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4532B1 - 전자식 변속 레버 - Google Patents

전자식 변속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532B1
KR101384532B1 KR1020130049799A KR20130049799A KR101384532B1 KR 101384532 B1 KR101384532 B1 KR 101384532B1 KR 1020130049799 A KR1020130049799 A KR 1020130049799A KR 20130049799 A KR20130049799 A KR 20130049799A KR 101384532 B1 KR101384532 B1 KR 101384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shift lever
magnet
rod
shi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식
이정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532B1/ko
Priority to US14/071,390 priority patent/US9027429B2/en
Priority to CN201310597006.7A priority patent/CN10413212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53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1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safety 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in case of accid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3Electrical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4Manually operated selector [e.g., remotely controlled device, lever, push button, rotary dial,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 레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중공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케이스 부착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전방 및 후방 하측면과 결합되는 변속 레버 덮개,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관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 수용부, 상기 관통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변속 레버 덮개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로드, 상기 로드 수용부의 내부 하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인식 센서 및 상기 변속 레버 덮개의 하부 끝단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로드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변속단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전자식 변속 레버가 차량의 콘솔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사고시 운전자가 상해를 입을 위험성이 적고, 전자식 변속 레버 주위에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자식 변속 레버의 변속단 표시부를 인지하기 쉬운 전자식 변속 레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변속 레버{Electronic shift lever}
본 발명은 차량의 전자식 변속 레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 레버 덮개에 플랙시블한 재질을 사용하여 주름 타입으로 형성된 전자식 변속 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란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가 자신이 원하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이 바로 변속 레버이다.
수동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에 맞는 기어를 선택하면 케이블이나 로드 등을 통해 변속기에 전달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주행을 할 수 있게 되고, 자동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움직임으로써 케이블을 통해 인히비터 스위치를 구동시켜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기계식 변속 레버 대신 변속기와 변속 레버의 기계적 연결구조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ECU를 이용하여 전자적으로 변속 제어를 이루는 전자식 변속 레버의 사용이 늘고 있다.
전자식 변속 레버는 기계식 변속 레버와 달리 기계적인 케이블 연결구조가 없고 운전자의 변속 의지를 전자적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위치 센서부를 구비해야 하지만 레버 조작력이나 조작감이 우수하며 그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식 변속 레버는 차량의 콘솔 위에 돌출되어 있는 전자식 변속 레버를 앞뒤로 조작하는 방식으로 기계식 변속 레버의 조작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작되며 기계식 변속 레버에 대비한 전자식 변속 레버만의 큰 장점이 없다.
즉, 전자식 변속 레버가 차량의 콘솔 위로 돌출되어 있어 차량의 안전사고시 운전자의 머리가 돌출되어 있는 전자식 변속 레버에 부딪혀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식 변속 레버는 차지하는 공간이 커서 변속 레버 주위에 컵홀더 등의 수납공간이나 차량을 운행하는데 필요한 버튼 기능 등을 놓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종래의 전자식 변속 레버는 변속단 표시부가 차량의 콘솔 위로 돌출되어 있는 변속 레버의 손잡이 부분에 수용되어야 하므로 변속단 표시부가 작게 형성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변속단 표시부의 글씨가 작아 변속단 표시를 운전자가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식 변속 레버가 차량의 콘솔 위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어 차량의 안전사고시 운전자가 상해를 입을 위험성이 적고, 전자식 변속 레버 주위에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자식 변속 레버의 변속단 표시부를 인지하기 쉬운 전자식 변속 레버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11)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 상기 중공(11)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케이스 부착부(21)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전방 및 후방 하측면과 결합되는 변속 레버 덮개(20),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관(35)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 수용부(33), 상기 관통관(35)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로드(30), 상기 로드 수용부(33)의 내부 하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로드(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인식 센서(40) 및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하부 끝단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로드(30)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변속단 자석(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3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를 만곡시킬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변속단 조작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30)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 인식 센서(40)와 반응하는 로드 자석(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는 직물, 천, 나무, 비닐, 가죽, 알루미늄판 중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져 변속단 조작시 조작감을 상승시키며,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에 대응되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일부는 상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로드(30)에 대응되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일부는 평평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탄력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드 수용부(33)는, 상기 관통관(35)의 하부에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로드홀(3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상기 로드(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조작감부(60) 및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상기 조작감부(60)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상기 조작감부(60)를 결합하는 다수 개의 고정추(6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속단 자석(50)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P단 자석(51), R단 자석(52), N단 자석(53), D단 자석(54), +단 자석(55), M단 자석(56) 및 -단 자석(5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P단 자석(51), 상기 R단 자석(52), 상기 N단 자석(53), 상기 D단 자석(54)은 각각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D단 자석(54)과 상기 +단 자석(55)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상기 P단 자석(51), 상기 R단 자석(52), 상기 N단 자석(53), 상기 D단 자석(54)이 각각 이격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단 자석(55) 및 상기 -단 자석(57)은 상기 M단 자석(56)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M단 자석(56)보다 상대적으로 자력이 약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변속단 자석(50)은 1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속단 자석(50)의 상단면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홀(71)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 덮개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전자식 변속 레버가 차량의 콘솔 위로 돌출되어 있지 않아 차량의 충돌시 운전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의 전자식 변속 레버와 달리 딱딱한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지 않아 변속 레버 조작시 촉감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감부 및 고정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로드 이동시 매끄러운 조작감을 형성할 수 있고 변속단 조작부의 다른 부분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전자식 변속 레버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공정의 단순화 및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고, 손가락만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 전자식 변속 레버에 비해서 손쉽고 편안한 조작이 가능하다.
