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81488B1 -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및 수직 그라인딩 밀 - Google Patents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및 수직 그라인딩 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488B1
KR101381488B1 KR1020097017508A KR20097017508A KR101381488B1 KR 101381488 B1 KR101381488 B1 KR 101381488B1 KR 1020097017508 A KR1020097017508 A KR 1020097017508A KR 20097017508 A KR20097017508 A KR 20097017508A KR 101381488 B1 KR101381488 B1 KR 10138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raw material
milling
vertical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160A (ko
Inventor
스테판 게를
옌스 자크베흐
Original Assignee
마쉬넨파브릭 구스타프 아이리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쉬넨파브릭 구스타프 아이리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마쉬넨파브릭 구스타프 아이리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115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48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3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02C17/1835Discharging devices combined with sorting or separating of material
    • B02C17/184Discharging devices combined with sorting or separating of material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3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02C17/186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by fluid energy
    • B02C17/1875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by fluid energy passing gas through crushing zone
    • B02C17/18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by fluid energy passing gas through crushing zone characterised by point of gas entry or exit or by gas flow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인딩 수행체(17)를 상부로 운반하기 위하여 스크루 컨베이어(2)가 회전 구동되도록 배치된 폐쇄형 수직 밀링 컨테이너(1)를 포함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grinding mill)에 관한 것이다.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17)의 표면(29)이 바깥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방사상으로 경사지고 그라인딩 원료 출구(11)의 하부 가장자리(18) 영역에서 방사상으로 끝나도록,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17)가 조절된다. 가스는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 위에서 밀링 컨테이너(1) 내부로 유입된다. 가스 및 그라인딩 원료(22)는 밀링 컨테이너(1)로부터 그라인딩 원료 출구(11)를 통해 방출된다.
Figure R1020097017508
수직 그라인딩 밀, 밀링 컨테이너, 스크루 컨베이어, 그라인딩 수행체, 그라인딩 원료, 그라인딩 원료 출구

Description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및 수직 그라인딩 밀{METHOD FOR THE CONTINUOUS DRY MILLING PROCESS OF A VERTICAL GRINDING MILL AND VERTICAL GRINDING MILL}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전문에 따른 수직 그라인딩 밀(grinding mill)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과 청구의 범위 제 13 항의 전문에 따른 수직 그라인딩 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수직 그라인딩 밀이 US 4,754,934에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스가 밀링 컨테이너의 저면에서 유입되고,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와 그라인딩 원료 내부를 통해 유동한다. 밀링 컨테이너의 상부 영역에는, 그라인딩 원료 입구 위에서, 가스에 의해 위쪽으로 운반되는 그라인딩 원료 입자들이 중력에 의해 즉각적으로 되돌아와서 밀링 가공 공정에 놓일 수 있도록 그라인딩 원료 입자들을 바깥쪽으로 내치는 원심 분리기가 구동 샤프트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가스는, 아래로부터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 내로 유입된 가스가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를 성기게 하여 그라인딩 원료 입자들을 위쪽으로 이동시켜서 그라인딩 원료 입자들이 그라인딩 밀의 상단부에서 방출될 수 있을 정도로, 상당한 양의 압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와 순환하는 그라인딩 원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성기게 되면, 그라인딩 효과, 다시 말해서, 밀링 성능이 감소하게 된다.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와 그라인딩 원료의 압력 손실을 합당한 한계 내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와 그라인딩 원료에는 비교적 열려 있는 작은 구멍이 많이 존재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그라인딩 수행체의 크기의 하한이 존재한다. 게다가, 그라인딩 원료는 비교적 굵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로서, 개개의 그라인딩 수행체 사이의 갭에 그라인딩 원료가 충분하게 채워지지 않게 된다. 더욱이, 압력 송풍기의 에너지 소모는 매우 높다. 압력 송풍기의 에너지 소모는 실제 밀링 가공 시의 구동 모터의 에너지 소모와 거의 같다.
