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91029B1 - 연마 패드 - Google Patents

연마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029B1
KR101391029B1 KR1020127020590A KR20127020590A KR101391029B1 KR 101391029 B1 KR101391029 B1 KR 101391029B1 KR 1020127020590 A KR1020127020590 A KR 1020127020590A KR 20127020590 A KR20127020590 A KR 20127020590A KR 101391029 B1 KR101391029 B1 KR 10139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polishing pad
polished
conventional example
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739A (ko
Inventor
재홍 박
신이치 마츠무라
고우이치 요시다
요시타네 시게타
마사하루 기노시타
Original Assignee
니타 하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타 하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니타 하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0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0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11Lapping tools
    • B24B37/20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2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organic
    • B24D3/28Resins or natural or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피연마물의 평탄도를 높여 그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연마 패드를 제공한다. 연마 패드(1)의 연마면(1a)에 버프 가공 등의 기계적 가공을 실시하여 평탄성을 개선하고, 상기 연마면의 기복을 주기 5㎜∼200㎜이며 최대 진폭 40㎛ 이하로 하여, 이에 의해 그 연마 패드(1)를 사용하여 연마되는 실리콘 웨이퍼 등의 피연마물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연마 패드{POLISHING PAD}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 등의 제조 공정에서 실리콘 웨이퍼 등의 피연마물의 연마에 사용되는 연마 패드에 관한 것이다.
실리콘 웨이퍼 등의 반도체 웨이퍼의 평탄화 처리에는, 일반적으로 화학 기계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 CMP)법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CMP법에서는, 연마 패드를 정반에 유지하고, 실리콘 웨이퍼 등의 피연마물을 연마 헤드에 유지하고, 슬러리를 공급하면서, 연마 패드와 피연마물을 가압 접촉시킨 상태로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연마가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0-334655호 공보
반도체 디바이스의 고집적화에 따라 피연마물의 평탄화에 대한 요구가 점점 강해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연마 패드와 피연마물 사이에 슬러리가 균일하게 퍼지도록, 연마 패드의 표면에 홈을 형성하거나, 연마 패드 표면의 평균 표면 거칠기(Ra)를 개선하는 등이 행해지고 있지만 충분하지 않고, 특히 대형 웨이퍼의 연마에서는 그 전체에 걸쳐 높은 평탄도를 얻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일반적으로 연마 패드에서는 그 연마 패드를 연마 장치에 장착하여 연마 장치를 기동시키는 사용 초기 단계에서는, 다이아몬드 지립 디스크 등을 사용한 드레싱 처리에 의해 그 연마 패드의 표면을 거칠게 하여 날세우기 처리를 행함으로써 연마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소위 브레이크인(기동)을 필요로 한다. 반도체 웨이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브레이크인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것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연마물의 평탄도를 높여 그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또한 브레이크인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의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연마 패드 표면의 기복을 개선시키는 것이, 피연마물의 평탄도 향상에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여기서, 기복이란 주기가 20㎜∼200㎜이고, 진폭이 10㎛∼200㎛인 요철을 말한다.
