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9527B1 -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527B1
KR101099527B1 KR1020090129081A KR20090129081A KR101099527B1 KR 101099527 B1 KR101099527 B1 KR 101099527B1 KR 1020090129081 A KR1020090129081 A KR 1020090129081A KR 20090129081 A KR20090129081 A KR 20090129081A KR 101099527 B1 KR101099527 B1 KR 101099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tegrated
network
unit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2234A (ko
Inventor
강경호
박종국
허관
유홍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5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5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7Integrating service provisioning from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는, 다중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다중 정보를 수용하는 통합 네트워크와, 통합 네트워크에서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연동시켜 서비스하는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와, 통합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다중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사물과 기기에 통합된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부여하고, 다양한 방송통신융합 네트워크와 다양한 사물 및 기기들이 복합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기상, 교통, 홍보 등의 다중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 및 제공할 수 있다.
로봇 제어, 사물 통신, 플랫폼

Description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APPARATUS FOR SERVING MULTIPLE INFORMATION BY USING INTEGR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및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센서 및 장치에서 수집되어 제공되는 다중 서비스들, 예를 들면 환경센서, 기상센서, 교통정보 수집 카메라, 홍보용 셋탑으로부터 환경 정보, 기상 정보, 교통 정보, 홍보 정보 등이 서비스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의 정보들은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 유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수집 및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를 통해 다중 정보들이 수집 및 제공되기 때문에, 정보의 공동 활용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정보 제공 면에서도 특정 장비를 구입한 사용자나 네트워크 사업자에 가입한 사용자에 한해서만 국한된다는 제한이 있다.
또한, 다중 정보를 수집함에 있어 모든 기기를 통신망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지역 및 설치 환경에 따른 제약 요소가 많고, 네트워크 구성 비용이 과다하게 되며, 기존 통신망의 경우 사물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기반의 중/저 대역 데이터를 취급하기에는 망 사용 효율 측면에서 실용적이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중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사물과 기기에 통합된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부여하고, 다양한 방송통신융합 네트워크와 다양한 사물 및 기기들이 복합적으로 연동시킴으로써, 정보의 공동 활용 효율을 높이고, 사물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기반의 중/저 대역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에 따르면, 다중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다중 정보를 수용하는 통합 네트워크와, 상기 통합 네트워크에서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연동시켜 서비스하는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와, 상기 통합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다중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는, 상기 통합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중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다중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사물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기반의 다중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통신 기반의 다중 정보는, 센싱 정보, 상태 정보, 연동 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는, 통합된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네트워크는,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정보 수집부와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 그리고 상기 단말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다중 정보를 통합 상기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 또는 상기 단말로 전달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네트워크는, 와이브로(WiBro), UWB(Ultra Wide Band), 무선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다중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는, 상기 통합 네트워크에서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 사물통신 환경 및 다수의 서비스 서버를 상호 연동시키는 연동 서버와, 서비스 계층(service layer)과, 오퍼레이팅 계층(operating layer)과,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과, 프로토콜 계층(protocol layer)과,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서비스 서버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 서버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 사물통신 환경 및 다수의 서비스 서버를 연동시키는 연동부와, 상기 다수의 서비스 서버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다수의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웹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통합 네트워크에서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과 상호 연동시키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다중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처리 수단과, 상기 다중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중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사물과 기기에 통합된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부여하고, 다양한 방송통신융합 네트워크와 다양한 사물 및 기기들이 복합적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기상, 교통, 홍보 등의 다중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 및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에 포함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이 속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블록의 기능을 동시에 처리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300)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연동 서버 그룹(302)에서 임의의 연동 서버, 예컨대 연동 서버1(302/1)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를 예시한 것으로서, 정보 수집부 그룹(100), 통합 네트워크(200),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300), 단말 그룹(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정보 수집부 그룹(100)은 다수의 정보 수집부들(100/1~100/N)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물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기반의 다중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수집부 그룹(100)의 임의의 정보 수집부, 예컨대 정보 수집부1(100/1)은, 예를 들어 센서, 카메라, 셋탑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물통신 기반의 다중 정보들, 예를 들어 센싱 정보, 상태 정보, 연동 정보 등을 수집하여 후술하는 통합 네트워크(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집부1(100/1)은 차량 등을 통해 이동하면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으며, 통합된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부여될 수 있을 것이다.
