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095B1 - apparatus for culturing plant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ulturing pla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6095B1 KR101376095B1 KR1020120011134A KR20120011134A KR101376095B1 KR 101376095 B1 KR101376095 B1 KR 101376095B1 KR 1020120011134 A KR1020120011134 A KR 1020120011134A KR 20120011134 A KR20120011134 A KR 20120011134A KR 101376095 B1 KR101376095 B1 KR 1013760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case
- plant
- case
- upper case
- seed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8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abstract 1
- 241000208822 Lactu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식물재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용이하게 상추나 배추, 토마토 같은 식물을 재배시킬 수 있는 가정용 식물재배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식물재배장치는 저장수단과, 하부케이스와, 물공급수단과, 상부케이스와, 조명수단과, 지지수단과, 차단판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수단은 물 또는 양액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식물의 모종을 심을 수 있는 모종부를 구비하여 상기 저장수단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을 상기 모종부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모종부에 심어진 모종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을 복수 개 구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일단은 상기 저장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케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모종부에 심어진 식물이 성장하더라도 일정한 광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전하여 상기 조명수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수단에 연결된다. 상기 차단판은 소음과 상기 조명수단에서 발광되는 광이 일정한 각도만큼 차단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케이스에 연결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can easily grow plants such as lettuce, cabbage, tomato at home.
The domestic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means, a lower case, a water supply means, an upper case, a lighting means, a supporting means, and a blocking plate. The storage means may contain water or nutrient solution. The lower case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means having a seedling portion for planting seedlings of plants. The water supply means may supply the water or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o the seedlings. The upper case is located above the lower cas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case. The lighting means ha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supplying light to the seedlings planted in the seedling portion of the lower case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The support means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torage means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case to support the upper case, and rotated to supply a constant light even when the plant planted in the seedling part grows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lighting means. It is connected to the luminaire for adjustment. The blocking plat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cas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case so that noise an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eans can be blocked by a predetermined angl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정용 식물재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용이하게 상추나 배추, 토마토와 같은 식물을 재배시킬 수 있는 가정용 식물재배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can easily grow plants, such as lettuce, cabbage, tomato at home.
식물의 재배는 일조량이나, 강우 조건 등 자연환경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자연조건에 따라서 재배 식물의 수확량이 많아지거나 부족해진다. 이러한 자연환경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고, 도심이나 실내에서도 다량으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식물재배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Cultivation of plants is greatly affect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sunshine and rainfall conditions. Thus, depending on the natural conditions, the yield of cultivated plants increases or becomes insufficient.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cultivate a large amount of plants in the city or indoors, excluding the influ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최근에는 공장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채소와 같은 식물의 자급뿐만 아니라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식물재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정용 식물재배장치는 LED와 같은 인공조명과, 양액과 같은 영양분을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Recently,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es that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plant but also for the self-sufficiency of plants such as vegetables for ornamental purposes have been developed. This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using artificial lighting, such as LED, and nutrients such as nutrient solution to grow plants.
그런데 종래에 사용되는 가정용 식물재배장치는 LED와 같은 인공조명을 사용하여 거실이나 방에서 식물을 재배하므로 인공조명에서 발광되는 빛은 식물에게 조사될 뿐만 아니라 식물재배장치의 외부로도 발광된다. 그래서 식물재배장치가 거실의 TV 등의 가전제품 부근에 놓여질 경우 식물재배장치에 의하여 발광되는 빛에 의하여 사용자들의 TV 시청이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실내등을 꺼더라도 식물재배장치에서 빛이 발광되어 사용자들의 수면을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used to grow plants in the living room or room using artificial lighting, such as L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artificial lighting is not only irradiated to the plant but also to the out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erefore, when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is placed near a home appliance such as a TV in the living room, the light emitted by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not only prevents users from watching TV, but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even when the indoor light is turned off. There is a problem that disturbs their sleep.
또한, 종래의 가정용 식물재배장치는 식물에 물이나 양액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에 펌프나 모터 등이 사용된다. 이 경우 소음이 발생한다. 이러한 소음은 주위가 조용한 늦은 밤의 경우에는 상당히 크게 들리므로 사용자들의 수면을 방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 pump or a motor is used to provide water or nutrient solution to a plant. In this case, noise occurs. This noise is a loud sound in the late night when the surrounding quiet, there is a problem that disturbs the sleep of the user.