본 발명의 연마 패드는 피연마물의 연마에 사용되는 연마 패드로서, 상기 피연마물에 가압 접촉되는 연마면을 가지며, 상기 연마면의 기복이 주기 5㎜∼200㎜, 최대 진폭 40㎛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연마물에 가압 접촉되는 연마면의 기복을 저감시키고 있기 때문에, 연마면의 기복이 피연마물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시켜 피연마물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연마 패드는 피연마물의 연마에 사용되는 연마 패드로서, 상기 피연마물에 가압 접촉되는 연마면을 가지며, 중성의 용액을 이용하여 측정한 상기 연마면의 제타 전위(zeta potential)가 -50mV 이상 0mV 미만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마 패드의 연마면의 마이너스 제타 전위를 -50 mV 이상0 mV 미만으로 하고, 종래예의 연마 패드의 연마면의 제타 전위에 비해 0에 가까운 값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슬러리의 마이너스의 연마 입자와의 반발이 억제되어 연마 패드의 연마면과 슬러리의 적합성이 양호해지므로, 브레이크인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연마면의 평균 표면 거칠기(Ra)를 1㎛ 이상 5㎛ 이하로 해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연마면을 갖는 연마층의 하층에 기초층을 갖는 구성으로 하여, 이 기초층에 의해 적절한 쿠션성을 부여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연마물에 가압 접촉되는 연마면의 기복을 저감시키고 있기 때문에, 피연마물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연마면의 마이너스의 제타 전위를, 종래예의 연마 패드의 연마면의 제타 전위에 비해 0에 가까운 값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슬러리의 마이너스 연마 입자와의 반발이 억제되어 연마 패드의 연마면과 슬러리의 적합성이 양호해져, 브레이크인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연마 패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예 1의 연마 패드와 실시예 1의 연마 패드의 연마면의 기복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연마한 실리콘 웨이퍼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예 1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연마한 실리콘 웨이퍼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과 종래예 1의 연마 횟수에 따른 연마 레이트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연마 패드를 사용한 연마에서의 연마 시간과 마찰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예 1의 연마 패드를 사용한 연마에서의 연마 시간과 마찰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2-1, 종래예 2 및 브레이크인 후의 종래예 2의 연마 패드를 사용한 연마 레이트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의 연마 패드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연마 패드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의 연마 패드(1)는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연마 패드는 발포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무발포 구조이어도 좋고, 또 부직포 패드 등이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실리콘 웨이퍼 등의 피연마물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피연마물에 가압 접촉되는 연마면(1a)의 전면을 버프 가공하여 연마면(1a)의 기복을 저감시키고 있다.
이 버프 가공에 의해, 연마면(1a)에서의 주기 5㎜∼200㎜의 기복의 최대 진폭을 40㎛ 이하로 저감시켰다. 이 최대 진폭은 가급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면의 기복을 저감시키기 위한 가공은 버프 가공으로 한정되지 않고, 밀링 가공이나 프레스 가공이어도 좋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이 실시예 및 종래예에서는, Nitta Haas Incorporated 제조의, 실리콘 연마에 적합한 비교적 큰 발포 직경의 발포 우레탄 패드인 MH 타입의 연마 패드를 사용했다.
도 2는 연마면에 #240의 샌드페이퍼를 사용한 버프 가공을 실시한 실시예 1의 연마 패드와, 버프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종래예 1의 연마 패드의 연마면의 기복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횡축은 연마 패드의 연마면상의 위치에 대응하며, 라인 L1은 실시예 1을, 라인 L2는 종래예 1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연마면의 기복의 측정은 Hitachi Zosen Corporation 제조의 측정기 HSS-1700을 사용하여 행했다.
연마면을 버프 가공하지 않은 종래예 1의 연마 패드에서는, 라인 L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격한 상승이 있고, 연마면의 기복이 많으며, 그 최대 진폭도 40㎛을 초과하는 데 비해, 실시예 1의 연마 패드에서는, 라인 L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이 완만하고, 연마면의 기복도 적으며, 그 최대 진폭도 40㎛ 이하로 저감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의 연마 패드와 종래예 1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300㎜의 실리콘 웨이퍼의 양면 연마를 다음 조건으로 행하여 실리콘 웨이퍼의 평탄성 및 연마 레이트를 평가했다.
상부 정반 회전수 20 rpm, 하부 정반 회전수 15 rpm, 가압력 100 g/㎠로 하고, 25℃의 실리카 슬러리를 사용하고, 슬러리 유량 2.5 L/min로 했다.