통합 네트워크(2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정보 수집부 그룹(100)과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300), 그리고 단말 그룹(400)을 상호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정보 수집부 그룹(100)으로부터 수집된 다중 정보를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300) 또는 단말 그룹(400)으로 전달하거나, 단말 그룹(4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네트워크(200)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단말 그룹(400)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의 다른 단말 그룹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는 단말 그룹(40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 오버 및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노드 B(Node B),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무선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 및 향후 구현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일 예의 구성을 갖는 기지국은 신호 채널 중 트래픽 채널을 통해 단말 그룹(100)로부터 호 시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호 시도 메시지를 기지 국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단말 그룹(10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을 제어하며, 단말 그룹(10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단말 그룹(100) 및 기지국의 송신 출력 제어, 셀(cell)간 소프트 핸드 오버(soft hand-over) 및 하드 핸드 오버(hard hand-over)의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록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내의 교환기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원격 단말 그룹의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교환기는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무선 네트워크는, 와이브로(WiBro), UWB(Ultra Wide Band), 무선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통합 네트워크(200)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방식의 유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인터넷(Internet)으로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텔넷(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정보 수집부 그룹(100) 또는 단말 그룹(400)이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300)에 유선 접속할 수 있게 하거나, 단말 그룹(400)이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300)에 유선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300)는 통합 네트워크(200)에서 수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 사물통신 환경 등을 연동시켜 서비스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합 네트워크(200)를 통해 정보 수집부 그룹(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 예를 들어 센싱 정보, 상태 정보, 연동 정보 등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단말 그룹(400)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300)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300)는, 연동 서버 그룹(302) 및 통합 플랫폼(3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연동 서버 그룹(302)은, 다수의 연동 서버들(302/1~302/N)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합 네트워크(200)에서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 사물통신 환경, 그 외 다수의 서비스 서버(도시 생략됨) 등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통합 플랫폼(304)은 서비스 계층(service layer), 오퍼레이팅 계층(operating layer),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프로토콜 계층(protocol layer),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서버들을 통합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연동 서버 그룹(302)에서 임의의 연동 서버, 예컨대 연동 서버1(302/1)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동 서버1(302/1)은,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 사물통신 환경, 그 외 다수의 서비스 서버 등을 연동시킬 수 있는 연동부(30), 다수의 서비스 서버들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32), 다수의 서버들 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4), 웹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단말 그룹(400)은 유선통신 단말기 그룹, 예를 들면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의 클라이언트 그룹을 지칭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셀룰러 폰, 영상전화 폰, 스마트 폰 등의 이동 클라이언트 그룹을 지칭하는 것으로, 통합 네트워크(200)와 유/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유/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클라이언트로서의 단말 그룹(400)은,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뿐만 아니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세대, 또는 그 이상의 이동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그룹(400)에서 임의의 단말, 예컨대 단말1(400/1)은, 통합 네트워크(200)에서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과 상호 연동시키는 인터페이스 수단, 정보 수집부 그룹(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중 정보, 예를 들어 센싱 정보, 상태 정보, 연동 정보 등을 처리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처리 수단, 다중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서는, 다중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사물과 기기에 통합된 IP 주소를 부여하고, 다양한 방송통신융합 네트워크와 다양한 사물 및 기기들이 복합적으로 연동시킴으로써, 정보의 공동 활용 효율을 높이고, 사물통신 기반의 중/저 대역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앞서 언급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증하는 것이며, 이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많은 다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청구항에서는, 괄호 안에 있는 어떤 참조 기호도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포함하는", "포함한다" 등의 표현은, 전체적으로 모든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열거된 것을 제외한 구성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 요소의 단수의 참조부는 그러한 구성 요소의 복수의 참조부를 배제하지 않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 지이다. 서로 다른 종속항에 확실한 수단이 기술되었다고 하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수단의 조합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300)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연동 서버 그룹(302)에서 임의의 연동 서버, 예컨대 연동 서버1(302/1)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보 수집부 그룹
200 : 통합 네트워크
300 :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
400 : 단말 그룹
30 : 연동부
32 : 통신부
34 : 데이터 저장부
36 : 웹 서버

