IoT 장치(11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에 따라서 중간에 M-플랫폼(130)이 불필요한 경우, 스마트 기기는 S570단계에서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하고 IoT 장치(115)에 장착된 D-플랫폼(110)에 직접 접속하여 IoT 장치(115)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기기는 S570단계에서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M-플랫폼(130)에 제공하는 IoT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은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이 서로 연동되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스마트 기기(40)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IoT 장치(115)에 장착된 D-플랫폼(110)에 접속한 후 IoT 장치(115)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M-플랫폼(130)에 접속하여 IoT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스마트 기기(40)가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IoT 장치(115)의 제어와 IoT 매쉬업 서비스 제공을 위한 IoT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IoT 장치(115)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IoT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IoT 장치 선택은 IoT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상정하였는데 이는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IoT 장치의 ID나 명칭을 직접 입력하여 검색/선택하거나, IoT 장치의 카테고리별 검색을 통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IoT 장치에 부착된 QR 코드로부터 IoT 장치의 ID를 획득하여 IoT 장치를 선택하거나, IoT 장치와 NFC, ZigBee,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ID를 획득하여 IoT 장치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IoT 서비스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가 적용된 자동 판매기(115) 및 스마트 기기(40)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동 판매기(115)는 IoT 장치로 D-플랫폼(110)이 직접 또는 IoT 어댑터에 설치되어 있다.
IoT 서비스 이용자가 스마트 기기(40)의 IoT 브라우저를 통해 자동 판매기(115)를 선택하고 자동 판매기(115)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한 결과가 도 6의 스마트 기기(40)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관리자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40)로 M-플랫폼(130)을 통해 자동 판매기(115)의 D-플랫폼(110)에 접속하여 자동 판매기(115)의 재고 파악 및 상태 점검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40)는 M-플랫폼(130)을 통하지 않고 직접 자동 판매기(115)의 D-플랫폼(110)에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자동 판매기(115)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을 기초로 한 IoT 서비스의 프레임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는 지금까지 설명한, 1) IoT 애플리케이션/웹 개발자(50,60)가 개발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S-플랫폼(140)에 등록하고 IoT 웹사이트를 등록하는 과정, 2) IoT 서비스 제공자(10)가 IoT 장치 개발사(20)로부터 IoT 장치(115)를 구입하여 설치하고, P-플랫폼(120)에 IoT 장치(115)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며, M-플랫폼(130)에 IoT 서비스와 IoT 매쉬업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 7에는, 스마트 기기(40)가, 1) IoT 브라우저를 실행시켜 P-플랫폼(120)에 접속하여 IoT 장치를 검색하고 선택하는 과정, 2) S-플랫폼(140)에 접속하여 선택된 IoT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받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과정, 3)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M-플랫폼(130)을 통해 IoT 장치(115)를 제어하는 과정 및 4) M-플랫폼(130)을 통해 IoT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이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서비스 생태계를 종래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서비스 개발자는 IoT 장치, 네트워크, 서버, 접근인증, 과금, 응용소프트웨어 등의 수많은 단계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했다. 또한, 종래의 서비스 이용자는 개별 서버 기반으로 이용자 등록을 하고 URI 기반으로 IoT 서비스에 접근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을 이용할 경우, 네트워크, 서버, 접근인증, 과금 등의 중간 단계의 소프트웨어는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에 의해 기본적으로 그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 개발자는 IoT 장치와 IoT 서비스 관련 응용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만 개발하면 된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는 IoT 장치를 위치기반으로 선택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은 D-플랫폼, P-플랫폼, M-플랫폼 및 S-플랫폼을 이용하여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개방형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IoT 서비스 개발자는 개발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IoT 서비스 이용자는 IoT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통합 접근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은 그 명칭에 제한되지 않으며 해당 기능에 해당되는 소프트웨어, 전자 장치, 또는 시스템이라면 어느 것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은 소프트웨어 플랫폼 형태가 아닌 이외의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 솔루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개별적인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IoT 서비스 제공자 20 : IoT 장치 개발사
