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531B1 -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 - Google Patents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7531B1 KR101377531B1 KR1020130099559A KR20130099559A KR101377531B1 KR 101377531 B1 KR101377531 B1 KR 101377531B1 KR 1020130099559 A KR1020130099559 A KR 1020130099559A KR 20130099559 A KR20130099559 A KR 20130099559A KR 101377531 B1 KR101377531 B1 KR 1013775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ard
- pressure
- pressure element
- terminal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84 sile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2 time depend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1)의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1)의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소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소자에 연결된 휘스톤 브릿지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증폭보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제어보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레귤레이팅보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소자를 통해 압력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제어보드를 통해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외부제어서버로 송신시키고, 외부제어서버로부터 영점보정 명령신호와 게인보정 명령신호를 수신받고, TEDS(IEEE 1451)프로토콜을 통하여 센서 자가 보정 명령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점보정모드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인보정모드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자가보정모드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200 : 압력입력부 300 : 압력소자
400 : 와이어본딩보드 500 : 증폭보드
600 : 메인제어보드 700 : 전원레귤레이팅보드
800 : 외부연결컨넥터부
Claims (5)
- 일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각 기기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일자형몸체부(100)와,
일자형몸체부의 헤드부상에 형성되어, 외부압력측정기기와 연결되고, 외부압력측정기기로부터 전달받은 압력을 압력소자쪽으로 인입시키는 압력입력부(Pressure Input Port)(200)와,
일자형몸체부의 내부공간에 상단에 위치되어 압력입력부를 통해 전달받은 압력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측정해서 와이어 본딩보드를 통해 증폭보드로 전달시키는 압력소자(300)와,
압력소자를 중앙부위에 위치시키고, 원형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압력소자를 지지하면서, 압력소자와 알루미늄 와이어로 연결시킨 후, 압력소자에서 측정된 압력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전기적신호로 변환시켜 증폭보드로 전달시키는 와이어 본딩보드(Wire Bonding Board)(400)와,
와이어 본딩보드 하단에 위치되고,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 본딩보드로부터 전달된 압력소자의 전기적신호를 증폭시키고, 필터링시킨 후, 처리 가능한 전압 레벨로 변환시키는 증폭보드(Amplifier Board)(500)와,
증폭보드 하단에 위치되고,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증폭보드에서 나오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ing)한 디지털 신호를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외부제어서버로 송신시키고, 외부제어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증폭보드의 영점(Zero Offeset)보정 및 게인(Gain) 보정시키며, TEDS(IEEE 1451)프로토콜을 통하여 센서 자가 교정(Sesor self Calibration)제어시키는 메인제어보드(600)와,
메인제어보드 하단에 위치되고,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고,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처리에 필요한 전압레벨을 변환시켜 메인제어보드에 전달시키는 전원 레귤레이팅 보드(Power & Regulating Board)(700)와,