Claims (8)

  1. 다중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되는 다중 정보를 수용하는 통합 네트워크와,
    상기 통합 네트워크에서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연동시켜 서비스하는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와,
    상기 통합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다중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는,
    상기 통합 네트워크에서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 사물통신 환경 및 다수의 서비스 서버를 상호 연동시키는 연동 서버와,
    서비스 계층(service layer)과, 오퍼레이팅 계층(operating layer)과,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과, 프로토콜 계층(protocol layer)과,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서비스 서버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 서버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 사물통신 환경 및 다수의 서비스 서버를 연동시키는 연동부와,
    상기 다수의 서비스 서버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다수의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웹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는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플랫폼 서비스부는, 상기 통합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보 수집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중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다중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사물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기반의 다중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통신 기반의 다중 정보는, 센싱 정보, 상태 정보, 연동 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통합된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다중 정보를 수집 및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090129081A 2009-12-22 2009-12-22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99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81A KR101099527B1 (ko) 2009-12-22 2009-12-22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81A KR101099527B1 (ko) 2009-12-22 2009-12-22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234A KR20110072234A (ko) 2011-06-29
KR101099527B1 true KR101099527B1 (ko) 2011-12-28

Family

ID=4440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0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9527B1 (ko) 2009-12-22 2009-12-22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456B1 (ko) * 2011-12-07 2014-02-19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M2m 클라우드 환경에서 통신망 자원 활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92868B1 (ko) * 2012-07-11 2014-05-09 전자부품연구원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KR101397471B1 (ko) * 2012-10-16 2014-05-20 전자부품연구원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234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9890B2 (en) Open wireless architecture (OWA) mobile cloud infrastructure and method
Wang et al. A survey on mobile edge networks: Convergence of computing, caching and communications
US9084281B2 (en) Open wireless architecture (OWA) mobile cloud infrastructure and method
Fallgren et al. Fifth-generation technologies for the connected car: Capable systems for vehicle-to-anything communications
Sood et al. Digital society from 1G to 5G: a comparative study
Sharma Evolution of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1G to 5G as well as future prospective of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US10244500B2 (en) Open wireless architecture (OWA) mobile cloud infrastructure and method
Tselios et al. On QoE-awareness through virtualized probes in 5G networks
US20110103293A1 (en) Internet based partition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739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a relay in a wide area communication network
Sanchez-Iborra et al. Evolving IoT networks by the confluence of MEC and LP-WAN paradigms
US10200909B2 (en) Open wireless architecture (OWA) mobile cloud infrastructure and method
Mahmod 5G wireless technologies-future gener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KR101099527B1 (ko) 통합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중 정보 서비스 장치
Cianci et al. Content centric services in smart cities
Bellavista et al. Integrated support for handoff management and context awareness i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KR101130645B1 (ko) 로봇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003943B2 (en) Classified relation networking optimization platform in open wireless architecture (OWA) mobile cloud terminal device
Vierimaa Cost modeling of cloud-based radio access network
Velrajan An introduction to 5G wireless networks: technology, concepts and use-cases
De Silva et al. Collaborative cellular tail energy reduction: Feasibility and fairness
Kapustynska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Literature Review and Current Limitations
US12323304B2 (en) Method to update 5G VN group topology update to AF for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Yates et al. Mobilityfirst, lte and the evolution of mobile networks
von Hugo et al. Distributed network infrastructure for community services in the framework of 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S17-X000 Non-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7-lic-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12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