30 : IoT 서비스 이용자 40 : 스마트 기기
50 :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60 :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
100 :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 110 : D-플랫폼
115 : IoT 장치 120 : P-플랫폼
130 : M-플랫폼 140 : S-플랫폼
150 : 오픈 API 서버

Claims (8)

  1. IoT(Internet of Things :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에 실행된 브라우저가 P-플랫폼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P-플랫폼이 상기 브라우저에 IoT 장치들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가 IoT 장치들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IoT 장치들 중 이용자가 선택한 IoT 장치의 IoT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기기가 S-플랫폼으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가 Io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IoT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Io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M-플랫폼을 통해 IoT 장치와 통신하거나, IoT 장치와 직접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Io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이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을 IoT 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가 IoT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M-플랫폼에 접속하여 IoT 장치와 관련한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단계는,
    상기 브라우저가 표시된 IoT 장치들 중 이용자가 선택한 IoT 장치에 대한 정보를 S-플랫폼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S-플랫폼이 이용자가 선택한 IoT 장치의 IoT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상기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가 IoT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우저가 이용자가 선택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S-플랫폼에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 표시단계는,
    상기 브라우저가 IoT 장치들을 지도상에 아이콘 형태로 나열하거나, 텍스트 리스트로 나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P-플랫폼이 상기 이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P-플랫폼이 상기 브라우저에 IoT 장치들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가 IoT 장치의 제어를 위한 IoT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IoT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20075462A 2012-07-11 2012-07-11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Active KR101392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462A KR101392868B1 (ko) 2012-07-11 2012-07-11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PCT/KR2012/008418 WO2014010784A1 (ko) 2012-07-11 2012-10-16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US14/414,023 US9967343B2 (en) 2012-07-11 2012-10-16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
EP12880825.0A EP2874068B1 (en) 2012-07-11 2012-10-16 Method of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462A KR101392868B1 (ko) 2012-07-11 2012-07-11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67A KR20140008667A (ko) 2014-01-22
KR101392868B1 true KR101392868B1 (ko) 2014-05-09

Family

ID=4991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462A Active KR101392868B1 (ko) 2012-07-11 2012-07-11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67343B2 (ko)
EP (1) EP2874068B1 (ko)
KR (1) KR101392868B1 (ko)
WO (1) WO2014010784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688A (ko)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마스터비디 사물 디바이스,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인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WO2017095208A1 (en) * 2015-12-04 2017-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sensor
KR101870786B1 (ko) 2016-12-29 2018-06-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셜 프레임워크를 통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180137299A (ko) 2017-06-16 2018-12-27 기민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
KR20190095574A (ko) * 2018-01-22 2019-08-16 컴즈 주식회사 IoT 장치에 대한 신뢰성 검증 시스템
KR20190117460A (ko) 2019-10-08 2019-10-16 주식회사 마스터비디 사물 디바이스,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인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00068640A (ko) 2020-06-08 2020-06-15 주식회사 마스터비디 사물 디바이스,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인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00133305A (ko) 2020-06-08 2020-11-27 주식회사 마스터비디 사물 디바이스,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인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220345548A1 (en) * 2016-03-29 2022-10-27 Resolution Products, Llc Universal Protocol Transl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7665B2 (en) 2013-02-25 2019-04-09 Qualcomm Incorporated Analytics engines for IoT devices