전원 레귤레이팅 보드 하단에 위치되고, 압력소자, 와이어 본딩보드, 증폭보드, 메인제어보드, 전원 레귤레이팅 보드를 내부공간에 수용시키도록 "ㅗ"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컨넥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일자형몸체부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외부연결컨넥터부(800)로 구성되는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보드(600)는
보드 표면상에 형성되어 메인제어부로부터 직렬데이터 신호(MOSI : Master Out Slave In)가 입력되면 증폭보드를 통해 증폭된 압력소자의 전기적 신호를 메인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제2-9핀보드컨넥터부(610)와,
메인제어부로부터 표준화데이터(IEEE 1541.x)로 변환된 압력소자의 감지데이터를 전달받아 RS232통신을 통해 표준화데이터 방식으로 외부제어서버로 송신시키고, 외부제어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제어신호를 메인제어부로 전달시키는 RS232트랜시버통신부(620)와,
보드 표면상에 형성되어 메인제어부로부터 송신신호(TX)가 입력되면 표준화데이터(IEEE 1541.x)로 변환된 압력소자의 감지데이터를 수신받아 RS232트랜시버통신부로 전달시키고, 메인제어부로부터 수신신호(RX)가 입력되면 RS232트랜시버통신부를 통해 외부제어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메인제어부로 전달시키는 제3- 9핀보드컨넥터부(630)와,
제2-9핀보드컨넥터부, RS232트랜시버통신부, 제3- 9핀보드컨넥터부와 연결되어, ADC(Analog to Digital Converting)한 압력소자의 전기적신호를 수신받은 후, 표준화데이터(IEEE 1541.x)로 변환시켜 RS232트랜시버통신부를 통해 외부제어서버로 송신시키도록 제어시키고, 외부제어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증폭보드의 영점(Zero Offeset)보정 및 게인(Gain) 보정시키며, TEDS(IEEE 1451)프로토콜을 통하여 센서 자가 보정(Sesor self Calibration)제어시키는 메인제어부(6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보드(Amplifier Board)(500)는
와이어 본딩모드로부터 전달된 압력소자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부(510)와,
보드 표면상에 형성되어 듀얼디지털제어형포텐시어미터부로부터 시리얼데이터신호(SDA : Serial DAta)가 입력되면 AD컨버터부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압력소자의 전기적 신호를 듀얼디지털제어형포텐시어미터부로 전달시키는 제1-9핀보드컨넥터부(520)와,
두개의 포텐시어미터를 통해 입력된 압력소자의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켜 제2 와이퍼 터미널 단자를 통해 메인제어보드로 전달시키는 듀얼디지털제어형포텐시어미터부(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디지털제어형포텐시어미터부(530)는
제1 OP앰프의 (+)단자에 제1 와이퍼 터미널단자(RW0)를 인가시키고, 제1 OP앰프의 (-)단자에 제1 하이(High)터미널 단자(RH0)를 인가시키며, 제1 로우(Low) 터미널 단자(RL0)를 그라운드 연결시켜 하나의 포텐시어미터가 구성되고,
제2 OP앰프의 (+)단자에 제2 와이퍼 터미널단자(RW1)를 인가시키고, 제2 OP앰프의 (-)단자에 제1 하이(High)터미널 단자(RH1)를 인가시키며, 제2 로우(Low) 터미널 단자(RL0)를 그라운드 연결시켜 또 하나의 포텐시어미터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640)는
압력소자의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받아 센서 출력 전압이 설정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압력소자의 작동조건을 판정하여, 센서 출력 전압이 설정값보다 크고 또한 압력소자의 작동조건이 미리 설정한 작동조건하에 있을 때, D/A 변환기를 통해서 센서 출력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갖는 역극성인 영점 보정용 전압을 증폭보드의 증폭기의 오프셋 단자에 전달시켜, 압력소자의 경시 영점 드리프트를 소거하는 영점보정모드(641)와,
압력소자의 감지데이터 추정값으로부터 메인제어부에서 설정된 목표데이터 설정값을 감산하여 얻어지는 편차에 게인(G)을 승산하여 도출된 보정값(Tfeedforward)을 연산시킨 후, 게인(G)을 설정해서 목표데이터 설정값으로 보정하는 게인보정모드(642)와,
TEDS(IEEE 1451)프로토콜을 통하여 전송된 센서 자가 보정 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압력소자의 1차 영점보정값 변경과 2차 게인값 변경을 실시한 후, 공장출하시 상태의 센싱데이터 근사값에 위치되도록 압력소자에 자가보정값(Self Calibration Value)을 적용시켜 자가보정(Self Calibration)시키는 센서자가보정모드(6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9559A KR101377531B1 (ko) | 2013-08-22 | 2013-08-22 |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9559A KR101377531B1 (ko) | 2013-08-22 | 2013-08-22 |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7531B1 true KR101377531B1 (ko) | 2014-03-25 |