또 다른 수직 그라인딩 밀이 DE 42 02 101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그라인딩 원료가 위로부터 밀링 컨테이너 내로 이송되고 저면 영역에서 스크린을 통해 방출된다. 스크린이 막히거나 봉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체, 예를 들어 공기가 저면 영역 내로 유입된다. 이와 비교할 만한 수직 그라인딩 밀이 JP 2003 181 316 A1에 개시되어 있다. 저면 영역 내에 위치하는 스크린 홀 또는 스크린 슬롯은 마모되거나 파괴된 그라인딩 수행체에 의해 막히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로서, 마모가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스크루 날개의 하단부가 손상될 수도 있다. 또다른 결점은 마른 상태의 규사(silica sand) 등의 자유로이 유동하는 그라인딩 원료가 매우 높은 속도로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를 통해 유동하며, 따라서 제어된 상태의 밀링 가공 공정 내에 놓이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와 밀링 가공된 그라인딩 원료를 밀링 컨테이너로부터 저면 영역 내에 배치된 스크루 컨베이어를 통해 방출하는 방법이 JP 2005 246 204 A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라인딩 수행체와 그라인딩 원료의 혼합물을 밀링 컨테이너 외부에서, 예를 들어, 체질(sieving)에 의해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그라인딩 수행체는 새로운 그라인딩 원료와 함께 재순환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상당한 기술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저면 영역 내에 유입된 압축 공기에 의해 수직 그라인딩 밀의 상단부에서 그라인딩 원료를 밖으로 불어내거나 원형의 평면상 오버플로우(overflow) 가장자리를 경유하여 개방된 밀링 컨테이너의 상단부에서 상기한 그라인딩 원료를 방출하는 방법이 DD 268 892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이 가지는 결점은, 그라인딩 수행체가 마른 상태의 그라인딩 원료 내에서 부유하기 때문에, 그라인딩 원료와 그라인딩 수행체 사이의 직접 접촉을 가능케 하는 콤팩트한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을 밀링 가공 중에 형성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링 컨테니어 내에서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를 이용하여 연속 건식 밀링 가공을 수행하며, 비교적 작은 그라인딩 수행체를 사용하면서도 밀링 가공된 그라인딩 원료의 높은 미세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의 수직 그라인딩 밀(grinding mill)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및 일반적인 형태의 수직 그라인딩 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특징부의 구성을 갖는 일반적인 형태의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그라인딩 원료 집합체는, 예를 들어, 가스에 의해 아래로부터 성기게 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 밀링 가공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촘촘한(tight) 상태를 유지한다. 그라인딩 수행체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날개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 내에서 위쪽으로 운반되며, 그에 대응하여, 스크루 날개에 의해 커버되지 않으며 밀링 컨테이너에 의해 바깥쪽으로 향하여 그 한계가 정해지는 환상 영역 내에서 아래쪽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 그라인딩 원료는 적어도 한번 위에서 아래로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을 통해 운반되고, 한번 더 아래에서 위쪽으로 운반됨으로써, 밀링 가공 공정에 놓이게 된다. 구동 샤프트의 영역 내에서의 스크루 날개의 운반 효과에 의해,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은, 바깥쪽으로 경사져서 그라인딩 수행체가 주변을 향해 구를 수 있도록 하는 대략 절두 원추형의 표면이 형성될 정도로, 밀링 컨테이너의 내부 영역 내에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그라인딩 수행체는 표면 상에 또는 표면 내에 위치하고 있는 그라인딩 원료를, 그라인딩 원료 출구를 통해 밀링 컨테이너 밖으로 방출되도록, 밀어낸다. 이러한 작용은 가스에 의해 상당한 정도까지 촉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청구의 범위 제 2 항 내지 제 12 항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의 범위 제 13 항에 따른 수직 그라인딩 밀에 의해 달성된다. 수직 그라인딩 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청구의 범위 제 14 항 내지 제 21 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다른 특징, 장점 및 세부적인 내용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의 연속적인 설명을 통해 명백히 밝혀진다.
도 1은 회전 방향으로 가스가 유동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grinding mill)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수직 그라인딩 밀의 밀링 컨테이너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가스가 그라인딩 원료 출구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수직 그라인딩 밀의 밀링 컨테이너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가스가 수직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그라인딩 원료 출구 내의 스크린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일부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V) 방향에서 본 스크린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수직 그라인딩 밀(grinding mill)은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 밀링 컨테이너(1)를 포함하고 있다. 밀링 컨테이너(1)의 내경(D)은 0.4 m ≤ D ≤ 4.0 m 이다. 밀링 컨테이너 (1) 내부에는 그라인딩 수행체 회전 유닛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스크루 컨베이어(2)가 배치되어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2)는 밀링 컨테이너(1)의 수직 중심 축(3)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크루 컨베이어(2)는 소정의 직경(d1)을 가지며 중심 축(3)과 동축적으로 배치된 구동 샤프트(4)와, 소정의 피치(s)와 소정의 외경(da)을 갖는 두 개의 평행한 스크루 날개(5)를 포함하 고 있다. 상단부(6)는 구동 샤프트(4) 상에 위치하고 있다. 샤프트(4)는 전기 모터(7)에 의해 회전 방향(8)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 가능하다. 스크루 컨베이어(2)는 밀링 컨테이너(1)의 저면(9)에 가까운 저면 근접 위치까지 하향 연장되어 있다. 이 저면 근접 위치로부터, 스크루 날개(5)는 높이(hs)를 따라 저면(9)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수직 그라인딩 밀은 매우 가느다란 구조로 되어 있다. 밀링 컨테이너(1)의 직경(D)에 대한 스크루 높이(hs)의 비는 다음과 같다: 1.5 ≤ hs/D ≤ 3.