US20140244001A1 (en) *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many different devices from a smart controller
US9413827B2 (en) * 2013-02-25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 aware actions among heterogene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20140289366A1 (en) * 2013-03-20 2014-09-25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instance hosting
US20150006296A1 (en) * 2013-06-26 2015-01-01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NOTIFICATION DISMISSAL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US9420044B2 (en) * 2013-06-26 2016-08-16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Leveraging system signaling service advertisements for application-layer discovery and connection management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KR102267798B1 (ko) * 2014-03-25 202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통한 로그인 지원 방법 및 그 장치
KR102151826B1 (ko) * 2014-04-17 2020-09-0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IoT 리소스 검색 방법 및 서버
EP2950510B1 (en) 2014-05-28 2018-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10148495B1 (en) * 2014-06-09 2018-12-04 Amazon Technologies, Inc. Remote configuration of wireless devices
KR101452692B1 (ko) * 2014-06-09 2014-10-21 (주) 엘케이일레븐 Iot기반 조립형 종단 단말장치
KR101645089B1 (ko) * 2014-07-16 2016-08-03 한국과학기술원 스마트홈 사물인터넷 기기의 상태 표시등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001759B2 (en) * 2014-08-11 2018-06-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events dictionary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KR102297475B1 (ko) 2014-10-17 202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을 위한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US9641400B2 (en) 2014-11-21 2017-05-02 Afero, Inc. Internet of things device for registering user selections
US9497572B2 (en) * 2014-11-21 2016-11-15 Afero, Inc. Internet of things platforms, apparatuses, and methods
US10178175B2 (en) * 2014-12-16 2019-01-08 Verifir Method and system for triggering an online interaction in connection with a physical product
US20160180100A1 (en) 2014-12-18 2016-06-23 Joe Britt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connecting network devices using optical labels
US9832173B2 (en) 2014-12-18 2017-11-28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connecting network devices
US10291595B2 (en) 2014-12-18 2019-05-14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connecting network devices
KR101674515B1 (ko) * 2015-01-20 2016-11-09 주식회사 크레스프리 IoT 디바이스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제공 방법
US9900382B2 (en) * 2015-02-18 2018-02-20 Anna Mazor Promotion of internet-of-things (IOT) connectivity
KR20160109242A (ko) * 2015-03-10 201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객체 중심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673959B2 (en) * 2015-03-25 2020-06-02 Intel Corporation Accessing service of Internet of Things
US10025916B2 (en) * 2015-03-27 201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device according to usage authority
US9704318B2 (en) 2015-03-30 2017-07-11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ly sensing user location in an IoT system
US10045150B2 (en) 2015-03-30 2018-08-07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ly sensing user location in an IoT system
KR20160122583A (ko) 2015-04-14 2016-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관계기반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US10360617B2 (en) 2015-04-24 2019-07-23 Walmart Apollo, Llc Automated shopping apparatus and method in response to consumption
KR20160126787A (ko) 2015-04-24 2016-11-02 디바이스디자인(주) 근거리 무선 통신 허브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403062B1 (ko) * 2015-05-13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17012B2 (en) 2015-06-01 2017-07-25 Afero, Inc. Internet of things (IOT) automotive device, system, and method