연마후의 실리콘 웨이퍼의 GBIR(Global Back Ideal Range), SFQR(Site Front Least Squares Range), 롤오프(Roll off) 및 연마 레이트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는 5장의 실리콘 웨이퍼에 대해 행한 연마 시험의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종래예 1
GBIR 0.207 0.349
SFQR 0.100 0.152
롤 오프(Roll-off) 0.100 0.23
연마 레이트(Removal rate) 0.46 0.39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연마한 실리콘 웨이퍼는, 종래예 1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연마한 실리콘 웨이퍼에 비해 GBIR, SFQR로 표시되는 평탄성이 모두 개선되어 있고, 또한 롤오프 및 연마 레이트도 개선되어 있다.
또, 실시예 1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연마한 실리콘 웨이퍼의 형상 및 종래예 1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연마한 실리콘 웨이퍼의 형상을 각각 도 3 및 도 4에 나타낸다.
실리콘 웨이퍼의 측정에는, KURODA Precision Industries 제조의 레이저식 측정 장치인 NANOMETRO 200TT를 사용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예 1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연마한 실리콘 웨이퍼에서는 중앙 부분이 주변 부분에 비해 연마되어 있는 데 비해, 실시예 1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연마한 실리콘 웨이퍼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이 균일하게 연마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연마면의 기복을 저감시킨 실시예 1의 연마 패드에 의하면, 실리콘 웨이퍼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롤오프 및 연마 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 1의 연마 패드와 종래예 1의 연마 패드의 연마 횟수에 따른 연마 레이트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 1의 연마 패드에서는 초회부터 안정적으로 높은 연마 레이트를 나타내는 데 비해, 종래예 1의 연마 패드에서는 2회 이후부터 안정된 연마 레이트를 나타내었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연마 패드에서는, 종래예 1의 연마 패드에 비해 연마 레이트를 높여 안정화하기까지의 기동 시간, 소위 브레이크인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연마 레이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실시예 1의 연마 패드와 종래예 1의 연마 패드의 연마 시간에 대한 마찰력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정한 연마 레이트를 얻기 위해서는 마찰력이 일정해야 하는데, 실시예 1의 연마 패드에서는 일정한 마찰력이 얻어지기까지의 시간이 60초인 데 비해, 종래예 1의 연마 패드에서는 150초이므로, 실시예 1의 연마 패드에서는, 종래예 1의 연마 패드에 비해 연마 기동 시간이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는, 실시예 1 및 종래예 1의 연마 패드의 연마면의 평균 표면 거칠기(Ra)를, Lazertec Co., Ltd. 제조의 리얼타임 주사형 레이저 현미경 1LM21D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표 2에서는, 45㎛×45㎛의 영역에서 측정된 5점의 측정 결과 및 그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다.
평균 표면 거칠기(Ra)(㎛) 실시예 1 종래예 1
샘플 1 2.87 1.79
샘플 2 2.94 1.68
샘플 3 1.86 1.49
샘플 4 2.42 1.50
샘플 5 2.44 1.92
평균 2.51 1.68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마면에 버프 가공을 실시한 실시예 1은 종래예 1에 비해 연마면의 평균 표면 거칠기(Ra)가 커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마 레이트를 높여 안정화시키기까지의 브레이크인 시간을 종래예 1에 비해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전술한 실시예 1 및 종래예 1에서는 MH 타입의 연마 패드를 사용했지만, 이 실시예 및 종래예에서는, Nitta Haas Incorporated 제조의 비교적 작은 발포 직경의 발포 우레탄 패드인 IC 타입의 연마 패드를 사용했다.
이 실시예 2에서는, IC 타입의 연마 패드의 연마면에 #100의 샌드페이퍼를 사용한 버프 가공을 실시한 실시예 2-1과, 연마면에 #100보다 가는 #240의 샌드페이퍼를 사용한 버프 가공을 실시한 실시예 2-2를 제작하여, 버프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종래예 2와 비교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Hitachi Zosen Corporation 제조의 측정기 HSS-1700를 사용하여 행한 연마면의 기복 측정 결과에서는, 실시예 2-1, 실시예 2-2의 연마 패드에서는 종래예 2의 연마 패드에 비해 연마면의 기복이 적고 그 최대 진폭도 40㎛ 이하로 저감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실시예 2-1, 2-2 및 종래예 2의 연마 패드의 연마면의 평균 표면 거칠기(Ra)를, Lazertec Co., Ltd. 제조의 리얼타임 주사형 레이저 현미경 1LM21D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서는, 18㎛×18㎛의 영역에서 측정된 5점의 측정 결과 및 그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다.