식물의 성장속도는 식물에 제공되는 빛의 양이나, 물, 양분의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식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여 식물의 키가 달라진다. 그런대 종래의 가정용 식물재배장치는 식물로 발광되는 빛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식물의 성장 초기에는 광원이 식물로부터 떨어져 있어서 식물에 최적의 빛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growth rate of a plant depends on the amount of light provided to the plant, or on the conditions of water and nutrients. And plants grow over time, resulting in different heights. However, the conventional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ant is fixed, so that the light source is separated from the plant at the beginning of the growth of the plant to provide optimal light to the plan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재배장치에서 발광되는 빛이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발광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가정용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can block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o emit light to the user as needed.
또한, 본 발명은 식물재배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여 줄일 수 있는 가정용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noise generat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이 식물의 성장속도에 따라 그 높이가 상승하여 식물에 최적의 빛을 제공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n optimal light to the plant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growth rate of the plant.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식물재배장치는 저장수단과, 하부케이스와, 물공급수단과, 상부케이스와, 조명수단과, 지지수단과, 차단판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수단은 물 또는 양액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는 식물의 모종을 심을 수 있는 모종부를 구비하여 상기 저장수단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을 상기 모종부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모종부에 심어진 모종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을 복수 개 구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일단은 상기 저장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케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모종부에 심어진 식물이 성장하더라도 일정한 광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전하여 상기 조명수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수단에 연결된다. 상기 차단판은 소음과 상기 조명수단에서 발광되는 광이 일정한 각도만큼 차단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케이스에 연결된다.The domestic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means, a lower case, a water supply means, an upper case, a lighting means, a supporting means, and a blocking plate. The storage means may contain water or nutrient solution. The lower case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means having a seedling portion for planting seedlings of plants. The water supply means may supply the water or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o the seedlings. The upper case is located above the lower cas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case. The lighting means ha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supplying light to the seedlings planted in the seedling portion of the lower case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The support means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torage means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case to support the upper case, and rotated to supply a constant light even when the plant planted in the seedling part grows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lighting means. It is connected to the luminaire for adjustment. The blocking plat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cas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case so that noise an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eans can be blocked by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의 가정용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t is preferable that the blocking plate is movable along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또한, 상기의 가정용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서 식물의 모종을 심을 수 있는 모종부를 구비한 배양수단을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서 적어도 1개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배양수단의 상부에 상기 조명수단을 더 포함한다.Further, in the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t least one or more culture means having a seedling portion for planting seedlings of plants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In this case, the lighting means further comprises an upper portion of the culture means.
또한, 상기의 가정용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배양수단의 모종부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domestic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supply means supplies water or nutrient solution to the seedling portion of the culture means.