US9699814B2 (en) 2015-07-03 2017-07-04 Afer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secure communication channels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US9729528B2 (en) 2015-07-03 2017-08-08 Afer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secure communication channels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US11019149B2 (en) 2015-07-10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ub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US10015766B2 (en) 2015-07-14 2018-07-03 Afer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tracking event attendees using IOT devices
US11017375B2 (en) 2015-07-30 2021-05-2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presence to authenticate a cardholder for a financial transaction
US10027920B2 (en) 2015-08-11 201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TV) as an internet of things (IoT) Participant
US9954956B2 (en) * 2015-08-26 2018-04-24 Intel IP Corporation Secure discovery and connection to internet of things devices in a wireless local-area network
US10397760B2 (en) 2015-10-23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service thereof
US9793937B2 (en) 2015-10-30 2017-10-17 Afer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wireless signals
CN106713386A (zh) * 2015-11-13 2017-05-24 深圳市光峰光电技术有限公司 投影设备绑定通信方法、投影设备及智能终端
CN106713799B (zh) * 2015-11-13 2020-10-20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设备控制方法、投影设备及智能终端
US10219126B2 (en) 2015-11-14 2019-02-26 At&T Mobility Ii Llc Personalized management of connected devices
US10178530B2 (en) 2015-12-14 2019-01-08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sset and crowd tracking in an IoT system
US10362114B2 (en) * 2015-12-14 2019-07-23 Afero, Inc. Internet of things (IoT) apparatus and method for coin operated devices
WO2017127396A1 (en) 2016-01-19 2017-07-27 Wal-Mart Stores, Inc. Consumable item ordering system
KR101708342B1 (ko) 2016-02-17 2017-02-20 (주)모바일디에스티 범용 방송 채널을 이용한 사물 제어 시스템
WO2017164446A1 (ko) * 2016-03-25 2017-09-28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IoT 기반의 센서 데이터 분석 및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7852A (ko) * 2016-04-14 2017-10-24 울랄라랩 주식회사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CN107301089B (zh) * 2016-04-14 2020-12-01 中国移动通信集团辽宁有限公司 一种app部署及调用方法和终端
KR101690968B1 (ko) * 2016-04-18 2016-12-29 (주)케이사인 사물인터넷 플랫폼 연동 방법
US10264066B2 (en) 2016-05-10 2019-04-16 Sap Portals Israel Ltd Peer-to-peer data sharing between internet-of-things platforms
US10425242B2 (en) * 2016-10-14 2019-09-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oT provisioning service
US10798216B2 (en) 2016-10-15 2020-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provisioning of IoT devices
KR20180066357A (ko) 2016-12-08 2018-06-1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파일카탈로그를 이용한 IoT 가상 파일 시스템
TWI614719B (zh) * 2016-12-15 2018-02-11 Chunghwa Telecom Co Ltd 物聯網服務計費系統
US10832361B2 (en) 2017-01-27 2020-1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based licensing system for IoT device rentals
KR102249598B1 (ko) * 2017-03-24 2021-05-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아이오티 디바이스 동작제어 방법 및 시스템
EP4092998A1 (en) * 2017-06-30 2022-11-23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necting an iot device to a call
EP3646161A1 (en) 2017-06-30 2020-05-06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voice-based call operations
US10291714B2 (en) * 2017-07-13 2019-05-14 American Megatrend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general software to control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US20190036719A1 (en) * 2017-07-26 2019-01-31 Cisco Technology, Inc. Connecting physical resources to virtual collaboration meeting
TR201712710A2 (tr) * 2017-08-24 2017-10-23 Armoya Yueksek Teknoloji Anonim Sirketi Çok kanalli nesneleri̇n i̇nterneti̇ modülü
KR102708782B1 (ko) 2018-05-15 202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허브를 통해 복수의 전자 장치를 서버에 연결시키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0743171B2 (en) * 2018-09-14 2020-08-11 Afern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and associat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with anonymous IoT device accounts
KR102614445B1 (ko) 2018-10-04 2023-12-15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메신저 봇을 이용하여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H715441B1 (de) * 2018-10-09 2024-08-15 Legic Identsystem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Kommunizieren zwischen einer Internet-der-Dinge-Vorrichtung und einem entfernten Computersystem.
