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2719B1 - 접촉여재 설치 장치 및 접촉포기조 - Google Patents

접촉여재 설치 장치 및 접촉포기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719B1
KR101392719B1 KR20100039445A KR20100039445A KR101392719B1 KR 101392719 B1 KR101392719 B1 KR 101392719B1 KR 20100039445 A KR20100039445 A KR 20100039445A KR 20100039445 A KR20100039445 A KR 20100039445A KR 101392719 B1 KR101392719 B1 KR 101392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eration tank
pipe
frame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0003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985A (ko
Inventor
김연길
곽기원
김명관
우광재
김완중
전재훈
이찬기
Original Assignee
대웅이엔에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이엔에스 (주) filed Critical 대웅이엔에스 (주)
Priority to KR2010003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71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71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13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anaerobic contac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접촉여재에 다량의 슬러지가 부착되어 혐기화에 의한 악취 및 처리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개선된 접촉여재 설치장치 및 접촉포기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포기조는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여재 설치 장치,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탈리 배관, 그리고 탈리 배관상에 설치되며 소정 압력의 수류를 접촉여재에 인가하기 위한 산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촉여재 설치 장치 및 접촉포기조{Apparatus for setting porous filtering media and aeration tank}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 시스템의 접촉포기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촉여재에 다량의 슬러지가 부착되어 혐기화에 의한 악취 및 처리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개선된 접촉여재 설치장치 및 접촉포기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생활용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등의 하폐수를 처리하는 시스템은 크게 물리적 처리 시스템, 화학적 처리 시스템 그리고 생물학적 처리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물리적 처리 시스템은 물리적 작용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스크린조, 침사지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며, 화학적 처리 시스템은 화학적인 반응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중화조, 산화/환원 반응조, 응집조, 흡착탑 등을 이용하여 처리한다.
생물학적 처리 시스템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 및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활성오니조, 활성슬러지조 등의 반응시설을 이용한다.
생물학적 처리 방법으로는 활성오니법과 접촉산화법이 있다. 접촉산화법은 접촉포기조 내에 미생물이 부착/성장할 수 있는 접촉여재(porous filtering media, 담체라고도 함)를 넣어 포기하는 방법으로서, 슬러지 발생이 적고 설비가 간단한 잇점을 갖고 있어서 최근에 각광받고 있다. 접촉산화법은 다시 접촉포기조 내에서 유동 및 부유하는 유동형 접촉여재를 사용하는 것과 소정의 배열을 가지고 고정된 고정형 접촉여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정형 접촉 여제를 사용하는 접촉포기조(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접촉포기조(100)는 접촉여재(14) 표면에 부착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입수(하수 및 오,폐수) 내의 유기물을 산화/분해를 통해 제거하고, 암모니아성 질소의 질산화 등을 수행한다. 접촉여재(14)는 접촉여재 설치 장치(12)에 의해 고정된다. 접촉여재 설치 장치(12)의 하부에는 유기물의 산화/분해 및 암모니아성 질소의 질산화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관(16) 및 산소공급배관(18)이 설치된다. 접촉여제 설치 장치(12)는 지지대(20)에 의해 접촉포기조(100)의 벽면 및 바닥에 고정된다.
산기관(16)은 접촉포기조(100)의 바닥에 설치되며, 접촉포기조(100) 내에 저류되는 오폐수에 미세 기포를 공급한다. 산기관(16)은 접촉포기조(100)의 바닥 전체에 미세 기포를 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장방형의 금속판(16a)과 이 금속판(16a)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공기 구멍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멤브레인(16b)을 구비한다. 이 멤브레인(16b)의 하부를 통하여 금속판(16a)과 멤브레인(16b)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면, 멤브레인(16b)이 팽창하고 공기의 유입이 중단되면 팽창된 멤브레인(16b)이 수축한다. 이러한 공기의 유입/차단에 따라 멤브레인(16b)이 팽창/수축하고, 이러한 팽창/수축 동작에 의해 멤브레인(16b) 상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직경이 약 1mm~3mm정도인 미세 기포들이 발생된다.
한편, 접촉포기조(100) 내에서 미생물과 기질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입수를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교반기(미도시)가 설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접촉여재 설치장치(12)는 접촉 포기조(100)의 서로 대향하는 내벽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들(22a, 22b), 서로 대향하는 상부 프레임들(22a) 사이 및 서로 대향하는 하부 프레임들(22b)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상부 가대 및 하부가대(24a, 24b) 그리고 상부 가대 및 하부 가대(24a, 24b)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접촉여재 연결고리(26)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여재(14)는 접촉여재 연결고리(26)를 이용하여 지그재그 모양으로 연결된다.