또한, 상기의 가정용 식물재배장치는 상기 배양수단의 모종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모종부에 심은 식물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판에 설치된 높이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수단은 상기 높이센서에 측정된 식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조명수단의 높이를 조절한다.In addition, the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height sensor installed in the blocking plate so that the height of the plant planted in the seedling portion of the culture means and the seedling portion of the lower case. In this case, the support means adjusts the height of the lighting mean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lant measured by the height sensor.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사이에서 차단판을 구비한 가정용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으로 인하여 식물재배장치에서 발광되는 빛과, 소음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home plant cultivation device having a blocking plate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and noise emitt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수단에 의하여 조명수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조명수단의 높이를 올릴 수 있다. 그래서 식물의 성장에 맞추어서 식물에 최적의 빛의 밝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lighting means can be adjusted by the supporting means, so that the height of the lighting means can be raised as the plant grow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ptimal brightness of light to the plant in accordance with the growth of the pla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식물재배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4 is a plan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식물재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1 to 3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식물재배장치는 저장수단(10)과, 하부케이스(20)와, 물공급수단(30)과, 상부케이스(40)와, 조명수단(50)과, 지지수단(60)과, 차단판(70)과, 배양수단(80)과, 높이센서(85)를 포함한다.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ans 10, the
저장수단(10)은 물 또는 양액을 수용한다. 저장수단(10)에는 수위센서(11)가 설치되어 저장수단(10)에 수용된 물 또는 양액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물 또는 양액이 부족한 경우 저장수단(10)에 물이나 양액을 보충시킬 수 있다.The storage means 10 receives water or nutrient solution. The
하부케이스(20)는 식물의 모종을 심을 수 있는 모종부(11)를 구비하여 저장수단(10)의 상부에 설치된다.The
상부케이스(40)는 하부케이스(20)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하부케이스(40)의 상부에 위치한다.The
배양수단(80)은 식물의 모종을 심을 수 있는 모종부(81)를 구비하며, 상부케이스(40)와 하부케이스(20)의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케이스(20), 상부케이스(40) 및 배양수단(80)의 결합된 모양이 지구본 형태의 구로 구성되도록 형성된다.The culture means 80 is provided with a
조명수단(50)은 하부케이스(20)의 모종부(21)와 배양수단(80)의 모종부(81)에 심어진 모종에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조명수단(50)은 복수의 광원(51)을 구비하며, 하부케이스(20)의 상부와 배양수단(80)의 상부에 설치된다. 광원(51)으로는 LED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배양수단(80)이 1개 설치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배양수단(8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명수단(50)도 각각의 배양수단(80)의 상부 모두에 설치된다.The lighting means 50 serves to supply light to seedlings planted in the
지지수단(60)은 상부케이스(40)와 배양수단(80)과 조명수단(5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저장수단(10)에서 연장되어 상부케이스(40) 까지 연결된다. 즉 지지수단(60)에는 상부케이스(40)와, 배양수단(80)과, 조명수단(50)이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20)도 지지수단(6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명수단(50)은 지지수단(6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수단(60)에 결합된다. 예를들면 조명수단(50)과 결합하는 지지수단(60)의 결합부가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되며, 지지수단(60)의 결합부가 회전하면 조명수단(5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이 경우 조명수단(50)을 상하로 안내시키는 가이드막대(6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수단(60)의 결합부가 스크류로 형성되어 조명수단(50)과 결합하면 지지수단(60)의 결합부가 회전할 경우 조명수단(50)은 가이드막대(61)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이는 모종부(21, 81)에 심어진 식물의 초기에는 조명수단(50)을 최대한 아래로 이동시켜 식물에 광을 조사하였다가, 식물이 점차 성장하면 조명수단(50)도 점차 상승시키기 위함이다.The support means 60 extends from the storage means 10 so as to support the
물공급수단(30)은 저장수단(10)에 저장된 물 및 양액을 모종부(21)에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물공급수단(30)은 저장수단(10)에서부터 하부케이스(20)의 모종부(21) 및 배양수단(80)의 모종부(81)로 연결된 공급관(31), 펌프(33)를 구비할 수 있다. 펌프(33)를 작동시켜 공급관(31)을 통하여 하부케이스(20)의 모종부(21) 및 배양수단(80)의 모종부(21)로 물 및 양액을 공급한다.The water supply means 30 serves to supply water and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10 to the
또한, 물 및 양액의 공급을 자동으로 하기 위하여 배양수단(80)의 모종부(81) 및 하부케이스(20)의 모종부(21)에 센서를 설치하여 물 및 양액이 부족한 경우 자동으로 펌프(33)를 작동시켜 물 및 양액이 하부케이스(20)의 모종부(21) 및 배양수단(80)의 모종부(81)로 공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is installed in the
차단판(70)은 식물재배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빛을 일정한 각도 만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차단판(70)은 반구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은 하부케이스(2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케이스(40)에 결합된다. 그래서 빛 및 소음은 차단판(70)이 없는 부분으로만 방출된다. 이때 차단판(70)은 하부케이스(20) 및 상부케이스(4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조명수단(50)에는 식물에 광을 공급하기 위하여 광원에서 광이 발광된다. 이때 발광되는 빛은 모종부(21, 81)에 심어진 식물에만 가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도 발산된다. 그리고 식물재배장치에는 펌프(33)나 모터 등이 설치되어 소음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빛이 외부로 발광될 경우 낮에는 사용자에게 지장을 주지아니한다. 또한 낮에는 주위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의하여 식물재배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크게 부각되지 아니한다. 그래서 낮에는 본 실시예의 식물재배장치는 가정의 거실 등에서 관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blocking