나아가, 전자식 변속 레버의 사이즈가 종래 전자식 레버의 사이즈보다 작아 변속 레버 주위에 컵홀더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어 차량의 상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던 전자식 변속 레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 레버가 차량 내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 레버가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덮개부 및 변속단 자석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전자식 변속 레버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11)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 상기 중공(11)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케이스 부착부(21)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전방 및 후방 하측면과 결합되는 변속 레버 덮개(20),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관(35)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 수용부(33), 상기 관통관(35)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로드(30), 상기 로드 수용부(33)의 내부 하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로드(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인식 센서(40) 및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하부 끝단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로드(30)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변속단 자석(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는 차량 내부에 종래 전자식 변속 레버가 위치하던 차량의 콘솔(12)에 부착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란 직사각형 모양의 중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10)는 종래 전자식 변속 레버가 차량의 콘솔에 돌출되어 형성되던 것과 달리 차량의 콘솔(12)과 일치하는 면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우측면에 인접한 위치에는 수납공간(13)이나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버튼 기능 등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직사각형 모양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차량의 콘솔(1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차량 내부 전체에 미관적으로 일체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0)를 구성함으로써, 종래 전자식 변속 레버가 돌출되어 있어 발생하던 차량 충돌시 운전자가 전자식 변속 레버에 부딪혀서 입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고, 종래 전자식 변속 레버보다 작은 공간에 배치할 수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주위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납공간(13)이나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버튼 기능 등을 다양하게 상기 케이스(10)의 주위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는 상기 중공(11)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중공(11)의 전후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의 하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는 직물, 천, 나무, 비닐, 가죽, 알루미늄판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형성되어 변속단 조작시 조작감을 상승시키고, 상기 로드(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변속단 조작부(31)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에 대응되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일부는 상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로드(30)에 대응되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일부는 평평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탄력성과 유연성을 가지며, 차량 내부 전체에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단을 조작할 수 있게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와 대응되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일부는 상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로드(30)와 대응되는 부분 및 상기 로드(30)가 지나간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 등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와 대응되지 않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나머지 부분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는 유연성과 탄력성을 지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은 씨실과 날실을 직기에 걸어 짠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면직물, 모직물, 견직물 등이 있고, 특히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에 사용되는 상기 직물은 벨벳 소재 등을 이용한 고급 직물을 활용하여 운전자의 조작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천 및 상기 비닐도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충격 흡수, 방수 등의 기능을 가지며 촉감이 좋은 특수 천 및 특수 비닐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무 및 상기 알루미륨판은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를 상측으로 만곡시킬 수 있도록 얇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는 전자식 변속 레버를 사용하는 운전자의 손이 직접 닿는 부분으로서 그 촉감 및 미관이 특히 중요하고 종래 전자식 변속 레버가 딱딱한 플라스틱 소재로 되어있는 것과 달리 다양한 플랙시블 소재로 이루어져 운전자의 조작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는 상기 케이스 부착부(21)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 내에 장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가 아래로 처지지 않게 된다.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는 상기 로드(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변속단 조작부(31)에 의해 상측으로 만곡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11)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 수용부(33)는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에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로드(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관(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관(35)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로드(30)는 상기 관통관(35)을 따라 전후로 움직이며, 상기 인식 센서(40)가 상기 로드(30)의 끝단에 형성된 로드 자석(32)의 자력을 인식하여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통관(35)의 하부에는 상기 변속단 자석(50)과 동일한 패턴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로드홀(34)을 별도로 형성하여, 상기 로드(30)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로드 자석(32)이 상기 로드홀(34) 위에 위치하면 그때 상기 로드 자석(32)의 자력을 상기 인식 센서(40)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로드홀(34)의 유무에 관계없이, 상기 로드(30)가 그 끝단에 형성된 상기 로드 자석(32)을 통해 상기 인식 센서(40)와 반응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관(35) 및 상기 로드 수용부(33)를 구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30)는 상기 관통관(3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상기 관통관(35)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하여 전후로 평행하게 이동한다.