밀링 컨테이너(1)의 저면(9)에 가까운 저면 근접 위치에, 가공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폐쇄되는 그라인딩 수행체 출구(10)가 구비되어 있다. 밀링 컨테이너(1) 상에는 스크루 날개(5)의 상단부(6)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며 그라인딩 원료 방출 라인(12)에 인접한 그라인딩 원료 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슬롯형 홀 스크린(14)의 형태로 된 그라인딩 수행체 유지 장치는 그라인딩 원료 출구(11)의 출구 개구부(13) 내에 배치되어 있다. 슬롯형 홀 스크린(14)은 중심 축(3)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웹(15) 사이에 위치하는 슬롯형 홀(16)을 포함하고 있다. 슬롯형 홀(16)의 폭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3)에 대해 방사상으로 바깥쪽 방향으로 증가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더욱 더 증가한다. 적어도 하부 영역에서는, 그 폭(w)이 사용되는 가장 작은 그라인딩 수행체(17)의 직경(d17)보다 작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 날개(5)의 상단부(6)는 스크린(1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출구 개구부(13)는 소정의 높이(h13)를 갖는다. 스크루 날개(5)는 높이(h13)의 0.1배(0.1 h13) 내지 높이(h13)의 0.5배(0.5 h13)에 이르는 길이만큼 출 구 개구부(13)의 하부 가장자리(18)를 따라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이 영역 내에서 상단부(6)가 하부 가장자리(18) 위에 위치한다. 스크루 날개(5)에 의해 커버되는 단면적은 (da2 - di2) x π/4 이다. 스크루 날개(5) 및 밀링 컨테이너(1) 사이의 자유 환상 단면적은 (D2 - da2) x π/4 이다. 스크루 날개(5) 및 밀링 컨테이너(1) 사이의 자유 단면적은 스크루 날개(5)에 의해 커버되는 환상 단면적보다 크거나 적어도 같다. 즉, (D2 - da2) ≤ (da2 - di2) 이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그라인딩 원료 입구(19)는 그라인딩 원료 출구(11)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밀링 컨테이너(1) 내로 돌출되어 있다. 그라인딩 원료 입구(19)는, 대략 출구 개구(13)의 상부 가장자리(20) 위에서 시작되어, 스크루 날개(5)의 상단부(6)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라인딩 원료 이송 라인(21)은 그라인딩 원료 입구(19)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라인딩 원료(22)는, 로터리 게이트 밸브 등의, 기밀 투입 장치(23)를 통해 그라인딩 원료 이송 라인(21)에 공급된다.
상부 개구부(13) 위에서, 즉 그라인딩 원료 입구(19) 위에서,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가스 입구가, 즉 이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공기 입구가, 출구 개구부(13)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라인딩 원료 방출 라인(12)은 흡입 송풍기(25)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배치된, 종래의 사이클론 분리기 등의, 공기 분리기(26)와 먼지 필터 분리기(27)가 그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먼지 필터 분리기(27) 내에는 필터(28)가 구 비되어 있다. 필터(28)는, 로터리 게이트 밸브 등의, 기밀 게이트 밸브(29)에 아래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공기 분리기(26)로부터 방출된 굵은 그라인딩 원료는 투입 장치(23)로 재순환되고, 따라서 순환 라인(30)을 경유하여 그라인딩 원료 입구(19)로 재순환된다. 먼지 필터 분리기(27)로부터 방출된 그라인딩 원료는 소망하는 미세도를 갖는다.
밀링 컨테이너(10) 내부에는 압력 변환기(31)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또 다른 압력 변환기(32)가, 그라인딩 원료 출구(11)의 후방에 비교적 가깝게 위치하는 상태로, 그라인딩 원료 방출 라인(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력 변환기(31)(32)에 의해 산출되는 압력 값들은, 이들 두 측정된 값들 사이의 압력 차이를 검출하기 위하여, 차동 압력 측정 장치(33)로 전송된다. 그라인딩 원료 방출 라인(12) 내부에는 가스 유량 측정 장치(34)가, 분리기(27)와 송풍기(2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추가 가스 라인(35)이 그라인딩 원료 출구(11) 근방에서 그라인딩 원료 방출 라인(12) 내로 돌출되어 있다. 추가 가스 라인(35)은 제어 가능한 밸브(36)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밀링 컨테이너(1)로부터 나온 가스가 그라인딩 원료를 방출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면, 추가 가스 라인(35)을 통해 추가 가스가 그라인딩 원료 방출 라인(12) 내로 유입된다. 추가 가스 라인(35)에는 가스 유량 측정 장치(37)가 또한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수직 그라인딩 밀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시동에 앞서, 밀링 컨테이너(1)에는, 밀링 컨테이너(1)의 높이의 80 % 내지 95 %에 해당하는 높이까지, 스크루 날개(5)의 상단부(6)까지, 출구 개구부(13)의 하부 가장자리(18) 바로 위까지, 그라인딩 수행체(17)가 채워진다. 이후에 모터(7)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스크루 날개(5)가 부착된 샤프트(4)가 회전 방향(8)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크루 날개(5)의 피치에 대응하여, 스크루 날개(5)에 의해 커버되는 밀링 컨테이너(1)의 환상 단면 영역 내에 위치한 그라인딩 수행체(17)는 위쪽으로 운반된다. 확실한 운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스크루 날개(5)의 외경(da)에 대한 스크루 날개(5)의 피치(s)의 비율은 0.5 da ≤ s ≤ 1.5 da 이며, 바람직하게는 0.8 da ≤ s ≤ 1.2 da 이다. 더욱이, 스크루 날개(5)가 부착된 샤프트(4)는 스크루 날개(5)가 2.0 내지 4.0 m/sec의 외주 속도,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0 m/sec의 외주 속도를 갖게 되는 속도로 구동된다. 그라인딩 수행체(17)의 직경(d17)은 10 mm ≤ d17 ≤ 30 mm 이며, 바람직하게는 15 mm ≤ d17 ≤ 25 mm 이다.