Family
ID=5064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9559A Active KR101377531B1 (ko) | 2013-08-22 | 2013-08-22 |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753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8603A (ko) * | 2014-01-24 | 2015-08-03 | 주식회사 이지서보 | 출력 방식의 변환이 가능한 캘리브레이션 압력센서 모듈 |
US11592499B2 (en) | 2019-12-10 | 2023-02-28 | Barnes Group Inc. | Wireless sensor with beacon technolog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0630B1 (ko) | 2003-06-20 | 2007-04-24 |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 압력센서, 압력 제어장치 및 압력식 유량 제어장치의 자동영점 보정장치 |
JP2012506591A (ja) | 2008-10-22 | 2012-03-15 |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産業プロセス用センサ/トランスミッタ・プラグアンドプレイシステム |
-
2013
- 2013-08-22 KR KR1020130099559A patent/KR10137753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0630B1 (ko) | 2003-06-20 | 2007-04-24 |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 압력센서, 압력 제어장치 및 압력식 유량 제어장치의 자동영점 보정장치 |
JP2012506591A (ja) | 2008-10-22 | 2012-03-15 |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産業プロセス用センサ/トランスミッタ・プラグアンドプレイシステム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8603A (ko) * | 2014-01-24 | 2015-08-03 | 주식회사 이지서보 | 출력 방식의 변환이 가능한 캘리브레이션 압력센서 모듈 |
KR101597116B1 (ko) | 2014-01-24 | 2016-02-24 | 주식회사 이지서보 | 출력 방식의 변환이 가능한 캘리브레이션 압력센서 모듈 |
US11592499B2 (en) | 2019-12-10 | 2023-02-28 | Barnes Group Inc. | Wireless sensor with beacon technology |
US11899081B2 (en) | 2019-12-10 | 2024-02-13 | Barnes Group Inc. | Wireless sensor with beacon technology |
US12222408B2 (en) | 2019-12-10 | 2025-02-11 | Barnes Group Inc. | Wireless sens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147181B (zh) | 过程控制回路电流验证 | |
JP5102819B2 (ja) | デジタルキャパシタンスダイヤフラムゲージ用システムおよび埋め込まれた当該システムの操作方法 | |
EP3059132B1 (en) | Smart load cell | |
CN103376755B (zh) | 过程变送器中的过程变量补偿 | |
CN102047089A (zh) | 多变量压力变送器的改进温度补偿 | |
US2002007873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alibration and compensation of sensors | |
CN107037746B (zh) | 校正远程传感器信号的方法和装置 | |
KR101377531B1 (ko) | 스마트 압력센서 모듈 | |
US8930157B2 (en) | Temperature compensated digital pressure transducer | |
CN113951859A (zh) | 一种颅内压传感器信号调理方法 | |
JP5864849B2 (ja) | 流体計測システム | |
KR101056473B1 (ko) | 계측 기기 | |
CN102954814B (zh) | 双线过程控制环路电流诊断 | |
KR101008763B1 (ko) | 밸브 제어 장치 | |
KR101059381B1 (ko) | 영점 및 스팬을 조절하는 아날로그신호 보정장치 | |
KR101128500B1 (ko) | 스트레인게이지용 계측장치 | |
US20060162419A1 (en) | Measuring device with plausibility check | |
CN110940449B (zh) | 远程密封隔膜系统 | |
JPH0868713A (ja) | 圧力計器校正装置 | |
TWI763146B (zh) | 壓阻式氣壓傳感器實現高精度感測系統 | |
CN105043665A (zh) | 一种具有自动校准功能的压强检测系统及其校准方法 | |
US7084647B2 (en) | Transmitter | |
KR200401691Y1 (ko) | 디지털 복합 센서를 적용한 2선 방식 전송기 | |
KR20070025245A (ko) | 디지털 복합 센서를 적용한 2선 방식 전송기 | |
JPH01166299A (ja) | 2線式差圧伝送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8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