상기 로드(30)는 주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드(3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를 상측으로 만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 방향으로 돌출된 변속단 조작부(31)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30)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 인식 센서(40)와 반응하는 로드 자석(32)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가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에 의해 상측으로 만곡된 부분을 앞뒤로 조작하여 차량의 변속단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변속단 조작부(31)는 철이나 구리 등 금속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변속단 자석(50)과 다른 극성을 가지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변속단 자석(50)과의 사이에서 자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속단 조작부(31)의 상부는 달걀이나 돔의 형상과 같이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져 운전자가 쉽고 편안하게 전자식 변속 레버를 조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3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상기 로드 자석(32)은 자력을 가지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로드(30)가 움직이면 상기 인식 센서(40)가 상기 로드 자석(32)의 자력을 인식하여 차량의 변속단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즉, 상기 변속단 조작부(31)가 상기 변속단 자석(50)과의 사이에서 자력을 형성하여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상기 변속단 자석(50) 위에 놓이면 상기 로드(3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로드 자석(32)으로부터 상기 인식 센서(40)가 변속단의 위치를 인식하여 차량의 변속기에 운전자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단 자석(50)은 상기 로드(30)의 하단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시적으로 상기 로드(30)가 멈추어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변속단 자석(50)은 P단 자석(51), R단 자석(52), N단 자석(53), D단 자석(54), +단 자석(55), M단 자석(56) 및 -단 자석(57)으로 이루어지고, 각 자석들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자석의 위치는 각 변속단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D단 자석(54)과 상기 +단 자석(55)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다른 자석들 사이의 이격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단 자석(55), 상기 M단 자석(56) 및 상기 -단 자석(57)으로 이루어진 스포츠 모드 조작 구간을 다른 변속 구간과 전체적으로 떨어져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단 자석(55)이나 상기 -단 자석(57) 위에 상기 변속단 조작부(31)가 놓였을 때 상기 변속단 조작부(31)가 상기 D단 자석(54)보다 상기 M단 자석(56)의 자력을 더 강하게 받아 상기 D단 자석(54) 쪽으로 편향되지 않고 상기 M단 자석(56) 방향으로 바로 복귀하기 위해서다.
또한, 상기 +단 자석(55) 및 상기 -단 자석(57)은 상기 M단 자석(56)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M단 자석(56)보다 상대적으로 자력이 약한 자석을 사용함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단 자석(55)이나 상기 -단 자석(57)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단 자석(55)이나 상기 -단 자석(57)에 의해 절도감을 느끼게 되지만 상기 M단 자석(56)에 의해 상기 변속단 조작부(31)가 M단으로 복귀하여 정지한다.