평균 표면 거칠기(Ra)(㎛) 실시예 2-1 실시예 2-2 종래예 2
샘플 1 1.75 1.25 0.45
샘플 2 2.62 1.64 0.53
샘플 3 2.70 0.99 0.63
샘플 4 1.77 1.81 0.67
샘플 5 1.75 1.10 0.63
평균 2.12 1.36 0.58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마면에 버프 가공을 실시한 실시예 2-1, 2-2는, 종래예 2에 비해 연마면의 평균 표면 거칠기(Ra)가 커서, 연마 레이트를 높여 안정화시키기까지의 브레이크인 시간을 종래예 2에 비해 단축하는 기대할 수 있다.
연마면의 평균 표면 거칠기(Ra)는, 브레이크인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5 ㎛ 이다. 평균 표면 거칠기가 5 ㎛을 초과하면 스크래치 등이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실시예 2-1, 실시예 2-2 및 종래예 2의 연마 패드 및 브레이크인을 행한 후의 종래예 2의 연마 패드의 연마면의 제타 전위를, OTSUKA ELECTRONICS CO., LTD. 제조의 제타 전위ㆍ입경 측정 시스템 ELS-Z2를 사용하고, 레이저 도플러법(동적ㆍ전기 영동 광산란법)에 의해, 중성의 10 mM의 Nacl 용매를 사용하여 각각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제타 전위(mV) 실시예 2-1 실시예 2-2 종래예 2 브레이크인 후의 종래예 2
샘플 1 -9.16 -10.57 -130.75 -32.59
샘플 2 -10.32 -13.26 -127.37 -32.25
샘플 3 -8.05 -13.30 -141.36 -33.83
평균 -9.18 -12.38 -133.16 -32.89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1, 실시예 2-2의 연마 패드의 연마면의 제타 전위의 평균치는 -9.18 mV, -12.38 mV인 데 비해, 종래예 2의 연마 패드의 연마면의 제타 전위의 평균치는 -133.16 mV이므로, 종래예 2에 비해 0 mV에 가까운 값이 되었다.
이와 같이, 실시예 2-1, 실시예 2-2에서는, 연마면의 마이너스의 제타 전위가 종래예 2의 연마면의 제타 전위에 비해 0에 가까운 값으로 되었기 때문에, 슬러리의 마이너스의 연마 입자와의 반발이 억제되어 연마 패드의 연마면과 슬러리와의 적합성이 양호해지므로, 브레이크인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2-1, 실시예 2-2에서는, 종래예 2의 연마 패드를 브레이크인했을 때의 연마면의 제타 전위의 평균치인 -32.89 mV보다 0에 가까운 값이 되어, 실시예 2-1, 실시예 2-2에서는 종래예와 같은 브레이크인을 행할 필요가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브레이크인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연마 패드의 연마면의 제타 전위는 -50mV 이상 0mV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시예 2-1, 종래예 2 및 브레이크인 후의 종래예 2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8 inch의 TEOS 막이 부착된 실리콘 웨이퍼의 연마를 다음 조건으로 행하여, 연마 레이트를 평가했다.
상부 정반 회전수 60 rpm, 하부 정반 회전수 41 rpm, 가압력 48 kPa로 하고, Nitta Haas Incorporated 제조의 슬러리 ILD3225를 사용하고, 슬러리 유량 100 ㎖/min으로 하여 60초간 연마했다. 이 60초간의 연마를 30초간의 드레싱 처리를 사이에 끼워 반복하여 행했다.