스크루 컨베이어(2)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밀링 가공되어야 하는 그라인딩 원료는 기밀 투여 장치(23)를 경유하여 밀링 컨테이너(1) 내로 공급된다. 공급된 그라인딩 원료(22)는 일반적으로 그라인딩 수행체(17)의 직경(d17)의 0.25배(0.25 d17), 바람직하게는 직경(d17)의 0.2배(0.2 d17)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다. 스크루 날개(5)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그라인딩 수행체(17)가 위쪽으로 운반될 때, 스크루 날개(5)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바깥쪽 영역 내에 있는 그라인딩 수행체(17)는, 도 1에서 순환 화살표 (3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컨테이너 벽의 영역 내에 공급된 그라인딩 원료는 그라인딩 수행체(17)와 함께 아래로 유동하고, 그라인딩 수행체(17) 사이에서 분쇄된다. 그런 다음, 그라인딩 원료는 그라인딩 수행체(17)와 함께 스크루 날개(5)의 영역 내에서 다시 위쪽으로 운반되고, 그에 의해 더욱 더 밀링 가공된다. 도면으로부터 또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루 날개(5)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그라인딩 수행체(17), 다시 말해서, 샤프트(4) 바로 옆에 위치하는 그라인딩 수행체(17)는,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17)와 그라인딩 원료(22)가 대략 절두 원추형의 표면(39)을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스크루 날개(5)의 상단부(6) 위로 상승한다. 그라인딩 수행체(17)는 출구 개구부(13) 또는 스크린(14)의 하부 가장자리(18)보다 약간 위에, 즉 높이(h13)의 0.3배(0.3 h13)에 상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17) 밖으로 방사상으로 유동하는 그라인딩 원료(22)는 스크린(14)의 바로 앞에 위치한다.
밀링 가공이 수행되는 동안, 송풍기(25)에 의해 공기가 외부로부터 가스 입구(24)를 통해 내부로 흡입되고, 샤프트(4) 둘레를 유동하고, 편향 화살표(40)의 방향으로 패키징된 그라인딩 원료의 표면(39)을 가로질러서 유동한다. 가스 입구(24)가 사실상 직교하는 경우, 다시 말해서, 가스 입구(24)가 사실상 축(3)을 향하는 경우, 공기는 단지 샤프트(4) 둘레를 180도 편향된 상태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가스 입구(24)가 사실상 접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공기는 회전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편향 화살표(40)의 방향으로 밀링 컨테이너(10)를 통해 이송되는 공기는, 그라인딩 원료 입구(19)를 통해 공급된, 특히 미세한 그라인딩 원료(22)를 직접 반송하며, 또한 상기 그라인딩 원료(22)를 직접 방출한다. 가스는 스크린(14)을 통해 그라인딩 원료 방출 라인(12)으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한 가스는 스크린(14) 전방의, 밀링 컨테이너(1) 내에 위치하는, 그라인딩 원료(22)를 가압하여 그라인딩 원료(22)가 그라인딩 원료 방출 라인(12) 안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라인딩 수행체(17)가 스크린(14) 전방 영역에 도달하면, 스크린(14)에 의해 그라인딩 수행체(17)는 제자리에서 유지된다. 전체 그라인딩 원료(22)는 일반적으로 한 번의 순환이 이루어진 후에 방출된다. 아직 충분히 밀링 가공되지 않은, 굵은 그라인딩 원료(22)는 공기 분리기(26) 내에서 분리되고, 밀링 가공이 수행될 수 있도록 복귀 라인(30) 및 투여 장치(23)를 통해 재순환된다. 반송 공기는 미세하게 밀링 가공된 그라인딩 원료(22)와 함께 먼지 필터 분리기(27) 내로 유입되고, 여기서 미세하게 밀링 가공된 그라인딩 원료(22)는 필터(28)에 의해 분리된 후, 게이트 밸브(29)를 통해 방출된다. 그라인딩 원료(22)에서 분리된 공기는 송풍기(25)를 통해 배출된다.