따라서, 스포츠 모드 조작을 위해 운전자는 우선 상기 M단 자석(56) 위로 상기 변속단 조작부(31)를 위치시킨 후 상기 +단 자석(55)이나 상기 -단 자석(57)으로 상기 변속단 조작부(31)를 이동시켜 차량의 변속단을 변화시키고, 상기 +단 자석(55)이나 상기 -단 자석(57) 위에 놓인 상기 변속단 조작부(31)는 상기 M단 자석(56)의 자력에 의해 상기 M단 자석(56) 위로 복귀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단 자석(50)은 1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변속단 자석(50)의 상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홀(71)을 가지는 자석 덮개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자석 덮개부(70)의 홀(71)은 상기 P단 자석(51), 상기 R단 자석(52), 상기 N단 자석(53), 상기 D단 자석(54), 상기 +단 자석(55), 상기 M단 자석(56) 및 상기 -단 자석(57)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속단 자석(50)이 이격되어 형성된 경우와 비슷한 방법으로, 운전자가 상기 변속단 조작부(31)를 움직여 상기 홀(71) 위에 놓으면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와 1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상기 변속단 자석(50) 사이의 자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상기 로드(30)가 정지되며 이때 상기 로드 자석(32)의 자력과 반응하여 상기 인식 센서(40)가 현재 변속단의 상태를 결정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상기 로드(30) 사이에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전후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조작감부(6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조작감부(60)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 fluoroethylene) 소재 등을 활용하여 상기 로드(30)가 전자식 변속 레버 내부에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감부(60)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11)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부분의 경우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상기 조작감부(60) 사이에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상기 조작감부(60)를 연결하는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고정추(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추(61)는 어느 정도 무게를 가진 금속성 소재나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하여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변속 레버 덮개(20) 전체가 상측 방향으로 만곡되지 않고 차량의 변속단 자석(50)이 위치하는 부분만 부분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추(61)는 전자식 변속 레버의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거리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대체로 전자식 변속 레버의 변속단 자석(50)의 형태에 대응되게 이격하여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단 자석(50)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여러 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변속단 자석(50)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그 사이 공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추(61)가 배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단 자석(50)이 한 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변속단 자석(50)의 상측에 홀(71)을 가진 자석 덮개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면 홀(71)과 홀(71)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추(61)가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 변속 레버는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현 변속단을 표시하도록 상기 케이스(10) 상측면에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변속단 표시부(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이 상기 변속단 자석(50)의 상기 P단 자석(51) 위에 위치하면 인식 센서(40)에 의해 현재 변속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변속단 표시부(80)의 P단 조명창에 조명이 들어오게 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현재 변속단의 상태를 한눈에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변속 레버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를 상측으로 만곡시키는 상기 변속단 조작부(31)를 원하는 변속단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변속단 자석(50)의 자력에 의해 상기 변속단 조작부(31)가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때, 상기 고정추(61)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가 전체적으로 만곡되지 않고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이 위치하는 부분만 정확히 상측으로 만곡될 수 있도록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운전자에 의해 상기 변속단 조작부(31)가 이동되어 멈추면 상기 로드(30)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로드 자석(32)의 자력과 상기 인식 센서(40)가 반응하여 현재 변속단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를 전자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액츄에이터와 ECU를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의 상태를 변속기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현재 변속단의 상태가 결정되면 상기 변속단 표시부(80)의 조명창에 현재 변속단을 보여주는 조명이 들어오고 이에 따라 운전자는 현재 변속단의 상태를 한눈에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운전자가 스포츠 모드 조작을 원할 경우 운전자는 우선 상기 M단 자석(56) 위로 상기 변속단 조작부(31)를 위치시킨 후 상기 +단 자석(55)이나 상기 -단 자석(57)으로 상기 변속단 조작부(31)를 이동시켜 차량의 변속단을 변화시키고, 상기 +단 자석(55)이나 상기 -단 자석(57) 위에 놓인 상기 변속단 조작부(31)는 상기 M단 자석(56)의 자력에 의해 상기 M단 자석(56) 위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중공
12 : 차량의 콘솔 13 : 수납공간
20 : 변속 레버 덮개 21 : 케이스 부착부
30 : 로드 31 : 변속단 조작부
32 : 로드 자석 33 : 로드 수용부
34 : 로드홀 35 : 관통관
40 : 인식 센서 50 : 변속단 자석
51 : P단 자석 52 : R단 자석
53 : N단 자석 54 : D단 자석
55 : +단 자석 56 : M단 자석
57 : -단 자석 60 : 조작감부
61 : 고정추 70 : 자석 덮개부
71 : 홀 80 : 변속단 표시부

Claims (7)

  1.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11)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
    상기 중공(11)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케이스 부착부(21)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전방 및 후방 하측면과 결합되는 변속 레버 덮개(20);
    상기 케이스(10)의 하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관(35)이 형성되어 있는 로드 수용부(33);
    상기 관통관(35)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하부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로드(30);
    상기 로드 수용부(33)의 내부 하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로드(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인식 센서(40); 및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하부 끝단에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로드(30)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변속단 자석(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3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를 만곡시킬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변속단 조작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30)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 인식 센서(40)와 반응하는 로드 자석(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는,
    직물, 천, 나무, 비닐, 가죽, 알루미늄판 중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져 변속단 조작시 조작감을 상승시키며,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변속단 조작부(31)에 대응되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일부는 상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로드(30)에 대응되는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의 일부는 평평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탄력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수용부(33)는,
    상기 관통관(35)의 하부에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다수 개의 로드홀(34);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상기 로드(3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조작감부(60); 및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상기 조작감부(60)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변속 레버 덮개(20)와 상기 조작감부(60)를 결합하는 다수 개의 고정추(61);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자석(50)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P단 자석(51), R단 자석(52), N단 자석(53), D단 자석(54), +단 자석(55), M단 자석(56) 및 -단 자석(5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P단 자석(51), 상기 R단 자석(52), 상기 N단 자석(53), 상기 D단 자석(54)은 각각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D단 자석(54)과 상기 +단 자석(55)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상기 P단 자석(51), 상기 R단 자석(52), 상기 N단 자석(53), 상기 D단 자석(54)이 각각 이격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단 자석(55) 및 상기 -단 자석(57)은 상기 M단 자석(56)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M단 자석(56)보다 상대적으로 자력이 약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자석(50)은 1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속단 자석(50)의 상단면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홀(71)이 형성되어 있는 자석 덮개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 레버.