상부 및 하부 가대(24a, 24b)는 하나의 가대쌍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가대쌍들이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a, 22b)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으로 배열된다.
접촉포기조(100) 내부에서는 포기 및 교반에 의해 일정 방향의 수류가 형성된다.
접촉여재 설치 장치(12)는 접촉포기조(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류에 대해 접촉여재(14)가 접촉여재 연결고리(26)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며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미생물의 원활한 활동을 위하여 접촉여재 설치장치(12)에 의해 설치된 접촉여재(14)에는 슬러지가 부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접촉여재(14)에는 슬러지가 부착하게 되고 점점 더 커지게 된다. 이러한 슬러지가 원활하게 탈리되지 않으면, 결국에는 접촉여재(14)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여재 설치 장치(12)에 있어서, 접촉포기조(100) 내에서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가대(24a, 24b)가 수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휨 현상에 의해 인접한 다수의 접촉여재(14)들이 좁은 간격을 두고 적층된 것과 같이 보이는 적층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적층 현상이 발생하면 접촉여재(14)에 부착된 슬러지의 원할한 탈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접촉포기조(10)의 수처리 능력이 저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촉여재(14)에 부착된 슬러지의 탈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혐기화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접촉포기조 내에 설치되는 고정형 접촉여재에 슬러지가 부착되어 혐기화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고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리 수단을 구비하는 접촉 여재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촉포기조 내에 설치되는 고정형 접촉여재에 슬러지가 부착되어 혐기화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고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탈리 수단을 구비하는 접촉포기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여재 설치 장치는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여재 설치 장치에 있어서, 접촉여재를 상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대들, 가대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 프레임 및 표면에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중공의 관 형상을 가지며 수평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격자 구조의 프레임, 가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접촉여재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여재 연결고리들, 수직 프레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을 포함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포기조는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여재 설치 장치, 접촉여재 설치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접촉여재 설치장치에 고정된 접촉여재에 소정 압력의 수류를 인가하기 위한 탈리 배관; 및 탈리 배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탈리 배관은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기관은 수직 프레임측으로 개방되는 제1직경의 제1개구부 및 접촉여재측으로 개방되며 제1개구부의 그것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제2개구부를 가지는 디스크형 산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여재 설치 장치는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가대를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에 복수의 통공들을 형성하고, 이 통공들을 통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수류를 발생시키고 이 수류를 접촉여재에 인가함으로서 접촉여재에 슬러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포기조는 접촉여재 설치장치에 인접시켜 탈리 배관을 구비하고, 탈리 배관을 통하여 발생되는 수류를 접촉여재 설치장치에 고정된 접촉여재에 인가함으로써 접촉여재에 슬러지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접촉포기조에 설치된 접촉여재에 슬러지가 부착하여 악취가 발생하거나 수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고정형 접촉 여제를 사용하는 접촉포기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여재 설치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촉여재 고정 장치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포기조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접촉여재 부착 미생물 농도 및 부유 미생물 농도를 보이는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유입수 및 방류수의 성상을 보이는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8은 종래의 방식에 의한 접촉여재 부착 미생물 농도 및 부유 미생물 농도를 보이는 그래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9은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유입수 및 방류수의 성상을 보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여재 설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촉포기조 내에 설치되는 접촉여재 설치 장치(102)가 도시된다. 접촉여재(104)는 접촉여재 설치 장치(102)에 의해 고정된다.
접촉여재 설치장치(102)는 상하로 설치되는 가대들(204a, 204b)과 이들을 지지하기 위한 격자 모양의 프레임을 가진다. 프레임(202)은 가대들(204a, 204b)을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202a), 수직 프레임(202b) 그리고 지지프레임(202c)을 구비한다. 이러한 격자 모양의 프레임(202)에 의해 가대(204)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수직프레임(202b)은 복수의 통공(216)들을 가지는 중공관의 형태를 가진다.
접촉 포기조의 서로 대향하는 내벽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들(202a, 202b), 서로 대향하는 상부 프레임들(202a)사이 및 서로 대향하는 하부 프레임들(202b)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상부 가대 및 하부가대(204a, 204b) 그리고 상부 가대 및 하부 가대(204a, 204b)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접촉여재 연결고리(206)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여재(104)는 상부 가대 및 하부 가대(204a, 204b)에 설치된 접촉여재 연결고리(206)를 통하여 지그재그 모양으로 연결된다.