US11575682B2 (en) * 2019-09-26 2023-02-07 Amazon Technologies, Inc. Assigning contextual identity to a device based on proximity of other devices
CN111093247B (zh) * 2019-11-22 2022-02-18 上海五零盛同信息科技有限公司 适用于窄带物联网终端设备的离散入网方法、系统、介质及设备
US11196661B2 (en) * 2019-12-31 2021-12-07 Axis Ab Dynamic transport in a modular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KR102323188B1 (ko) * 2020-01-10 2021-11-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객체 공유 및 판매를 위한 사물인터넷 스토어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11964862B2 (en) 2020-08-27 2024-04-23 Walmart Apollo,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everage dispenser
KR20220129353A (ko) * 2021-03-16 2022-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671B1 (ko) * 2004-12-21 2006-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게이트웨이 플랫폼에 독립적인 댁내장치 원격제어시스템 및 방법
US9712486B2 (en) * 2006-09-25 2017-07-18 Weaved, Inc. Techniques for the deployment and management of network connected devices
KR101099527B1 (ko) 2009-12-22 2011-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US20120079092A1 (en) * 2009-12-28 2012-03-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nagement of data flows between user equipment nodes and clusters of networked resource nodes
CN102238203A (zh) * 2010-04-23 2011-1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物联网业务的方法及系统
CN102238573A (zh) 2010-04-30 2011-1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m2m业务的架构及实现m2m业务的方法
KR101194567B1 (ko) 2010-12-03 2012-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물 지능 통신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이용 방법
KR20120071722A (ko)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응용 필드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10244500B2 (en) 2011-03-30 2019-03-26 Wei Lu Open wireless architecture (OWA) mobile cloud infrastructure and method
US20130080898A1 (en) * 2011-09-26 2013-03-28 Tal Lavia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688A (ko) 2015-09-15 2017-03-23 주식회사 마스터비디 사물 디바이스,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인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WO2017095208A1 (en) * 2015-12-04 2017-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sensor
US10154427B2 (en) 2015-12-04 2018-12-11 Samsung El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sensor
US10757554B2 (en) 2015-12-04 2020-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sensor
US11985214B2 (en) * 2016-03-29 2024-05-14 Resolution Products, Llc Universal protocol translator
US20220345548A1 (en) * 2016-03-29 2022-10-27 Resolution Products, Llc Universal Protocol Translator
KR101870786B1 (ko) 2016-12-29 2018-06-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셜 프레임워크를 통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180137299A (ko) 2017-06-16 2018-12-27 기민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파장의 FOV를 이용한 IoT 리모트 그룹지정 시스템 및 그 그룹제어 방법
KR102456267B1 (ko) 2018-01-22 2022-10-20 컴즈 주식회사 IoT 장치에 대한 신뢰성 검증 시스템
KR20190095574A (ko) * 2018-01-22 2019-08-16 컴즈 주식회사 IoT 장치에 대한 신뢰성 검증 시스템
KR20190117460A (ko) 2019-10-08 2019-10-16 주식회사 마스터비디 사물 디바이스,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인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00133305A (ko) 2020-06-08 2020-11-27 주식회사 마스터비디 사물 디바이스,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인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00068640A (ko) 2020-06-08 2020-06-15 주식회사 마스터비디 사물 디바이스,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인증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67A (ko) 2014-01-22
US9967343B2 (en) 2018-05-08
EP2874068B1 (en) 2017-11-29
EP2874068A4 (en) 2016-01-13
EP2874068A1 (en) 2015-05-20
WO2014010784A1 (ko) 2014-01-16
US20150201022A1 (en)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868B1 (ko)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KR101558236B1 (ko) IoT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KR101397471B1 (ko)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JP6811263B2 (ja) M2m−iotサービスのパブリケーションおよび発見
Kim et al. OpenIoT: An open service framework for the Internet of Things
CN105683845B (zh) 用于装置检测和app配置的系统和方法
CN106538042B (zh) 订户标识模块管理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TWI497311B (zh) 跨裝置通訊傳輸系統及其方法
CN108141468B (zh) 增强的restful操作
US9232340B2 (en) Application store system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ethod using the application store system
KR20080031810A (ko) 협업 컴퓨팅 세션을 중재하기 위한 환경적 서비스 브로커
KR20120089000A (ko)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자동 인스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471465A (zh) 服务启用器功能
KR20120047683A (ko) 기기간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37430B1 (ko)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349773B1 (ko)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395074B1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에 설치된 플랫폼 기반 애플리케이션 간 정보 공유 방법
KR101445121B1 (ko) M2m 서비스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통신 방법
KR20100050195A (ko) Rf id 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기기의 p2p 서비스 이용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Zhang et al. Lightweight SOA-based twin-engine architecture for enterprise systems in fixed and mobile environments
JP5280402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ダウンロード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D'Souza et al. A bluetooth 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for multimedia guidebook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