KR1020130049799A 2013-05-03 2013-05-03 전자식 변속 레버 Expired - Fee Related KR101384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799A KR101384532B1 (ko) 2013-05-03 2013-05-03 전자식 변속 레버
US14/071,390 US9027429B2 (en) 2013-05-03 2013-11-04 Electronic shift lever
CN201310597006.7A CN104132126B (zh) 2013-05-03 2013-11-22 电子变速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799A KR101384532B1 (ko) 2013-05-03 2013-05-03 전자식 변속 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532B1 true KR101384532B1 (ko) 2014-04-11

Family

ID=5065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7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4532B1 (ko) 2013-05-03 2013-05-03 전자식 변속 레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27429B2 (ko)
KR (1) KR101384532B1 (ko)
CN (1) CN10413212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248B1 (ko) 2015-05-11 2016-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드식 손바닥 거치대를 가진 버튼형 전자식 변속 장치
KR101664699B1 (ko) * 2015-06-10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US10253869B2 (en) 2016-09-23 2019-04-09 Hyundai Motor Company Lever apparatus for electronic shif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590B1 (ko) * 2015-06-15 2017-05-2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US10138997B2 (en) * 2015-12-27 2018-11-27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Vehicle shift system
DE102016122344B4 (de) * 2016-11-21 2018-08-16 Preh Gmbh Betätigungseinrichtung und deren Verwendung für ein elektromechanisches oder hydromechanisches Kraftfahrzeuggetriebe insbesondere eines landwirtschaftlichen Nutzfahrzeugs
DE102016224838A1 (de) * 2016-12-13 2018-06-14 Zf Friedrichshafen Ag Bedienvorrichtung zum Auswählen zumindest einer Getriebestufe eines Fahrzeugs, Fahrzeug mit einer 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US10731750B2 (en) 2017-03-09 2020-08-04 Kuster North America, Inc. Monostable rotary shifter
KR102437218B1 (ko) * 2017-10-16 2022-08-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E102018218774B3 (de) * 2018-11-02 2019-12-19 Audi Ag Wählvorrichtung zum Auswählen einer Fahrstufe eines Automatikgetriebes eines Kraftfahrzeugs sowie Kraftfahrzeug
JP7168284B2 (ja) * 2018-11-09 2022-11-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KR102584369B1 (ko) * 2018-12-11 2023-10-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CN109723811B (zh) * 2019-01-14 2020-12-15 温州长江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滑动式电子换挡器
CN110005795A (zh) * 2019-04-09 2019-07-12 宁波鹏程汽车系统有限公司 滑动式换挡器
CN113586702B (zh) * 2021-08-26 2022-06-28 重庆睿格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功能的拨钮升起或卧倒的电子换档器总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258A (ja) 2005-09-07 2007-04-19 Tokai Rika Co Ltd シフトセレクタ
JP2008128432A (ja) 2006-11-24 2008-06-05 Aisin Aw Co Ltd マニュアルロッド位置検出装置
KR20130013960A (ko) * 2011-07-29 2013-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차량의 마우스 타입 기어 변속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48544B (ko) * 1991-04-03 1995-06-01 Torrington Co
DE19650154C2 (de) * 1996-12-04 1999-06-10 Lemfoe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Getriebe eines KFZ mit einer mit Sensoren, Leuchtdioden, Prozessen und anderen elektronischen Bauelementen bestückten Leiterplat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krümmten Leiterplatte zur Verwendung in einer solchen Schaltvorrichtung