상부 및 하부 가대(204a, 204b)는 하나의 가대쌍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가대쌍들이 상부 및 하부의 수평 프레임들(202a)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으로 배열된다. 가대쌍들은 프레임(20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유기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교반기에 의해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가대가 휘는 현상 및 그에 따른 적층 현상이 방지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촉여재 고정 장치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에서 x방향은 수평 방향을 그리고 y방향은 수직 방향을 나타낸다.
상부 프레임(202a) 및 하부 프레임(202b)에 각각 상부 가대(204a) 및 하부 가대(204b)가 걸쳐지게 되며, 상부 가대(204a)와 하부 가대(204b) 사이에 지그재그로 접촉여재(104)가 설치된다.
수직 프레임(202b)에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210)이 연결된다.
공기공급관(210)에 의해 공급된 공기는 수직 프레임(202b)의 표면에 설치된 통공을 통하여 분출되어 소정 압력의 수류가 발생한다. 이 수류는 접촉여재(104)에 인가되고, 이 수류의 압력에 의해 접촉여재(104)에 부착되는 슬러지가 탈리된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수직 프레임(202b)의 표면에 설치된 통공을 통하여 비교적 큰 직경의 기포를 발생시켜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발생되는 기포의 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산기관(16)에서 발생시키는 미세기포보다 크며, 접촉여재(104)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킬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202b)에 슬러지의 탈리를 위한 통공을 설치하는 것이 설명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직 프레임과 더불어 수평 프레임이나 지지프레임에 통공을 설치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서 수직 프레임의 좌우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직프레임의 전후좌우로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포기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촉여재 설치 장치(12)가 접촉포기조(300) 내에 설치된다. 접촉여재(14)는 접촉여재 설치 장치(12)에 의해 고정된다.
산기관(16)은 접촉포기조(300)의 바닥에 설치되며, 접촉포기조(300) 내에 저류되는 오폐수에 미세 기포를 공급한다. 산기관(16)은 접촉포기조(100)의 바닥 전체에 미세 기포를 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장방형의 금속판(16a)과 이 금속판(16a)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공기 구멍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멤브레인(16b)을 구비한다.
탈리 배관(302)는 접촉여재(104)에 인접되게 바람직하게는 접촉여재 설치장치(12)의 하부에 설치된다. 즉, 탈리 배관(302)은 상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디스크형 산기관(304)이 설치된다.
또한, 탈리 배관(302)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디스크형 산기관(304)이 설치된다. 여기서, 접촉여재 설치 장치(102)는 지지대(20)에 의해 접촉포기조(300)의 내벽 및 바닥에 고정된다.
산기관(304)은 탈리 배관(302)측으로 개방되는 제1직경의 제1개구부 및 접촉여재(14)측으로 개방되며 제1개구부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제2개구부를 가지는 디스크형 산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여재(14)의 하부에 분산배치되는 산기관(106)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미생물과 기질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유기물의 산화/분해 및 암모니아성 질소의 질산화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촉포기조(300) 내에서 미생물과 기질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입수를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교반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산기관(304)을 통하여 취출되는 공기에 의해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수류가 발생하며, 이 수류에 의해 산기관(304)에 인접한 접촉여재(14)에 붙은 슬러지를 탈리하게 된다. 즉, 산기관(304)을 통하여 취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된 수류에 의해 접촉여재(14)에 슬러지가 부착되는 것이 방해되거나 부착된 슬러지가 탈리되게 되어 혐기화에 의한 악취 및 수처리 효율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산기관(304)을 통하여 비교적 큰 직경의 기포를 발생시켜 접촉여재(14)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발생되는 기포의 크기는 접촉여재(14)에 부착된 슬러지를 탈리시킬 정도로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공급관(310)에 공급되는 공기는 산소공급배관(18)에 공급되는 것보다는 높은 공기압을 가져야 하므로 공기공급관(310)을 위한 별도의 공기 공급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접촉포기조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일일처리용량 1㎥ 규모의 모형시설에, T시의 하폐수 처리시설 실제 유입수를 이용하여 전형적인 활성슬러지 공법을 이용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식 즉,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프레임에 통공을 형성하는 방식과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하부에 탈리 배관을 설치하는 방식을 병행시킨 방식으로 각각 접촉포기조 용적의 50 % 수준으로 충진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은 각각의 방식에 의해 설치된 접촉여재에 부착된 고정 미생물의 농도(Bio Mass), 접촉포기조에 부유하는 미생물의 농도(MLSS), 접촉포기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부유물질(SS), 총질소(T-N), 총인(T-P) 으로 약 6개월간 6회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6회의 걸쳐 본 발명의 방식으로 접촉여재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미생물(Bio mass)농도와 부유미생물(MLSS)농도를 아래 표 1과 도 6에 각각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접촉여재 부착미생물 농도 및 부유 미생물 농도
항목
생체량
(mg/L)
MLSS
(mb/L)
1 12.500 3.315
2 12.393 3.287
3 12.371 3.217
4 12.395 3.294
5 12.434 3.308
6 12.692 3.377
평균 12.464 3.300
최소 12.371 3.217
최대 12.692 3.377
미생물 농도를 분석한 결과 최저 12,371 ㎎/ℓ 이며, 최대 12,692 ㎎/ℓ로 평균 12,464 ㎎/ℓ를 보여 6개월 연속 운전에도 부착미생물의 농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초기 접촉여재에 미생물의 부착 후에도 안정적으로 접촉여재의 원래 기능을 충실히 함을 나타낸다.