그러나 저녁이나 늦은 밤의 경우 식물재배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사용자에게 크게 전달되어 사용자의 수면을 방해한다. 그리고 식물재배장치에서 발광되는 빛은 사용자의 눈을 방해하여 사용자가 TV 등을 시청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 경우 식물재배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빛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식물재배장치를 벽 앞에 설치한 경우 낮에는 차단판(70)을 벽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식물재배장치를 관상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저녁이나 밤의 경우 차단판(70)을 사용자가 있는 앞쪽으로 이동시켜 빛이나 소음이 사용자쪽으로 오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차단판(70)은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모터를 설치하여 밤과 같은 일정한 시간에만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evening or late night, the noise generated by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is greatly transmitted to the user, which disturbs the user's sleep.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obstructs the eyes of the user makes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watch TV.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block the noise and light generated from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he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wall,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n also be used for ornamental purposes by facing the blocking
높이센서(85)는 차단판(70)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케이스(20)의 모종부(21) 및 배양수단(80)의 모종부(81)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의 크기를 감지한다. 높이센서(85)로는 적외선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높이센서(85)에서 식물의 크기가 감지되면 감지된 식물의 크기에 따라 조명수단(5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배양수단(80)의 모종부(81) 및 하부케이스(20)의 모종부(21)에 상추나 배추와 같은 식물을 심는다. 그리고 저장수단(10)에는 식물의 배양에 필요한 물이나 양액을 저장한다. 식물을 처음 심은 단계에서는 식물의 크기가 커지 않기 때문에 조명수단(50)은 낮게 위치한다. 그러면 조명수단(50)에서는 광원(51)에 의하여 식물에 빛을 공급하고, 물공급수단(30)은 펌프(33) 및 공급관(31)으로 식물에 물 및 양분을 공급한다.Plants such as lettuce or cabbage are planted in the
차단판(70)은 화살표 3과 같이 이동이 가능하므로 낮에는 차단판(70)을 뒷쪽으로 위치하다가 밤 또는 소음이나 빛을 차단할 필요가 있을 경우 차단판(70)을 앞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빛이 사용자에게 오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Since the blocking
한편 식물이 자라면 높이센서(85)가 식물의 크기를 측정한다. 조명수단(50)은 화살표 1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식물의 크기에 맞추어 지지수단(60)을 회전시켜서 조명수단(50)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식물의 크기에 맞추어 일정한 강도의 빛을 공급해 줄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lant grows, the
10 : 저장수단 11 : 수위센서
20 : 하부케이스 21 : 모종부
30 : 물공급수단 31 : 공급관
33 : 펌프 40 : 상부케이스
50 : 조명수단 51 : 광원
60 : 지지수단 61 : 가이드막대
70 : 차단판 80 : 배양수단
81 : 모종부 85 : 높이센서10: storage means 11: water level sensor
20: lower case 21: seedlings
30: water supply means 31: supply pipe
33: pump 40: upper case
50: lighting means 51: light source
60: support means 61: guide rod
70: blocking plate 80: culture means
81: seedling part 85: height sensor
Claims (5)
식물의 모종을 심을 수 있는 모종부를 구비하여 상기 저장수단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을 상기 모종부에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과,
상기 하부케이스와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모종부에 심어진 모종에 광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을 복수 개 구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한 조명수단과,
일단은 상기 저장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케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모종부에 심어진 식물이 성장하더라도 일정한 광을 공급할 수 있도록 회전하여 상기 조명수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수단에 연결된 지지수단과,
소음과 상기 조명수단에서 발광되는 광이 일정한 각도만큼 차단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차단판과,
식물의 모종을 심을 수 있는 모종부와 상부에 상기 조명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에서 적어도 1개 이상 배치된 배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재배장치.Storage means capable of containing water or nutrient solution;
A lower cas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means, including a seedling part capable of planting seedlings of plants;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water or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o the seedlings,
An upper case positioned above the lower cas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light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supplying light to the seedlings planted in the seedling portion of the lower ca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torage mean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case to support the upper case, and rotates to supply a constant light even when the plants planted in the seedling part are rota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ighting means. Support means connected to the luminaire,
A blocking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cas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case so as to block noise and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eans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moves along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Hom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ulture means disposed at least one between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having the seedling portion and the lighting means in the upper part to plant the seedlings of the plant.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배양수단의 모종부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재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upply means is a home plan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water or nutrient solution to the seedling portion of the culture means.