밀링 컨테이너(1) 내로 유입되고 그라인딩 원료 출구(11)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한 방출 공정을 수행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소정량의 추가 공기가 추가 가스 라인(35)을 통해 반송 공기에 공급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수직 그라인딩 밀의 배치는, 가스 입구(24')가 배치되는 점에서, 도 1의 그것과는 다르다. 상기 가스 입구(24')는 그라인딩 원료 입구(19) 위에서 그라인딩 원료 출구(11)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기가 유동 화살표(41) 방향으로 샤프트(4) 둘레를 유동한 후,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처럼, 패키징된 그라인딩 원료 및 그라인딩 수행체의 표면(39)을 가로질러 유동함으로써 밀링 가공된 그라인딩 원료(22)를 가압하여 밀링 가공된 그라인딩 원료(22)를 스크린(14)을 통해 그라인딩 원료 방출 라인(12)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가 그라인딩 원료 입구(19)를 통해 직접 스크린(14)으로 유입되는 그라인딩 원료(22)를 운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 입구(24')가 샤프트(4)를 향하여 밀링 컨테이너(1) 안쪽까지 들어가 있다. 그 결과, 그라인딩 원료 입구(19)를 통해 유입된 그라인딩 원료(22)는 밀링 컨테이너(10)의 내벽을 따라 직접 아래쪽으로 유동하여 패키징된 그라인딩 원료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도 3에 따른 실시예는, 가스가 흡입 송풍기에 의해 흡입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기한 두 실시예와는 다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임의로 선택가능한 압력으로 가스를 가압하여 가스 입구(24")를 통해 위로부터 밀링 컨테이너(1)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압력 송풍기(42)가 구비되어 있다. 가스는 유동 화살표(43)의 방향으로 위로부터 밀링 컨테이너(1)를 통해 유동한 후 표면(39)을 가로질러 유동하여 그라인딩 원료 출구(11)로 유입되고, 상기한 방식으로 스크린(14)을 통과하도록 그라인딩 원료(22)을 가압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흡입 송풍기(25)의 사용으로 인하여 획득 가능한 전체 운반 압력이 1 bar 미만인데 반하여, 압력 송풍기(42)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압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유동 화살표(43)의 방향으로 도 3에 따른 밀링 컨테이너(1) 내로 유입되는 가스가 그라인딩 원료 입구(19)를 통해 유입되는 그라인딩 원료(22)를 반송하거나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 위에서 상기 그라인딩 원료(22)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라인딩 원료의 유입이 가스에 의해 약화되지 않도록, 그라인딩 원료 입구(19)는 배플 플레이트(44)에 의해 커버된다. 이러한 형태의 배플 플레이트(44)는, 그라인딩 원료 입구(19)를 또한 덮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그라인딩 수행체 출구(10')는 밀링 컨테이너(1)의 저면(9)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밀링 컨테이너(1)로부터 그라인딩 수행체(17)를 제거하기가 용이하다.
전체 공정은 차동 압력 측정 장치(33)에 의해 그리고 그 대신에 또는 그에 더하여 가스 유량 측정 장치(34)(37)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경우를 살펴보면, 차동 압력의 측정은 오직 차동 압력 측정 장치(33)에 의해서만 수행되고, 대응하는 측정값이 중앙 제어 장치(45)로 전송된다. 특정된 차동 압력이 사전 설정된 소망하는 값을 초과한다면, 이것은 스크린(14)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가 막혀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 경우, 중앙 제어 장치(45)가 송풍기(25) 또는 송풍기(42)를 작동하여 가스 입구(24, 24', 24")를 통해 유입되는 일차 가스의 유량을 증가 및/또는 밸브(36)를 통해 유입되는 이차 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더 많은 가스가 스크린(14)을 통과하도록 가스를 흡입 또는 가압하기 위해서이다.
두 개의 유량 측정 장치(34)(37)를 사용하는 경우, 특별히 사전 설정된 운전 모드에 적합하도록, 송풍기(25, 42)에 의해 이송될 일차 가스의 유량이 유량 측정 장치(34)에 의해 조절된다. 추가 가스 라인(35)을 통해 유입된 이차 가스의 유량은, 사전 설정된 소망하는 가스 유량이 밀링 컨테이너(1)를 통해 이송되도록, 조절 된다. 밀링 컨테이너(1)를 통해 이송되는 이러한 소망하는 가스 유량은 일차 가스 유량 및 이차 가스 유량의 차이에 의해 획득된다. 가스 유량이 계속해서 유량 측정 장치(34)(37)에 의해 측정되는 경우, 유량 측정 장치(37)에 의해 검출되는 유량의 증가는 스크린(14)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막혀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송풍기(25, 42)에 의해 이송될 가스의 전체 유량은 증가한다. 동시에, 스크린(14)을 청소하기 위하여 밀링 컨테이너(1)를 통해 더많은 유량의 가스가 흐를 수 있도록 밸브(36)가 일부 또는 완전히 폐쇄된다. 상기한 차동 압력 측정은 또한 추가적으로 적용가능하다.