DE19938110A1 (de) * 1999-08-12 2001-02-22 Siemens Ag Elektronisches Steuergerät für ein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und Verfahren zum Abgleichen eines Positionserkennungsensors in einem elektronischen Steuergerät für ein Kraftfahrzeug-Automatikgetriebe
US6382045B1 (en) * 2000-09-11 2002-05-07 Teleflex Incorporated Single lever shift assembly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transmission
DE10113534B9 (de) * 2001-03-20 2005-04-07 Cherry Gmbh Kulissenschalteinheit für ein automatisches Schaltgetriebe
DE10213763A1 (de) * 2002-03-26 2003-10-16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Gangwahl eines Kraftfahrzeuggetriebes
JP2004278608A (ja) * 2003-03-14 2004-10-07 Niles Co Ltd インヒビタースイッチ
JP2005067228A (ja) * 2003-08-22 2005-03-17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0619892B1 (ko) 2004-07-23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 조립체
JP4344343B2 (ja) * 2005-06-15 2009-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DE102007021231A1 (de) * 2006-05-26 2007-11-2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Positionssensor zum Erfassen der Position eines entlang einer Messstrecke linear bewegbaren Gegenstands
JP4899693B2 (ja) 2006-07-31 2012-03-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位置検出装置
JP2008044392A (ja) * 2006-08-10 2008-02-28 Tokai Rika Co Ltd ポジション検出装置
US7640823B2 (en) * 2007-04-30 2010-01-05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Integrated automatic manual transmission lever-type shift selector
KR101349471B1 (ko) * 2010-12-09 2014-01-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조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258A (ja) 2005-09-07 2007-04-19 Tokai Rika Co Ltd シフトセレクタ
JP2008128432A (ja) 2006-11-24 2008-06-05 Aisin Aw Co Ltd マニュアルロッド位置検出装置
KR20130013960A (ko) * 2011-07-29 2013-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 차량의 마우스 타입 기어 변속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248B1 (ko) 2015-05-11 2016-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드식 손바닥 거치대를 가진 버튼형 전자식 변속 장치
KR101664699B1 (ko) * 2015-06-10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US10253869B2 (en) 2016-09-23 2019-04-09 Hyundai Motor Company Lever apparatus for electronic shif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32126A (zh) 2014-11-05
US20140326096A1 (en) 2014-11-06
CN104132126B (zh) 2018-03-27
US9027429B2 (en) 201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532B1 (ko) 전자식 변속 레버
KR101509940B1 (ko) 차량용 전자식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장치
CA2875921C (en) Shift device for vehicle
KR101527054B1 (ko) 큐브 타입 전자식 변속레버
CN107428243B (zh) 用于机动车的手支承装置及机动车
JP6156087B2 (ja) 車両用センターコンソール構造
US20110132124A1 (en)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for vehicle
US7562602B2 (en) Gearshift lever with reverse gear lock-out
CN105715780B (zh) 用于车辆的一体式电子换挡杆组件
JP4373212B2 (ja) 自動シフト装置の運転状態を調節するための信号発生器
US9322469B2 (en) Folding fan type electronic shift lever
KR102557103B1 (ko) 자동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KR101982859B1 (ko) 회전 타입 전자식 변속 레버
KR101439160B1 (ko) 전자식 변속 레버
US8607663B2 (en) Shift knob
JP5905247B2 (ja) 統合制御変速レバー装置
US20190072177A1 (en) Shift-by-wire vehicle shifting device for changing shift-range of vehicle among a plurality of shift-ranges based on manipulation made by driver
CN112309753B (zh) 一种多手柄的集成式汽车组合开关
KR20140060707A (ko) 원통형 전자식 변속 레버
KR101338686B1 (ko) 전자식 자동 변속 레버
JP5880397B2 (ja) 車両のシフト装置
CN112601679B (zh) 用于遮盖机动车的内部空间中的区域的遮盖装置
CN106286795B (zh) Amt自动换挡器以及具有其的汽车
KR20110024518A (ko) 차량용 변속기
JP6641153B2 (ja) スマートキーを用いた車両用電子式変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