도 8은 그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로 표시되는 실시예 2-1의 연마 패드는, ●로 표시되는 종래예 2의 연마 패드에 비해 연마 레이트가 높고, 빠르게 안정되어 있다. 또, 실시예 2-1의 연마 패드는, □로 표시되는 브레이크인 후의 종래예 2와 동일한 연마 레이트 및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실시예 2-1은 브레이크인을 행하지 않아도 브레이크인 후의 종래예 2와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실시예 2-1의 연마 패드에서는 종래예 2와 같은 브레이크인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2-1, 실시예 2-2 및 종래예 2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연마한 실리콘 웨이퍼의 평탄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했다. 그 결과, 브레이크인을 하지 않은 실시예 2-1, 실시예 2-2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연마한 실리콘 웨이퍼는, 브레이크인 후의 종래예 2의 연마 패드를 사용하여 연마한 실리콘 웨이퍼와 동등 이상의 평탄성을 나타내는 GBIR, SFQR의 값이 얻어졌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마 패드는 1층 구조였지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층에 예를 들어 우레탄을 함침한 부직포나 연질 폼으로 이루어진 기초층(2)을 형성한 다층 구조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실리콘 웨이퍼 등의 반도체 웨이퍼의 연마에 유용하다.
1 : 연마 패드
1a : 연마면

Claims (3)

  1. 피연마물의 연마에 사용되는 연마 패드로서,
    상기 피연마물에 가압 접촉되는 연마면을 가지며, 상기 연마면의 기복이, 주기가 5 ㎜∼200 ㎜이고, 최대 진폭이 4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면의 평균 표면 거칠기(Ra)가 1 ㎛ 이상 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면을 갖는 연마층의 하층에 기초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패드.
KR1020127020590A 2006-09-06 2007-08-31 연마 패드 Active KR101391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41265 2006-09-06
JP2006241265 2006-09-06
PCT/JP2007/066980 WO2008029725A1 (fr) 2006-09-06 2007-08-31 Tampon de polissa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079A Division KR101209420B1 (ko) 2006-09-06 2007-08-31 연마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739A KR20120103739A (ko) 2012-09-19
KR101391029B1 true KR101391029B1 (ko) 2014-04-30

Family

ID=391571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590A Active KR101391029B1 (ko) 2006-09-06 2007-08-31 연마 패드
KR1020097005079A Active KR101209420B1 (ko) 2006-09-06 2007-08-31 연마 패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079A Active KR101209420B1 (ko) 2006-09-06 2007-08-31 연마 패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37282B2 (ko)
JP (3) JP4326587B2 (ko)
KR (2) KR101391029B1 (ko)
DE (1) DE112007002066B4 (ko)
MY (1) MY150905A (ko)
TW (1) TW200817132A (ko)
WO (1) WO2008029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1497B2 (ja) 2012-02-15 2015-07-01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ウェーハの両面研磨方法
CN104969292B (zh) * 2013-02-08 2018-06-05 Hoya株式会社 磁盘用基板的制造方法及在磁盘用基板的制造中使用的研磨垫
JP6311446B2 (ja) * 2014-05-19 2018-04-18 株式会社Sumco シリコンウェーハの製造方法
US9259821B2 (en) 2014-06-25 2016-02-16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Cmp Holdings, Inc.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layer formulation with conditioning tolerance
US9873180B2 (en) 2014-10-17 2018-01-23 Applied Materials, Inc. CMP pad construction with composite material properties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US10875153B2 (en) 2014-10-17 2020-12-29 Applied Materials, Inc. Advanced polishing pad materials and formulations
US11745302B2 (en) 2014-10-17 2023-09-05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precursor formulations for forming advanced polishing pads by use of a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US9776361B2 (en) 2014-10-17 2017-10-03 Applied Materials, Inc. Polishing articles and integrated system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rticles