Claims (24)

  1. 폐쇄형 수직 밀링 컨테이너(1)와,
    상기 밀링 컨테이너(1)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스크루 컨베이어(2)로서,
    중심 축(3)을 갖춘 구동 샤프트(4) 및
    구동 샤프트(4) 상에 배치되고, 상단부(6)까지 높이(hs)를 따라 연장되며, 오직 부분적으로만 밀링 컨테이너(1)의 단면을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날개(5)를 포함하는 스크루 컨베이어(2)와,
    복수의 그라인딩 수행체들(17)로 구성된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상기 집합체는 상부 표면(39)을 구비함━와,
    상기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 위에서 밀링 컨테이너(1) 내로 돌출된 그라인딩 원료 입구(19)와,
    가스를 유입하기 위하여 밀링 컨테이너(1) 내로 돌출된 가스 입구(24, 24', 24")와,
    밀링 컨테이너 (1)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부 가장자리(18)를 구비하며, 그라인딩 원료(22)를 방출하기 위한 높이(h13)를 갖는 그라인딩 원료 출구(1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날개(5)가 그라인딩 수행체들을 위쪽으로 운반하는 회전 방향으로 스크루 컨베이어(2)를 구동하는 모터(7)를 포함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grinding mill)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의 상부 표면(39)은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2)가 회전할 때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경사지고 상기 그라인딩 원료 출구(11)의 하부 가장 자리(18) 영역 내에서 방사상으로 바깥쪽에서 끝나는 절두 원추 형상이 되도록 조절되며,
    가스는 상기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 위에서 밀링 컨테이너(1) 내부로 유입되고,
    가스 및 그라인딩 원료(22)는 상기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의 상부 표면(39) 영역 내에서, 밀링 컨테이너(1)로부터 그라인딩 원료 출구(11)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그라인딩 원료(22)는 그라인딩 원료 출구(11) 반대쪽에서 밀링 컨테니어(1) 내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스는 상기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 위에서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의 상부 표면(39)으로 이동하고 그에 의해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는 그라인딩 원료 입구(19) 옆을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는 위로부터 밀링 컨테이너(1) 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가스는 그라인딩 원료 출구(11) 반대쪽에서 밀링 컨테이너(1) 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는 밀링 컨테이너(1) 밖으로 빨려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는 가압된 상태로 밀링 컨테이너 내로 송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딩 수행체들(17) 각각은 직경(d17)이 10 mm ≤ d17 ≤ 3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2)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날개(5)가 2.0 내지 4.0 m/sec의 외주 속도를 갖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그라인딩 원료(22)는 그라인딩 수행체(17)의 직경(d17)의 25% 이하의 최대 입자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는 그라인딩 원료 출구(11)의 하부 가장자리(18) 위의 0.3 h13 이하의 최대 높이(h13)에서 끝이 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13. 폐쇄형 수직 밀링 컨테이너(1)와,
    상기 밀링 컨테이너(1)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스크루 컨베이어(2)로서,
    중심 축(3)을 갖춘 구동 샤프트(4) 및
    구동 샤프트(4) 상에 배치되고, 상단부(6)까지 높이(hs)를 따라 연장되며, 오직 부분적으로만 밀링 컨테이너(1)의 단면을 커버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날개(5)를 포함하는 스크루 컨베이어(2)와,
    복수의 그라인딩 수행체들(17)로 구성된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상기 집합체는 상부 표면(39)을 구비함━와,
    상기 그라인딩 수행체 집합체 위에서 밀링 컨테이너(1) 내로 돌출된 그라인딩 원료 입구(19)와,
    가스를 유입하기 위하여 밀링 컨테이너(1) 내로 돌출된 가스 입구(24, 24', 24")와,
    밀링 컨테이너 (1)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부 가장자리(18)를 구비하며, 그라인딩 원료(22)를 방출하기 위한 높이(h13)를 갖는 그라인딩 원료 출구(11)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날개(5)가 그라인딩 수행체들을 위쪽으로 운반하는 회전 방향으로 스크루 컨베이어(2)를 구동하는 모터(7)를 포함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grinding mill)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딩 원료 출구(11)는 스크린(14)을 갖춘 출구 개구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날개(5)의 상단부(6)는 상기 스크린(14)과 같은 높이로 배치되어 있고,
    가스 입구(24, 24', 2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날개(5)의 상단부(6) 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가스 입구(24)는 그라인딩 원료 출구(11) 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
  15. 제 13 항에 있어서,
    가스 입구(24')는 그라인딩 원료 출구(11) 반대쪽에 배치되고 그라인딩 원료 입구(19) 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
  16. 제 13 항에 있어서,
    가스 입구(24")는 위로부터 밀링 컨테이너(1) 내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라인딩 원료 입구(19) 전방에 가스 배플 플레이트(4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4)은 슬롯형 홀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소정의 폭(w)을 가지고 중심 축(3)에 평행하게 연장된 슬롯형 홀(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슬롯형 홀(16)의 폭(w)은 위쪽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슬롯형 홀(16)의 폭은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
  22. 제 1 항에 있어서,