아래 표 2와 도 7은 전형적인 활성슬러지 공정에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하여 접촉여재를 설치한 후 실제 하폐수의 유입수와 방류수, 처리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의 경우 평균 7.5 ㎎/ℓ로 방류되어 97.4 %의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으며, 부유물질(SS)의 경우에도 95.9 %의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형적인 활성슬러지공정에서 질소와 인의 처리효율이 20 ~ 30 % 인것에 비해 본 기술의 적용에 의해서는 총질소(T-N)와 총인(T-P)이 각각 52.7 %와 48.4 %의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어, 접촉여재의 안정적인 설치로 접촉여재에 부착된 미생물들이 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한 결과로 해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유입수 및 방류수 성상
항목 유입수 방류수 처리효율
BOD 286.5 7.5 97.4
SS 211.9 8.7 95.9
T-N 45.7 21.6 52.7
T-P 3.1 1.6 48.4
그리고 비교예로서 기존의 방식으로 운전한 결과를 아래 표 3 및 4 그리고 도 8 및 9에 각각 나타내었다..
아래 표 3과 도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방식을 적용하였을 때, 접촉여재 부착미생물 농도는 최저 9,537 ㎎/ℓ 이며, 최대 15,211 ㎎/ℓ로 평균 11,756 ㎎/ℓ를 보여 6개월 연속 운전을 하는 동안 5,674 ㎎/ℓ의 농도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접촉포기조가 운영되는 동안 접촉여재 사이의 적층현상과 부패로 인한 탈리 등이 원인이라 할 수 있겠다.
종래 방식에 의한 접촉여재 부착미생물 농도 및 부유 미생물 농도
항목
생체량
(mg/L)
MLSS
(mb/L)
1 10,235 2,988
2 10,147 3,323
3 15,121 4,061
4 14,615 3,656
5 9,537 3,008
6 10,881 3,111
평균 11,756 3,358
최소 9,537 2,988
최대 15,121 4,061
아래 표 4와 도 9에서는 전형적인 활성슬러지 공정에 종래의 방식에 의하여 접촉여재를 설치한 후 실제 하폐수의 유입수와 방류수, 처리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의 경우 평균 27.5 ㎎/ℓ로 방류되어 90.4 %의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으며, 부유물질(SS)의 경우에도 85.9 %의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다. 총질소(T-N)와 총인(T-P)의 경우 각각 24.3 %와 22.6 %의 처리효율을 보이고 있어, 이는 전형적인 활성슬러지공정의 운전으로도 제거가 가능한 수준이며, 접촉여재의 불안정적인 설치로 인하여 접촉여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종래 방식에 의한 유입수 및 방류수 성상
항목 유입수 방류수 처리효율
BOD 286,5 27,5 90,4
SS 211,9 29,8 89,9
T-N 45,7 34,6 24,3
T-P 3,1 2,4 22,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정적인 접촉여재 설치방식과 원활한 공기공급 및 탈리를 위한 탈리배관의 설치로 접촉여재의 혐기화에 의한 악취 발생 및 접촉여재간 적층현상 방지, 접촉여재 부착미생물의 안정적인 농도 유지 등으로 접촉포기조에서 접촉여재의 충실한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여 하폐수 처리 효율의 극대화뿐만 아니라 최적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삭제
  2.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여재 설치 장치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접촉여재를 상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해 상하측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대들을 가지며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대쌍들;
    상기 가대쌍들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평 프레임 및 표면에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중공의 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수평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격자 구조의 프레임;
    상기 가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접촉여재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여재 연결고리들;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프레임의 표면에 설치된 통공을 통하여 공기를 분출시켜 상기 접촉여재에 부착되는 슬러지를 탈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여재 설치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접촉여재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여재 설치 장치;
    상기 접촉여재 설치 장치의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접촉여재 설치장치에 고정된 상기 접촉여재에 소정 압력의 수류를 인가하기 위한 탈리 배관;
    상기 탈리 배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관; 및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탈리 배관에 설치되는 복수의 산기관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산기관은 상기 탈리 배관측으로 개방되는 제1직경의 제1개구부 및 상기 접촉여재측으로 개방되며 제1개구부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제2개구부를 가지는 디스크형 산기관이고,
    상기 접촉여재 설치 장치는
    각각이 접촉포기조 내부에 상하측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대들을 가지며, 상기 접촉포기조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대쌍들;
    상기 가대쌍들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들을 구비하는 격자 구조의 프레임; 및
    상기 가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여재 연결고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포기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복수의 통공들을 가지는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공급관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수직 프레임의 표면에 설치된 통공을 통하여 분출시켜 소정 압력의 수류를 얻고, 이 수류를 상기 접촉여재에 인가하여 상기 접촉여재에 부착되는 슬러지를 탈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포기조.