상기 배양수단의 모종부 및 상기 하부케이스의 모종부에 심은 식물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판에 설치된 높이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높이센서에 측정된 식물의 높이에 따라 상기 조명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height sensor installed in the blocking plate to detect the height of the plant planted in the seedling portion of the culture means and the seedling portion of the lower case,
The support means is a home plant cultiv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ghting mean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lant measured by the height sens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134A KR101376095B1 (en) | 2012-02-03 | 2012-02-03 | apparatus for culturing pla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134A KR101376095B1 (en) | 2012-02-03 | 2012-02-03 | apparatus for culturing plan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0073A KR20130090073A (en) | 2013-08-13 |
KR101376095B1 true KR101376095B1 (en) | 2014-03-19 |
Family
ID=4921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1134A Active KR101376095B1 (en) | 2012-02-03 | 2012-02-03 | apparatus for culturing pla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609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75820A (en) * | 2015-07-03 | 2015-11-25 | 浙江仙人草保健品有限公司 | Method for planting dendrobium officinale by adopting tilt-type seedbed |
CN108029542A (en) * | 2015-08-07 | 2018-05-15 | 罗佳佳 | The leaf at succulent quiet night inserts seedling cultural method |
CN106416981A (en) * | 2016-10-14 | 2017-02-22 | 泉州市泉美生物科技有限公司 | Method for planting plants in transparent sealed container and applied substrat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2702B1 (en) * | 2005-11-26 | 2007-05-29 | 장춘환 | Multipurpos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
KR20110005332A (en) * | 2009-07-10 | 2011-01-18 | 주식회사 에스지이노텍 |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
KR20110064915A (en) * | 2009-12-09 | 2011-06-15 | 최윤나 | Eco-friendly led lighting |
KR200455827Y1 (en) | 2011-05-09 | 2011-09-27 | 홍국영 | Home Appliance Plant Grower |
-
2012
- 2012-02-03 KR KR1020120011134A patent/KR10137609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2702B1 (en) * | 2005-11-26 | 2007-05-29 | 장춘환 | Multipurpose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
KR20110005332A (en) * | 2009-07-10 | 2011-01-18 | 주식회사 에스지이노텍 |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
KR20110064915A (en) * | 2009-12-09 | 2011-06-15 | 최윤나 | Eco-friendly led lighting |
KR200455827Y1 (en) | 2011-05-09 | 2011-09-27 | 홍국영 | Home Appliance Plant Grow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0073A (en) | 2013-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2636B1 (en) | A hydroponics culture apparatus | |
CN202285745U (en) | Household soilless culture box | |
US9357715B2 (en) | Vertical planter | |
KR101348486B1 (en) | Plants cultivation device and Plants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 |
KR101424058B1 (en) | Industrial hydroponic system for ginseng | |
US20210176934A1 (en) | Integrated hydroponic plant cultivation systems and methods | |
KR101121067B1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of plants using of led light | |
KR101287155B1 (en) | Device for multi hydroponics | |
JP6814589B2 (en) | Plant growth promotion device, plant growth promotion system using the plant growth promotion device, and plant growth promotion method | |
CN108093991A (en) | A kind of corn breeding Multifunctional seedling culturing case | |
KR20160065236A (en) | Indoor LED growing apparatus and tray | |
KR20140078183A (en) | An apparatus for cultivating a plant | |
KR200469809Y1 (en) | Cultivation device for garden products | |
KR101004333B1 (en) | Multi Cultivator | |
KR101376095B1 (en) | apparatus for culturing plants | |
US20230105146A1 (en) | Technologies for aeroponics | |
KR101703139B1 (en)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for indoor plant factory | |
JP2005295955A (en) | Device for growing plant | |
CN203851578U (en) | Automatic spraying type intelligent soilless culture device | |
KR102241200B1 (en) |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 |
JP2012147749A (en) | Interior hydroponic culture apparatus | |
KR101260430B1 (en) |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KR20110107126A (en) | Plant growers | |
CN205993191U (en) | Multilayer family vegetable plantation device | |
JP2013051891A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