    그라인딩 수행체들(17) 각각은 직경이 15 mm ≤ d17 ≤ 2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2)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 날개(5)가 2.2 내지 3.0 m/sec의 외주 속도를 갖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24. 제 1 항에 있어서,
    그라인딩 원료(22)는 그라인딩 수행체(17)의 직경(d17)의 20% 이하의 최대 입자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KR1020097017508A 2007-02-02 2008-01-04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및 수직 그라인딩 밀 Expired - Fee Related KR101381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05250A DE102007005250B3 (de) 2007-02-02 2007-02-02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Trockenmahlbetrieb einer Turmreibmühle und Turmreibmühle
DE102007005250.4 2007-02-02
PCT/EP2008/000030 WO2008092542A1 (de) 2007-02-02 2008-01-04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trocken-mahl-betrieb einer turm-reib-mühle und turm-reib-müh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160A KR20090115160A (ko) 2009-11-04
KR101381488B1 true KR101381488B1 (ko) 2014-04-04

Family

ID=3882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5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81488B1 (ko) 2007-02-02 2008-01-04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및 수직 그라인딩 밀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7971808B2 (ko)
EP (1) EP2125230B8 (ko)
JP (1) JP5358457B2 (ko)
KR (1) KR101381488B1 (ko)
CN (1) CN101600504B (ko)
AU (1) AU2008210059B2 (ko)
BR (1) BRPI0806627A2 (ko)
CA (1) CA2677268C (ko)
DE (1) DE102007005250B3 (ko)
DK (1) DK2125230T3 (ko)
ES (1) ES2424021T3 (ko)
MX (1) MX2009007307A (ko)
PL (1) PL2125230T3 (ko)
RU (1) RU2453372C2 (ko)
UA (1) UA97510C2 (ko)
WO (1) WO2008092542A1 (ko)
ZA (1) ZA2009053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5250B3 (de) * 2007-02-02 2008-01-17 Maschinenfabrik Gustav Eirich Gmbh & Co. Kg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Trockenmahlbetrieb einer Turmreibmühle und Turmreibmühle
CN101954305A (zh) * 2010-09-25 2011-01-26 昆山密友粉碎设备有限公司 干法搅拌研磨机
EP2846917B1 (en) * 2012-05-10 2019-09-18 Belmonte Investments Limited Attritor mill and process for using it
DE102012013279A1 (de) * 2012-07-05 2014-01-09 Roland Nie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Rührwerkskugelmühle sowie Rührwerkskugelmühle dafür
CN102728440B (zh) * 2012-07-11 2014-04-16 北京萃宝重工科技有限公司 高效立式球磨机
US9764329B2 (en) * 2013-01-15 2017-09-19 Aaron Engineered Process Equipment, Inc. Rotary mill
EP2837424A1 (de) * 2013-08-13 2015-02-18 TARTECH eco industries AG Schlackenbrecher
US9943853B2 (en) * 2014-01-16 2018-04-17 Michael Marshall Pulver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pulverizing rocks
US10058872B2 (en) 2014-07-03 2018-08-28 STT Enviro Corp. Vertical ball mill with internal materials flow conduit
DE102015200924A1 (de) * 2015-01-21 2016-07-21 Robert Bosch Gmbh Koaxialmühle und Zufuhreinheit für eine Mühle
US10500591B2 (en) * 2015-09-02 2019-12-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feedstock
US10926269B2 (en) 2017-12-01 2021-02-23 Metso Minerals Industries, Inc. Vertical grinding mill, screw shaft, and method of designing and/or manufacturing a screw shaft
CN108816395A (zh) * 2018-08-09 2018-11-16 洛阳矿山机械工程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立式搅拌磨的变螺距螺旋搅拌器
CN111420780B (zh) * 2020-01-15 2022-03-01 厦门艾思欧标准砂有限公司 一种立式研磨机研磨与整形的方法
CN111135912A (zh) * 2020-01-15 2020-05-12 厦门艾思欧标准砂有限公司 一种干法研磨与整形的节能型立式研磨机
CN113019590B (zh) * 2021-03-22 2022-11-08 厦门艾思欧标准砂有限公司 一种干法研磨与整形的节能型双轴承立式研磨机
CN113019645B (zh) * 2021-03-22 2022-09-09 江苏巨胜智能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乌龟养殖用产蛋沙处理装置
CN115446320B (zh) * 2022-09-06 2023-06-27 江苏威拉里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颗粒循环研磨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5957U (ja) * 1984-03-28 1985-10-17 日本タワ−ミル株式会社 塔型摩砕粉砕機の生産物排出装置
JPS60161443U (ja) * 1984-04-04 1985-10-26 日本タワ−ミル株式会社 塔型摩砕粉砕機の生産物選別排出装置
KR900002381Y1 (ko) * 1987-04-08 1990-03-26 구보다뎃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마쇄분쇄 장치
JPH0441733U (ko) * 1990-08-09 1992-04-09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2078B (de) 1962-06-13 1967-06-08 Spangenberg Maschf G Ruehrwerksmuehle zum fortlaufenden Mahlen und Dispergieren von Stoffen in Fluessigkeiten
US3350280A (en) * 1963-10-31 1967-10-31 Standard Oil Co Retort for oil-bearing shales
DE1507653C3 (de) 1966-06-10 1975-05-07 Gustav Spangenberg Maschinenfabrik Gmbh, 6800 Mannheim Vorrichtung zum fortlaufenden Mahlen und Dispergieren von Stoffen in Flüssigkeiten