KR102630261B1 (ko) 2014-10-17 2024-01-29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애디티브 제조 프로세스들을 이용한 복합 재료 특성들을 갖는 cmp 패드 구성
JP6809779B2 (ja) * 2015-08-25 2021-01-06 株式会社フジミ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研磨パッド、研磨パッドのコンディショニング方法、パッドコンディショニング剤、それらの利用
WO2017074773A1 (en) 2015-10-30 2017-05-04 Applied Materials, Inc. An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 polishing article that has a desired zeta potential
US10593574B2 (en) 2015-11-06 2020-03-17 Applied Materials, Inc. Techniques for combining CMP process tracking data with 3D printed CMP consumables
US10391605B2 (en) 2016-01-19 2019-08-27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porous advanced polishing pads using a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EP3493244B1 (en) 2016-07-29 2023-11-01 Kuraray Co., Ltd. Polishing pad and polishing method using same
EP3542957B1 (en) * 2016-11-16 2021-04-28 Teijin Frontier Co., Ltd. Polishing p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623402A4 (en) 2017-05-12 2021-06-23 Kuraray Co., Ltd. CHAIN EXTENSION, POLYURETHANE AND ITS MODIFICATION PROCESS, POLISHING LAYER, POLISHING PAD AND POLISHING PROCESS
US11471999B2 (en) 2017-07-26 2022-10-18 Applied Materials, Inc. Integrated abrasive polishing pads and manufacturing methods
WO2019032286A1 (en) 2017-08-07 2019-02-14 Applied Materials, Inc. ABRASIVE DISTRIBUTION POLISHING PAD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7068445B2 (ja) 2018-05-11 2022-05-16 株式会社クラレ 研磨パッド及び研磨パッドの改質方法
KR20210042171A (ko) 2018-09-04 2021-04-1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진보한 폴리싱 패드들을 위한 제형들
JP7118841B2 (ja) * 2018-09-28 2022-08-16 富士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研磨パッド
KR102603370B1 (ko) 2018-11-09 2023-11-16 주식회사 쿠라레 연마층용 폴리우레탄, 연마층, 연마 패드 및 연마층의 개질 방법
US11851570B2 (en) 2019-04-12 2023-12-26 Applied Materials, Inc. Anionic polishing pads formed by printing processes
KR102674356B1 (ko) 2019-06-19 2024-06-11 주식회사 쿠라레 연마 패드, 연마 패드의 제조 방법 및 연마 방법
US11878389B2 (en) 2021-02-10 2024-01-23 Applied Materials, Inc. Structures formed using a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for regenerating surface texture in situ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4661A (ja) 2004-04-02 2005-10-20 Hitachi Chem Co Ltd 研磨パッド及びそれを用いる研磨方法
JP2006075914A (ja) * 2004-09-07 2006-03-23 Nitta Haas Inc 研磨布
JP2006142474A (ja) * 2004-10-20 2006-06-08 Nitta Haas Inc 研磨パ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研磨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843A (en) 1992-09-24 1993-06-08 Intel Corporation Polishing pad conditioning apparatus for wafer planarization process
US5489233A (en) * 1994-04-08 1996-02-06 Rodel, Inc. Polishing pads and methods for their use
US5702563A (en) * 1995-06-07 1997-12-30 Advanced Micro Devices, Inc. Reduced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particulate contamination
US5645469A (en) * 1996-09-06 1997-07-08 Advanced Micro Devices, Inc. Polishing pad with radially extending tapered channels
US5921855A (en) * 1997-05-15 1999-07-13 Applied Materials, Inc. Polishing pad having a grooved pattern for use in a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ystem
US6692338B1 (en) * 1997-07-23 2004-02-17 Lsi Logic Corporation Through-pad drainage of slurry dur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US5888121A (en) * 1997-09-23 1999-03-30 Lsi Logic Corporation Controlling groove dimensions for enhanced slurry flow