KR20100039445A 2010-04-28 2010-04-28 접촉여재 설치 장치 및 접촉포기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392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9445A KR101392719B1 (ko) 2010-04-28 2010-04-28 접촉여재 설치 장치 및 접촉포기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9445A KR101392719B1 (ko) 2010-04-28 2010-04-28 접촉여재 설치 장치 및 접촉포기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85A KR20110119985A (ko) 2011-11-03
KR101392719B1 true KR101392719B1 (ko) 2014-05-28

Family

ID=4539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94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92719B1 (ko) 2010-04-28 2010-04-28 접촉여재 설치 장치 및 접촉포기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394B1 (ko) * 2012-05-18 2013-12-06 다정영농조합법인 액상 폐기물 처리장치
KR102708865B1 (ko) * 2023-10-24 2024-09-24 리뉴어스 주식회사 담체를 이용한 다단유입식 영양염류 제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363Y1 (ko) * 2001-09-26 2001-12-29 김원중 생물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0375330B1 (en) * 2002-04-16 2003-03-15 Hang Ku Kang Aerator capable of maximizing oxygen adsorption rate of water to be treated and sewage/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the same aerator and fixed bed
KR200393728Y1 (ko) * 2005-06-13 2005-08-30 송성환 접촉여재용 고정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363Y1 (ko) * 2001-09-26 2001-12-29 김원중 생물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0375330B1 (en) * 2002-04-16 2003-03-15 Hang Ku Kang Aerator capable of maximizing oxygen adsorption rate of water to be treated and sewage/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 the same aerator and fixed bed
KR200393728Y1 (ko) * 2005-06-13 2005-08-30 송성환 접촉여재용 고정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85A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769B2 (e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US6423229B1 (en) Bioreactor systems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JP2009028720A (ja) 曝気レス水処理装置
CN108455799A (zh) 污水处理系统以及方法
WO2016161151A1 (en) Enhanced membrane bioreactor process for treatment of wastewater
KR101927520B1 (ko) Mcsbr 공법을 적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
JP2012005971A (ja) 有機性廃水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CN208218617U (zh) 污水处理系统
KR101392719B1 (ko) 접촉여재 설치 장치 및 접촉포기조
KR100937482B1 (ko) 중공복합담체를 이용한 하수고도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8246483A (ja) 生物学的排水処理装置
JP4821809B2 (ja) 微生物担持体の製造方法並びに生物脱窒装置
CN211595374U (zh) 一种悬浮生物膜与深度过滤联用的污水处理设备
KR101268064B1 (ko) 개량형 중공복합담체를 이용한 하수고도 처리장치
JP2609192B2 (ja) 有機性汚水の生物学的脱リン硝化脱窒素処理方法
CN213112947U (zh) 一种ao生化-mbr一体化废水处理装置
KR20030097075A (ko) 생물막활성탄과 마이크로필터모듈을 이용한 오·폐수고도처리장치
CN201272715Y (zh) 一体化膜生物污水处理装置
JP2004223320A (ja) 曝気処理装置
CN216141336U (zh) 一种mbr生活污水处理装置
CN207330494U (zh) 一种曝气生物滤池
CN111908603A (zh) 一种新型厌氧生物滤池废水处理设备及其处理废水的方法
KR20150057501A (ko) 막 결합형 단일 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CN210764860U (zh) 污水处理用的ao生化池
KR100619254B1 (ko) 황 산화 독립영양세균을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제거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4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