DD268892A1 (de) * 1986-11-28 1989-06-14 Akad Wissenschaften Dd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ein- und feinstmahlung
JPH043630Y2 (ko) * 1987-01-23 1992-02-04
JPS63200849A (ja) * 1987-02-16 1988-08-19 株式会社 井上製作所 連続式原料細分化方法及び装置
JPH01120949U (ko) * 1988-02-09 1989-08-16
US5167375A (en) * 1988-04-04 1992-12-01 Datta Rabinder S Apparatus for mineral matter separation
JP2976481B2 (ja) * 1989-05-10 1999-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ィルム状グラファイトの製造方法
JPH0389953A (ja) * 1989-08-31 1991-04-15 Mitsui Miike Kakoki Kk 乾式粉砕方法
AU626758B2 (en) * 1990-07-23 1992-08-06 Kubota Corporation Pulverizer
DE4202101A1 (de) * 1992-01-27 1993-07-29 Zementanlagen Und Maschinenb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trockenem bis feuchtem material
AU656843B2 (en) * 1992-03-30 1995-02-16 Kubota Corporation Vertical pulverizer
JPH0585447U (ja) * 1992-04-22 1993-11-19 三井三池化工機株式会社 粉砕機
JP2566884Y2 (ja) * 1992-05-27 1998-03-30 三井鉱山株式会社 粉砕機
JPH07256133A (ja) * 1994-03-25 1995-10-09 Kubota Corp 摩砕粉砕
JP3231538B2 (ja) 1994-03-25 2001-11-26 株式会社クボタ 竪型媒体撹拌粉砕機の処理筒内面保護構造
JP3239671B2 (ja) * 1995-03-08 2001-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ィルム状ヒーター、保温座席、蒸着ボートおよび加熱炉
JP2002333274A (ja) * 2001-05-10 2002-11-22 Taikisha Ltd 熱風式乾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生ごみ処理方法
JP2003181316A (ja) * 2001-12-17 2003-07-02 Nippon Airitsuhi Kk 媒体撹拌粉砕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有する粉砕処理システム
JP2005246204A (ja) * 2004-03-03 2005-09-15 Kubota Construction Co Ltd 粉砕用ボールを用いた粉砕方法
JP2006154802A (ja) * 2004-11-08 2006-06-15 Canon Inc 像加熱装置及びこの装置に用いられるヒータ
DE102007005250B3 (de) * 2007-02-02 2008-01-17 Maschinenfabrik Gustav Eirich Gmbh & Co. Kg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Trockenmahlbetrieb einer Turmreibmühle und Turmreibmüh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5957U (ja) * 1984-03-28 1985-10-17 日本タワ−ミル株式会社 塔型摩砕粉砕機の生産物排出装置
JPS60161443U (ja) * 1984-04-04 1985-10-26 日本タワ−ミル株式会社 塔型摩砕粉砕機の生産物選別排出装置
KR900002381Y1 (ko) * 1987-04-08 1990-03-26 구보다뎃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마쇄분쇄 장치
JPH0441733U (ko) * 1990-08-09 1992-04-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5230A1 (de) 2009-12-02
US7971808B2 (en) 2011-07-05
US20100102151A1 (en) 2010-04-29
CN101600504B (zh) 2011-06-15
CA2677268A1 (en) 2008-08-07
US8141801B2 (en) 2012-03-27
CA2677268C (en) 2014-07-08
EP2125230B8 (de) 2013-07-17
RU2453372C2 (ru) 2012-06-20
KR20090115160A (ko) 2009-11-04
EP2125230B1 (de) 2013-06-05
US20110240774A1 (en) 2011-10-06
AU2008210059A1 (en) 2008-08-07
UA97510C2 (ru) 2012-02-27
AU2008210059B2 (en) 2011-08-11
JP2010517739A (ja) 2010-05-27
ES2424021T3 (es) 2013-09-26
DE102007005250B3 (de) 2008-01-17
MX2009007307A (es) 2009-08-07
RU2009128952A (ru) 2011-03-10
JP5358457B2 (ja) 2013-12-04
WO2008092542A1 (de) 2008-08-07
ZA200905382B (en) 2010-10-27
BRPI0806627A2 (pt) 2011-09-13
DK2125230T3 (da) 2013-09-08
CN101600504A (zh) 2009-12-09
PL2125230T3 (pl)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488B1 (ko)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및 수직 그라인딩 밀
CN110918203B (zh) 搅拌球磨机和搅拌球磨机的运行方法
US4489895A (en) Vertical roller mills
JPS6243731B2 (ko)
JPH0889834A (ja) 攪拌ミル
EA029949B1 (ru) Сушильная камера, сушильный агрегат,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торно используемого абразива и способ сушки мокрого, повторно используемого абразива
CN104053506A (zh) 运行搅拌式球磨机的方法及执行该方法的搅拌式球磨机
EA012424B1 (ru) Мельница с сушкой и способ сушки измельчаем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1923853B1 (ko) 분 제거 기능을 갖춘 임팩트 크러셔
AU2006312782A1 (en) Roller mill
EP0217977A2 (en) Vertical grinding mill
US1305413A (en) schutz
JP6224367B2 (ja) 加工材料の混合装置
RU2002114333A (ru) Вальцовая мельница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в частности, зерна
JPS604598Y2 (ja) 竪型ミル
US619353A (en) schutz
CN221907382U (zh) 一种轧辊磨壳体
CN221907373U (zh) 一种轧辊磨
CS197619B1 (en) Milling appliance for the fine pulverising of materials particularly the substrates for making the cement under contemporary drying of the grist
US587990A (en) Separating-machine
JPS604597Y2 (ja) 竪型ミル
JP2019063775A (ja) 横型乾式粉砕機
RU21341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продукт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зерна
RU2648701C2 (ru) Способ дезинтеграции хрупких материалов и роторный дезинтегратор
KR970002604Y1 (ko) 스치로폴 분쇄기의 분진 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