JP3187769B2 (ja) 1998-05-21 2001-07-11 カネボウ株式会社 スエード様研磨布
JP2000334655A (ja) 1999-05-26 2000-1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mp加工装置
US8485862B2 (en) * 2000-05-19 2013-07-16 Applied Materials, Inc. Polishing pad for endpoint detection and related methods
JP2002075932A (ja) 2000-08-23 2002-03-15 Toray Ind Inc 研磨パッドおよび研磨装置ならびに研磨方法
US6736952B2 (en) * 2001-02-12 2004-05-18 Speedfam-Ip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lanarization of a workpiece
JP3658591B2 (ja) * 2002-04-03 2005-06-08 東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研磨パッドおよび該研磨パッドを用いた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US6951510B1 (en) * 2004-03-12 2005-10-04 Agere Systems, Inc.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ad with grooves alternating between a larger groove size and a smaller groove size
JP4736514B2 (ja) * 2004-04-21 2011-07-27 東レ株式会社 研磨布
US7270595B2 (en) * 2004-05-27 2007-09-18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Cmp Holdings, Inc. Polishing pad with oscillating path groove network
JP4756583B2 (ja) * 2005-08-30 2011-08-24 株式会社東京精密 研磨パッド、パッドドレッシング評価方法、及び研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4661A (ja) 2004-04-02 2005-10-20 Hitachi Chem Co Ltd 研磨パッド及びそれを用いる研磨方法
JP2006075914A (ja) * 2004-09-07 2006-03-23 Nitta Haas Inc 研磨布
JP2006142474A (ja) * 2004-10-20 2006-06-08 Nitta Haas Inc 研磨パ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研磨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002A (ko) 2009-06-15
KR101209420B1 (ko) 2012-12-07
JP4326587B2 (ja) 2009-09-09
KR20120103739A (ko) 2012-09-19
JP5795995B2 (ja) 2015-10-14
JP5210952B2 (ja) 2013-06-12
DE112007002066B4 (de) 2019-10-17
JPWO2008029725A1 (ja) 2010-01-21
TWI337111B (ko) 2011-02-11
TW200817132A (en) 2008-04-16
JP2012210709A (ja) 2012-11-01
US20100009612A1 (en) 2010-01-14
US8337282B2 (en) 2012-12-25
MY150905A (en) 2014-03-14
JP2009154291A (ja) 2009-07-16
DE112007002066T5 (de) 2009-07-02
WO2008029725A1 (fr) 200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029B1 (ko) 연마 패드
KR101627897B1 (ko) 반도체 웨이퍼 연마 방법
CN102049723B (zh) 抛光半导体晶片的方法
KR101062088B1 (ko) 화학 기계 연마용 연성 서브패드의 사용 방법
KR100818683B1 (ko) 경면 면취 웨이퍼, 경면 면취용 연마 클로스 및 경면 면취연마장치 및 방법
US20060229000A1 (en) Polishing pad
US20140370788A1 (en) Low surface roughness polishing pad
US7695347B2 (en) Method and pad for polishing wafer
JPH11277408A (ja) 半導体ウエーハの鏡面研磨用研磨布、鏡面研磨方法ならびに鏡面研磨装置
KR20130005267A (ko) 연마 헤드 및 연마 장치
TWI260256B (en) Conditioner and conditioning methods for smooth pads
KR20000016516A (ko) 전자장치의 화학 기계적 평탄화 방법 및 장치
FR3043001A1 (fr) Procede de polissage mecano-chimique, tampon de polissage correspondant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CN1078836C (zh) 研磨装置
KR101340246B1 (ko) 반도체 웨이퍼 연마용 연마 패드 및 반도체 웨이퍼 연마법
JP4688456B2 (ja) 化学的機械的研磨装置
US6371833B1 (en) Backing film for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CMP) of a semiconductor wafer
JP2002355763A (ja) 合成砥石
US20030216111A1 (en) Non-foamed polishing pad and polishing method therewith
KR20070108850A (ko) 연마 패드
JP2017092423A (ja) 研磨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92556A (ja) シリコンウエハ鏡面研磨用スラリー、砥石、パッド及び研磨液、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シリコンウエハの鏡面研磨方法
JP2005271172A (ja) 研磨パッド
JP3601937B2 (ja) 表面平坦化方法および表面平坦化装置
JP2005288552A (ja) 研磨工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研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208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